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352A - 도형 묘화장치와, 도형 묘화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도형 묘화장치와, 도형 묘화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97352A KR20070097352A KR1020070029833A KR20070029833A KR20070097352A KR 20070097352 A KR20070097352 A KR 20070097352A KR 1020070029833 A KR1020070029833 A KR 1020070029833A KR 20070029833 A KR20070029833 A KR 20070029833A KR 20070097352 A KR20070097352 A KR 200700973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unit
- management unit
- managed
- swee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0—Function-generator circuits, e.g. circle generators line or curve smooth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형 묘화 처리가, 도형 형상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입력하고; 도형의 내부 속성에 속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입력하고;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입력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로부터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도형 특징량 산출부에 의해 입력 도형의 기하학적 도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 특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판독하고; 최적 묘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절환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채택된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벡터 데이터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비제로 권수 규칙(nonzero winding number rule)의 이용에 의해 도형 내부 영역의 판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우수-기수 규칙(even-odd rule)의 이용에 의해 도형 내부 영역의 판정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벡터 데이터 세트의 군이 서로 교차하는 점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스텐실 버퍼(stencil buffer)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채택된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스윕 라인 데이터(sweep line data)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스윕 형상 데이터(sweep shape data)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불투명 도형의 묘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반투명 도형의 묘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self-intersection)의 중첩을 무시하는 도형 묘화 예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의 예를 나탄내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외주선의 삼각형 분할(triangulation) 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삼각형 데이터 세트의 군을 에워싸는 좌표축에 평행하는 최소 직사각형(rectangular)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의 제1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의 제2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 계산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비제로 권수 규칙의 이용에 의한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의 처리예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5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6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7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8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9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도형 묘화장치의 변형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디지털 AV장치, 통신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서 수행되는 도형 묘화 처리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다각형을 묘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 방법은, (1) 점을 기초로 하는 방법(point-based method), (2) 래스터 라인을 기초로 하는 방법(raster-line-based method), (3) 삼각형을 기초로 하는 방법(triangle-based method) 및 (4) 스텐실 버퍼를 기초하는 방법(stencil-buffer- based method)을 포함한다.
방법 (1)은, 묘화영역에 포함되는 각 점(픽셀)에 관해 묘화를 판정하고, 점(픽셀)단위로 묘화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때, 묘화처리의 고속화를 위해, 쓸데없는 묘화영역을 삭제하거나, 각 점에서의 묘화판정을 간략화하거나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연구(contrivance)가 착상되고 있다. 더욱이, 묘화의 고속화를 위해, 이 기능을 하드웨어의 형태로 합체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방법이 하드웨로로 합체된 장치의 하나로서, 래스터라이저(rasterizer)라 불리는 것이 있다(예컨대, 이하에 표시되는 종래기술문헌1을 참조). 이 방법은, 심플하지만 매우 안정적인 처리를 하는 것이 특징이기는 하나, 각 점마다 묘화의 판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매우 높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이 기능은 전형적으로는 주문설계된 하드웨어로서 합체되고 있다. 방법 (2)는 방법 (1)을 개량한 것이다. 방법 (2)는 각 점마다 혹은 그것에 상당하는 범위에서 묘화판정을 행하는 점에서 방법 (1)과 유사하다. 그렇지만, 묘화를 수행할 때에 각 점에서의 묘화 부분을 모으고, 이것을 묘화하고자 하는 화면의 스캔라인단위의 선의 묘화로 치환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묘화판정에 관해서는 방법 (1)과 마찬가지로 처리비용이 높다. 그렇지만, 묘화처리의 비용은 낮아지기 때문에, 방법 (2)는 방법 (1)보다 고속화되리라고 기대된다. 또, 묘화판정의 부분은, 고속의 CPU를 가진 처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나 주문설계된 하드웨어의 형태로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묘화처리에 관해서는, 범용의 그래픽스 LSI(GPU)를 이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래픽스 LSI는 선, 삼각형을 고속으로 묘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다. 이 때문에, 방법 (2)는 방법 (1)보다 범용성이 뛰어나다고 말할 수 있다.
방법 (3)은, 묘화하고자 하는 다각형을 삼각형군으로 분할하고, 삼각형을 기초로 묘화하는 것이다(예컨대, 이하에 표시되는 종래기술문헌2를 참조). 이것은, 범용의 그래픽스 LSI 또는 고속의 삼각형 묘화장치의 사용을 전제로 하여 고속화를 도모하려고 하는 의도가 있다. (왜냐하면, 그래픽스 LSI는 선, 삼각형을 고속으로 묘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방법 (3)은 방법 (1) 및 (2)보다 범용성이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삼각형 분할을 위해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안정성이 문제로 될 수 있다. 또, 묘화하고자 하는 다각형이 매우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삼각형 분할처리의 계산비용이 상당히 커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삼각형군을 그래픽스 LSI 등을 이용해서 묘화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래픽스 LSI에 충분한 리소스가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다각형을 삼각형군으로 분할하고, 이것을 그래픽스 LSI로 투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메모리 등의 사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방법 (4)는, 범용 그래픽스 LSI의 사용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그래픽스 LSI의 기능으로서 존재하고 있는 스텐실 버퍼(stencil buffer)라고 하는 기능을 이용해서 다각형 묘화를 실현하는 것이다(예컨대, 이하에 표시되는 종래기술문헌3을 참조). 이 방법은 방법 (1)∼(3)의 어느 것보다도 고속이면서 안정적으로 다각형 묘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렇지만, 그래픽스 LSI의 기능을 최대(full)로 활용하기 위해, 그래픽스 LSI의 많은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법 (1) 내지 (4)에 관해서, 처리 속도와 요구된 리소스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한다. 따라서, 그래픽스 LSI와 같은 리소스가 다수의 태스크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 각 방법은 문제를 일으킨다. 방법 (1) 및 (2)에 관해서는 요구되는 리소스가 적기 때문에, 처리가 리소스의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처리량이 많기 때문에 고속처리에서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방법 (3) 및 (4)에 관해서는, 충분한 리소스가 가능할 때, 고속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리소스가 다른 태스크에 의해 부족하게 될 때, 처리 성능의 저하 또는 리소스 부족으로 인해 처리를 실행하는데 실패의 문제가 야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련된 종래 기술은 다수의 태스크의 실행의 결과로서 리소스에서의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처리 속도 및 안정적 처리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
종래기술문헌1 :
Renate Kempf and Chris Frazier, "The OpenGL Processing Pipeline", Chapter 2: Overview of Commands and Routines, OpenGL Reference Manual Second Edition, ISBN 0-201-46140-4, pp. 8-16, 1997.
종래기술문헌2 :
Mark de Berg, Mare van Kreveld, Mark Overmars, and Otfried Schwartzkopf "Computational Geometry," SBN 4-7649-0277-x, pp. 55-75, Kindai Kagakusha Co., Ltd., 2000.
종래기술문헌3 :
Jackie Neider, Tom Davis, Mason Woo, "Drawing filled, Concave Polygons Using the Stencil Buffer,' Chapter 13: Now That You Know, OpenGL programming Guide, ISBN 0-201-63274-8, pp. 398-399, 1993.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장치의 리소스가 변동되는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고속 및 안정적 처리가 가능한 도형 묘화장치 및 도형 묘화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도형 형상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와; 도형에 속하는 내부 속성 정보를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군 관리부;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관리하는 리소스 정보 관리부;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입력 도형의 기하학적 도형 특징을 나타내는 동형 특징량을 산출하는 도형 특징량 산출부; 도형 특징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판독하고, 최적 묘화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 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른 세트의 묘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 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른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다수의 묘화부를 포함하는 도형 묘화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블록도이다. 도형 묘화장치는, 도형 형상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와(01); 도형에 속하는 내부 속성 정보를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03);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관리하는 리소스 정보 관리부(02);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01)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입력 도형의 기하학적 도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 특징량을 산출하는 도형 특징량 산출부(12); 도형 특징량 산출부(12)에 의해 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02)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판독하고, 최적 묘화 데이터를 발생시키도록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04); 처리가 묘화 처리 절환부(04)에 의해 제 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01)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03)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는 다수의 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05),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07), 제N묘화 데이터 생성부(09)) 및; 묘화 데이터 생성부(05,07,09)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03)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른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다수의 묘화부(제1묘화부(06), 제2묘화부(08), 제N묘화부(10))를 포함한다.
도 39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변형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9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도형 묘화장치에는 리소스 정보와 비교되는 임계값을 관리하는 리소스 정보 임계값 관리부(13)와, 도형 특징량과 비교되는 임계값을 관리하는 도형 특징량 임계값 관리부(14)가 더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묘화 처리 절환부(04)가 도형 특징량 산출부(12)에 의해 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도형 특징량 임계값 관리부(14)에 의해 관리된 도형 특징량 임계값을 비교하고; 리소스 정보 임계값 관리부(13)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 임계값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02)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묘화 데이터 생성부를 절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는 입력으로서 다각형의 외주선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취하고; 묘화 처리 시 달성된 장치에서 리소스의 상황에 따라 고속 다각형 묘화 처리를 선택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도형 묘화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전체 구성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블록도이다.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101)와;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 다각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103);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103)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 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05);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06); 묘화 처리가 절환되는가의 여부에 따라 판정이 이루어질 때 언급된 메모리 이용 상황 참조값을 관리하는 제1참조값 관리부(107); 묘화 처리가 절환되도록 판정이 이루어질 때 언급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에 속하는 자기교차점 참조값을 관리하는 제2참조값 관리부(108); 제1참조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참조값과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06)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값과 데이터를 비교 및 판정함으로써, 이 후에 설명되어지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와 자기교차점 산출부(112)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 제1묘화처리 절환부(109)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며, 스텐실 버퍼를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스텐실 버퍼의 갱신과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111);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여,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다수의 자기교차점을 산출하는 자기교차점 산출부(112); 자기교차점 산출부(112)에 의해 산출된 도형의 외주선의 자기교차점에 속하는 정보를 유지하는 자기교차점 관리부(113); 자기교차점 관리부(113)에 의해 관리된 도형의 외주선의 다수의 자기교차점과 제2참조값 관리부(108)에 의해 관리된 자기교차점 참조값을 판독하고, 판독 수와 값을 비교 및 판정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와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 처리가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하며, 삼각형의 집합으로 내부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삼각형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에 의해 관리된 삼각형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116); 처리가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 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함으로써, 선분의 집합으로 내부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선분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에 의해 생성된 선분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118) 및; 제1묘화부(111), 제2묘화부(116), 제3묘화부(11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된 묘화 결과를 제시하는 묘화 결과 출력부(119)를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 모든 관리부가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들은 또한 단일 메모리에 집합되거나 다수의 다른 메모리 장치로 분할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가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되고, 각 블록의 처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형
묘화의
설명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가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도형 묘화는 다각형의 외주선을 구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으로 에워싸이는 영역이 임의의 규칙에 따라 내부 또는 외부인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내부 영역을 칠해서 채우기(filling in)를 함으로써 다각형을 묘화한다.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 0" 내지 "점 5"와 같은 "다각형의 외주 선(한번의 획으로 쓰여져 얻어진)"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과 내부 영역을 판정하기 위한 규칙, 색, 내부 속성 정보의 불투명도를 포함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가 입력되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형이 묘화된다. 도 5와 도 6 사이의 차이는 내부 영역 판정 규칙의 차이에 있다. 도 5는 비제로 권수 규칙으로 불리워지는 규칙의 예를 이용한다. 도 6은 내부 영역이 우수-기수 규칙에 따라 판정되어 다각형을 묘화하는 예이다.
