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414A -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414A
KR20190017414A KR1020170102248A KR20170102248A KR20190017414A KR 20190017414 A KR20190017414 A KR 20190017414A KR 1020170102248 A KR1020170102248 A KR 1020170102248A KR 20170102248 A KR20170102248 A KR 20170102248A KR 20190017414 A KR20190017414 A KR 2019001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se
sound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389B1 (ko
Inventor
황주환
Original Assignee
황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환 filed Critical 황주환
Priority to KR102017010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3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각종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면서 스피커의 음향을 촉감으로도 느낄 수 있는 음향 진동판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증대된 감흥을 갖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외측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향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음향통로의 중간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에 의하여 반응하는 진동판 부재를 설치하며, 그리고 상기 음향통로의 끝부분엔 음향배출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각종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면서 스피커의 음향을 촉감으로도 느낄 수 있는 음향 진동판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보다 증대된 감흥을 갖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종으로서 스마트 폰과 결합하여 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킬 목적으로 다양한 선행기술이 개발되고 공개되어 있는데, 그 중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4015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98961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0752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444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선행기술의 공통점은 스마트 폰의 거치대로서 기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내장스피커를 포함하여 그 일측의 내부를 감싸거나 아니면 단말기 전체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구성이 이루어지되, 구성이 차지하게 되는 공간이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한 관계로 한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사용상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그 이외에도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9516호의 경우엔 휴대폰 케이스에 음향배출기능을 개선한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엔 단순히 음향의 배출통로를 케이스에 형성하여 음향의 배출방향을 달리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그 효과가 적은 단점이 있다.
또한, 그 이외에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32848호의 경우엔 휴대폰 케이스에 신용카드의 수납기능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정도의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엔 휴대폰의 내부 스피커에서 배출되는 음향의 방향전환이나 증폭 등의 개선된 기술과는 무관하여 적용상 한계가 있다.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4015호(공고일자: 2012. 07. 18.), 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98961호(공고일자: 2012. 11. 07.), 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90752호(공고일자: 2014. 05. 13.), 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14447호(공고일자: 2015. 04. 22.), 5.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79516호(공고일자: 2016. 11. 24.), 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32848호(공고일자: 2017. 05. 0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달리하거나 확산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음향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응하는 진동판을 설치하여 귀로 느끼는 청감과 피부로 느끼는 촉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되는 진동판 부재를 케이스 본체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신용카드에 의한 진동판 기능이나 신용카드의 수납기능 또는 다른 복합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넓게 가질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외측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향통로를 구성하고, 상기 음향통로의 중간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에 의하여 반응하는 진동판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음향통로의 끝부분엔 음향배출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달리하거나 확산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음향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반응하는 진동판 부재를 설치하여 귀로 느끼는 청감과 피부로 느끼는 촉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고, 설치되는 진동판 부재를 케이스 본체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신용카드에 의한 진동판 기능이나 신용카드의 수납기능 또는 다른 복합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넓게 가질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동판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동판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진동판 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보호하기 위한 외측 케이스(1)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장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향통로(12)를 구성하고, 상기 음향통로(12)의 중간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장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에 의하여 반응하는 진동판 부재(2)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통로(12)의 끝부분엔 음향배출구(14)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진동판 부재(2)의 진동 반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지만 음향의 외부확산 효과는 향상되게 되고, 반대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음향배출구(14)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엔 음향의 외부확산 효과는 줄어들게 되지만 진동판 부재(2)의 진동 반응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케이스(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출고시 이미 결합되어 있던 자체 케이스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별도로 시판되는 케이스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 케이스(1)의 음향통로(12)는 내장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음향 배출구(14)까지 이르게 되는 모든 공간이나 통로를 지칭하게 되는데, 외측 케이스(1)의 케이스 본체(10)에 직접 형성하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격되어 간극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장스피커(10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저부나 후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저부 내측이나 후부를 이용하여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판 부재(2)는 얇은 박판 형태로서 내장 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에 의하여 진동 형태로 반응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되면 바람직하고, 상기 음향통로(12)의 중간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직접 케이스 본체(10)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아니면 케이스본체(10)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엔 케이스 본체(10)에 미리 슬라이드 결합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 부재(2)를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6)에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도 바람직하다.
