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307A - 청각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307A
KR20160146307A KR1020150083403A KR20150083403A KR20160146307A KR 20160146307 A KR20160146307 A KR 20160146307A KR 1020150083403 A KR1020150083403 A KR 1020150083403A KR 20150083403 A KR20150083403 A KR 20150083403A KR 20160146307 A KR20160146307 A KR 2016014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dome
receiver
cap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043B1 (ko
Inventor
권세윤
윤용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43B1/ko
Priority to US15/161,793 priority patent/US9894449B2/en
Publication of KR2016014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04R2225/0216BTE hearing aids having a receiver in the ear mou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보청기와 같은 청각 전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경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이어피스; 및 상기 이어피스와 연결된 이어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 몰드는 상기 리시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외면을 포함하며, 제1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캡; 및 상기 제1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캡의 적어도 일부와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연장된 제2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캡은, 상기 제1캡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2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캡은, 상기 제2캡의 제3면과 상기 제3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4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청각 전자장치{AUDITORY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웨어러블 장치, 예컨대, 귀에 착용되는 청각 전자장치의 이어 몰드(ear mold)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를 휴대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하거나, 손에 쥐어서 휴대하거나, 인체 소정 위치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웨어러블(wearable) 장치는 인체 다양한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를 인체에 착용하는 방법을 보면, 1. 시계 타입으로 손목 등의 인체에 착용하는 방법이나, 2. 목걸이 타입으로 목에 거는 방법이나, 3. 안경 타입으로 얼굴에 안경을 착용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착용하는 방법이나, 4. 클립 타입으로 인체나 의류, 소지품의 일부에 끼우는 방법으로 착용하는 방법이나, 5. 각종 인체, 소지품, 액세서리에 직/간접적으로 부착하는 착용 방법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면, 본체와, 착용부로 구성되며, 착용부의 구성에 따라서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한다.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귀에 착용하는 전자장치를 청각 전자장치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청각 전자장치(auditory device)를 통하여 소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청각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청각 전자장치(10,11)를 이용하여, 음악 듣거나, 전화 통화 및 주위의 소리 정보를 증폭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10,11)는 사용자 신체 일부(귀, 머리, 목)에 착용하고, 전자 장치의 리시버(스피커)가 귀 인근에서 소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청각 전자장치(10,11)는 개인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청각 전자장치(10,11)는 헤드셋(headset), 헤드폰(headphone), 이어피스(earpiece), 청각 기기(hearing aids), personal sound amplification products 로 지칭 될 수 있다.
보청기와 같은 청각 전자장치(10,11) 유형들은 BTE(behind-the-ear), RIC(receiver-in-canal), ITE(in-the-ear), ITC(in-the-canal), CIC(completely-in-canal) 등이 있다.
청각 전자장치들은 청각 장치의 개방형(open-type) 이어 몰드(ear mold)를 사용하거나, 폐쇄형(close-type) 이어 몰드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개방형 이어 몰드는 피드백(하울링) 발생의 우려가 적으나, 본인의 음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고, 폐쇄형 이어 몰드는 편안한 착용감이 있으나, 피드백 발생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어 몰드의 개방형 상태나 폐쇄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청각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경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이어피스; 및 상기 이어피스와 연결된 이어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 몰드는, 상기 리시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외면을 포함하며, 제1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캡; 및 상기 제1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캡의 적어도 일부와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연장된 제2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캡은, 상기 제1캡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2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캡은, 상기 제2캡의 제3면과 상기 제3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4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는 리시버; 및 상기 리시버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어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 몰드는 제 1 위치 상태에서, 관통홀이 구비된 개방형 상태이고, 제 2 위치 상태에서,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은 폐쇄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관통홀 상태의 선택은 상기 이어 몰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마이크부; 리시버가 결합되며,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개방형 상태와,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막는 폐쇄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어 몰드; 및 상기 리시버와 마이크부를 연결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사용자 기호에 따라서, 이어 몰드를 개방형 또는 폐쇄형으로 선택적으로 배치가능하여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리시버와 이어 돔의 착탈이 쉽고, 제1,2 이어 돔의 착탈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부드러운 재질로 하여 귓속 착용감이 좋으며, 특히, 이어 돔의 회전 조작도 용이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청각 전자장치의 착용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청각 전자장치의 설정을 