이러한 내부 영역 판정 규칙은, 다각형의 외주선으로 에워싸인 영역에서 임의의 점으로부터 임의 방향으로 반직선을 인출하고; 반직선과 도형의 외주선이 교차할 때 마다 교차 방향에 따라 카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얻어진 카운터 값에 따라 영역이 내부 또는 외부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비제로 권수 규칙에 따르면, 카운트 값이 제로가 아니면 영역은 내부로 판정된다. 우수-기수 규칙에 따르면, 카운트 값이 기수일 때 영역이 내부로 판정된다.
상기한 규칙의 상세가, 2003년 1월 14일자, W3C Recommendation의 "Scalable Vector Graphics(SVG) 1.1 Specfication" 문헌에서 설명된다. 상기 문헌은 웹사이트 www.w3.org/TR/SVG에서 가능하다.
묘화 처리에 있어서, 다각형이 설정되는 색 및 불투명도를 갖는 픽셀을 구성하는 래스터(raster) 데이터로서 마지막으로 출력된다.
제1실시예에서의
일반적 처리
플로우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에 따른 처리 플로우가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형 묘화장치가 도형 묘화 처리를 시작할 때, 벡터 데이터군, 묘화 속성 데이터,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가 입력된다(단계 1001).
다음에,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스텐실 버퍼가 이용되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의 결과를 기초로 스텐실 버퍼를 이용해서 묘화 처리가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1002).
단계(1002)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스텐실 버퍼의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날 때,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단계 1003). 스텐실 버퍼는 묘화 데이터의 이용에 의해 갱신되고, 묘화 처리가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수행되어,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1004).
단계(1002)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스텐실 버퍼의 이용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때,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수는 고속에서 실행될 수 있는 도형 처리를 선택하기 위해 도형의 기하학적 특징으로부터 산출된다.(단계 1005). 다음에, 산출된 자기교차점의 수가 임계값과 비교됨으로써 삼각형 분할을 이용하는 묘화 및 선분을 이용하는 묘화 중 어느 쪽이 이용되었는가가 판정된다(단계 1006).
단계(1006)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삼각형 분할을 이용하는 묘화가 더 빠르다는 것을 나타낼 때, 입력 도형을 삼각형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되고(단계 1007), 도형이 삼각형 묘화에 의해 묘화된다(단계 1008).
단계(1006)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선분을 이용하는 묘화가 더 빠르다는 것을 나타낼 때, 입력 도형을 선분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되고(단계 1009), 도형이 선분 묘화 처리에 의해 묘화된다(단계 1010).
상기한 묘화가 어느 단계에서 수행되어, 묘화 결과가 출력된다(단계 1011). 각 단계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벡터
데이터군의
설명
먼저, 도형 묘화의 입력 중 하나인 도형의 외주선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취급되는 다각형의 외주선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이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 값을 갖는 N개의 점 데이터의 세트(P1∼PN)로 이루어진다. 외주선의 n번째 벡터는 점 데이터로부터 Vn = Pn-Pn +1로 정의될 수 있고, 여기서 n=0,---,N-1이다. P0 = PN -1이 달성되지 않을 때, 다각형은 폐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처리는 PN = P1이 달성되는 가상 점의 가정에 대해 수행된다.
벡터 데이터군으로부터 형성된 다각형은 일반적 다각형으로 만들어진 임의의 형상을 가정할 수 있고, 오목 형상 또는 자기교차 형상 뿐만 아니라 볼록 형상도 가정할 수 있다.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
(101)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 중 하나인 다각형의 외주선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의 입력은,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101)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저장된다.
벡터 데이터의 입력은, 미리 보조 저장장치, FD, CD-ROM, DVD-ROM 등에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펜 타블렛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 입력의 대화형 판독으로서 수행된다.
묘화
속성의 설명
도형 묘화의 입력 중 하나인 묘화 속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묘화 속성은 내부 영역 판정 규칙의 지정, 내부 영역의 색 및 불투명도 등과 같은 도형의 묘화 동안 채택된 속성에 속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각형의 내부 영역 판정 규칙을 판정하기 위해 이용된 임의의 값은 내부 영역 판정 규칙의 지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도형의 내부 영역을 칠해서 채우기를 위해 이용된 색 정보는 내부 영역 색으로서 설명되고, 도형의 내부 영역의 투과상태를 나타내는 값은 불투명도로서 설명된다. 도형의 내부 영역이 반투명인 것을 나타내는 값이 불투명도를 위해 입력될 때, 불투명도로 나타낸 투과의 비율에 따라 도형과 관심이 있는 도형의 배후가 있는 배경이 합성된다.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
(103)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 중 하나인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가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103)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저장된다.
묘화 속성 데이터의 입력은, 미리 보조 저장장치, FD, CD-ROM, DVD-ROM 등에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펜 타블렛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 입력의 대화형 판독으로서 수행된다.
묘화
처리
절환을
위해 이용된 판정의 설명
본 실시예에서 묘화 절환 판정값으로서 이용된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이 묘화 절환 판정값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세트는 데이터에 의해 절환되어지는 묘화 처리의 특징에 따라 판정된다. 본 실시예의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는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스텐실 버퍼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모리 영역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묘화 처리의 실행 동안 달성된 메모리의 이용 상황에 따라, 판정이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가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해 이루어짐으로써 묘화 처리가 리소스의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벡터 데이터 입력군의 복잡성에 따라, 다각형의 삼각형 분할을 포함하는 묘화에 의해 초래된 처리 비용은 선분을 포함하는 묘화에 의해 초래된 처리비용 보다 더 높아지게 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된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벡터 데이터 입력군에서 야기되는 교차부의 다수의 점(자기교차점의 점)이 처리 비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벡터 데이터군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용됨으로써, 입력 데이터에 따라 묘화 처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
(105)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06)
상기한 묘화 처리 절환 판정값의 하나인 메모리 이용 상황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05)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06)에 저장된다.
여기서, 용어 "메모리 이용 상황"은 묘화 동안 이용된,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처리에 이용된 데이터가 저장되는(잠정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 영역의 양을 의미한다. 특히, 메모리 이용 상황은 메모리의 최대 양으로부터 판정된 값으로, 이는 메모리가 전혀 이용되지 않을 때 유용한 메모리의 양과, 묘화 동안 실질적으로 이용된 메모리의 양에 대응한다.
제1실시예의 메모리 이용 상황은 도형 묘화장치를 구성하는 각 불록이 통상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는 경우나 각 블록이 개개의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상 메모리 영역이 이용될 때, 메모리 이용 상황은 통상 메모리 영역에 속하는 입력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로서 취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한편, 개개의 메모리 영역이 이용될 때, 메모리 이용 상황은 모든 메모리 영역의 메모리 이용 상황을 판독하여 요구된 메모리 이용 상황을 산출하든가 메모리 이용 상황이 요구하는 블록을 제한하여 해당 블록의 메모리 이용 상황을 판독하는 다른 방법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한 도형의 내부 영역에 관한 판정을 포함하는
묘화
처리에 관해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한 도형의 내부 영역에 관한 판정을 포함하는 묘화 처리의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실 버퍼는 묘화가 묘화 처리 동안 픽셀 단위를 기초로 가능/불가능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된 값을 유지하기 위한 버퍼이고, 또한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방법으로 언급된다.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도형의 내부 영역의 판정 후 묘화를 수행하기 위해, 도형의 외부 환경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이 입력으로서 판독된다(단계 6001). 다음에, 스텐실 버퍼를 갱신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묘화 데이터가 특정 규칙에 따라 판독된 벡터 데이터군으로부터 생성된다(단계 6002). 스텐실 버퍼의 카운터가 스텐실 버퍼의 생성된 묘화 데이터를 묘화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된다(단계 6003). 결과적으로, 도형의 내부 영역의 판정을 가능하게 하는 값이 스텐실 버퍼에 설정된다. 도형 묘화 처리 동안, 이러한 값은 내부 영역 판정 규칙에 따라 평가됨으로써, 픽셀의 기록을 제어한다.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입력 벡터 데이터 세트군(이하, "입력 벡터 데이터군"으로 칭함)을 에워싸는 최소 직사각형(rectangle)에 의해 내부 영역이 묘화 될 수 있다(단계 6004). 결과적으로, 내부 영역 판정 규칙에 따르는 도형이 묘화될 수 있게 된다.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도형 묘화는 높은 묘화 비용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묘화의 판정과 관련하여, 스텐실 버퍼를 갱신하기 위해 이용된 도형은 스텐실 버퍼에 따라 거의 생성되지 않고, 이는 낮은 비용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와 호환되는 그래픽스 LSI가 이용될 수 있을 때, 도형 묘화 처리가 고속으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스텐실 버퍼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모리 영역을 요구한다. 따라서, 리소스 부족으로 인해 버퍼가 확보될 수 없을 때, 이러한 방법은 이용될 수 없다.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도형 묘화 처리는 비특허문헌 3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므로, 문헌을 참조한다.
제1묘화
처리
절환부
(109)
제1참조값
관리부(107)
다음에,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는 고속 묘화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스텐실 버퍼가 확보될 수 없을 때, 묘화 처리는 이용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묘화 처리 절환부는 도형 묘화 처리에서 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판정한다(단계 1002). 스텐실 버퍼가 확보될 때, 스텐실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단계 1003). 스텐실 버퍼가 확보되지 않을 때, 다음 단계에 속하는 처리가 실행되고, 여기서 입력 도형의 특징으로부터 고속 묘화 처리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1005).
메모리의 이용 상황이,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06)에 의해 관리된 도형 묘화 처리가 제1참조값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된 스텐실 버퍼를 확보하도록 요구된 메모리의 최소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참조값(Mref)에 따라 수행될 때 취득된 도형 묘화장치에 속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M)를 비교함으로써 판정된다. M이 Mref를 만족할 때,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가 실행된다. M이 Mref와 다를 때, 자기교차점 산출부(112)가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제1참조값 관리부(107)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참조값은 도형 묘화장치의 출력 및 그 구성에 의해 판정된다. 스텐실 버퍼가 확보될 수 있는가의 여부는 묘화 출력의 해상도 및 가능한 메모리의 최대량에 의존한다. 스텐실 버퍼가 확보될 수 있는가의 여부와 묘화 출력의 해상도 사이의 관계에 관해, 스텐실 버퍼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묘화 출력의 해상도와 일치된다. 그러므로, 묘화 출력의 해상도가 크면 클수록, 스텐실 버퍼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더욱이, 가능한 메모리의 최대양에 관해, 스텐실 버퍼 크기가 메모리의 최대양 보다 더 클 때, 다수의 메모리가 스텐실 버퍼에 의해 이용된다. 메모리를 이용할 수 없게 만드는 다른 태스크의 잠재적 위험은 더 높아지게 된다. 메모리가 이러한 상태로 들어갈 때, 전체 묘화 장치의 처리 수행은 메모리가 다수의 블록 사이에서 할당되는 본 실시예에서 크게 감소된다.
메모리의 이용 상황에 속하는 참조값은 도형 묘화장치의 출력과 그 구성에 의해 판정된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태스크의 상태에 따라 참조값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또한 있다.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
(110)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가 스텐실 버퍼가 확보되었는가를 판정할 때 처리되도록 된다.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이 판독되고, 스텐실 버퍼를 갱신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와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도형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단계 1003).
