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436A - 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436A
KR20070098436A KR1020060109823A KR20060109823A KR20070098436A KR 20070098436 A KR20070098436 A KR 20070098436A KR 1020060109823 A KR1020060109823 A KR 1020060109823A KR 20060109823 A KR20060109823 A KR 20060109823A KR 20070098436 A KR20070098436 A KR 2007009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lamp
clasp
light source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726B1 (ko
Inventor
시게히코 이시나베
야수히코 오쿠기
노부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크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9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광원장치에 장착된 방전램프가 적합한 방전램프인가 아닌가를 자동적으로 판단해서, 정확한 방전램프이면, 방전램프의 사용상태 및 사용이력을 관리하는 광원장치를 제공하는 것.
단면을 원판상의 당접면(12)에서 봉한 대경의 원통상의 베이스부(11)와, 원판상의 당접면의 중앙을 관통해서 동축상으로 설치된 소경의 돌출부(13)에 의해 이루어진 꼭지쇠(1) 및 이 꼭지쇠(1)에 방전램프에 관계된 램프·데이타를 표시하는 램프·데이타 표시부(2)를 갖는 방전램프와, 이 방전램프의 꼭지쇠를 보호 유지하고 통전을 행하는 꼭지쇠홀더(3)를 갖는 광원장치에 있어서, 꼭지쇠홀더(3)에 램프·데이타 표시부(2)의 데이타를 읽는 리드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꼭지쇠, 꼭지쇠홀더, 램프·데이타 표시부, 리드장치

Description

광원 장치{LIGHT SOURC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램프·데이터의 기재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 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가 방전 램프의 점등 가부 및 광원 장치에 설정·경신의 여부를 판단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에 있어서의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 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설치한 꼭지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 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 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 내는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꼭지쇠가 리드 장치를 갖는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꼭지쇠를 갖는 방전 램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종래의 방전 램프의 꼭지쇠를 광원 장치의 꼭지쇠홀더에 보호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꼭지쇠
11 : 원통형 베이스부
12 : 원판상의 당접면
13 : 돌출부
2 : 램프·데이터 표시부
3 : 꼭지쇠홀더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6360호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IC), 액정 표시 패널(LCD), 프린트 배선 기판(PCB)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노광에 사용되어 자외선을 발생하는 방전 램프를 구비한 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 램프 마다 각 방전 램프의 속성 및 설정 사양을 표시하는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설치하여 해당 속성 및 설정 사양을 읽어냄으로써, 방전 램프의 사용 상태 및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광원 장치에서 사용하는 방전 램프는 볼모양의 팽출부(51) 및 2개의 봉지관부(52)로 이루어지는 석영전구(5)와, 팽출부(51) 안에 대향 배치된 양극(53) 및 음극(54)과, 이들 양극(53) 및 음극(54)을 지지함과 동시에 통전을 행하는 내부 리드봉(55) 및 외부 리드봉(56)과, 이 내부 리드봉(55) 및 외부 리드봉(56)을 몰리브덴박(57)에 의해 접속하여 기밀로 봉지하는 봉지관부(52)에 의해 구성되고, 게다가 봉지관부(52)에 꼭지쇠(1)가 고정되어있다.
종래의 꼭지쇠(1)는 도 19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면을 원판상의 당접면(12)에서 봉한 대경의 원통형 베이스부(11)와, 원판상의 당접면(12)의 중앙을 관통하여 같은 축모양으로 설치된 소경의 돌출부(13)에 의해 구성되고, 대경의 베이스부(11)를 봉지관부(52)에 접착제(58)로 접착해 소경의 돌출부(13)에 외 부 리드봉(56)을 삽통하여 은납(59)으로 납땜하고 있다.
오목면 반사경을 갖춘 광원 장치에 방전 램프를 장착할 때 , 광원 장치의 평탄한 당접면(31)을 갖는 금속제의 꼭지쇠 홀더(3)의 구멍(32)에 꼭지쇠(3)의 돌출부(13)를 삽입하여 방전 램프를 보호 유지시켜, 꼭지쇠 홀더(3)를 통하여 통전하고 있다.