변경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와 이어 몰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결합된 제2이어 돔과 제1이어 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 제1,2이어 돔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어 몰드의 개방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결합된 제2이어 돔과 제1이어 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 제1,2이어 돔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어 몰드의 폐쇄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1이어 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2이어 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1,2이어 돔에 걸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1이어 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가 귓속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 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20)는 인체부위, 예컨대, 귀나 귀 부근 또는 귀속 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로서, 제어부(210) 및 입력부(211)(mic), 출력부(212)(receiver/speaker), 통신 제어부(213)(communication module), 저장부(214)(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20)는 소리 정보를 입력부(211)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 신호를 처리(오디오 필터 적용, 신호 증폭)하여 출력부(212)를 통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20)는 신호 증폭부(215,217)(amp)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다른 전자장치(모바일 기기, 휴대폰, 태블릿, etc) 및 네트워크 연결할 수 있다. 무선의 경우, 안테나(216)를 통하여 수신한 입력 신호를 통신 제어부(213)는 신호 처리(오디오 필터 적용, 신호 증폭)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 신호를 처리 후, 출력부(212)를 통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 제어부(213) 또는 입력부(211)를 통하여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신호처리(오디오 필터 적용, 신호 증폭)방식을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 제어부(213) 및 입력부(211)의 입력신호 유무에 따라 오디오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 경우 입력부(211)를 통하여 입력 신호가 제어부(210)에 입력된다. 제어부(210)는 입력부(211)의 신호 패스를 출력부(212)로 설정하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13)로 입력 신호가 있을 경우, 제어부(210)는 입력부(211) 신호 패스에서 통신 제어부(213) 패스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부(211)를 통하여 입력 신호의 유무를 시간구간별 파워의 크기를 가지고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 신호 존재 시,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수행 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사용자 혹은 사물, DB상에 등록되어 있는 신호와 유사한 신호 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음성 정보에 따라 청각 전자장치(2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잡음으로 판단된 경우 제거를 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특정 값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청각 전자장치(20)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다른 전자장치(30)(모바일 기기, 휴대폰, 태블릿, etc)와 통신 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와 다른 전자장치(30)는 무선으로(rf,nfmi,bt,aoble,etc) 페어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32)에 연결된 전자 장치(30)가 모바일 단말기 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음악 재생, 혹은 전화 수신, 알람, 단말기 마이크 입력 신호를 청각 전자장치(32)로 소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303), 무선 통신부(305), 저장부(311), 센서부(315), 입력 장치부(307), 디스플레이부(317), 오디오 처리부(30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3)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3)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3)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305)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3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11)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40)는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3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부(240)는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30)는 제어부(303)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부(31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303)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부(315)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부(307)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17)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09)는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09)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다른 전자장치(30)를 통하여 청각 전자장치(3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는 소형으로 별도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없을 수 있으며, 한정된 입력 장치부(버튼)(327)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32)는 보청기의 한 종류 일 수 있으며, 다수의 필터 모드(e.g. wide dynamic range compression), 볼륨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의 입력 장치부(327)를 통하여 모드 또는 볼륨 설정 시, 설정 상태 확인 및 원하는 모드 설정에 불편함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레벨이 3에서 2로 변경할 시, 버튼으로 동작할 경우, 3->4->5->1->2 로 5번의 버튼 누를 수 있다. 다른 전자장치(30)와 연계하여 설정할 경우, 간편하게 청각 전자장치(3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입력 장치부(307)(터치 키, 버튼) 및 디스플레이부(317)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30)를 이용할 경우, 전자 장치(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UI가 제공가능하며, 사용자가 제공된 UI에 따라 쉽게 청각 전자장치(32)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볼륨 변경 시, 터치 입력을 통하여 모드 설정, 한 번의 입력을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센서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35)는 근접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생체센서 등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는 센서부(3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착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착용유무 판단하여 청각 전자장치(32)의 파워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32)가 가속도 센서의 경우,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특정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sleep 모두로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모바일 전자장치(30)와 연결하여 원격지의 소리를 선명하게 들을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30)에 녹음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하여 듣거나, 청취하는 소리를 모바일 전자장치(30)에 오디오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원격지의 소리를 선명하게 듣기 위해 모바일 전자장치(30)의 입력부(e.g.