본 실시예에서 생성된 묘화 데이터는, 벡터 데이터군의 이용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한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도형의 내부 영역의 판정을 이루기 위한 묘화 처리"에서 스텐실 버퍼를 갱신하기 위해 이용된 삼각형 데이터와,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도형의 내부 영역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된 직사각형 데이터를 포함한다.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한 관련문헌 3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1묘화부
(111)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1묘화부(111)에 입력되어,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제1묘화부(111)에 대해 설명한다. 제1묘화부(111)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를 판독한다. 먼저, 스텐실 버퍼가 갱신된다. 다음에, 묘화 처리가 묘화 속성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내부 영역 판정 규칙에 따라 갱신된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도형의 내부 영역의 판정을 이루기 위한 묘화 처리"와 관련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스텐실 버퍼가 스텐실 버퍼를 갱신하기 위해 이용된 삼각형 데이터의 묘화에 의한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를 기초로 갱신된다. 다음에, 도형의 내부 영역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된 직사각형 데이터가 갱신된 스텐실 버퍼의 이용에 의해 묘화되고, 그 결과 도형의 묘화가 완료된다.
삼각형 및 직사각형의 실제 묘화와 관련하여,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드웨어가 이용될수 있거나, 범용 그래픽 처리 LSI가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묘화가 다른 수단의 이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자기교차점
산출부
(112)
자기교차점 관리부(113)
자기교차점 산출부(112)에 대해 설명한다. 자기교차점 산출부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가 스텐실 버퍼가 확보될 수 없음을 판정할 때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을 산출하도록 수행된다(단계 1005).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산출은, 다각형의 외주선을 구성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벡터들 사이의 교차점을 판정하며; 교차점의 좌표, 교차점 사이의 위상 관계, 교차점의 총 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산출된 자기교차점 데이터는 묘화 처리의 판정에 한정되지는 않고, 또한 삼각형 묘화 처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자기교차점 데이터는 자기교차점 관리부(113)에 저장되어, 교차점의 좌표, 교차점 사이의 위상 관계, 교차점의 총 수가 분리적으로 판독될 수 있게 된다.
제2묘화
처리
절환부
(114)
제2참조값
관리부(108)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에 대해 설명한다. 제2묘화 처리 절환부는, 자기교차점 관리부(113)에 의해 관리된 자기교차점의 수와, 제2참조값 관리부(108)에 의해 관리되고 삼각형 묘화에 의해 야기된 처리 비용이 선분 묘화에 의해 야기된 처리 비용 보다 더 크게 되거나 그 반대를 나타내는 참조값을 비교한다. 삼각형 묘화가 더 빠른 것으로 판정될 때, 삼각형 분할을 통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한편, 선분 묘화가 더 빠른 것으로 판정될 때, 선분 데이터 를 통한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1006).
자기교차점의 수는, 자기교차점 관리부(113)에 의해 관리된 자기교차점의 수(Nis)와, 제2참조값 관리부(108)에 의해 관리되고 도형 처리 수행이 절환되는 자기교차점의 수를 나타내는 참조값(Nisref)을 비교함으로써 판정된다. Nis < Nisref가 만족 될 때,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가 실행된다. 다른 경우에,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가 실행된다.
자기교차점의 수에 속하고 제2참조값 관리부(108)에 의해 관리된 참조값은 처리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도형 묘화장치에 의해 수행된 삼각형 묘화와, 자기교차점의 수를 참조로 선분 묘화에 의해 야기된 처리 비용의 측정에 의해 경험적으로 판정될 수 있다. 한편, 참조값은 또한 각 묘화 알고리즘에 의해 이론적으로 판정될 수도 있다.
삼각형
묘화와
선분(스캔 라인) 분할에 의한
묘화의
판정에 관해
관련 기술 방법(3)에 의해 지시된 삼각형 분할에 의한 묘화의 판정에 의해 야기된 처리 비용과, 관련 기술 방법(2)에 의해 지시된 선분에 의한 묘화의 판정에 의해 야기된 처리 비용에 대해 설명한다. 삼각형 분할을 이용하는 묘화의 판정은 외주선으로 에워싸인 다각형의 각 영역에서 내부 영역을 판정하기 위한 처리와, 영역이 내부 영역으로 되도록 판정될 때 내부 영역을 그래픽스 LSI에 의해 용이하게 처리된 삼각형으로 분할하는 것에 대응한다. 이러한 처리에 있어서, 다각형의 외 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내부 영역 판정 처리의 수와 칠해서 채우는 처리 및 그와 관련된 삼각형 분할이 수행되는 영역의 수는 더 크게 된다. 그러므로, 처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선분을 이용하는 그래픽 처리에 있어서, 다각형이 출력되는 동안 취득된 각 스캔 라인을 위해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이 내부 영역인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처리 동안 내부 영역의 판정에 의해 야기된 처리 비용은 스캔 라인의 수에 상당히 의존한다. 각 스캔 라인에 있어서, 칠해서 채우는 처리는 1차원 문제이고, 그러므로 다각형의 완료의 영향은 작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각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수가 작을 때, 묘화가 삼각형 분할에 의해 판정될 경우에 야기된 처리 비용은 작다. 다각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수가 클 때, 묘화가 선분에 의해 판정될 경우에 야기된 처리 비용은 낮다. 따라서, 다각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수는 비교가 수행되고, 그에 따라 낮은 비용을 야기시키는 묘화의 판정을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도형이 고속 묘화로 적응적으로 수행된다.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115)
다음에,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에 대해 설명한다.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가 입력 다각형의 삼각형 분할 그래픽 처리가 빠르게 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실행된다.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구성하는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 및, 자기교차점 관리부(113)에 의해 관리된 그래픽 자기교차점 데이터를 판독하고; 다각형의 내부 영역으로 되는 영역을 판정하며; 삼각형의 집합으로서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1007).
다각형의 삼각형 분할의 상세가 관련 기술 문헌 2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 문헌에서 설명된 방법은 단지 실시예이고, 본 발명이 이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묘화부
(116)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2묘화부(116)에 입력되고, 여기서 데이터가 묘화된다. 제2묘화부(116)에 대해 설명한다.
제2묘화부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에 의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의 군을 판독하고, 묘화를 수행한다(단계 1008).
특히, 묘화 속성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색, 불투명도 등과 같은 도형의 내부 영역에 속하는 속성이 삼각형 데이터에 설정되어 묘화를 수행한다.
삼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드웨어나 범용 그래픽 처리 LSI가 또한 실질적으로 삼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삼각형의 묘화는 또한 다른 수단의 이용에 의한 소프트웨어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117)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에 대해 설명한다.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가 빠른 것으로 입력 다각형의 선분 분할 그래픽 처리를 판정할 때 처리된다.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102)에 의해 관리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구성하는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다각형을 포함하는 영역을 스캔 라인 방향의 선분으로 분할하며; 더욱이 선분 마다를 기초로 하는 도형의 내부 영역 또는 외부 영역에 속하는 선분의 여부를 판정하여, 도형을 분할하여 도형의 내부 영역에 속하는 선분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1009).
다각형을 선분으로 분할하기 위한 묘화는 스캔 라인 마다의 그래픽 묘화 등과 같은 방법을 포함한다. 용어 "스캔 라인 마다의 그래픽 묘화(per-scan-line graphics rendering)"는 묘화가 스캔 라인 마다를 기초로 수행된 처리로서 취해지는 것을 의미하고; 즉 스캔 라인 마다를 기초로 다수의 라인에 의해 도형의 불투명한 영역을 묘화하기 위한 처리이다. 예컨대, 다각형 도형이 유용하다. 이러한 도형의 묘화가 고려되어질 때, 다각형 도형은 스캔 라인 마다를 기초로 라인 묘화 처리를 위해 분할 되어지는 동안 묘화 되어질 수 있다. 라인은 픽셀-레벨 정밀도를 갖고서 묘화된다.
다각형 도형의 묘화는 다수의 라인의 묘화로 대체된다. 라인을 묘화하는 것은 묘화되어지는 라인의 시작점과 종료점만을 요구한다. 특히, 스캔 라인 마다를 기초로 수행된 도형 묘화가 고려될 때, 오직 요구는 묘화되어지는 라인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산출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제3묘화부
(118)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3묘화부(118)에 입력되고, 여기서 묘화가 수행된다. 제3묘화부(118)에 대해 설명한다.
제3묘화부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04)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에 의해 생성된 선분 데이터의 세트군을 판독하고, 묘화를 수행한다(단계 1010).
특히, 묘화 속성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색, 불투명도와 같은 도형의 내부 영역에 속하는 속성은 선분 데이터로 설정하고, 묘화를 수행한다.
선분을 묘화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드웨어나 범용 그래픽 처리 LSI가 또한 실질적으로 선분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선분의 묘화는 또한 다른 수단의 이용에 의한 소프트웨어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묘화
결과
출력부
(119)
묘화 결과 출력부(119)에 대해 설명한다. 묘화 결과 출력부는 제1묘화부(111), 제2묘화부(116), 제3묘화부(118)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얻어진 묘화 결과를 출력한다(단계 1011).
묘화부에 의해 얻어진 묘화 결과는 논리적 픽셀 데이터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묘화 결과 출력부는 출력이 전달되어지는 목적지의 형태에 따라 묘화 결과를 변환시킴으로써 출력을 하게 된다.
묘화 결과는 CRT,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프린터와 같은 인쇄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CD, DVD 등과 같은 기록매체; 또는 다른 장치나 수단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은 단지 실시예로, 본 발명이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의
효과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빠른 묘화 처리가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장치가 비지(busy)일 때, 도형 묘화 성능의 감소가 최소화되고, 장치가 아이들(idle) 상태일 때 고속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컴팩트 PC, 휴대전화, 대화형 도형 묘화 기능을 갖춘 AV 장비 등인 경우에서와 같이 한정되고, 다수의 다른 형태의 처리가 수행되는 태스크가 단일의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특히 효과적이다.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1참조값 관리부 대신 제1참조값 보정부와, 제2참조값 관리부 대신 제2참조값 보정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참조값
보정부
제1참조값 보정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1참조값 보정부는 출력 묘화의 해상도와 같은 메모리 이용 상황의 판정에 관련되는 값으로부터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어지는 참조값을 산출한다.
특히, 제1참조값 관리부(107)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요구된 스텐실 버퍼의 크기는 출력 묘화의 해상도에 따라 크게 변한다. 따라서, 최소 요구 메모리 이용 상황이 출력 묘화의 해상도와 스텐실 버퍼의 정밀도에 따라 산출된다.
그에 의해, 장치의 메모리의 이용이 다수의 모드로 변할 때 또는 출력 묘화의 해상도가 동적으로 변할 때에도 참조값이 묘화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게 된다.
제2참조값
보정부
제2참조값 보정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2참조값 보정부는 묘화 데이터 생성부의 처리 상태와 같은 자기교차점의 수의 판정과 관련하는 값으로부터 자기교차점의 수와 비교되어지는 참조값을 산출한다.
특히, 제2참조값 관리부(108)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교차점의 수에 속하는 참조값은 각 묘화 처리의 비용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자기교차점의 수에 속하는 참조값은 묘화 처리의 현재 상태에서 달성된 처리 비용으로부터 산출된다.
참조값은 장치의 처리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1참조값 보정부와 제2참조값 보정부는 장치의 처리 상태에 따라 참조값을 동적으로 보정한다. 보정 처리에 의해, 묘화 처리의 절환이 더욱 세밀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어, 처리의 효율이 증가된다.
참조값의 동적 보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값의 동적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계속되는 처리와 관련하여, 참조값 입력부가 참조값을 판독한다고 언급된 제1실시예의 설명은, 적절히 참조값 입력부가 참조값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참조값을 판독한다는 언급된 설명으로 대체된다. 상기한 처리 외의 다른 처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변형예의
효과
제1실시예와 비교될 때, 제1변형예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것에 의해 장치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고속 묘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장치가 비지인 경우에도 묘화 처리의 성능의 감소가 최소화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컴팩트 PC, 휴대전화, 대화형 도형 묘화 기능을 갖춘 AV 장비 등인 경우에서와 같이 한정되고, 다수의 다른 형태의 처리가 수행되는 태스크가 단일의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특히 효과적이다.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
도 11은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를 나타낸다.
