KR20070098473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473A
KR20070098473A KR1020070011469A KR20070011469A KR20070098473A KR 20070098473 A KR20070098473 A KR 20070098473A KR 1020070011469 A KR1020070011469 A KR 1020070011469A KR 20070011469 A KR20070011469 A KR 20070011469A KR 20070098473 A KR20070098473 A KR 20070098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opening
dust collecting
collecting p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568B1 (ko
Inventor
야스히로 오츠
마사토시 다나카
유지 오츠카
유키오 마치다
미츠루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2 집진부에 있는 도입 개구의 개폐를 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필터(F3)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부(60)와, 네트필터(F3)를 통과한 진애를 분리하는 플리츠 필터체(100)와, 이 플리츠 필터체(100)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수단(90)과, 플리츠 필터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진 수단(90)에 의해 제거된 진애를 저장하는 미세 먼지 집진부(74)와, 집진부(60)와 미세 먼지 집진부(74)를 구획하는 칸막이 벽(61)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로서, 제진 수단(90)에 의해 제거된 진애를 미세 먼지 집진부(74) 내에 도입하는 도입 개구(75)를 마련하고, 칸막이 벽(61)에 집진부(60)와 미세 먼지 집진부(74)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63)을 마련하며, 도입 개구(75)와 연통 구멍(63) 중 어느 하나를 폐색하는 개폐판(76)을 설치하고, 개폐판(76)은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 도입 개구(75)를 폐색하며, 전동 송풍기(33)가 구동되고 있지 않을 때 개폐판(76)은 자중(自重)에 의해 연통 구멍(63)을 폐색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집진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집진 용기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은 집진 용기의 주회 풍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미세 먼지 집진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개폐판이 도입 개구를 폐색한 상태를 도시한 청소기 본체의 단면도.
도 9는 개폐판이 도입 개구를 폐색한 상태를 도시한 미세 먼지 집진부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전동 송풍기
50: 집진 용기
60: 집진부(제1 집진부)
61: 칸막이 벽(구획벽)
63: 연통 구멍(연통 개구)
74: 미세 먼지 집진부(제2 집진부)
75: 도입 개구
76: 개폐판(개폐 부재)
90: 제진 수단
100: 플리츠 필터체(제2 진애 분리 수단)
F3: 네트필터(제1 진애 분리 수단)
본 발명은 흡인한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진애 분리 수단 및 제2 진애 분리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진애 분리 수단과, 제1 진애 분리 수단을 통과한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진애 분리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된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진애 분리 수단과, 이 제1 진애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제1 집진부와, 제1 진애 분리 수단을 통과한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진애 분리 수단과, 이 제2 진애 분리 수단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수단과, 제2 진애 분리 수단 하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진 수단에 의해 제거된 진애를 저장하는 제2 집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집진부의 상부에 설치된 도입 개구에는 개폐 가능 한 개폐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은 전원 코드의 인출이나 권취 동작에 연동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전원 코드를 인출할 때 개폐 부재가 제2 집진부의 도입 개구를 폐색하고, 전원 코드를 권취할 때 그 도입 개구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원 코드가 권취될 때 제2 진애 분리 수단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수단이 작동하고, 제2 진애 분리 수단으로부터 제거된 진애가 도입 개구로부터 제2 집진부 내로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고 있을 때, 즉 전원 코드가 인출되어 있을 때 제2 집진부의 도입 개구는 개폐 부재에 의해 폐색되고, 제2 집진부에 저장된 진애가 말려 올라가 다시 제2 집진부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6383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은 전원 코드의 인출이나 권취 동작에 연동하여 행하는 연동 기구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2 집진부에 있는 도입 개구의 개폐를 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된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진애 분리 수단과, 이 제1 진애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제1 집 진부와, 상기 제1 진애 분리 수단을 통과한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진애 분리 수단과, 이 제2 진애 분리 수단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수단과, 상기 제2 진애 분리 수단의 상류측으로서 또한, 이 제2 진애 분리 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제거된 진애를 저장하는 제2 집진부와, 