마이크) 신호를 원격 마이크로 설정할 경우, 청각 전자장치(32)는 모바일 전자장치(30)의 마이크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30)에서 수신된 마이크의 오디오 신호는 데이터 압축 단계를 거쳐 함축된 데이터 일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325)의 안테나를 통하여 청각 전자장치(32)에 전달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는 무선통신부(325)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포맷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를 분리하여, 오디오 정보 해제 단계를 거쳐 리시버 출력으로 재생해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모바일 전자장치(30)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재생할 수 있다. 모바일 저장장치(30)에는 다수의 알람음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상황이나 시스템의 상태, 시간, 메시지 수신 유무, 이메일 수신 여부에 따라 다른 알람음을 청각 전자장치(32)에 전달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가 있다. 청각 전자장치(32)는 모바일 전자장치(30)에서 전달된 데이터에서, 데이터 포맷 내 포함된 오디오 정보를 분리하여, 오디오 정보 해제 단계를 거쳐 오디오 처리부(329)에 있는 리시버 출력으로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모바일 전자장치(30)를 이용하여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30)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한 뒤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30)는 오디오 신호를 STT(speech to text)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STT 방식을 이용하여 대화 내용을 텍스트로 저장할 수가 있다. 대화 내용을 텍스트로 저장할 때에는 시간 정보 및 센서 정보,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대화 내용은 모바일 전자장치(30)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또는 TTS(text to speech)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경 후 청각 전자장치(32)의 리시버 출력으로 전송할 수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32)는 마이크로 수신된 신호는 모바일 저장부(331)에 전달되어 저장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의 마이크로 수신된 신호를 모바일 전자장치(30)에 전달하는데 전류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을 한 다음 압축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을 하고, 해제를 하는 코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청각 전자장치(32)의 마이크로 수신된 신호는 모바일 전자장치(30)로 전달된 다음 speech to text 변환하여 텍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의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32)와 모바일 전자장치(30)는 마이크와 리시버를 이용하여, 원격지 간에 통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청각 전자장치(42)는 다른 전자장치(40)와 통신을 청각 전자장치(42)의 설정 제어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자장치(40)에 청각 전자장치(42) 설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모드 제어 및 볼륨 제어 등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0)를 통하여 청각 전자장치(40)에 설정 가능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입력장치(e.g. 터치윈도우)를 통하여 원하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42)의 볼륨은 다른 전자장치(40)의 입력부(e.g. 볼륨키)를 통하여 변경할 수 있다. 그 외 청각 전자장치(42)와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40)의 다양한 센서(가속도센서, 자이로 센서, 생체센서, 근접센서 등)를 통하여 모드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를 좌우 혹은 위아래로 흔들 시, 설정된 청각 전자장치(42)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기에 존재하는 지문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에 맞는 설정 상태로 모드 정보를 변경 설정 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청각 전자장치와 다른 전자장치는 도 5에서 제시된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와 모바일 전자장치 간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 데이터 포맷은 BLE 포맷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수정하여 오디오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 AoBLE(audio over BLE)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전자장치는 L2CAP, Logical, Physical Layer를 가질 수 있으며, 상위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와 모바일 전자 장치 간에 음성 데이터, 오디오 처리부(e.g. codec)의 sampling rate, frame size, 활성화 등 설정 데이터를 상기 PDU Payload에 실어서 교환할 수 있다. 상기 L2CAP Header부에 데이터 종류를 구분하는 OP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청각 전자장치의 설정을 변경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62)는 다른 전자장치(60)를 이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자장치(60)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청각 전자장치(62)에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청각 전자장치(62)와 통신 연결을 모바일 전자장치(60)에 입력하면, 모바일 전자장치(60)는 청각 전자장치(62)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60)는 청각 전자장치(62)로부터 설정된 특성 정보를 요청하고, 청각 전자장치(62)는 설정 정보를 모바일 전자장치(6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60)는 청각 전자장치(62)의 설장된 데이터 및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청각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청각 파라미터 선택 시, 제어부는 오디오 처리부(e.g. CODEC)의 필터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필터 정보 갱신 후 모바일 전자장치(60)는 설정 완료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62)는 청각 파라미터 설정 시, 청각 전자장치(62)의 초기화 동작, 메모리 용량 수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72)는 제1전자장치(70)와 제1통신 연결(①)을 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72)는 제1전자장치(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자장치(70)를 