제2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1참조값 관리부(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05),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06),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0), 제1묘화부(111)가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제2참조값 관리부는 제2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1실시예의 제2묘화 처리 절환부는 제2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1실시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1실시예의 제2묘화부는 제2변형예의 제1묘화부에 대응하며; 제1실시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2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1실시예의 제3묘화부는 제2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한다.
제1변형예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의 입력 후, 자기교차점 산출부(112)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 대신 실행되어, 처리가 계속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서, 처리가 스킵 단계(1002)에 의해 단계(1001)로부터 단계(1005)로 진행하게 된다. 제2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2변형예의
효과
스텐실 버퍼가 이용될 수 없는 제2변형예에 있어서, 고속 묘화가 입력 도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제2변형예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제한된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
도 12는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를 나타낸다.
제3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108), 자기교차점 산출부(112), 자기교차점 관리부(113),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 제2묘화부(116)가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제1참조값 관리부는 제3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1실시예의 제1묘화 처리 절환부는 제3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1실시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3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1실시예의 제3묘화부는 제3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한다.
제3변형예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가 스텐실 버퍼가 확보되어질 수 없다는 것을 판정하는 경우,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가 실행되어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1002)에서의 판정이 스텐실 버퍼의 확보가 불가능인 것을 나타낼 경우, 단계(1009)로 진행하도록 처리가 이루어진다. 제3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 리한다.
제3변형예의
효과
묘화가 선분 묘화 보다 더 낮은 속도로 삼각형을 묘화하는 하드웨어의 이용에 의해 수행된 실시예 또는 입력 벡터 데이터군의 자기교차점의 수가 삼각형 묘화가 고속으로 수행되는 경우 달성된 것 보다 더 커지는 것으로 이전에 판정된 실시예에서, 묘화가 장치의 처리 상태에 따라 고속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변형예는 처리가 제1실시예 보다 더욱 한정된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된 경우 및 입력 벡터 데이터군에서의 자기교차점의 수가 큰 경우에 효과적이다.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
도 13은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를 나타낸다.
제4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108), 자기교차점 산출부(112), 자기교차점 관리부(113),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4),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7), 제3묘화부(118)이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제1참조값 관리부는 제4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1실시예의 제1묘화 처리 절환부는 제4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한다.
제4변형예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제1묘화 처리 절환부(109)가 스텐실 버퍼가 확보되어질 수 없다는 것을 판정하는 경우,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5)가 실행되어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1002)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스텐실 버퍼의 확보가 불가능인 것을 나타낼 경우, 단계(1007)로 진행하도록 처리가 이루어진다. 제4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제4변형예의
효과
묘화가 삼각형 묘화 보다 더 낮은 속도로 선분을 묘화하는 하드웨어의 이용에 의해 수행된 실시예에서, 묘화가 장치의 처리 상태에 따라 고속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본 변형예는 처리가 제1실시예 보다 더욱 한정된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된 경우에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스윕 라인(sweep line)에 속하는 벡터 데이터와 스윕 라인에 따라 스윕된 형상에 속하는 벡터 데이터를 입력으로 취하고, 묘화 처리 동안 장치의 배경에 대항해서 스윕되어지는 도형의 고속 묘화를 선택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도형 묘화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1101)와;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1101)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 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1103);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1103)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 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1105);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1105)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 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를 통해 입력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를 통해 입력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참조되어지는 불투명도 참조값을 관리하는 제1참조값 관리부(1111);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참조되어지는 메모리 이용 상황 참조값을 관리하는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참조되어지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참조값을 관리하는 제3참조값 관리부(1113);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1참조값 관리부(1111)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참조값을 판독하고, 판 독된 데이터와 값을 비교 및 판정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의 처리와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1116);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제2참조값 관리부(1112)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참조값을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와 값을 비교 및 판정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의 처리와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1119);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제3참조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참조값을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와 값을 비교 및 판정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의 처리와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1122);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에 의해 처리가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 묘화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에 의해 관리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4묘화부(1124) 및; 제1묘화부(1116), 제2묘화부(1119), 제3묘화부(1122), 제4묘화부(112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된 묘화 결과를 제시하는 묘화 결과 출력부(1125)를 포함한다.
도 14에 있어서, 모든 관리부가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들은 또한 단일 메모리에 집합되거나 다수의 다른 메모리 장치로 분할될 수 도 있다.
마찬가지로, 묘화부는 다른 블록으로서 표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들은 또한 다수의 기능을 갖는 단일 묘화 처리기에 집합되거나 다수의 다른 처리기로 분할될 수도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가 도 1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되고, 각 블록의 처리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형
묘화의
설명
먼저,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도형 묘화는, 스윕 라인(sweep line)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과 스윕 라인에 따라 스윕되어지는 형상에 속하는 데이터로부터, 스윕 형상(sweep shape) 데이터를 스윕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도형을 묘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도형의 내부 영역은 특정 규칙에 따라 칠해서 채워지게(fill in) 된다.
특히,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 0" 내지 "점 5"와 같은 "스윕 라인(한번의 획으로 쓰여져 얻어진)"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과, 도 17에 나타낸 "점 7" 내지 "점 9"와 같은 "스윕 형상"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 및, 내부 영역 판정 규칙과 내부 영역의 색 및 불투명도를 포함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제공되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형이 묘화된다.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 스윕 형상은 도형으로서 스윕 라인을 따라 스윕을 실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궤적을 묘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도형의 내부 영역은, 스 윕 형상이 스윕 라인 상의 임의의 점에 위치할 때 스윕 형상의 내부 영역으로서 정의된다. 자기교차점이 스윕 라인에 존재하는 영역과 관련하여, 묘화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영역이 불투명일 때도 중첩 방법으로 교차부를 칠해서 채우는 것 없이 단일 색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내부 영역이 불투명하고 자기교차점이 존재할 때, 교차부를 검출하고 2중 칠해서 채우기를 회피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내부 영역이 불투명할 때, 자기교차점의 유무에 관계 없이 2중 칠해서 채우기(filling)를 회피하는 것이 수행되어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한 도형 묘화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묘화 처리의 실행 동안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의 배경에 대해, 중첩된 방법으로 칠해서 채워지게 되는 영역의 고속 묘화를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 처리를 선택하는 도형 묘화장치를 설명한다.
묘화 처리에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도형이 설정되는 색 및 불투명도를 갖는 픽셀을 구성하는 래스터 데이터로서 마지막으로 출력된다.
제2실시예의
일반적 처리
플로우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에 따른 처리 플로우가 도 1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형 묘화장치가 도형 묘화 처리를 시작할 때, 스윕 라인 데이터, 스윕 형상 데이터, 묘화 속성 데이터,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가 입 력된다(단계 1201).
다음에, 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를 기초로,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묘화가 필요한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1202).
단계(1202)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것을 나타낼 때,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을 무시하는 삼각형으로부터 형성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단계 1203). 도형 묘화 처리가 삼각형 묘화에 의해 수행된다(단계 1204).
단계(1202)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처리가 필요한 것임을 나타낼 때, 메모리 이용 상황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이 깊이 버퍼(depth buffer)의 이용에 의해 처리되어질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1205).
단계(1205)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깊이 버퍼가 이용 가능한 것임을 나타낼 때, 깊이 버퍼를 갱신하고 깊이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1206), 깊이 버퍼의 갱신과 깊이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가 수행된다(단계 1207).
단계(1205)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깊이 버퍼가 이용 불가능한 것임을 나타낼 때, 묘화부의 처리 부하가 임계값과 비교되고,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중첩이 알파값의 이용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1208).
단계(1208)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이 알파값의 이용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되어질 수 있음을 나타낼 때, 알파값을 갱신하고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단계 1209). 알파값이 갱신되고,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가 수행된다(단계 1210).
단계(1208)에서 이루어진 판정이,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이 알파값의 이용에 의해 고속으로 처리되어질 수 없음을 나타낼 때,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이 산출되고, 도형을 삼각형이나 선분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 묘화 데이터가 생성되며(단계 1211), 묘화 처리가 삼각형 묘화나 라인 묘화에 의해 수행된다(단계 1212).
상기한 바와 같이, 묘화가 소정의 단계에서 수행되어, 묘화 결과가 출력된다(단계 1213). 각 단계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스윕
라인의 설명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의 하나인 스윕 라인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스윕 라인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벡터 데이터군과 구조가 동일하다.
특히, 벡터 데이터군은 N세트의 점 데이터(P1∼PN)로 구성되고, 각각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를 갖는다.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스윕 라인이 다각형이 아니라 연속적 선분을 표현하므로, 스윕 라인은 P0 = PN -1이 달성되지 않을 때에도 변형 없 이 취급된다.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1101)의
설명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의 하나인, 스윕 라인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의 입력이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1101)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가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에 저장된다.
스윕 라인 데이터의 입력은, 미리 보조 저장장치, FD, CD-ROM, DVD-ROM 등에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펜 타블렛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 입력의 대화형 판독으로서 수행된다.
스윕
형상의 설명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의 하나인 스윕 형상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 또는 벡터 데이터군에 대응하는 점 데이터의 세트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스윕 형상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이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벡터 데이터군과 구조가 유사하다.
특히, 벡터 데이터군은 N세트의 점 데이터(P1∼PN)로 구성되고, 각각 2차원 또는 3차원 좌표를 갖는다. 대비에 있어서, P0 = PN -1이 달성되지 않을 때, 다각형이 폐쇄되고, 그러므로 처리가 P0 = P1이 달성되는 가상 점의 가정에 대해 수행된 다.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1103)의
설명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의 하나인, 스윕 형상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군의 입력이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1103)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에 저장된다.
스윕 형상 데이터의 입력은, 미리 보조 저장장치, FD, CD-ROM, DVD-ROM 등에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펜 타블렛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 입력의 대화형 판독으로서 수행된다.
묘화
속성의 설명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의 하나인 묘화 속성에 대해 설명한다.
내부 영역 판정 규칙이 제거된 것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묘화 속성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묘화 속성에 대응한다. 즉, 묘화 속성은 내부 영역의 색 및 불투명도 등과 같은 도형의 묘화 동안 채택된 속성에 속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
(1105)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형 묘화를 위한 입력의 하나인, 묘화 속성 데이터의 입력이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1105)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저장된다.
묘화 속성 데이터의 입력은, 미리 보조 저장장치, FD, CD-ROM, DVD-ROM 등에 저장된 데이터의 판독 또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펜 타블렛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수행된 입력의 대화형 판독으로서 수행된다.