상기 제1 집진부 및 제2 집진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로서,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제거된 진애를 제2 집진부 내로 도입하는 도입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벽에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집진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도입 개구와 연통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폐색하면서, 회동 동작함으로써 이 폐색을 다른쪽으로 전환하는 개폐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도입 개구를 폐색하며, 상기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개폐 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연통 개구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실시형태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전기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2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청소기 본체(20)의 전측부에 마련된 호스 접속구(21)에는 집진 호스(12)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며, 그 타단에는 손잡이 조작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부(13)에는 연장관(14)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연장관(14)의 선단부에는 흡입구체(15)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13)에는 조작 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부(13A)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S)가 설치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0)와, 본체 케이스(30)에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는 집진 용기(50)와, 후측부가 본체 케이스(30)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덮개(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0)의 후측부(30A)에는 전동 송풍기(33)(도 3 참조)가 내장되고, 이 전동 송풍기(33)의 하측에는 코드 릴(3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0) 앞(도 3에 있어서 좌측)에는 접시형의 적재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재부(35)에는 집진 용기(50)가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고, 덮개(40)를 폐쇄하였을 때 이 덮개(40)와 적재부(35) 사이에 집진 용기(50)를 끼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덮개(4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부(22)의 선단이 호스 접속구(21)로 되어 있다. 또한, 관부(22)의 후단이 접속 개구(23)로 되어 있다.
후측부(30A)의 전측 벽부(31)(도 2 참조)에는 도시하지 않는 전면 개구가 형성되고, 이 전면 개구는 도시하지 않는 연통 풍로를 통해 전동 송풍기(33)의 흡입 개구(33A)에 연통되며, 이 전면 개구를 향하는 연통 풍로 내에는 제진 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제진 수단(90)은, 본체 케이스(30)의 폭 방향(도 3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왕복 이동체와, 이 왕복 이동체에 마련된 돌 기(91)를 가지며, 이 돌기(91)가 후술하는 플리츠 필터체(100)에 있는 플리츠의 산부(山部)에 약하게 결합되고, 왕복 이동체가 왕복 이동함으로써 돌기(91)가 플리츠의 산부를 타 넘으면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플리츠 필터체(100)에 진동을 부여하여, 플리츠 필터체(100)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왕복 이동체는,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이 정지될 때마다 소정 시간만큼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집진 용기(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주회(周回) 풍로부(51)와, 이 주회 풍로부(51) 아래에 형성된 집진부(제1 집진부)(60)와, 이 집진부(60)의 후측부 측에 형성된 부압실부(70)와, 바닥 덮개(80)를 갖고 있다.
주회 풍로부(5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설치한 진애 분리부(제1 진애 분리 수단)(52) 주위에 원호형의 주회 풍로(53)를 형성한 것이다. 주회 풍로(53)의 선단의 선단 개구(5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40)에 있는 관부(22)의 접속 개구(23)에 접합되어 있다. 주회 풍로(53)는 후단 개구(55)를 통해 집진부(60) 내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주회 풍로(53)의 도중의 바닥부에는 부압실부(70)에 연통되는 개구(57)가 형성되고, 이 개구(57)에는 네트필터(F2)가 펼쳐져 있다.
진애 분리부(52)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프레임(도시 생략)과, 이 프레임에 펼쳐져 있는 네트필터(F1)로 구성되어 있다. 진애 분리부(52) 내의 바닥부는 개구되고, 이 개구(56)를 통해 진애 분리부(52) 내와 부압실부(70)가 연통되어 있다.
집진부(60) 후측부의 칸막이 벽(61)에는 부압실부(70)에 연통되는 개구(62)가 형성되고, 칸막이 벽(61)의 하부벽(61A)에는 미세 먼지 집진부(74)의 상부가 되는 위치에 연통 구멍(연통 개구)(63)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62) 아래에 연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62)에는 네트필터(제1 진애 분리 수단)(F3)가 펼쳐져 있다.
부압실부(70)의 후측부(도 5에 있어서 우측)에는 플리츠 필터체(제2 진애 분리 수단)(10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프레임부(71)가 일체 형성되고, 이 프레임부(71)의 후단 개구(72)가 도 3에 도시한 본체 케이스(30)의 전면 개구(도시 생략)에 접합되어 있다.
