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722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722A
KR20070096722A KR1020060040686A KR20060040686A KR20070096722A KR 20070096722 A KR20070096722 A KR 20070096722A KR 1020060040686 A KR1020060040686 A KR 1020060040686A KR 20060040686 A KR20060040686 A KR 20060040686A KR 20070096722 A KR20070096722 A KR 2007009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portable terminal
unit
us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634B1 (ko
Inventor
박문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9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통화시 단말기를 얼굴에 대면 향기 발산부가 사용자의 코와 가장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어 통화를 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코를 통해 향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단말기, 향기발산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바디 20 : 제2바디
30 : 향기 발산부 24 :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향기가 발산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소형 경량화와 더블어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게임 기능, 위성방송 수신 기능, MP3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단말기에서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기분을 느끼게 하는 향기가 발산되는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향기가 발산되는 단말기는 단말기의 키버튼을 향기가 발생되는 물질로 형성하여 키버튼에서 향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를 향기가 발산되는 물질로 형성하여 단말기 케이스에서 향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말기와, 별도의 향기 발산부재를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여 향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단말기 등 여러 가지 타입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향기가 항상 발산되기 때문에 방향제의 소비가 심하게 되고, 향기가 발산되는 기간이 짧아지게 되어 단말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향기가 발산하는 단말기는 향기를 발산하는 부재가 사용자의 코와 멀게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코를 통해 향기를 효과적으로 맡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기 발산부가 통화시 사용자의 코에 가깝게 위치되는 단말기의 일정 부위에 설치되어 향기 발산부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사용자가 보다 잘 맡을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단말기를 개방할 경우에만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여 방향제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향기가 발생되는 기간을 늘릴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통화시 사용자의 코와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는 향기 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향기 발산물질이 함유된 패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2바디의 상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키패드 또는 제2바디의 케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2바디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1바디를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2바디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띠 형태의 패드로 형성되거나, 반원 형태의 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1바디의 하단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화시 사용자의 코와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고, 제1바디가 슬라이드 업될 때 외부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부착된 키패드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바디의 하면에 밀착되며 공간부를 갖는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의 공간부에 수납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12)가 구비되고 사운드를 송출하는 스피커(14)가 부착되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전면에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키버튼(22)을 갖는 키패드(24)가 장착되고 후면에 배터리(26)가 장착되는 제2바디(20)와,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화시 사용자의 코(40)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향기 발산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16)이 설치되어 상기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제2바디(20)에는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28)가 장착된다.
상기 키패드(24)는 키버튼 영역을 갖고 제2바디(20)의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푸시타입 키버튼들이 구비되고 제2바디(20)의 케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향기 발산부(30)는 제1바디(10)를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통화를 하기 위해 단말기를 얼굴에 접촉시키면 사용자의 코(40)와 가장 가까운 제2바디(20)의 일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향기 발산부(30)는 통화시 코와 가장 가깝게 위치되기 때문에 향기 발산부(30)에서 발상되는 향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30)는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키패드(24)의 일측에 부착되거나, 키패드(24)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향기가 발산되는 물질이 함유된 패드 타입이거나, 향기 발산캡슐을 포함하는 패드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향기 발산부(30)는 키패드(24) 이외에 제2바디(20)의 케이스 전면에 고정되거나 제2바디(20)의 케이스 전면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향기 발산부(30)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에서 제1바 디(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단말기를 얼굴에 대면 사용자의 코(40)와 가장 가까운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향기 발산부(30)는 제2바디(20)의 좌우측 가운데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기 발산부(30)는 제1바디(10)를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즉, 상기 향기 발산부(30)는 제2바디(20)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어 제1바디(10)가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제1바디(10)에 의해 덮어지고 상기 제1바디(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그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되어 향기를 발산한다.
상기 향기 발산부(30)는 반원 형태의 패드로 형성되어 키패드(24)의 전면에 부착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2바디(24)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그루브에 안착된다.