묘화
처리를
절환하기
위해 이용된 판정의 설명
본 실시예에서 묘화 절환 판정값으로 이용된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불투명도,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가 묘화 절환 판정값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세트가 데이터에 의해 절환되는 묘화 처리의 특징에 따라 판정된다.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와 관련하여, 묘화 속성이 반투명일 때, 묘화되는 도형에서 자기교차점의 검출 및 묘화되는 도형에서 중첩의 적절한 처리가 수행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는 처리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고속 묘화 처리는 중첩이 불투명도로부터 묘화되어지는 도형에 존재하는가의 여부의 판정에 의한 입력 데이터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묘화는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깊이 테스트는 깊이 위치를 포함하는 3차원 위치 정보를 도형을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에 부여하고, 배경의 깊이에 속하는 정보와 묘화 처리 동안 묘화되어지는 도형에 속하는 깊이 정보를 비교하여, 묘화가 수행되어지는가의 여부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깊이 테스트는 범용 그래픽스 LSI의 통상적인 기능이다. 테스트는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지만, 깊이 테스트의 이용은 깊이 정보를 저장하는 버퍼(깊이 버퍼)를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메모리 영역을 요구한다. 따라서, 묘화 처리 실행 동안 메모리의 이용 상황에 따라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묘화 처리는 리소스의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는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알파값은 색에 속하는 정보 외에 픽셀 마다를 기초로 하는 정보에 저장하기 위한 값이고, 통상적으로 묘화되어지는 도형과 배경이 함께 합성될 때 비례에 따라 취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채택된 불투명도는 또한 통상적인 환경 하에서 알파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스텐실 버퍼 대신 알파값의 이용의 결과로서,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의 중첩은 또한 적절히 처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스텐실 버퍼와 대비하여, 배경 화상의 합성 비율로서 동시에 알파값이 또한 이용된다. 따라서, 합성 처리의 고려에서 알파값의 설정이 요구된다. 스텐실 버퍼는 기록 처리가 픽셀 마다의 단위에서 가능한가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고려된 기능에 대응한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스텐실 버퍼가 하드웨어로서 실행될 때, 픽셀의 기록이 불가능할 경우 처리가 효과적으로 수행된다(쓸데없는 합성 동작이 거의 수행되지 않는다). 알파값을 이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픽셀의 기록이 불가능할 때 달성된 것과 동일한 효과가 합성 처리에 의해 취득되고, 그러므로 묘화 부에 부과되는 처리 부하가 스텐실 버퍼의 경우에 부과되는 것 보다 더 높다. 따라서, 묘화 처리 동안 묘화부에 부과된 처리 부하는 이미 높아, 처리 속도는 떨어진다. 따라서, 묘화 처리의 실행 동안 달성된 묘화부의 처리 상태에 따르면,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가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져, 묘화 처리가 리소스의 상황에 따라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
(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
상기한 묘화 처리 방법 판정값 중 하나인,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에 의해 수행되고, 입력 데이터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에 저장된다.
여기서, 용어 "메모리 이용 상황"은 묘화 동안 이용된, 본 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처리에 이용된 데이터가 저장되는(잠정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 영역의 양을 의미한다. 특히, 메모리 이용 상황은 메모리의 최대 양으로부터 판정된 값으로, 이는 메모리가 전혀 이용되지 않을 때 유용한 메모리의 양과, 묘화 동안 실질적으로 이용된 메모리의 양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 이용 상황은 도형 묘화장치를 구성하는 각 블록이 통상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는 경우나 각 블록이 개개의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상 메모리 영역이 이용될 때, 메모리 이용 상황은 통상 메모리 영역에 속 하는 입력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로서 취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한편, 개개의 메모리 영역이 이용될 때, 메모리 이용 상황은 모든 메모리 영역의 메모리 이용 상황을 판독하여 요구된 메모리 이용 상황을 산출하든가 메모리 이용 상황이 요구하는 블록을 제한하여 해당 블록의 메모리 이용 상황을 판독하는 다른 방법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
(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상기한 묘화 처리 방법 판정값 중 하나인,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처리가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에 의해 수행된다.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는 그래픽스 LSI와 같은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의 태스크 상황을 나타내는 값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묘화부(1116), 제2묘화부(1119), 제3묘화부(1122), 제4묘화부(1124)에 의해 제공된 묘화 처리의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으로서 취해진다.
제1묘화
처리
절환부
(1114)
제1참조값
관리부(1111)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에 대해 설명한다. 제1묘화 처리 절환부는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내부 영역 속성이 반투명을 나타내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속 성이 불투명도를 나타낼 때,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의 중첩을 무시하는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속성이 반투명임을 나타낼 때, 고속으로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의 중첩을 처리하기 위한 도형을 처리하는 다음 단계에 속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202).
불투명도의 판정이,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에 포함된 불투명도를 나타내는 값(As)과 제1참조값 관리부(1111)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를 나타내는 값(Aref)을 비교하고; As가 Aref와 동일 할 때 이후 설명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를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As가 Aref와 다를 때,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가 실행된다.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
(1115)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에 대해 설명한다. 도형의 내부 영역이 불투명한 경우,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에 의해 실행되고,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 중첩을 무시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1203).
특히, 라인 데이터나 삼각형 데이터와 같은, 묘화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는, 자기교차점의 검출이나 분할 처리와 관련 없이, 스윕 라인을 형성하는 각 벡터 데이터의 세트를 위한 스윕 형상을 스위핑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도형으로부터 생성된다.
도 20을 참조하여, 삼각형 데이터군 생성의 처리 플로우가 자기교차점을 무 시하는 묘화 데이터의 생성의 예로서 설명된다.
먼저,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1101)을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1103)을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가 입력으로서 판독된다(단계 1701).
스윕되어지는 도형을 스위핑함으로써 형성된 도형의 외주선이 판독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형성하는 각 벡터 데이터의 세트를 위해 산출된다(단계 1702). 외주선 데이터가 다각형으로 간주되는 동안 도형을 삼각형 데이터의 세트로 분할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1703). 따라서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의 세트의 군이 저장되고(단계 1704), 그에 따라 전체 스윕 라인에 관해 삼각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702)에서 수행된 외주선의 산출에서, 스윕되어지는 형상은 스윕 라인 벡터의 각 시작점 및 종료점에 배열된다. 스윕되어지는 형상의 점, 스윕 라인 벡터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가장 분리된 점은 스윕 라인 벡터의 각 우단 및 좌단에서 판정된다. 판정된 점은 시작점 및 종료점에 연결되어, 외주선이 산출된다. 스윕되어지는 형상의 가장 먼 점은, 스윕 라인 벡터의 법선 벡터와, 스윕 라인 벡터의 시작점과 스윕되어지는 형상의 점을 연결하는 벡터와의 내적이 최대로 되는 점과, 내적이 최소로 되는 점으로서 취득된다. 여기서, a0,a1,---,an -1 중 최대값의 인덱스 "i"를 되돌리는 함수 max_index(ai)가 정의되고, 최소값의 인덱스 "i"를 되돌리는 함수 min_index(ai)가 정의되는 것으로 제 공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정점들의 형상을 구성하는 점의 인덱스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IL = max_index (<P>iㆍ<n>) (1)
IR = min_index (<P>iㆍ<n>) (1)
상기한 식 (1),(2)에 있어서, i = 0,1,---,N-1(N은 스윕되어지는 형상의 정점의 수); IL은 스윕 라인 벡터의 좌측 상의 가장 먼 스윕 형상을 구성하는 점을 위한 인덱스; IR은 스윕 라인 벡터의 우측 상의 가장 먼 스윕 형상을 구성하는 점을 위한 인덱스를 나타낸다. 더욱이, 심볼 < >은 벡터를 나타내고; <n>은 스윕 라인 벡터의 연장 방향과 관련하여 좌측으로 방향지워지는 단위 법선 벡터를 나타내고; <P>i는 스윕되어지는 형상이 스윕 라인의 시작점에 위치되고 스윕 라인의 시작점이 원점으로서 취해질 때 스윕되어지는 형상을 구성하는 점의 위치 벡터를 나타내며; <P>iㆍ<n>은 <P>i와 <n>의 내적을 나타낸다.
단계(1703)에서, 산출된 외주선이 다각형 데이터의 삼각형 분할을 수행함으로써, 삼각형 데이터의 세트군을 생성한다. 스윕되어지는 형상이 삼각형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가장 간단한 삼각형 데이터의 생성예로서 설명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선이 점 P0∼P5로 형성될 때, 도형은 4개의 삼각형, 즉 T0: P0→P1→P5, T1: P1→P4→P5, T2: P1→P2→P4; T3: P2→P3→P4로 분할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이 단계(1702,1703)에서 삼각형 데이터군의 생성을 위해 이용가 능하다. 본 실시예는 여기서 설명한 처리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임의의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1묘화부
(1116)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1묘화부(1116)에 입력되고, 여기서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제1묘화부(1116)에 대해 설명한다.
제1묘화부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에 의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204).
특히, 묘화 속성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색, 불투명도 등과 같은 도형의 내부 영역에 속하는 속성은 삼각형 데이터로 설정되어 묘화를 수행한다.
삼각형의 실질적 묘화와 관련하여, 삼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드웨어나 범용 그래픽 처리 LSI가 이용될 수 있거나, 묘화가 다른 수단의 이용에 의한 소프트웨어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제2묘화
처리
절환부
(1117)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다음에,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에 대해 설명한다. 도형의 내부 영역이 반투명일 때,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는 처리를 위해 제2묘화 처리 절환부를 실행시키고, 도형 처리기의 메모리의 이용 상황이 판정된다.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있을 때,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깊이 버퍼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실행한다.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없을 때, 깊이 버퍼의 이용 없이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의 중첩을 처리하기 위한 도형 처리를 판정하는 다음 단계에 속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205).
메모리의 이용 상황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를 통해 입력된 도형의 묘화가 수행될 때 달성된 도형 처리기의 메모리의 이용 상황(M)과, 제2참조값 관리부(1112)에 의해 관리된 깊이 버퍼를 확보하도록 요구된 최소 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참조값(Mref)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판정된다. M이 Mref를 만족할 때,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가 실행된다. M이 Mref와 다를 때,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가 실행된다.
제2참조값 관리부(1112)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참조값은 도형 묘화장치 및 그 구성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에 의해 판정된 값이다.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있는가의 여부는 출력 묘화의 해상도와 이용가능한 메모리의 최대량에 의존한다. 스텐실 버퍼가 확보될 수 있는가의 여부와 출력 묘화의 해상도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깊이 버퍼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출력 묘화의 해상도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출력 묘화의 해상도가 크면 클수록 깊이 버퍼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더욱이, 이용가능 메모리의 최대량과 관련하여, 깊이 버퍼 크기가 이용가능 메모리의 최대량 보다 더 클 때, 대다수의 메모리가 깊이 버퍼에 의해 이용된다.
메모리를 이용할 수 없게 만드는 다른 태스크의 잠재적 위험은 더 높아지게 된다. 메모리가 이러한 상태로 들어갈 때, 전체 묘화 장치의 처리 수행은 메모리가 다수의 블록 사이에서 할당되는 본 실시예에서 크게 감소된다.
메모리의 이용 상황에 속하는 참조값은 도형 묘화장치의 출력과 그 구성에 의해 판정된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태스크의 상태에 따라 참조값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또한 있다.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1118)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에 대해 설명한다.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가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있음을 판정할 때 실행된다.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 묘화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1206).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는 묘화 처리에서 이용된 벡터 데이터군의 생성은 삼각형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단계까지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에 의해 수행된 벡터 데이터군의 생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동일한 깊이값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군에 부가된다. 깊이값이 깊이 테스트에 이용될 수 있는 범위로 들어가는 깊이값인 한, 부가되는 깊이값에 부과되는 특정 제한은 없다.
깊이값을 증가시켜 판정된 값이 각 도형 묘화 처리에 채택되는 한, 각 묘화 처리를 위한 깊이 버퍼에서 데이터를 크리어하기 위한 필요성의 회피의 이점을 가 져오게 된다.
제2묘화부
(1119)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2묘화부(1119)에 입력되고, 여기서 묘화가 수행된다. 제2묘화부(1119)에 대해 설명한다.
제2묘화부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에 의해 생성된 깊이값을 갖는 삼각형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깊이 테스트를 이용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207).