프레임부(71)의 하부에는 하부 후벽부(73)가 형성되고, 이 하부 후벽부(73)와 집진부(60)의 칸막이 벽(구획벽)(61)의 하부벽(61A)과 바닥 덮개(80)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미세 먼지 집진부(제2 집진부)(74)로 되어 있다. 이 미세 먼지 집진부(74)는 칸막이 벽(61)의 연통 구멍(63)을 통해 집진부(60) 내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71)의 하부 프레임 벽부(71A)와 칸막이 벽(61)의 하부벽(61A) 사이가 도입 개구(75)로 되어 있다.
또한, 집진부(60)의 칸막이 벽(61)의 하부에는, 도입 개구(75)를 폐색하기 위한 개폐판(개폐 부재)(76)의 일단부(도 7에 있어서 상부)가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개폐판(76)은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동 송풍기(33)가 구동되고 있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해 칸막이 벽(61)의 연통 구멍(63)을 폐색하며, 미세 먼지 집진부(74)의 도입 개구(75)는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 고,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에 의해 부압실부(70) 내가 부압이 되면, 개폐판(76)이 회동하여 도입 개구(75)를 폐색(도 9 참조)하도록 연통 구멍(63)의 개구면이 설정되어 있다.
바닥 덮개(80)는, 도 3에 도시한 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집진 용기(50)의 손잡이부(58)에 설치한 버튼 B를 누르면 회동하여 집진부(60) 및 미세 먼지 집진부(74)의 바닥부가 개방되어 집진부(60) 및 미세 먼지 집진부(74)에 저장된 진애를 버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작]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용기(50)를 본체 케이스(30)의 적재부(35)에 적재하여 덮개(40)를 폐쇄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호스(21)의 일단을 덮개(40)의 호스 접속구(21)에 접속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용기(50)의 개폐판(76)은 자중에 의해 칸막이 벽(61)의 연통 구멍(63)을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13A)의 스위치(S)를 조작하면 전동 송풍기(33)가 구동된다. 이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에 의해, 전동 송풍기(33)의 흡입 개구(33A)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집진 용기(50)의 부압실부(70)가 부압이 된다. 이 부압에 의해 개폐판(76)이 회동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 개구(75)를 폐색한다.
이 폐색에 의해, 미세 먼지 집진부(74)에 저장되어 있는 미세 먼지가 빨아 올려져 플리츠 필터체(100)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집진 용기(50)에 있는 칸막이 벽(61)의 연통 구멍(63)이 미세 먼지 집진부(74)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판(76)이 회동하여 도입 개구(75)를 폐색할 때 도 7 및 도 9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이 공기에 의해 미세 먼지 집진부(74)에 저장되어 있는 진애를 말아 올려 버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개폐판(76)은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 회동하여 도입 개구(75)를 폐색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그 개폐판(76)의 구조는 지극히 간단한 것이 된다.
한편, 집진 용기(50)의 부압실부(70)의 부압에 의해 집진부(60) 및 주회 풍로(53)가 부압이 된다. 이 부압이 덮개(40)의 관부(22), 집진 호스(12), 연장관(14) 및 흡입구체(15)에 작용하여, 흡입구체(15)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가 흡인되어 간다.
이 흡인된 진애 및 공기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덮개(40)의 호스 접속구(21)로 흡인되어 간다. 이 호스 접속구(21)로 흡인된 진애 및 공기는 집진 용기(50)의 주회 풍로(53)를 통과하여 집진부(60)로 흡인되어 간다.
주회 풍로(53)에 의해 공기의 일부가 진애로부터 분리되고, 이 분리된 공기가 네트필터(F1, F2)를 통과하여 부압실부(70)로 흡인되어 간다.
집진부(60) 내로 흡인된 진애와 공기는 여기서 분리되고, 분리된 공기는 네트필터(F3)를 통과하여 부압실부(70)로 흡인되어 가며, 진애는 집진부(60) 내로 집진되어 간다.