이러한 향기 발산부(30)는 사용이 완료된 향기 발산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2바디(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향기 발산부(30)는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교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별도의 교체구조를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향기 발산부(30)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를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향기 발산부(30)가 외부로 노출되고 통화를 하기 위해 단말기를 얼굴에 대면 사용자의 코(40)가 위치되는 부위에 향기 발산부(30)가 배치되기 때문에 향기 발산부(30)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맡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향기 발산부(42)가 제2바디(2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띠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바디(20)에 장착되는 키패드(24) 또는 제2바디(20)의 케이스 상면에 제2바디(2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통화시 사용자의 코가 위치되는 부위에 장착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부(42)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향기 발산부와 마찬가지로 패드 타입으로 형성되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제2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부(42)는 제2바디(20)의 폭방향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통화를 하기 위해 단말기를 얼굴에 댈 때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향기 발산부(42)와 사용자의 코 사이의 거리를 항상 최소한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향기 발산부(50)가 제1바디(10)에 장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바디(10)의 일측면에 장착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부(50)는 제1바디(10)를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통화시 사용자의 코가 위치되는 부위인 제1바디(10)의 길이방향 하단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1바디(10)의 하단 측면에는 그 폭방향으로 상기 향기 발산부(50)가 삽입되는 그루브(52)가 형성되고, 상기 향기 발산부(50)는 상기 그루브(5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닫혀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화시 사용자의 코(4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제1바디(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60)를 갖는다.
상기 향기 발산부(60)는 제2바디(20)의 상면에 부착된 키패드(24)에 고정되어 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일 때에는 밀봉되고, 단말기가 열린 상태일 때에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밀봉부재(64)와, 상기 밀봉부재(64)의 내부에 수납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재(66)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부재(64)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둘레면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그 상면이 개구된 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부재(64)는 제1바디(10)가 닫혀지면 그 상면이 상기 제1바디(10)의 하면에 밀착되어 밀봉부재(64)의 내부를 밀봉할 수 있는 탄성 러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밀봉부재(64)는 제1바디(10)가 닫혀진 상태일 때에는 밀봉부재(64)의 상면이 제1바디(10)의 하면에 밀착되어 밀봉부재(64)의 내부가 밀봉된 상 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방되면 밀봉부재(64) 내부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향기 발산부재(66)는 향기발생캡슐을 포함하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향기 발산부재(66)는 패드 타입, 젤 타입 등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향기 발산부재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제1바디(10)가 닫혀진 상태일 때, 밀봉부재(64)의 상면이 제1바디(10)의 상면에 밀착되어 밀봉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64) 내부에 수납된 향기 발산부재(66)가 밀봉된 상태로 되어 외부로 향기가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제1바디(10)를 개방하면 상기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바디(20)에 고정된 밀봉부재(64)의 내부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해 단말기를 얼굴에 대면 향기 발산부재(66)가 사용자의 코(40)에 가깝게 위치되어 상기 밀봉부재(64) 내부에 수납된 향기 발산부재(66)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빠져나와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향기를 맡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가 닫혀진 상태일 때에는 밀봉부재(64)에 의해 향기 발산부재(66)가 밀봉된 상태로 되어 향기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말기를 개방하면 향기 발산부재(66)가 외부로 누출되어 향기가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향기 발산부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이외에 폴더 타입 또는 스윙 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폴더 타입의 경우 폴더를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방한 후 단말기를 귀에 대면 사용자의 코가 위치되는 단말기 본체의 일정 부위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키패드의 키버튼들 중 사용자의 코가 위치되는 부위에 장착되는 키버튼을 향기 발산부로 대체하여 설치할 수 있고, 키패트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스윙 회전되는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도 마찬가지로 제1바디가 스윙시켜 개방한 후 단말기를 귀에 대면 사용자의 코가 위치되는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어느 일측 부위에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향기 발산부가 통화시 단말기를 얼굴에 대면 사용자의 코와 가장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어 통화를 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코를 통해 향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바디가 닫혀진 상태일 때에는 향기 발산부재가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되어 향기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제1바디가 개방되면 상기 향기 발산부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향기를 외부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향기 발산재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단말기에서 향기가 발산되는 기간을 늘릴 수 있어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통화시 사용자의 코와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는 향기 발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향기 발산물질이 함유된 패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2바디의 좌우측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2바디의 