깊이 테스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형의 깊이값이 각 도형 묘화 처리에서 증가될 때, 테스트 하의 픽셀의 깊이값이 Ds, 테스트 하의 픽셀에 대응하는 깊이 버퍼에서의 위치 값이 Dd인 것으로 제공되어 Ds>Dd일 때 깊이 테스트는 합격되어진다. 깊이 버퍼의 값은 Ds에 의해 갱신된다. 깊이 테스트가 상기와 같이 수행된 결과로서, 단일 깊이값이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의 다시 칠해서 채우기(re-fill-in)와 관련하여 취득되고, 그러므로 깊이 테스트가 불합격으로 된다. 따라서, 도형이 적절히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제3묘화
처리
절환부
(1120)
제3참조값
관리부(1113)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에 대해 설명한다.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 가 깊이 테스트를 위한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없다는 것을 판정할 때, 제3묘화 처리 절환부가 실행된다. 제3묘화 처리 절환부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판정한다. 묘화부에 부과되는 처리 부하가 높지 않을 때(묘화부가 비지(busy)가 아닐 때),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의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불투명도의 값이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묘화부가 비지일 때,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이 다각형으로서 취해지는 동안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1208).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에 의해 관리된 도형 묘화 처리가 수행될 때 달성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R)와 묘화부가 비지인가의 여부를 나타내는 참조 처리 상황 데이터에 속하는 참조값(Rref)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판정된다. R이 Rref를 만족하지 않을 때,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가 수행된다. R이 Rref를 만족할 때,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가 수행된다.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포맷이 도형 묘화장치를 채택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변경되기 때문에, 묘화부가 비지임을 나타내는 묘화 상황 데이터의 참조값에 부과되는 제한은 없다.
예로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가 태스크 큐(task queue)에서 대기하는 다수의 태스크로서 얻어질 때, 참조값은 태스크의 최대 수로 설정되고, 그에 의해 묘화부가 비지로 판정된다.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1121)
다음에,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에 대해 설명한다.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가 묘화부가 비지가 아닌 것으로 판정할 때,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실행되고, 스윕 라인에 따른 자기교차점의 중첩의 고속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1209).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에 의해 수행된 묘화 데이터의 생성의 경우에서와 같이,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 중첩을 무시하는 묘화 데이터가 묘화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생성된 묘화 데이터의 세트군을 에워싸는 좌표 축에 평행하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소 직사각형이 묘화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직사각형이 직접 묘화될 수 없을 때, 직사각형은 다각형 라인에 의해 분할될 수 있어, 삼각형 데이터의 2개의 세트로서 생성된다.
제3묘화부
(1122)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3묘화부(1122)에 입력되고, 여기서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제3묘화부(1122)에 대해 설명한다.
제3묘화부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알파값 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210).
제3묘화부에 의해 채택된 처리 플로우가 도 24에 도시되어 설명된다. 먼저, 제3묘화부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2101). 다음에, 묘화 처리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투명도를 나타내는 최대 값(αmax)으로서 알파값을 취하는 동안,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고 도형을 에워싸는 좌표축에 평행하는 최소 직사각형에 속하는, 묘화 데이터(Trect)의 이용을 통해 수행되어, αmax에 따라 배경의 αdst만을 겹쳐쓰고(overwriting) 갱신한다(컬러 값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형을 포함하는 영역의 알파값이 크리어된다(단계 2102).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파값이 (αmax-α)로서 취해지는 동안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의 중첩을 무시하는 묘화 데이터가 묘화되어, 알파값만을 갱신 및 겹쳐쓰기 하고(단계 2103), 여기서 α는 묘화 속성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도형의 알파값(불투명도)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묘화가 Trect로서 임의의 알파값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고, 컬러 값이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된다(단계 2104).
Cnew = (αmax-αdst) × C + αdst × Cdst (3)
참조 심볼 Cnew는 산출된 컬러 값을 나타내고; C는 묘화 속성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도형의 컬러 값을 나타내며; Cdst는 래스터 데이터에 저장된 컬러 값을 나타낸다.
묘화 처리가 식 (3)에 의해 수행될 때, 배경의 색은 다음과 같은 도형의 내부 영역의 외측 컬러 값을 위해 이용된다.
어떻게 αmax × Cdst = Cdst가 달성되는가의 이유는 αmax가 불투명도를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이다.
도형의 내부 영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이 얻어지고, 배경에 대한 도형의 합성이 적절히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는 일반 알파값을 이용하는 합성 처리에 대응하고, 내부 영역이 적절히 묘화될 수 있게 된다. 알파값을 이용한 합성 처리가 상기한 관련 문헌 3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
(1123)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에 대해 설명한다.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가 묘화부가 비지인 것임을 판정할 때,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묘화되어지는 도형의 외주선을 다각형으로 취급한다.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검출 및 분할이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유사한 묘화 처리에 의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묘화되어지는 도형에서 중첩의 적절한 처리가 가능한 (데이터의 세트 사이에서 중첩을 갖지 않는) 묘화 데이터가 생성된다(단계 1211).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 예에 속하는 처리 흐름이 도 27에 도시되어 설명된다.
먼저,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1102)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1104)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가 입력으로서 판독된다(단계 2201).
다음에, 스윕 라인을 구성하는 점에 속하는 정보가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까지 연속적으로 판독된 스윕 라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2개의 연속점에 의해 정의된 벡터 데이터(Pn-Pn -1)를 기초로 스윕되어지는 도형을 스위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도형과 관련하여, 벡터 데이터의 방향에 관하여 좌측에 위치된 외주선이 산출되고(단계 2202), 산출된 외주선이 저장된다(단계 2203).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은 벡터 데이터의 방향과 관련하여 좌측에 위치된 외주선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용된다.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의 경우와 달리, 스윕 라인은 연속적인 선분이고, 그러므로 코너의 내측에서 외주선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외주선이 산출된 후, 산출된 외주선과 벡터 데이터의 이전 세트에 의해 판정된 외주선 사이에 교차부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교차부가 존재할 때, 벡터 데이터의 이 전 세트로부터 외주선 산출을 통해 산출된 외부 주변 점이 교차부의 산출된 점과 대체되어, 교차부가 외주선에 존재하는 경우를 처리한다.
산출이 종료점까지 수행된 후, 점 정보가 종료점으로부터 시작점까지 반대로 스윕 라인 데이터로부터 다시 추출되고, 좌측 외주선이 상기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된다(단계 2204,2205).
처리를 통해, 도형의 외주선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벡터 데이터의 세트군으로서 취득될 수 있게 된다.
외주선에 속하는 벡터 데이터군이 다각형으로 되도록 고려된다. 다각형의 내부 영역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처리에 의해, 묘화부에 의해 래스터화될 수 있는, 벡터 데이터군으로서 생성된다.
비제로 권수 규칙이 내부 영역 판정 규칙으로서 이용된다. 내부 영역의 판정은,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이 내부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비제로 권수 규칙에 따라 판정된다. 따라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린 교차부가 외주선에 존재해야만 한다. 그러나, 외주선에 속하는 상기한 벡터 데이터군의 경우, 교차부가 외주선에서 비틀림에 의해 생기지는 않는다. 따라서, 내부 영역이 비제로 권수 규칙의 이용을 통해 결정되어, 스윕 라인의 자기교차점에서의 중첩이 적절히 묘화될 수 있게 된다.
제4묘화부
(1124)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가 제4묘화부(1124) 에 입력되고, 여기서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제4묘화부(1124)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경우로서, 제4묘화부는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에 의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나 선분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1106)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1212).
특히, 색, 불투명도와 같은 묘화 속성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이 삼각형 데이터로 설정되어, 묘화를 수행한다.
삼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하드웨어나 범용 그래픽 처리 LSI가 실질적으로 삼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또한 이용된다. 한편, 삼각형의 묘화는 다른 수단의 이용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묘화
결과
출력부
(1125)
묘화 결과 출력부(1125)에 대해 설명한다. 묘화 결과 출력부는 제1묘화부(1116), 제2묘화부(1119), 제3묘화부(1122), 제4묘화부(112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얻어진 묘화 결과를 출력한다(단계 1213).
묘화부에 의해 얻어진 묘화 결과는 논리적 픽셀 데이터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묘화 결과 출력부는 출력이 전달되는 목적지의 형태에 따라 묘화 결과를 변환시키는 것에 의해 출력을 한다. 묘화 결과는 CRT,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프린터와 같은 인쇄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CD, DVD 등과 같은 기록매체; 또는 다른 장치나 수단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은 단지 실시예 로, 본 발명이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실시예의
효과
제2실시예에서, 임의의 연속적인 선분을 따라 임의의 다각형을 스윕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도형(스윕되어지는 도형)이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에 응답하는 가장 빠른 묘화 처리로 된다. 결과적으로,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스윕 화상 묘화의 성능의 저하가 최소로 된다.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스윕 화상 묘화가 또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이 휴대형 PC, 휴대전화, 대화형 스윕 화상 묘화 기능을 갖춘 AV 장비 등과 같은 리소스가 제한된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
도 3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제1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 대신 제2참조값 보정부를 갖고 제3참조값 관리부 대신 제3참조값 보정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2참조값
보정부
제2참조값 보정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2참조값 보정부는 출력 묘화의 해상 도와 같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의 판정과 관련된 값의 이용을 통해,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어지도록 참조값에 대해 보정을 한다.
특히, 제2참조값 관리부(11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요구된 깊이 버퍼의 크기는 출력 묘화의 해상도에 따라 크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 묘화의 해상도와 깊이 버퍼의 정밀도에 따라 최소로 요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에 대해 보정이 이루어진다.
그에 의해, 장치의 메모리의 이용이 다수의 모드로 변할 때 또는 출력 묘화의 해상도가 동적으로 변할 때에도 참조값이 묘화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게 된다.
제3참조값
보정부
제3참조값 보정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3참조값 보정부는 묘화부를 이용하는 태스크의 수와 같은, 묘화 처리 상황의 판정과 관련된 값의 이용을 통해,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어지는 참조값에 대해 보정을 한다.
특히, 제3참조값 관리부(1113)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묘화 처리의 상황에 속하는 참조값은 묘화를 수행하는 묘화 태스크의 수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묘화 태스크의 수에서 증가/감소가 단계적일 때, 변화가 단계적 변화에 따라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참조값에 대해 이루어진다.
참조값은 장치의 처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2참조값 보정부와 제3참조값 보정부는 장치의 처리 상황에 따라 참조값을 동적으로 보정한다. 보정 처리에 의해, 묘화 처리의 절환이 더욱 상세한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어, 처리의 효율이 증가된다.
참조값의 동적 보정의 예가 앞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값의 동적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이어지는 처리와 관련하여, 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판정하는 참조값 관리부가 참조값을 판독하는 것임을 언급하는 제2실시예의 설명이, 적절히 참조값 관리부가 참조값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참조값을 판독하는 것임을 언급하는 설명으로 대체된다. 더욱이, 참조값 관리부가 묘화 처리의 상황을 판정하기 위해 참조값을 판독하는 것임을 언급하는 설명이, 적절히 참조값 관리부가 참조값 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참조값을 판독하는 것임을 언급하는 설명으로 대체된다. 상기한 처리 이외의 처리는 제2실시예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의
효과
제2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변형예는 장치가 아이들 상태에 있을 때 장치의 처리 상황에 따라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것에 의해 고속 묘화가 가능하고, 따라서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묘화 처리 성능의 감소가 최소화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컴팩트 PC, 휴대전화, 대화형 도형 묘화 기능을 갖춘 AV 장비 등인 경우에서와 같이 한정되고, 다수의 다른 형태의 처리가 수행되는 태스크가 단일의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해 특히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
도 3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2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1참조값 관리부(1111),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 제1묘화부(1116)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2참조값 관리부는 제2변형예의 제1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2묘화 처리 절환부는 제2변형예의 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2변형예의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2묘화부는 제2변형예의 제1묘화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3참조값 관리부는 본 실시예의 제2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 처리 절환부는 본 실시예의 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는 제2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부는 제2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한다.