통하여 청각 전자장치(72)의 오디오 필터 정보를 설정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72)는 제1전자장치(70)를 통하여 제2전자장치(71)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제1전자장치(70)는 제2전자장치(71)들 또는 네트워크와 제3통신 연결(③)을 연결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72)는 제1통신 장치가 제공되는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제2전자장치(71) 또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72) 제1통신 연결(①)을 NFMI 또는 BLE로 연결될 수 있고, 제1전자장치(70)는 제2전자장치(71) 또는 네트워크(게이트 웨이를 통한 연결 포함)와 제3통신 연결(③)을 wifi로 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72)는 제1전자장치(70)를 이용하여 제2전자장치(71) 또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피팅(오디오 필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2전자장치(71)의 오디오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청각 전자장치(72)에 출력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72)는 제2전자장치(71)와 제2통신 연결(②)을 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72)는 제2전자장치(71)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 전자장치(72)는 전화 통신을 위한 규격을(Ex. 3G,LTE) 제공할 수 있으며, 기지국과 통신 연결되어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80)는 몸체부(81)(Body part), 튜브(82)(Tube), 리시버부(83)(receive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 하우징(810) 내부에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HW component(e.g. pcb, 센서, 마이크 등)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부(83)는 사용자의 내부귀(내이도)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리시버부 하우징 내부에 오디오를 출력하는 리시버(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부(8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로 삽입될 수 있다. 리시버부(83)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이어 몰드(ear mol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는 별도 피스 형태로 제작되어 리시버 모듈과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튜브(82)는 몸체부(81)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리시버(830)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튜브(82)는 딱딱한(rigid)한 물질로 구성하여,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귀에 착용시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튜브(82)는 몸체부(81) 또는 리시버부(83)와 일체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82)는 몸체부(81) 또는 리시버부(83)와 적어도 한 부분이 커넥터로 연결되어 분리가능한 구조로 될 수 있다. 상기 튜브(82)와 리시버부(83)가 일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81) 일부와 튜브(82) 일부는 커넥터 형태를 포함하고 서로 연결 분리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청각 전자장치(80)의 착용이 불편할 경우, 상기 리시버부(83) 및 튜브(82)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튜브(82) 및 리시버부(83)는 사용자의 착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와 이어 몰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는 이어폰(earphon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은 이어피스(earpie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피스는 리시버(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몸통부(9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9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이어 몰드(90)(ear mold)가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90)는 이어 피스(리시버)(92)에서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90)를 이어피스(리시버)에 장착하는 과정은 강제 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결합 방향으로 최소 축방향력 이상의 힘이 이어 몰드(90)에 가해짐으로써, 이어피스가 이어 몰드(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90)는 리시버(92)가 귀에 안착 시, 사용자에게 적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 몰드(90)는 리시버를 귀, 구체적으로 귀속에 착용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어 몰드(90)는 부드러운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서, 착용 느낌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 몰드(90)는 귀, 귀부근, 귀속에 착용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귀속 착용 부재 또는 착용 부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 몰드(90)는 돔(dome) 형상이어서, 돔(dome), 이어 돔(ear dome), 돔 부재(dome member)로 지칭하거나, 캡(cap) 형상이어서, 이어 캡(ear cap), 캡(cap), 캡 부재(cap member)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90)는 돔이나 캡으로 혼용으로 기재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 몰드(90)는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귀(귀속 터널)와 외부귀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적인 통로(spatial path)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공간적인 통로 제공여부는 선택적일 수 있다. 언급된 공간은 귓 속을 포함하는 터널 같은 형상(tunnel-type)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제공될 경우, 상기 이어 몰드(90)가 개방형 상태(opened state)라고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어 몰드(90)가 폐쇄형 상태(closed state)라고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적인 통로는 이어 몰드(90)에 형성된 관통 홀이나 관통 개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90)는 복수 개의 이어 돔(901,903)(ear dome)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이어 돔(901,903)에는 돔 홀(9011,9031)(dome hole)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돔 홀(9011,9031)은 리시버(92) 착용 시, 귀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결합된 제2이어 돔과 제1이어 돔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 제1,2이어 돔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어 몰드의 개방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 몰드(90)는 복수 개의 이어 돔(901,903)(ear dome)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이어 돔(901,903)에는 돔 홀(9011,9031)(Dome hole)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901) 또는 상기 제2이어 돔(903)은 부드럽고 사용자의 이도에 순응적인(pliable to user's ear canal) 부품일 수 있다.