광원 장치에 있어서, 오목면 반사경의 전방면에서 방전 램프의 휘점위치가 바뀌면, 규정된 광학적 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되므로, 휘점은 오목면 반사경의 전방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로 설정해야 한다. 그 때문에 방전 램프마다의 휘점위치에 불균형이 있으면 방전 램프를 교환할 때 마다 오목면 반사경에 있어서의 휘점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어 숙련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다.
그래서, 방전 램프를 교환해도 휘점위치의 재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광원 장치에 있어서는 꼭지쇠 홀더(3)의 구멍(32)에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돌출부(13)을 삽입하고 , 꼭지쇠(1)의 원판상의 당접면(12)을 꼭지쇠 홀더(3)에 당접시킴으로써, 휘점위치의 재현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원 장치에 있어서는 제조연월일, 제조자명, 제조장소, 제조 라인, 램프 형식, 품종 번호, 로트 번호, 식별 번호 등의 각 방전 램프마다의 고유의 속성에 대해 관리하고 있지 않다.
또한 광원 장치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형식의 방전 램프를 잘못해 달거나, 순정 방전 램프 이외의 방전 램프, 특히 광원 장치가 허용하는 설정 사양을 무시한 부정한 방전 램프를 점등시켰을 경우에는 광원 장치의 수명을 단 축하거나 고장의 원인이나 될 뿐만 아니라, 방전 램프가 파열하는 원인이 되어 광원 장치에 중대한 피해를 받는 경우가 있다.
직류 점등의 쇼트 아크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광원 장치에 접속하는 극성(음극과 양극)이 정해져 있다. 극성을 잘못해 접속하면 음극이 현저하게 소모하고,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므로, 방전 램프의 꼭지쇠 등에 극성을 명확하게 표시하여 방전 램프의 설치 방향의 주의를 재촉하거나 반대의 극성에 접속할 수 없도록 단자의 형상을 음극과 양극으로 다르게 하고 있다.
게다가 방전 램프마다의 이력 관리, 예를 들면, 미사용의 방전 램프인지, 도중까지 사용한 방전 램프인지, 구사양의 방전 램프인지, 최신 사양의 방전 램프인지 등의 방전 램프마다의 이력 관리는 램프 사용자의 기록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방전 램프의 사용자가 방전 램프마다의 속성 및 설정 사양을 인식하는 것 만 아니라, 광원 장치가 방전 램프의 속성 및 설정 사양을 인식하고 그 이력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를 초과한 방전 램프의 점등, 또는 사용 점등 시간을 리셋트하여 사용 점등 시간이 적절히 관리되어 있지 않은 방전 램프의 점등은 부분적인 이상 발열 등에 의해 방전 램프가 파열하는 경우가 있었다.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방전 램프의 품종 마다 정격 램프 전류, 정격 램프 전압, 냉각 조건, 장치로의 설치 방향,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 등 설정 사양이 정해져 있지만, 종래의 광원 장치에 있어서는 방전 램프의 관리 는 램프 사용자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방전 램프의 종별 및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램프·데이터 담지부를 램프 유닛에 설치하고, 이 램프-데이터를 읽어냄으로써 램프 유닛을 관리하는 것이 상기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램프·데이터 담지부는 복수의 휴즈를 배열하고, 이들 복수의 휴즈를 부분적으로 용단(溶斷) 하는 것으로써 램프·데이터를 담지시키는 것으로, 출하 시에 방전 램프의 종별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용단을 행하여, 광원 장치에 달았을 때에 방전 램프의 종별을 읽어낸다.
그리고, 광원 장치에 있어서, 읽어낸 방전 램프의 종별로부터 수명 시간을 판단하고, 사용시간이 일정시간 경과할 때 마다 램프·데이터 담지부의 휴즈를 차례차례 용단시키고, 휴즈의 용단 유무를 전기적으로 검출함으로써 램프-데이터 담지부에 잔존 수명 시간을 담지시키고 있다.