제2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데이터 입력 처리 후,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가 실행되어, 처리가 계속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데이터가 단계(1201)에서 입력된 후, 처리가 스킵 단계(1202)에 의해 단계(1205)에서 단계(1201)로 진행된다. 제2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2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불투명하게 되는 도형의 색이 반투명으로 한정되는 도형 묘화장치에서, 장치의 처리 상황에 응답하는 가장 빠른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장치가 비지인 경우에도, 묘화 처리의 성능의 저하가 최소로 되고,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묘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리소스가 휴대형 PC, 휴대전화, 대화형 스윕 화상 묘화 기능을 갖는 AV 장비 등으로 제한된 하드웨어에서 본 발명이 수행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
도 3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3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 제2묘화부(1119)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3참조값 관리부가 제3변형예의 제2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 처리 절환부가 제3변형예의 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제3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 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부가 제3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제3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4묘화부가 제3변형예의 제4묘화부에 대응한다.
제3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묘화 속성으로서 입력된 불투명도가 반투명임을 나타냄을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가 판정한 후, 처리가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로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도형의 내부 영역이 반투명임을 나타내도록 불투명도가 단계(1202)에서 판정될 때, 스킵 단계(1205)에 의해 단계(1202)에서 단계(1208)로 처리가 진행된다. 제3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3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깊이 테스트를 이용할 수 없는 도형 묘화장치가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에 응답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도형 묘화 성능의 감소가 최소화 되고,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제2실시예 보다 제한되고, 본 발명이 깊이 테스트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4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3참조값 관리부(1113),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 제3묘화부(1122)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본 변형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4묘화부가 본 변형예의 제3묘화부에 대응한다.
본 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없음을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가 판정한 경우,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로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깊이 버퍼가 단계(1205)에서 이용되어질 수 없음을 판정한 경우, 스킵 단계(1208)에 의해 처리가 단계(1205)에서 단계(1211)로 진행한다. 제4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4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알파값을 이용해서 묘화처리를 수행할 수 없는 도형 묘화장치가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에 응답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 장치가 비지인 경우에도, 도형 묘화 성능의 감소가 최소화되고, 장치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는 고속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제2실 시예 보다 제한되고, 본 발명이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의
제5변형예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5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5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3참조값 관리부(1113),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 제4묘화부(1124)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본 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깊이 버퍼가 확보될 수 없음을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가 판정한 때,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로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깊이 버퍼가 단계(1205)에서 이용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될 때, 스킵 단계(1208)에 의해 단계(1205)에서 단계(1209)로 처리가 진행된다. 제5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5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장치의 처리 상황에 대응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가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묘화 처리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된다.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묘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묘화 처리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충분히 빠르다.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처리가 항상 실행 가능할 때, 묘화 처리의 상황의 판정에 의해 초래된 오버헤드(overhead)가 감소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도형 묘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의
제6변형예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6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6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 제2묘화부(1119), 제3참조값 관리부(1113),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 제3묘화부(1122)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1참조값 관리부가 본 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1묘화 처리 절환부가 본 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본 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4묘화부가 본 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한다.
제6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묘화 속성으로서 입력된 불 투명도가 반투명인 것을 나타냄을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가 판정한 경우,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로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묘화 속성이 반투명임을 나타내는 것을 단계(1202)에서 판정할 때, 스킵 단계(1205,1208)에 의해 단계(1202)에서 단계(1211)로 처리가 진행된다. 제6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6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깊이 테스트와 알파값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할 수 없는 도형 묘화장치가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에 대응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를 실행한다.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도형 묘화 성능의 저하가 최소로 되고,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제2실시예 보다 제한되고, 본 발명이 깊이 테스트 및 알파값을 이용하는 묘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제2실시예의
제7변형예
도 3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7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7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 제2묘화 처리 절환 부(1117),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 제2묘화부(1119), 제3참조값 관리부(1113),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 제4묘화부(1124)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1참조값 관리부가 본 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1묘화 처리 절환부가 본 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본 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부가 본 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한다.
제7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묘화 속성으로서 입력된 불투명도가 반투명인 것을 나타냄을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가 판정한 경우,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로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묘화 속성이 반투명임을 나타내는 것을 단계(1202)에서 판정할 때, 스킵 단계(1205,1208)에 의해 단계(1202)에서 단계(1209)로 처리가 진행된다. 제7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7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깊이 테스트를 이용할 수 없는 도형 묘화장치가 도형 묘화장치의 처리 상황에 대응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스윕되어지는 도형의 묘화 성능의 감소가 최소로 되고, 스윕되어지는 도형은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으로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제2실시예 보다 제한되고, 본 발명이 깊이 테스트를 이용할 수 없는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도형 묘화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제2실시예의
제8변형예
도 3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8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8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1108),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 제3참조값 관리부(1113),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9),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1110),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1121), 제3묘화부(1122),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1123), 제4묘화부(1124)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1참조값 관리부가 본 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1묘화 처리 절환부가 본 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한다.
제8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묘화 속성으로서 입력된 불투명도가 반투명인 것을 나타냄을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가 판정한 경우, 제2 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로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묘화 속성이 반투명임을 나타내는 것을 단계(1202)에서 판정할 때, 스킵 단계(1205)에 의해 단계(1202)에서 단계(1206)로 처리가 진행된다. 제8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8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깊이 테스트을 이용할 수 있는 도형 묘화장치가 입력의 상황에 응답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를 수행한다.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도형 묘화 성능의 감소가 최소로 되고,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도형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리소스가 풍부하고 본 발명이 불가피하게 깊이 테스트를 이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인 도형 묘화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제2실시예의
제9변형예
도 3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9변형예에 따른 도형 묘화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제9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제1참조값 관리부(1111), 제1묘화 처리 절환부(1114),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1115), 제1묘화부(1116), 제2참조값 관리부(1112),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1107),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 부(1108), 제2묘화 처리 절환부(1117),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1118), 제2묘화부(1119)가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로부터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도형 묘화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3참조값 관리부가 본 변형예의 참조값 관리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 처리 절환부가 본 변형예의 묘화 처리 절환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본 변형예의 제1묘화 데이터 생성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3묘화부가 본 변형예의 제1묘화부에 대응하며; 제2실시예의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가 본 변형예의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대응하고; 제2실시예의 제4묘화부가 본 변형예의 제2묘화부에 대응한다.
제9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데이터 입력 처리가 수행된 후, 제3묘화 처리 절환부(1120)가 실행되어, 처리가 진행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처리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1201)에서 데이터가 입력된 후, 스킵 단계(1202,1205)에 의해 단계(1201)에서 단계(1208)로 처리가 진행된다. 제9변형예의 도형 묘화장치는, 상기한 처리를 제외하고, 제2실시예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제9변형예의
효과
변형예에 있어서, 도형 묘화장치가 칠해서 채워지는(filled in) 도형의 색이 반투명으로 제한되는 도형 묘화장치일 때, 장치의 처리 상황에 응답하여 가장 빠른 묘화 처리가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장치가 비지일 때에도, 묘화 성능의 저하가 최소로 되고, 장치가 아이들 상태일 때에는 고속 도형 묘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이 휴대형 PC, 휴대전화, 대화형 도형 묘화 기능을 갖춘 AV 장비 등과 같은 리소스가 제한된 하드웨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실시예와 그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속하는 처리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실현되고, 프로그램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 매체는, 저장 매체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나 조립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한, 자기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CD-ROM, CD-R, DVD 등), 광자기 디스크(MO 등),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소정의 저장 형식을 채택한다.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나 조립 시스템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OS(Operrating System);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과 같은 MW(middle ware)가 본 실시예의 처리의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저장 매체는 컴퓨터나 조립 시스템에 독립인 매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램이 LAN, 인터넷 등을 거쳐 전송되어 다운로드가 저장되거나 잠정적으로 저장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의 수는 하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속하는 처리가 다수의 매체에 의해 실행될 때에도,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저장 매체의 범위에 포함되고, 매체는 소정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나 조립 시스템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본 실시예의 다양한 처리를 수행하고; 퍼스널 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 장치나, 다수의 장치가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연결된 시스템 등의 소정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보처리 기기에 포함되는 연산장치,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또한 포함한다. 프로그램에 의해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는 기기 및 장치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불리워진다.
실시예 및 변형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리소스 및 도형의 이용 상황에 따라, 도형 묘화 방법이 선택되어 도형 묘화 수행이 조정된다. 묘화 처리를 수행할 때 리소스의 변화와 관련된 도형 묘화장치와 관련하여, 도형 처리 수행이 제어될 수 있어 상당한 실제적 유용성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리소스가 변동되는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고속 및 안정적 처리가 가능한 도형 묘화장치 및 도형 묘화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9)
- 도형 형상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와;도형에 속하는 내부 속성 정보를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관리하는 리소스 정보 관리부;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입력 도형의 기하학적 도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 특징량을 산출하는 도형 특징량 산출부;도형 특징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판독하고, 최적 묘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른 세트의 묘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른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다수의 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리소스 정보와 비교되는 임계값을 관리하는 리소스 정보 임 계값 관리부와;도형 특징량과 비교되는 임계값을 관리하는 도형 특징량 임계값 관리부를 더 갖추어 구성되고,묘화 처리 절환부가 도형 특징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도형 특징량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도형 특징량 임계값을 비교하고, 리소스 정보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 임계값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묘화 데이터 생성부를 절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와;벡터 데이터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다각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1임계값 관리부;자기교차점과 비교되고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에 속하는 자기교차점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2임계값 관리부;제1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과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며,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filling in)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fill-in enable/disable determination function)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여,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을 산출하는 자기교차점 산출부;자기교차점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도형의 외주선 내의 자기교차점에 속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자기교차점 관리부;자기교차점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도형의 외주선 내의 자기교차점과 제2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자기교차점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하며, 삼각형의 집합으로 내부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삼각형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함으로써, 선분의 집합으로 내부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선분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선분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제1임계값 관리부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에 대한 보정을 더 수행하고,제2임계값 관리부가,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에 속하고 자기교차점과 비교되는 자기교차점 임계값에 대한 보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와;벡터 데이터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다각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자기교차점과 비교되고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에 속하는 자기교차점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값 관리부;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도형의 외주선에 따른 자기교차점을 산출하는 자기교차점 산출부;자기교차점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도형의 외주선의 자기교차점에 속하는 정 보를 관리하는 자기교차점 관리부;자기교차점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도형의 외주선의 자기교차점과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자기교차점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며,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하여, 삼각형의 집합으로 다각형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삼각형 데이터의 세트군을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의 세트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며,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하고, 선분의 집합으로 다각형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선분 데이터의 세트군을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선분의 세트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와;벡터 데이터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다각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값 관리부;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과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며,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하며, 선분의 집합으로 내부 영역을 분할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선분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선분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벡터 데이터군 입력부와;벡터 데이터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각형의 외주선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관리하는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다각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값 관리부;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과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며,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며, 다각형의 내부 영역을 판정하여, 삼각형의 집합으로 내부 영역을 분할하기 위 한 처리에 의해 삼각형 데이터군을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삼각형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1임계값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2임계값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3임계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1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제2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제3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3묘화 처리 절환부;제3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의 출력 결과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의 출력 결과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3묘화부;제3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을 묘화하는 것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4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4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제8항 있어서, 제2임계값 관리부가,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에 대한 보정을 더 수행하고제3임계값 관리부가,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에 속하는 임계값에 대한 보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1임계값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2임계값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제1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제2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1임계값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2임계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1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제2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의 출력 결과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의 출력 결과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묘화부;제3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1임계값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2임계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1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 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제2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을 묘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메모리의 이용 상황을 취득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입력부에 의해 취득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1임계값 관리부;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관리하는 제2임계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제1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1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데이터와 제2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메모리 이용 상황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제2묘화 처리 절환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제2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묘화의 출력 결과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3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3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 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의 묘화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 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제1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묘화의 출력 결과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며, 칠해서 채움이 묘화 결과 출력 영역의 이용에 의해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의 불투명도와 비교되는 불투명도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값 관리부;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와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불투명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 사이의 중첩을 무시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특정 영역만을 칠해서 채우기 위한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설정하고 칠해서 채움 여부 판정 기능을 이용해서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스윕 라인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와;스윕 라인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스윕되어지는 형상을 나타내는 벡터 데이터군을 입력하기 위한 스윕 형상 데 이터 입력부;스윕 형상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도형의 내부 영역의 속성을 나타내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묘화 속성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를 관리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비교되는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의 임계값을 관리하는 임계값 관리부;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 데이터와 임계값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처리 상황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묘화 처리를 절환하는 묘화 처리 절환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결과 출력 영역의 이용에 의해, 특정 영역만의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제1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결과 출력 영역의 이용에 의해 칠해서 채움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1묘화부;묘화 처리 절환부에 의해 제어되고, 스윕 라인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라인 데이터와 스윕 형상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스윕 형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도형의 외주선을 산출하고, 다각형의 묘화를 위해 이용되는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 및;제2묘화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묘화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장치.