상기 돔 홀(9011,9031)은 내외귀를 관통하는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관통홀(through hole)이라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돔 홀(9011,9031)은 관통홀로 혼용으로 기재할 수 있다. 상기 돔 홀은 제1,2돔 홀(9011,90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돔 홀(9011)은 제1이어 돔(901)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2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돔 홀(9031)은 제2이어 돔(903)의 제3면과, 상기 제3면과 반대로 향하는 제4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돔 홀(9011,9031)은 일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은 리시버 장착부가 연장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돔 홀(9011,9031)은 리시버(92) 착용 시, 귀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92)는 대략적인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일 수 있다. 예컨대, 리시버(92)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된 이어 돔은 제1,2이어 돔(901,9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에서 멀게 배치된 이어 돔은 제1이어 돔(901)이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리시버(92)에 가깝게 배치된 이어 돔은 제2이어 돔(903)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어 돔(901)에는 사운드 홀(90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홀(9012)은 리시버(92)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가 통과하는 개구일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의 출력은 사운드 홀(9012)(Sound hole)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홀(9012)은 음향이 통과하기 때문에 관통홀(through hole)이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901)과 제2이어 돔(903)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이어 돔의 제1돔 홀(9011)과 제2이어 돔의 제2돔 홀(9031)이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어 몰드의 일부 영역에 리시버(9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의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이어 돔은(903) 원통형 형상의 리시버 안착부(9033)(receiver moun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안착부(9033)는 리시버(92)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방향이 중심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제1이어 돔(901)의 회전 중심축이 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안착부(9033)는 리시버(9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면 및 상기 내면 반대쪽에 형성된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901)은 상기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리시버 안착부(903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안착부(9033)의 일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어 돔(903)은 제1이어 돔(90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이어 돔(901)의 적어도 일부와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의 제1돔 홀(9011)과 제2이어 돔의 제2돔 홀(9031)은 서로 완전히 연통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일부 겹치게 배치되거나(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열되거나), 서로 연통하지 않게(오프셋 상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돔 홀(9011,9031)이 서로 연통하게 배치되면, 상기 제1,2돔 홀(9011,9031)은 함께 하나의 돔 홀을 제공할 수 있고, 이어 돔 앞면과 뒷면을 통하게 하는 연결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이어 돔의 개방형 상태를 지칭하며, 돔 홀을 제공한 상태라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어 돔(901)은 제2이어 돔(903)에 결합 구조(9038)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구조는 공지의 홈과 돌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어 돔(901)은 제2이어 돔(9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이어 돔(901)은 회전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90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1이어 돔의 제1돔 홀(901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의 제1돔 홀(9011)과 제2이어 돔의 제2돔 홀(9031)이 인접하게 위치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돔 홀(901)은 4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홀(9012) 중심에서 45도, 135도, 225도 315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어 돔(903)의 돔 홀(9031)은 4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90도, 180도, 270도 360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1,2이어 돔(901,903)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이어 돔(90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이어 돔(903)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어 돔(903)의 단부(9035)가 제1이어 돔(901) 단부를 감싸서, 외형적으로 매끈한 형상이 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어 돔(903)은 상단에 돌출된 부분(9037)을 구비하여, 상기 제1이어 돔(901)과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다.