부압실부(70)로 흡인된 공기는 플리츠 필터체(100) 등을 통해 전동 송풍기(33)의 흡입 개구(33A)로 흡인되어 간다. 이 흡인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33)의 배출구(33B)로부터 배출되고, 본체 케이스(30)의 배기구(도시 생략)로부터 외부로 더 배기된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이 정지되면 흡입구체(15)로부터의 진애 및 공기의 흡인이 정지되고, 집진 용기(50)의 부압실부(70)의 진공도가 상승하여 대기압이 되며, 집진 용기(50)의 개폐판(76)은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벽(61)의 연통 구멍(63)을 폐색하고, 미세 먼지 집진부(74)의 도입 개구(75)가 개방된다.
다른 한편, 전동 송풍기(33)의 구동의 정지에 의해 제진 수단(90)의 도시하지 않는 왕복 이동체가 소정 시간만큼 왕복 이동하고, 플리츠 필터체(100)에 부착된 진애가 제거되어 간다. 플리츠 필터체(100)로부터 제거되는 진애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 개구(75)가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미세 먼지 집진부(74) 내로 제거되어 간다.
집진 용기(50)의 집진부(60) 및 미세 먼지 집진부(74)에 저장된 진애를 버리기 위해서는, 이 집진 용기(50)를 본체 케이스(30)로부터 제거하고, 집진 용기(50)에 있는 손잡이부(58)의 버튼 B를 누르면 바닥 덮개(80)(도 3 참조)가 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집진부(60) 및 미세 먼지 집진부(74)의 바닥부가 개방되어 집진부(60) 및 미세 먼지 집진부(74)에 저장된 진애가 버려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 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집진부에 있는 도입 개구의 개폐를 간단한 구조로 행할 수 있고, 진애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된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진애 분리 수단과, 이 제1 진애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제1 집진부와, 상기 제1 진애 분리 수단을 통과한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진애 분리 수단과, 이 제2 진애 분리 수단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수단과, 상기 제2 진애 분리 수단의 상류측으로서, 또한 이 제2 진애 분리 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제거되는 진애를 저장하는 제2 집진부와, 상기 제1 집진부 및 제2 집진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로서,
    상기 제진 수단에 의해 제거된 진애를 제2 집진부 내로 도입하는 도입 개구를 마련하고,
    상기 구획벽에 상기 제1 집진부와 상기 제2 집진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개구를 마련하며,
    상기 도입 개구와 연통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폐색하면서, 회동 동작함으로써 이 폐색을 다른쪽으로 전환하는 개폐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한 부압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도입 개구를 폐색하며, 상기 전동 송풍기가 구동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개폐 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연통 개구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개구는 제2 집진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부 및 상기 제2 집진부에 저장된 진애를 동시에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 집진부의 바닥부 및 상기 제2 집진부의 바닥부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수단은 상기 전동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되었을 때, 상기 제2 진애 분리 수단에 부착된 진애의 제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애 분리 수단은 플리츠 필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수단은 상기 플리츠 필터체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플리츠 필터체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70011469A 2006-03-31 2007-02-05 전기 청소기 KR100804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9862 2006-03-31
JP2006099862A JP4709680B2 (ja) 2006-03-31 2006-03-31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473A true KR20070098473A (ko) 2007-10-05
KR100804568B1 KR100804568B1 (ko) 2008-02-20

Family

ID=3819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469A KR100804568B1 (ko) 2006-03-31 2007-02-05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8830B2 (ko)
EP (1) EP1839549B1 (ko)
JP (1) JP4709680B2 (ko)
KR (1) KR100804568B1 (ko)
CN (1) CN10056228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1615B2 (en) 2009-06-17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having function of removing dust detached from filter
KR20190024191A (ko) * 2017-08-31 2019-03-08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2022B2 (ja) * 2007-11-26 2013-01-09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5086859B2 (ja) * 2008-03-26 2012-11-28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KR101578463B1 (ko) 2009-07-24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JP5070322B2 (ja) * 2010-09-24 2012-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5771505B (zh) * 2013-09-09 2017-07-28 清远先导材料有限公司 收尘装置