이 램프·데이터 담지부는 방전 램프를 보호 유지하는 램프 유닛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램프 유닛으로부터 방전 램프를 떼어내고 다른 방전 램프와 교환되면, 방전 램프의 데이터가 연속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램프·데이터 담지 수단에 의하면, 광원 장치에 미리 등록된 사양의 방전 램프에만 적용할 수 있지만, 새로 개발된 사양의 방전 램프는 적용할 수 없다. 또, 광원 장치의 설정을 경신하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방전 램프가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광원 장치에 장착한 방전 램프가 적합한 방전 램프인지 아닌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올바른 방전 램프이면, 방전 램프의 사용 상태 및 사용 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광원 장치는 단면을 원판상의 당접면에서 봉한 대경의 원통형 베이스부와, 상기 원판상의 당접면의 중앙을 관통하여 동축상으로 설치된 소경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꼭지쇠 및 상기 꼭지쇠에 방전 램프와 관련되는 램프·데이터를 표시한 램프 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방전 램프와; 해당 방전 램프의 꼭지쇠를 보호 유지하여 통전을 행하는 꼭지쇠 홀더를 갖는 광원 장치이며, 상기 꼭지쇠 홀더에 상기 램프·데이터 표시부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도 1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더욱이 각 실시 형태를 통해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는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원통형 베이스부(11)의 측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하여 램프·데이터 표시부(2)에 표시된 램프 ·데이터(방전 램프의 속성 및 사양)를 광학적 리드 장치에 의해 읽어내고, 장착된 방전 램프의 속성 및 설정 사양을 광원 장치에 집어넣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지쇠(1)의 대경의 원통형 베이스부(11)의 측면에 방전 램프의 속성 및 설정 사양을 표시한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의 꼭지쇠홀더(3)의 당접면(31)에 뚫은 구멍(32)에 꼭지쇠(1)의 소경의 돌출부(13)을 삽입하여 방전 램프를 장착한 때 리드 장치(4)와 대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하는 방전 램프와 관련되는 램프·데이터에는 방전 램프마다의 속성과 방전 램프의 설정 사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방전 램프마다의 속성은 제조년월일, 방전 램프의 제조자명, 제조장소, 제조 라인, 방전 램프의 형식, 품종 번호, 로트 번호, 식별 번호 등이며, 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방전 램프의 설정 사양은 정격 램프 전류, 정격 램프 전압, 냉각 조건, 장치에 대한 설치 방향 등의 광원 장치에 있어서 방전 램프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며, 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의 표시 내용은 문자, 기호, 부호, 도형, 모양 등의 어느 것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코드, 2차원 코드 외에 문자(부호) 또는 제조 회사의 마크 등의 도형으로 표시된다.
램프·데이터는 빛의 반사율의 차이, 정반사 부분 및 난반사 부분의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 이 데이터 표시부(2)의 형성 방법에는 절삭, 조각, 각인, 식각 외에, 레이저 광선의 조사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3의 단면도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 베이스부(11)의 측면에 미리 요부를 형성해 두고, 이 요부에 램프·데이터를 표시시킨 플레이트를 끼워 장착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이 꼭지쇠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방전 램프와 외형이 같기 때문에, 리드 장치(4)를 가지지 않는 광원 장치에 장착하여 점등시킬 수 있다.
도 3의 종단면도(A) 및 횡단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지쇠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형성한 방전 램프를 광원 장치에 장착한 때, 광원 장치의 광학적 리드 장치(4)를 램프·데이터 표시부(2)에 대향시킨다. 리드 장치(4)에는 방전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빛 등의 외광을 차단하도록 배치된 LED 등의 광원 및 CCD 등의 화상 인식 수단을 갖추고 있어 램프·데이터 표시부(2)의 표시 내용을 광학적으로 읽어내 광원 장치의 램프·데이터 기억장치에 격납하는 것이다. 리드 장치가 외광을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광노이즈를 막을 수 있으므로 리드 장치는 램프·데이터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방전 램프의 강력한 자외선에 의한 리드 장치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플로우챠트(flow chart)에 따라, 장착된 방전 램프가 광원 장치에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점등의 가부 및 광원 장치에 설정하는 램프·데이터의 경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광원 장치의 램프·데이터 기억장치(A)에는 미리 광원 장치에 적합한 방전 램프(호환성 램프를 포함한다)의 램프·데이터(속성 및 설정 사양)가 격납되고 한층 더 현재 사용 중인 방전 램프의 사용 이력이 격납되어 있다.
작업자가 방전 램프를 광원 장치에 장착한 때(B), 또는 광원 장치의 전원이 투입되어 방전 램프가 점등 대기 상태가 되면 리드 장치(4)를 동작시키고, 램프·데이터 표시부(2)의 램프·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읽어내어(C), 정보처리부(D)에 입력한다.