제2이어 돔(903)에 살붙임 용도(지지)의 구조물(90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7)은 제2이어 돔(903)의 돔 부분과 리시버 장착부(9033) 사이를 연결하는 형상으로서, 돔 홀(903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돔 홀 사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7)의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7)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이어 돔(903)에 살붙임 용도(지지)의 구조물(9036)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이나, 적어도 한 쌍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6)은 제2이어 돔(903)의 돔 부분과 리시버 장착부(9033) 사이를 연결하는 형상으로서, 돔 홀(9031)이 형성된 홀 위치 라인(L2)을 제외한 영역, 예컨대, 구조물 단부 위치 라인(L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6)의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6)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36)은 리시버 안착부(9033)까지 연결되는 구조(도 13b에 도시됨)로 구성될 수 있거나, 리시버 안착부와 이격되게 구성(도 18에 도시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 제1,2이어 돔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어 몰드의 폐쇄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리시버(9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이어 몰드 몸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의 제1돔 홀(9011)과 제2이어 돔의 제2돔 홀(9031)이 인접하게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돔 홀(9011)의 위치 각도가 달라져서 돔 홀 영역이 서로 공유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런 상태가 이어 몰드의 폐쇄형 상태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이어 돔(901) 혹은 제2이어 돔(902)에서 분리되어 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의 제1돔 홀(9011)과 제2이어 돔의 제2돔 홀(9031)이 인접하게 위치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이어 돔의 제2돔 홀(9031)은 4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홀 중심에서 45도, 135도, 225도 315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의 돔 홀(9011)은 4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90도, 180도, 270도 360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각 돔의 돔 홀의 영역의 위치가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 돔 앞면과 뒷면을 통하게 하는 통로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돔 홀의 형성 개수는 4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돔 홀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 귀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간적 연결 통로가 생성되거나 혹은 차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돔 홀의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 통로를 생성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13,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이어 돔(901)은 제2이어 돔(903)과 분리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제1이어 돔(901)은 사용자가 끼움 형태로 제2이어 돔(903)과 결합될 수 있다. 제2이어 돔(903)에 제1이어 돔(901)을 끼울 때, 형태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번째, 완전히 제2이어 돔(903)이 제1이어 돔(901)과 밀착되어 끼워져서 외부와 내부가 차단된 밀폐 상태로 끼워질 수도 있고, 두번째는 제2이어 돔(903)이 제1이어 돔(901)과 틈이 형성되어, 끼워질 수 있어서, 내부와 외부 사이가 개방된 형태로 끼워질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 몰드와 리시버(92)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92)는 제1이어 돔에 결합될 수 있거나, 제2이어 돔에 결합될 수 있거나, 제1,2이어 돔에 결쳐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시버(92)의 결합 위치가 제1이어 돔에 존재하거나, 제2이어 돔에 존재하거나, 제1,2이어 돔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에 있어서, 리시버(92)와 결합되는 결합 구조는 다소 딱딱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결합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제1,2이어 돔은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하여 착용 느낌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어 돔과 제2이어 돔의 길이가 같게 형성될 수 있고, 제1이어 돔 길이가 제2이어 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이어 돔이 제2이어 돔을 완전 덮도록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어 돔 및 제2이어 돔에 형성되어 있는 돔 홀의 개수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 돔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2개 이상, 즉 3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이어 돔에 있는 돔 홀의 크기는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어 돔이 회전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가이드를 주게끔 돔 홀들이 완전 정합되거나, 부정합될 때를 가늠할 수 있는 표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1이어 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리시버(92)는 제2이어 돔(90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시버(9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구조(리시버 안착부9033)가 제2이어 돔(90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걸림 구조(922;도 9에 도시)를 구비하는데, 상기 걸림 구조(922)는 걸림 홈과,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9033)는 상기 리시버에 구비된 걸림 구조(9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결합 구조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2이어 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시버(92)는 제1이어 돔(90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시버(9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구조(리시버 안착부;9053)가 제1이어 돔(905)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걸림 구조(922;도 9에 도시)를 구비하는데, 상기 걸림 구조(922)는 걸림 홈과, 두 개의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9053)는 상기 리시버(92)에 구비된 걸림 구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결합 구조(9053)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어 돔(907)은 회전 동작 시, 제2이어 돔(907)을 손쉽게 회전시킬수 있도록 살붙임 용도(지지)의 구조물(90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75)은 돔 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도 13b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75)의 크기는 가변적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9075)은 회전 동작 시에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역할을 하는 구조물(9075)는 리시버 장착부(9053)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의 내부면(9075a)은 리시버 장착부(9053)의 외면과 마주볼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1,2이어 돔에 걸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시버(92)는 제1,2이어 돔(906,908)에 걸쳐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시버(9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구조(9083)가 제1,2이어 돔(906,908)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걸림 구조(922;도 9에 도시)를 구비하는데, 상기 걸림 구조(922)는 걸림 홈과, 2개의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걸림 