상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키패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2바디의 케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2바디에 교환이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1바디를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그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2바디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띠 형태의 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반원 형태의 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향기 발산부가 안착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1바디의 하단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하단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향기 발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통화시 사용자의 코와 가까운 부위에 배치되고, 제1바디가 슬라이드 업될 때 외부로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제2바디에 장착되는 키패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는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 부착된 키패드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바디의 하면에 밀착되며 공간부를 갖는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의 공간부에 수납되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바디가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바디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러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부재는 향기 발산캡슐을 포함하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040686A 2006-03-24 2006-05-04 휴대 단말기 KR101137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174 2006-03-24
KR20060027174 200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22A true KR20070096722A (ko) 2007-10-02
KR101137634B1 KR101137634B1 (ko) 2012-04-19

Family

ID=3853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686A KR101137634B1 (ko) 2006-03-24 2006-05-0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77118B2 (ko)
KR (1) KR101137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2616A1 (fr) * 2006-09-12 2008-08-22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ou de diffusion d'au moins un produit
JPWO2009001431A1 (ja) * 2007-06-25 2010-08-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KR101413009B1 (ko) * 2007-10-05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1662901A (zh) * 2008-08-25 2010-03-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FR2935236B1 (fr) * 2008-09-03 2010-10-15 Oreal Dispositif de pulverisation.
KR20110090485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팬택 향기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337U (ko) * 1998-09-14 2000-04-15 김상선 악세사리가 부착된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플립
KR20020007745A (ko) * 2000-07-18 2002-01-29 윤종용 향기발산 기능을 갖는 무선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204043A1 (en) * 2002-08-29 2004-10-14 Hwai-Ming Wang Information apparatus with interactive scent interface
US7248903B2 (en) * 2002-12-25 2007-07-24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strument with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US7200363B2 (en) * 2003-01-22 2007-04-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cent release feature and method thereof
KR100678040B1 (ko) * 2003-02-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수병 타입 휴대용 단말기
TWM257067U (en) * 2004-04-02 2005-02-11 Hon Hai Prec Ind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03939B1 (ko) * 2004-04-22 2006-07-24 서석배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소유자 정보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60291675A1 (en) * 2005-06-28 2006-12-28 Kuang-Te Liu Fragrance emitting and stopping device for a cell phone
KR100810763B1 (ko) * 2005-09-07 2008-03-0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슬라이드형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634B1 (ko) 2012-04-19
US20070223746A1 (en) 2007-09-27
US7877118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634B1 (ko) 휴대 단말기
JP4733209B2 (ja) ポータブル・デバイスのための筐体(enclosure)
JP4210315B2 (ja) 携帯端末機器
JP4518145B2 (ja) 芳香剤収納用外装パネル、および芳香剤収納用外装パネ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WO2007060730A1 (ja) 携帯端末
KR20120055168A (ko)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23897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romatic func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charger having aromatic charge function
JP2013021591A (ja) イヤホン
JP4230847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680325B1 (ko) 보조 에어홀을 갖는 스피커 장치
KR20180039236A (ko)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이용한 소음 제거 마스크
KR20010047420A (ko) 향기 휴대폰
KR20060081874A (ko) 누름 및 슬라이딩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사이드 키를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152007Y1 (ko) 휴대폰의 향발생수신장치
JP4417188B2 (ja) 携帯端末
KR20000018101A (ko) 건강 휴대폰
JP4443192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190017414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90011898A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KR200401648Y1 (ko) 향기를 발산시키는 필기구
KR20060035183A (ko) 마이크로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5756B1 (ko) 스피커음의 방사를 개선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96116A (ko) 입력장치 및 그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2005149903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2010251947A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