정보처리부(D)에 있어서는 읽어낸 방전 램프의 속성 및 설정 사양과 광원 장치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적합 방전 램프의 속성 및 설정 사양과의 조합(照合)을 실시하고, 장착된 방전 램프의 점등 가부를 판단한다. 게다가 적합한 방전 램프라도 사용 이력을 참조하여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를 초과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 사용을 끝낸 방전 램프를 떼어낼 때, 그 방전 램프를 속성과 함께 사용 불가 방전 램프로서 램프·데이터 기억장치에 기록한다.
새로 개발한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방전 램프가 광원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새로운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기초로 하여 광원 장치의 램프·데이터 기억장치에 적합한 방전 램프로서 램프·데이터를 추가등록 또는 경신등록한다. 새로운 방전 램프의 등록은 잘못을 막기 위해 미리 알려진 패스워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 장치에 장착된 방전 램프가 적정하여 점등 가능이라고 판단(E)한 경우에는 광원 장치는 방전 램프의 점등을 허용시키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광원 장치에 장착된 방전 램프가 점등을 허용 할 수 없는 부적합한 것이라고 판단했을 경우나, 사용 이력보다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에 이르고 있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점등을 허용 하지 않는 상태로 하거나 경보를 발생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착한 방전 램프의 설정 사양(정격 전류, 정격 전압, 냉각 조건, 장치에의 설치 방향 등)을 광원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장착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광원 장치에 있어서도 잘못된 사양의 방전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전 램프의 사양 이력을 관리하고 있으므로,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에 이르렀을 경우에 사용자는 그 방전 램프의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를 인식할 수 있고, 수명이 지난 방전 램프의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방전 램프의 속성을 광원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방전 램프의 출처를 인식하여 그 광원 장치가 적합한 방전 램프(순정품)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제2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2실시 형태는 도 5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의 원통형 베이스부(11)의 하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하고, 이 램프·데이터 표시부(2)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꼭지쇠홀더(3)의 당접면(31)의 측방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리드 장치(4)를 꼭지쇠홀더(3)와 일체화함으로써, 광원 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제3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3실시 형태는 도 6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의 원판상의 당접면(12)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하고, 광원 장치의 꼭지쇠 홀더(3)의 당접면(31)에 형성한 요부(33)에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차광 공간을 통해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꼭지쇠홀더(3)의 크기에 변화가 없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4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는 도 7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의 소경의 돌출부(13)의 선단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 2)를 설치하고, 이 램프·데이터 표시부(2)의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꼭지쇠홀더(3)에 뚫은 구멍(32)의 저면에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꼭지쇠홀더(3)의 크기에 변화가 없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5 실시 형태는 도 8의 측면도(A) 및 저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원판상의 당접면(12)에 위치 결정용볼록부(121)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121)의 선단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한다.
도 9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의 꼭지쇠홀더(3)의 당접면(31)에 방전 램프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121)가 결합하는 요부(31l)를 형성하고, 이 요부(311)의 저면에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전 램프를 광원 장치에 장착하는 때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와 광원 장치의 리드 장치(4)를 정확하게 대향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6실시 형태는 도 10의 측면도(A) 및 저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원판상의 당접면(12)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121)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121)의 선단에 요부(122)를 형성하고, 이 요부(122)의 저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한다.
도 11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원 장치의 꼭지쇠 홀더(3)의 당접면(31)에 방전 램프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121)가 결합하는 요부(311)를 형성하고, 이 요부(311)의 저면에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방전 램프를 광원 장치에 장착하는 때에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와 광원 장치의 리드 장치(4)를 정확하게 대향시킬 수 있다.
게다가 요부(122)의 저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램프·데이터 표시부(2)가 보호되어 꼭지쇠홀더(3)의 당접면(31) 등에 접해도 표시에 상처가 나지 않는다.
[제7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7 실시 형태는 도 12의 측면도(A) 및 저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원판상의 당접면(12)에 위치 결정용 요부(123)를 형성하고, 이 요부(123)의 저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한다.
도 13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의 꼭지쇠홀더(3)의 당접면(31)에 방전 램프의 위치 결정용 요부(123)에 결합하는 볼록부(312)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312)에 요부(313)를 형성하고, 요부(313)의 저면에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방전 램프를 광원 장치에 장착하는 때에 위치 결정 할 수 있고 나아가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와 광원 장치의 리드 장치(4)를 정확하게 대향시킬 수 있다.