돌기는 제1이어 돔(906)에 있는 리시버 장착부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 돌기는 제2이어 돔(908)에 있는 리시버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조(9083)는 상기 리시버에 구비된 걸림 구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결합 구조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의 리시버가 제1,2이어 돔에 걸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시버(92)는 제1이어 돔(90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시버(9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구조(9023)(리시버 장착부)가 제1이어 돔(906)에 원통형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걸림 구조(922;도 9에 도시)를 구비하는데, 상기 걸림 구조(922)는 걸림 홈과, 2개의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구조는 제1이어 돔(906)에 있는 리시버 장착부(90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장착부와 같은 결합 구조(9023)는 상기 리시버(92)에 구비된 걸림 구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92)는 결합 구조(9023)에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어 돔(902)은 외주면에 결합 홈(9024)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이어 돔의 내부 부분(9043)이 상기 결합 홈(902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청각 전자장치가 귓속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1은 내부귀(내이)(A2)와 외부귀(외이)(A1) 사이의 연결 통로에 리시버(1002)가 결합된 이어 몰드(1000)가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상기 이어 몰드(1000)의 상태 변경에 따라서, 내부귀(A2)와 외부귀(A1)를 연결하는 공간적인 통로가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 (unit), 로직 (logic), 논리 블록 (logical block), 부품 (component), 또는 회로 (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 (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implement)(예: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개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1.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경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이어피스; 및
    상기 이어피스와 연결된 이어 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 몰드는
    상기 리시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내면 및 상기 내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외면을 포함하며, 제1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캡; 및
    상기 제1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캡의 적어도 일부와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연장된 제2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캡은 상기 제1캡의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2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캡은 상기 제2캡의 제3면과 상기 제3면의 반대로 향하는 제4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캡은 상기 제1캡에 대하여,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은, 상기 제2캡의 상기 회전에 따라,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거나 오프셋(offset)될 수 있도록 위치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형성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캡은, 상기 리시버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향 신호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제3관통홀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캡의 상기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냅 링(snap ring)을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은 상기 실린더와 일체로 형성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 또는 상기 제2캡은 부드럽고 사용자의 이도에 순응적인(pliable to a user's ear canal)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캡 또는 상기 제2캡을 형성한 제1물질보다 단단한 제2물질로 형성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몰드는 상기 이어피스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몰드를 상기 이어피스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제1축의 방향으로의 최소 축방향력(minimal axial force) 이상의 힘이 상기 이어 몰드에 가해짐으로써 수행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피스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장치.
  13. 청각 전자장치에 있어서,
    리시버; 및
    상기 리시버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어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 몰드는
    제 1 위치 상태에서, 관통홀이 구비된 개방형 상태이고,
    제 2 위치 상태에서,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은 폐쇄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관통홀 상태의 선택은 상기 이어 몰드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내부귀와 외부귀를 연결하는 통로로 동작하는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몰드는
    제1이어 돔; 및
    상기 제1이어 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어 돔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어 돔은 제2이어 돔에서 회전하여, 상기 개방형 상태나 폐쇄형 상태를 제공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어 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어 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이 서로 연통하게 배치되면, 상기 관통홀이 구비되어 음향 신호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형 상태를 제공하고,
    상기 각각의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이 서로 연통하지 않게 오프셋 상태로 배치되면, 상기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은 폐쇄형 상태를 제공하는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제1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제1,2이어 돔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2이어 돔에 걸쳐서 결합되며,
    상기 제1이어 돔은 제2결합 구조에 의해 제2이어 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어 돔은 리시버가 결합되는 리시버 장착부를 포함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어 돔과 리시버 장착부 사이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이나,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손잡이가 더 형성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제2이어 돔에 있는 관통홀 위치 라인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이어 돔과 리시버 장착부 사이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구조물이거나, 상기 리시버 장착부와 이격되게 제2이어 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장치.
  23.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부;
    리시버가 결합되며,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개방형 상태와, 내부귀와 외부귀 사이를 막는 폐쇄형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어 몰드; 및
    상기 리시버와 마이크부를 연결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몰드는
    제1이어 돔; 및
    상기 제1이어 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어 돔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이어 돔은 제2이어 돔에서 회전하여, 상기 개방형 상태나 폐쇄형 상태를 제공하는 장치.