특히, 음향의 확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음향배출구(14)를 음향 통로(1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엔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6)으로부터 음향배출구(14)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경사부(18)로 구성하여 후술되는 진동판 부재(2)의 일부는 슬라이드 결합홈(16)에 끼워 결합되고 나머지는 경사부(18)에 휘어지면서 자체 탄성력에 의한 밀착 결합이 이루어져 분실 방지 등의 부수효과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상기 진동판 부재(2)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판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신용카드를 활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신용카드를 활용하는 경우엔 진동판의 기능과 함께 슬라이드 결합홈(16)이 신용카드 수납기능도 병행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
물론, 진동판 부재(2)의 후부에 고리, 받침대, 흡착구 등의 다용도 지지구(20)를 마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휴대하거나 파지하는 경우, 또는 받침대 역할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 사용목적에 맞게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다.
또한, 상기 음향 배출구(14)는 개방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겠으나, 스크린 또는 메쉬 형태 등 다공성 배출구 형태로 구성하여 음향의 배출과정에서 음향의 걸름에 의한 완화기능이나 외부 이물질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기능이 함께 발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배출구(14)를 형성하지 않고 진동판 부재(2)만을 설치한 경우엔 진동판 부재(2)의 진동반응을 극대화시켜 촉각을 통한 음향전달 효과를 더욱 높일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200은 바닥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스피커(102)로부터 음향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음향은 케이스 본체(10)에 형성된 공간 형태의 음향통로(2)를 거쳐 음향 배출구(1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음향통로(12)의 중간에 위치한 진동판 부재(2)와 부딪치면서 진동판 부재(2)를 진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10)를 감싸서 손으로 쥐고 있거나 신체의 어느 부위라도 접촉하고 있게 되는 경우 접촉된 부위에서는 감촉으로 전달되어 직접 음향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음향 배출구(14)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 음향은 청각을 통하여 감지하여 청각과 촉각을 통한 풍부한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배출구(14)를 통하여 상향으로 음향이 배출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배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된 음향이 바닥(200)에 부딪쳐 반사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를 달리하거나 확산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의 구조를 개선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된 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음향통로(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향의 직접적인 전달과 진동판 부재(2)의 진동 반응에 의하여 귀로 느끼는 청감과 피부로 느끼는 촉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고, 설치되는 진동판 부재(2)를 케이스 본체(10)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신용카드에 의한 진동판 기능이나 신용카드의 수납기능 또는 다른 복합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도를 넓게 가질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1: 외측 케이스, 2; 진동판 부재,
10: 케이스 본체, 12: 음향통로,
14: 음향 배출구, 16: 슬라이드 결합홈,
18: 경사부, 20: 다용도 지지구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보호하기 위한 외측 케이스(1)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0)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장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음향통로(12)를 구성하고,
    상기 음향통로(12)의 중간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장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에 의하여 반응하는 진동판 부재(2)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통로(12)의 끝부분엔 음향배출구(14)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스(1)의 음향통로(12)는 케이스 본체(10)에 직접 형성하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격되어 간극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통로(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저부나 후부에 위치하는 내장스피커(102)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저부 내측이나 후부를 이용하여 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부재(2)는 얇은 박판 형태로서 내장 스피커(102)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에 의하여 진동 형태로 반응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케이스 본체(10)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미리 슬라이드 결합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 부재(2)를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6)에 끼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배출구(14)를 음향 