게다가 요부(123)의 저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램프·데이터 표시부(2)가 보호되어 꼭지쇠 홀더의 당접면 등에 접하더라도 표시에 상처가 나는 일은 없는 것이다.
[제8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8 실시 형태는, 도 14의 측면도(A) 및 저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원통형 베이스부(11)의 측면의 하부에 미리 위치 결정용 평탄면(111)을 형성해 두고, 이 평탄면(111)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한다.
도 15의 종단면도(A) 및 저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의 꼭지쇠홀더(3)에 방전 램프의 위치 결정용 평탄면(111)에 당접하는 블록(34)을 꼭지쇠홀더(3)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블록(34)에 형성한 요부(341)에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설치한 것이다.
[제9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광원 장치의 제9 실시 형태는, 도 16의 측면도(A) 및 저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전 램프의 꼭지쇠(1)의 돌출부(13)의 일부 측면에 위치 결정용 평탄면(131)을 형성하고, 이 평탄면(131)에 램프·데이터 표시부(2)를 설치한다.
도 17의 종단면도(A) 및 횡단면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 장치의 꼭지쇠홀더(3)의 구멍(32)에는, 그 내주면을 팽출시켜 위치 결정용 평탄면(321)을 형성하고, 이 구멍(32)에 방전 램프 꼭지쇠의 돌출부(13)를 결합시켜 위치 결정을 행 한다.
꼭지쇠홀더(3)의 구멍(32)의 평탄면(321)에는 횡방향으로 요부(322)가 형성되고, 이 요부(322)에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4)를 설치하고, 꼭지쇠(1)의 돌출부(13)의 램프·데이터 표시부(2)와 대향시킨 것이다.
방전 램프와는 분리 불가능한 꼭지쇠에 방전 램프의 속성(제조연월일, 제조자명, 제조장소, 제조 라인, 램프 형식, 품종 번호, 로트 번호, 식별 번호 등) 및 설정 사양(정격 전류, 정격 전압, 냉각 조건, 장치로의 설치 방향)의 램프·데이터를 표시해, 방전 램프의 설치 시 또는 교환 시에 광원 장치에 있어서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방전 램프의 사용자는 그 방전 램프의 출처를 확인하여 그 광원 장치에 적합한 방전 램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 램프의 설치 또는 교환 시에, 광원 장치에 적합한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어 설정 사양 대로 방전 램프가 광원 장치에 틀림없이 올바른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정한 방전 램프라도 장착 상태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램프·데이터를 읽어낼 수 없기 때문에 잘못된 상태의 점등을 막을 수 있다.
또, 광원 장치의 기억장치에, 방전 램프의 품종마다의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를 격납해 두어, 광원 장치에 있어서 격납된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를 참조하여 사용 점등 시간의 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램프의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를 초과한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광원장치에 있어서,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장치를 방전 램프의 램프·데이터 표시부와 외광을 차폐하여 대향시킴으로써 노이즈광의 침입을 막아 램프·데이터를 정확하게 읽어낼 수 있어 방전 램프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입사할 수 없기 때문에 광학적 리드 수단을 열화 시키는 일은 없다.
광원 장치의 꼭지쇠 홀더에 리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광원 장치와 비교하여 장치의 구성을 큰 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고, 대형화하는 것도 없다. 그 때문에 기존의 장치를 개조하여 리드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Claims (7)

  1. 단면을 원판상의 당접면에서 봉한 대경의 원통형 베이스부와, 상기 원판상의 당접면의 중앙을 관통하여 동축상으로 설치된 소경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꼭지쇠 및 상기 꼭지쇠에 방전 램프와 관련되는 램프·데이터를 표시한 램프 데이터 표시부를 갖는 방전 램프와; 상기 방전 램프의 꼭지쇠를 보호 유지하여 통전을 행하는 꼭지쇠 홀더를 갖는 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꼭지쇠 홀더에 상기 램프·데이터 표시부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리드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꼭지쇠의 원통형 베이스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꼭지쇠의 원판상의 당접면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꼭지쇠의 돌출부에 램프·데이터 표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드 장치는, 요부를 갖고 상기 요부의 저부에 광학적 리드 수단을 설치하고, 방전 램프의 꼭지쇠에 접한 때, 요부에 의해 외광을 차단하여 램프·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램프와 관련되는 램프·데이터는, 제조년월일, 제조자명, 제조장소, 제조라인, 방전 램프 형식, 품종 번호, 로트 번호, 식별 번호 등의 방전 램프의 속성과 정격 방전 전류, 정격 전압, 냉각 조건, 장치에 대한 설치 방향, 사용 한도 점등 시간 및 사용 한도 점멸 회수 등의 설정 사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방전 램프와 관련되는 램프·데이터의 표시는 광학적으로 리드 가능한 바코드, 2 차원 코드, 문자, 기호, 부호, 도형, 모양의 어느 것, 또는 그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치.