KR1020150083403A 2015-06-12 2015-06-12 청각 전자장치 KR10229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03A KR102292043B1 (ko) 2015-06-12 2015-06-12 청각 전자장치
US15/161,793 US9894449B2 (en) 2015-06-12 2016-05-23 Ear mold for audit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03A KR102292043B1 (ko) 2015-06-12 2015-06-12 청각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307A true KR20160146307A (ko) 2016-12-21
KR102292043B1 KR102292043B1 (ko) 2021-08-20

Family

ID=5773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403A KR102292043B1 (ko) 2015-06-12 2015-06-12 청각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4449B2 (ko)
KR (1) KR102292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77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1246766A1 (en) * 2020-06-05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220027669A (ko) * 2020-08-27 2022-03-08 박관식 멀티 이어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931B2 (en) * 2017-10-17 2020-11-17 Eargo, Inc. Device-cleaning wax guards
US10542574B1 (en) * 2017-11-15 2020-01-21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device connection handover
US10721661B2 (en) 2017-11-15 2020-07-21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device connection handover
US10694437B2 (en) 2017-11-15 2020-06-23 Amazon Technologies, Inc. Wireless device connection handover
US10887051B2 (en) * 2019-01-03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Real time MIC recovery
US11546686B2 (en) 2021-04-06 2023-01-03 Dan Clark Audio, Inc. Headphone ear pa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4902B1 (en) * 1999-04-29 2004-04-20 Insound Medical, Inc. Canal hearing device with tubular insert
KR20050118375A (ko) * 2004-06-14 2005-12-19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의 귀삽입구
KR101169888B1 (ko) * 2011-01-26 2012-07-31 이승택 귀걸이 형 보청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401A (en) * 1974-08-29 1976-01-27 Shore Sidney X Earpiece for acoustic headset
WO2002076140A2 (de) * 2001-03-16 2002-09-26 Jaromir Kulman Gehäuse eines hörgerätes
EP1594340B1 (en) * 2004-05-03 2012-05-30 GN ReSound A/S Flexible ear piece for a hearing aid
US8031900B2 (en) * 2006-02-27 2011-10-04 Logitech International, S.A. Earphone ambient eartip
KR100968406B1 (ko) * 2008-02-20 2010-07-07 크레신 주식회사 웨이브가이더가 장착된 헤드폰
JP4894849B2 (ja) * 2008-11-28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JP5262702B2 (ja) * 2008-12-26 2013-08-14 ヤマハ株式会社 イヤホン構造体及びイヤホン
KR101340920B1 (ko) * 2010-01-25 2013-12-13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US9313568B2 (en) 2013-07-23 2016-04-12 Chicago Custom Acoustics, Inc. Custom earphone with dome in the canal
DK2840808T3 (en) 2013-08-22 2018-01-08 Bernafon Ag Sound tube and eartip for a behind-the-ear hearing a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4902B1 (en) * 1999-04-29 2004-04-20 Insound Medical, Inc. Canal hearing device with tubular insert
KR20050118375A (ko) * 2004-06-14 2005-12-19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의 귀삽입구
KR101169888B1 (ko) * 2011-01-26 2012-07-31 이승택 귀걸이 형 보청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77A1 (ko) * 2018-10-19 202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21246766A1 (en) * 2020-06-05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689840B2 (en) 2020-06-05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220027669A (ko) * 2020-08-27 2022-03-08 박관식 멀티 이어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8631A1 (en) 2017-02-16
US9894449B2 (en) 2018-02-13
KR102292043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043B1 (ko) 청각 전자장치
US9124992B2 (en) Wireless in-the-ear type hearing aid system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10112B2 (en) External microphone array and hearing aid using it
US10659894B2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KR10254968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42940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US20180124527A1 (en) Hearing assistance method utilizing a broadcast audio stream
US20150139459A1 (en) Communication system
JP6554715B1 (ja) ヘッドセット一体型耳装身具
US11700493B2 (en) Hearing aid comprising a left-right location detector
US11356783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own voice processor
US11893997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automatic transcription using ear-wearable device
EP2876899A1 (en) Adjustable hearing aid device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EP2876902A1 (en) Adjustable hearing aid device
KR101009885B1 (ko) 무선 이어폰 세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
KR102609206B1 (ko) 크래들을 구비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US20220322018A1 (en) Interchangeable hearing device transducer module storing transducer calibration information
EP4294041A1 (en) Earphone, acoustic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4034086A1 (ja) 補聴器、補聴器を用いた補聴システム、および補聴方法
JP2001275193A (ja) 補聴器
JP2014236439A (ja) 伝導型補聴器及び伝導型補聴器用アプ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