- 도형 형상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입력하고;도형에 속하는 내부 속성 정보를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묘화 속성 데이터군 관리부에 입력하며;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입력하고;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도형 특징량 산출부에 의해 입력 도형의 기하학적 도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 특징량을 산출하며;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판독하고, 최적 묘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절환하고;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며;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형 묘화방법.
- 도형 형상을 표현하는 벡터 데이터군을 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입력하고;도형에 속하는 내부 속성 정보를 표현하는 묘화 속성 데이터를 묘화 속성 데이터군 관리부에 입력하며;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입력하고;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을 판독하고, 도형 특징량 산출부에 의해 입력 도형의 기하학적 도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형 특징량을 산출하며;산출된 도형 특징량과 리소스 정보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리소스 정보를 판독하고, 최적 묘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절환하고;벡터 데이터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벡터 데이터군과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며;생성된 묘화 데이터와 묘화 속성 데이터 관리부에 의해 관리된 묘화 속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묘화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절차를, 도형 묘화장치로서 처리하도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088705A JP4621618B2 (ja) | 2006-03-28 | 2006-03-28 | 図形描画装置、図形描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JP-P-2006-00088705 | 2006-03-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97352A true KR20070097352A (ko) | 2007-10-04 |
KR100883704B1 KR100883704B1 (ko) | 2009-02-12 |
Family
ID=3824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9833A KR100883704B1 (ko) | 2006-03-28 | 2007-03-27 | 도형 묘화장치와, 도형 묘화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471855B2 (ko) |
EP (1) | EP1840837A3 (ko) |
JP (1) | JP4621618B2 (ko) |
KR (1) | KR100883704B1 (ko) |
CN (1) | CN100585631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58579B2 (en) | 2010-08-03 | 2017-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rendering object in 3D graphic-based termin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107528B1 (en) | 2008-04-01 | 2012-12-26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rendering a path |
CN101685544B (zh) * | 2008-09-28 | 2011-11-23 |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 一种简化复杂路径的方法及装置 |
GB0818277D0 (en) * | 2008-10-06 | 2008-11-12 | Advanced Risc Mach Ltd | Graphics processing system |
GB0908506D0 (en) * | 2009-05-18 | 2009-06-24 | Imagination Tech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polygons |
JP5596938B2 (ja) | 2009-06-02 | 2014-09-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2096831B (zh) * | 2009-12-15 | 2013-01-30 | 华中师范大学 | 一种图形动态关系识别方法 |
US20110285736A1 (en) * | 2010-05-21 | 2011-11-24 | Kilgard Mark J | Decomposing cubic bèzier segments for tessellation-free stencil filling |
US8803885B1 (en) * | 2011-09-07 | 2014-08-12 | Infragistics, Inc. | Method for evaluating spline parameters for smooth curve sampling |
US9318078B2 (en) | 2011-10-31 | 2016-04-19 | Invensys Systems, Inc. | Intelligent mem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
CN106251832B (zh) * | 2012-04-17 | 2019-02-26 |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移动终端显示的缓存处理方法及装置 |
CN103593862A (zh) * | 2013-11-21 | 2014-02-19 |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图像显示方法及控制单元 |
US9721363B2 (en) * | 2014-05-19 | 2017-08-01 | Google Inc. | Encoding polygon data for fast retrieval and rendering |
CN104182928A (zh) * | 2014-08-15 | 2014-12-03 | 成都天奥信息科技有限公司 | 矢量图形快速多边形填充方法 |
US9767122B2 (en) | 2015-01-27 | 2017-09-19 | Splunk Inc. | Efficient point-in-polygon indexing technique to facilitate displaying geographic data |
US9607414B2 (en) | 2015-01-27 | 2017-03-28 | Splunk Inc. | Three-dimensional point-in-polygon operation to facilitate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
US9916326B2 (en) | 2015-01-27 | 2018-03-13 | Splunk, Inc. | Efficient point-in-polygon indexing technique for facilitating geofencing operations |
US10026204B2 (en) | 2015-01-27 | 2018-07-17 | Splunk Inc. | Efficient point-in-polygon indexing technique for processing queries over geographic data sets |
US9836874B2 (en) | 2015-01-27 | 2017-12-05 | Splunk Inc. | Efficient polygon-clipping technique to reduce data transfer requirements for a viewport |
CN104680147B (zh) * | 2015-03-09 | 2018-04-03 | 浙江万朋教育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鼠标和触控设备的特需几何图形的快速识别方法 |
KR20170066082A (ko) | 2015-12-04 | 2017-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Bist 회로,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US20170301316A1 (en) * | 2016-04-13 | 2017-10-19 | James Paul Farell | Multi-path graphics rendering |
GB201809960D0 (en) * | 2018-06-18 | 2018-08-01 | Eyecon As | Video conferencing system |
US10930040B2 (en) | 2019-05-20 | 2021-02-23 | Adobe Inc. | Graphic object modif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75702A (en) * | 1986-03-14 | 1987-06-23 | Gerber Scientific Inc. | Photoplotter using a light valve device and process for exposing graphics |
US4815009A (en) * | 1987-04-21 | 1989-03-21 | Xerox Corporation | Algorithm for filling an image outline |
US4962468A (en) * | 1987-12-09 | 1990-10-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fast polygon fill routines in a graphics display system |
JPH01241556A (ja) * | 1988-03-22 | 1989-09-26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凸ループ分割を用いた塗り潰しデータ生成方法 |
US5043711A (en) * | 1989-06-09 | 1991-08-27 | Xerox Corporation | Representation of polygons defined by non-zero winding numbers |
JP2770598B2 (ja) * | 1990-06-13 | 1998-07-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図形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H04256080A (ja) * | 1990-08-29 | 1992-09-10 | Xerox Corp | 多角形を表現する規約を変換する方法 |
JP2712912B2 (ja) * | 1991-08-23 | 1998-02-16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エッジリスト作成装置 |
AUPM806694A0 (en) * | 1994-09-12 | 1994-10-06 | Canon Inc. | Rendering of overlapping objects |
US5673379A (en) * | 1995-03-20 | 1997-09-30 | Hewlett-Packard Company | Scan line generator for area fill of extensible polygons |
US6172682B1 (en) * | 1996-01-24 | 2001-01-09 | Hewlett-Packard Co. | Detecting insideness of a rectangle to an arbitrary polygon |
US6111587A (en) * | 1997-05-08 | 2000-08-29 | Autodesk, Inc. | Method for converting non-zero winding to even-odd fill polygons |
JPH10326352A (ja) * | 1997-05-27 | 1998-12-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多角形塗り潰し方法及び記録媒体 |
JPH11165434A (ja) * | 1997-12-03 | 1999-06-22 | Fuji Xerox Co Ltd | 描画処理装置 |
US6466229B1 (en) * | 1999-01-26 | 2002-10-15 | Fuji Xerox Co., Ltd. | Graphics processing apparatus and graphics processing method |
US6466217B1 (en) * | 1999-12-22 | 2002-10-15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in a bucket rendering system |
WO2001095257A1 (en) * | 2000-06-08 | 2001-12-13 |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 Tiling and compression for rendering 3d images |
JP4022710B2 (ja) * | 2000-10-20 | 2007-12-19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描画処理装置 |
JP2002144644A (ja) * | 2000-11-14 | 2002-05-22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
US7110003B2 (en) * | 2000-12-22 | 2006-09-19 | Canon Kabushiki Kaisha | Rendering objects |
JP2004004796A (ja) * | 2002-04-25 | 2004-0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処理装置 |
US7365875B2 (en) * | 2002-05-14 | 2008-04-29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JP4085204B2 (ja) * | 2003-09-05 | 2008-05-14 |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 描画用ベクタデータの処理方法及び描画装置 |
-
2006
- 2006-03-28 JP JP2006088705A patent/JP462161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3-21 EP EP07005848.2A patent/EP1840837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3-22 US US11/689,825 patent/US847185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27 KR KR1020070029833A patent/KR1008837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28 CN CN200710091883A patent/CN10058563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58579B2 (en) | 2010-08-03 | 2017-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rendering object in 3D graphic-based terminal |
US10389995B2 (en) | 2010-08-03 | 2019-08-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rendering object in 3D graphic-based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471855B2 (en) | 2013-06-25 |
US20070236498A1 (en) | 2007-10-11 |
EP1840837A3 (en) | 2013-12-25 |
EP1840837A2 (en) | 2007-10-03 |
CN101046883A (zh) | 2007-10-03 |
JP2007264989A (ja) | 2007-10-11 |
CN100585631C (zh) | 2010-01-27 |
KR100883704B1 (ko) | 2009-02-12 |
JP4621618B2 (ja) | 2011-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3704B1 (ko) | 도형 묘화장치와, 도형 묘화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US870483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ath rendering with multiple stencil samples per color sample | |
Kilgard et al. | GPU-accelerated path rendering | |
JP6869249B2 (ja) | 2つのタイプのインクベクトルデータを生成して選択的に出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
JP4030519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 |
EP1462998A2 (en) | Markup language and object model for vector graphics | |
EP1462936A2 (en) | Visual and scene graph interfaces | |
JP4621617B2 (ja) | 図形描画装置、図形描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689469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leration of 2D vector graphics using 3D graphics hardware | |
KR20150039495A (ko) | 이전 타일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을 렌더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JP5320334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US20100265254A1 (en) | Graphics filled shape drawing | |
CN110494837B (zh) | 使用高优先级队列进行墨水渲染 | |
JP4154336B2 (ja) | ラスター画像のフレームを描画する方法及び装置 | |
JP4180043B2 (ja) | 3次元図形描画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3次元図形描画処理方法、これ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可読記録媒体 | |
EP1659538B1 (en) | Method and device for render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 |
KR20180037839A (ko) | 그래픽스 프로세싱 장치 및 인스트럭션의 실행 방법 | |
ITMI20082342A1 (it) | Modulo di renderizzazione per grafica a due dimensioni, preferibilmente basato su primitive di tipo bordo attivo | |
CN106815800B (zh) | 用于在计算机系统中控制空间分辨率的方法和装置 | |
KR100679289B1 (ko) | 벡터화소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 시스템 | |
KR20150027638A (ko) | 렌더링 방법 및 장치 | |
JP2011165062A (ja) | 描画処理装置、描画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120174B2 (ja) | 描画装置 | |
JP4707964B2 (ja) | グラフィックス描画装置 | |
CN118034687A (zh) | 基于Windows的不规则界面开发方法、装置及相关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