KR1020060109823A 2006-03-31 2006-11-08 광원 장치 KR100895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0000A JP4101269B2 (ja) 2006-03-31 2006-03-31 光源装置
JPJP-P-2006-00100000 200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436A true KR20070098436A (ko) 2007-10-05
KR100895726B1 KR100895726B1 (ko) 2009-04-30

Family

ID=3867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823A KR100895726B1 (ko) 2006-03-31 2006-11-08 광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01269B2 (ko)
KR (1) KR100895726B1 (ko)
CN (1) CN101048027B (ko)
TW (1) TWI362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975A (ja) * 2007-04-20 2008-11-06 Orc Mfg Co Ltd ランプおよび光源装置
JP5232661B2 (ja) * 2009-01-08 2013-07-10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光源装置及び描画装置
US8513955B2 (en) * 2010-09-28 2013-08-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SL budgeting and coding system for lighting assembly
JP2014149392A (ja) * 2013-01-31 2014-08-2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パターン形成装置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CN104373848A (zh) * 2014-11-17 2015-02-25 谢自力 一种智能led灯泡、用户终端及云端处理器
JP5869713B1 (ja) * 2015-04-13 2016-02-24 フェニックス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露光装置とその検査方法
WO2017099221A1 (ja) * 2015-12-09 2017-06-15 株式会社ニコン 放電ランプ及びその交換方法、並びに露光方法及び装置
WO2018186371A1 (ja) * 2017-04-04 2018-10-1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高圧放電ランプ及びその制御方法
JP7291887B2 (ja) * 2018-12-10 2023-06-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CH717060A1 (de) * 2020-01-22 2021-07-30 Jk Holding Gmbh Bestrahl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1191B2 (ja) * 1991-09-30 1998-02-10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凹凸パターン読取装置
JPH09245112A (ja) * 1996-03-04 1997-09-19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走査読み取り装置
US6268799B1 (en) * 1996-04-10 2001-07-31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source lamp unit, light-source device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3517583B2 (ja) * 1998-03-27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放電灯
US6359387B1 (en) * 2000-08-31 2002-03-1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Gas-discharge lamp type recognition based on built-in lamp electrical properties
JP2003141901A (ja) 2001-10-31 2003-05-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JP4086582B2 (ja) * 2002-08-06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露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8027A (zh) 2007-10-03
TW200737276A (en) 2007-10-01
TWI362681B (en) 2012-04-21
JP2007273382A (ja) 2007-10-18
JP4101269B2 (ja) 2008-06-18
CN101048027B (zh) 2010-06-23
KR100895726B1 (ko)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726B1 (ko) 광원 장치
JP2008539541A (ja) 電子ランプ識別システム
JP2008098086A (ja) 光源ランプユニット
US20060108597A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vehicle lamp
JP2006220857A (ja)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9004241A (ja) 光源装置
JP4008480B1 (ja) ランプ装置
CN100485257C (zh) 光源装置
CN101399150B (zh) 光源装置
US85529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rive state of backlight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253116A (ja) 直下式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289565B1 (ko) 광원장치
JP4877356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光源装置
KR100437597B1 (ko) 백 라이트 장치
JP2008052952A (ja) 光源装置
KR20030067127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TW201010508A (en) Discharge lamp distortion monitoring system and discharge lamp
JP2003121845A (ja) 表示装置
KR200221657Y1 (ko) 교통 신호등
JP2006228517A (ja) 蛍光ランプ
JP2009285548A (ja) 紫外線照射装置
KR20050096244A (ko) 형광등 수명 자동 표시 장치
JP2006162776A (ja) 投射型表示装置
JPH0712597A (ja) 計器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