통로(12)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결합홈(16)으로부터 음향배출구(14)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경사부(18)로 구성하여 상기 진동판 부재(2)의 일부는 슬라이드 결합홈(16)에 끼워 결합되고 나머지는 경사부(18)에 휘어지면서 자체 탄성력에 의한 밀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부재(2)의 후부에 다용도 지지구(20)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1020170102248A 2017-08-11 2017-08-11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10198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48A KR101984389B1 (ko) 2017-08-11 2017-08-11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48A KR101984389B1 (ko) 2017-08-11 2017-08-11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14A true KR20190017414A (ko) 2019-02-20
KR101984389B1 KR101984389B1 (ko) 2019-05-30

Family

ID=6556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48A KR101984389B1 (ko) 2017-08-11 2017-08-11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594A (ko) 2019-12-31 2021-07-08 이기준 출력이 향상된 초음파 식기 세척기용 진동판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015B1 (ko) 2012-03-22 2012-07-18 (주)성민전자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
KR101198961B1 (ko) 2012-06-30 2012-11-0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스마트폰 용 스피커
US20140069736A1 (en) * 2012-09-11 2014-03-13 Matthew Freshma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KR101390752B1 (ko) 2012-04-27 2014-05-13 유국일 스마트폰 용 스피커
KR20140062487A (ko) 2011-08-22 2014-05-23 캐털리스트 라이프스타일 리미티드 방수 케이스
KR101514447B1 (ko) 2013-08-27 2015-04-22 (주)메가크리에이트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되는 공명구조 스피커
KR101522002B1 (ko) 2014-09-02 2015-05-21 여창기 사운드 증폭 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679516B1 (ko) 2015-09-04 2016-11-24 구광서 사운드 개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732848B1 (ko) 2016-06-24 2017-05-04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2487A (ko) 2011-08-22 2014-05-23 캐털리스트 라이프스타일 리미티드 방수 케이스
KR101164015B1 (ko) 2012-03-22 2012-07-18 (주)성민전자 스마트폰용 거치대 겸용 스피커음량 확장장치
KR101390752B1 (ko) 2012-04-27 2014-05-13 유국일 스마트폰 용 스피커
KR101198961B1 (ko) 2012-06-30 2012-11-07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스마트폰 용 스피커
US20140069736A1 (en) * 2012-09-11 2014-03-13 Matthew Freshma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KR101514447B1 (ko) 2013-08-27 2015-04-22 (주)메가크리에이트 스마트폰 거치대가 구비되는 공명구조 스피커
KR101522002B1 (ko) 2014-09-02 2015-05-21 여창기 사운드 증폭 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679516B1 (ko) 2015-09-04 2016-11-24 구광서 사운드 개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KR101732848B1 (ko) 2016-06-24 2017-05-04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594A (ko) 2019-12-31 2021-07-08 이기준 출력이 향상된 초음파 식기 세척기용 진동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389B1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145B1 (ko) 스피커 음 증폭 경로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10659894B2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TWI683580B (zh) 耳機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CN110830867B (zh) 一种智能头戴设备
CN110856067B (zh) 一种智能头戴设备
US20060126882A1 (en) Earphone
JP3187025U (ja) 携帯電話ケース用拡音装置
CN106170029B (zh) 一种立体声移动终端
NO314560B1 (no) Et arrangement i akustiske hodetelefoner
US20140233746A1 (en) Earphone microphone
EP1897351B1 (en) A speaker apparatus combining earpiece and hands free functions
US10748522B2 (en) In-ear microphone with active noise control
CN112104936B (zh) 一种耳机
EP324026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KR1019843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JP2022098451A (ja) 聴覚装置における押しボタンのための支持発泡体
US6795713B2 (en) Portable telephone with attenuation for surrounding noise
US20210195310A1 (en) Portable audio equipment
CN216356802U (zh) 一种移动终端设备
KR101522002B1 (ko) 사운드 증폭 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EP3139627A1 (en) Ear phone with multi-way speakers
US10448135B2 (en) Directional microphone integrated into device case
KR20060035183A (ko) 마이크로스피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15967879A (zh) 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