CN105582771B (zh) * 2013-09-09 2017-05-24 清远先导材料有限公司 收尘装置
JP2019005153A (ja) * 2017-06-23 2019-0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装置
JP6918679B2 (ja) * 2017-10-27 2021-08-1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12914417B (zh) * 2019-12-05 2022-03-22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以及电动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0345B1 (ko) * 1969-02-14 1973-04-02
DE1964261C3 (de) * 1969-12-22 1973-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r Staubsauger
US3856488A (en) * 1972-09-05 197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vacuum cleaner
JPS5190558U (ko) * 1975-01-18 1976-07-20
JPS6029484B2 (ja) * 1977-06-10 1985-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S6486383A (en) * 1987-09-28 1989-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sitioning controller
US5223005A (en) * 1992-08-14 1993-06-29 Aercology, Inc. Dust and fume collector
US5681363A (en) * 1996-03-18 1997-10-28 Tucker; Deborah R. Vacuum cleaner filter shaker
US6428589B1 (en) * 2000-09-29 2002-08-06 Royal Appliance Mfg. Co. Two-stage particle separator for vacuum cleaners
US6569218B2 (en) * 2001-03-08 2003-05-27 David Edmond Dudley Self spin-cleaning canister vacuum
US6598263B2 (en) * 2001-05-09 2003-07-29 The Hoover Company Vacuum cleaner dirt collecting system with filter cleaning devices
EP1283021B1 (en) * 2001-08-08 2010-09-22 Panasonic Corporation Vacuum cleaner comprising dirt compressing means
CN2662818Y (zh) * 2002-11-28 2004-1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吸尘器
JP3889364B2 (ja) * 2003-01-15 2007-03-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4344582A (ja) * 2003-05-26 2004-12-09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US7351269B2 (en) * 2003-12-22 2008-04-01 Lau Kwok Yau Self cleaning filter and vacuum incorporating same
JP2005218561A (ja) * 2004-02-04 2005-08-1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6006383A (ja) 2004-06-22 2006-01-12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6034537A (ja) * 2004-07-26 2006-02-09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および旋回式集塵装置
JP4444043B2 (ja) * 2004-08-30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7412749B2 (en) * 2005-01-24 2008-08-19 Euro-Pro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and floor dustpa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1615B2 (en) 2009-06-17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having function of removing dust detached from filter
KR20190024191A (ko) * 2017-08-31 2019-03-08 허창수 Uv를 이용한 필터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9549A2 (en) 2007-10-03
US20070226952A1 (en) 2007-10-04
US7628830B2 (en) 2009-12-08
CN101044962A (zh) 2007-10-03
KR100804568B1 (ko) 2008-02-20
EP1839549B1 (en) 2011-09-07
EP1839549A3 (en) 2009-01-21
CN100562280C (zh) 2009-11-25
JP2007268122A (ja) 2007-10-18
JP4709680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568B1 (ko) 전기 청소기
EP197464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813352B1 (ko) 전기 청소기
EP1913857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two dust collecting sections and a switching mechanism
JPWO2005099545A1 (ja) 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US8661611B2 (en)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filtered dust removal function and vacuum cleaner
TWI554237B (zh) vacuum cleaner
JP2006006453A (ja) 電気掃除機
JP4814062B2 (ja) 電気掃除機
KR100992221B1 (ko) 진공 청소기
JP2008011985A (ja) 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282536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2009119091A (ja) 電気掃除機
JP7414652B2 (ja) 電気掃除機の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286879B2 (ja) 電気掃除機
KR100858949B1 (ko) 전기 청소기
JP4664744B2 (ja) 電気掃除機
JP2008154800A (ja) 電気掃除機
JP2008173265A (ja) 集塵袋および電気掃除機
WO2005099544A1 (ja) 電気掃除機
KR10059309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JP2019205496A (ja) 電気掃除装置
JP2005118390A (ja) 電気掃除機
JP4982200B2 (ja) 電気掃除機
JPS6037729B2 (ja) 電気掃除機の紙袋集塵フィルタ−除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