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669A - 멀티 이어팁 - Google Patents

멀티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669A
KR20220027669A KR1020200108821A KR20200108821A KR20220027669A KR 20220027669 A KR20220027669 A KR 20220027669A KR 1020200108821 A KR1020200108821 A KR 1020200108821A KR 20200108821 A KR20200108821 A KR 20200108821A KR 20220027669 A KR20220027669 A KR 20220027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tip
coupled
ear
ho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360B1 (ko
Inventor
박관식
박민우
Original Assignee
박관식
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관식, 박민우 filed Critical 박관식
Priority to KR102020010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3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쉘의 종단에 결합되어 벤트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멀티 이어팁은 쉘의 종단에 결합되는 결합홀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벤트홀이 형성되는 제1 이어팁; 및 벤트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정 벤트홀이 형성되며, 제1 이어팁의 전방을 감싸면서 결합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이어팁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벤트홀의 노출되는 크기를 조정하는 제2 이어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이어팁에 결합되는 제2 이어팁을 회전 조정하면서 벤트홀의 개폐되는 범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 현상 등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이어팁{Multi-ear tip}
본 발명은 멀티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청기 또는 이어폰에 적용되어 벤트홀의 개폐되는 범위를 조정하여 사용자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 현상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멀티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로서,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진동으로 변환한 후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따라 증폭기로 확대하여 리시버를 통해 음파로 출력한다.
이러한 보청기는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입력받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리시버로 이루어진다.
보청기의 종류로는 그 모양 및 크기에 따라 몸에 부착하는 포켓형, 귀 뒤로 거는 귀걸이형, 외이도 입구를 일부 채우는 외이도형 및 외이도 내로 완전히 넣어 타인의 눈에 잘 뛰지 않는 고막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보청기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있다.
한편, 보청기 또는 이어폰과 같이 쉘의 종단에는 사용자의 귀에 편안한 장착을 위해서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울림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홀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귀 형상 및 청력에 따라 변경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5793호, 2016년 1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보보청기 또는 이어폰에 적용되어 벤트홀의 개폐되는 범위를 조정하여 사용자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 현상 등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멀티 이어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쉘의 종단에 결합되어 벤트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멀티 이어팁은 쉘의 종단에 결합되는 결합홀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벤트홀이 형성되는 제1 이어팁; 및 벤트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정 벤트홀이 형성되며, 제1 이어팁의 전방을 감싸면서 결합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이어팁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벤트홀의 노출되는 크기를 조정하는 제2 이어팁;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이어팁은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을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구를 구비하고, 결합구의 종단은 둘레면을 따라 제1 기어가 형성되고, 결합홀은 제1 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제2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어팁 및 제2 이어팁은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이어팁은 제1 이어팁에 결합되는 제2 이어팁을 회전 조정하면서 벤트홀의 개폐되는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 현상 등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이 보청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이 적용되는 보청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어팁을 통해 제1 이어팁의 노출면적을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이 보청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이 적용되는 보청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어팁을 통해 제1 이어팁의 노출면적을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이어팁(110)은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쉘의 종단에 결합되어 울림현상을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이어팁(111) 및 제2 이어팁(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이어팁(111)은 일측이 제2 이어팁(112)에 결합되고, 타측이 쉘(12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반구몸체(1111), 결합구(1112), 벤트홀(1113) 및 제1 기어(1114)를 구비한다.
제1 반구몸체(1111)는 쿠션이 있는 말랑말랑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 속에 착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대략적으로 내부가 빈 얇은 반구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1112)는 대략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반구몸체(1111)의 내측 상면에서 연결되고, 타단이 쉘(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홀(1116)이 형성된다. 결합구(1112)의 관통홀(1116) 상단에는 제2 이어팁(112)의 제2 기어(112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제1 기어(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구(1112)의 관통홀(1116) 하단에는 쉘(120)의 고정구(1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홀(1115)이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홀(1113)은 제1 반구몸체(1111)의 결합구(1112)를 중심으로 제1 반구몸체(1111)의 상면에 방사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벤트홀(1113)의 크기는 결합되는 제2 이어팁(112)을 통하여 노출면적이 가변적으로 변하여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벤트홀(1113)은 결합구(1112)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3개가 형성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어(1114)는 관통홀(1116)의 상단측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기어(1114)는 내주면을 따라 치형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기어가 형성되어 제2 이어팁(112)에 구비되는 제2 기어(1124)와 결합됨으로써 제2 이어팁(112)의 회전 구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기어(1114)는 제2 이어팁(112)이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이 기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어(1114)에 제2 이어팁(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어 벤트홀(1113)의 개폐되는 범위를 손쉽게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의 상태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현상 등을 자유롭게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고정홀(1115)은 관통홀(1116)을 따라 제1 기어(1114)의 하측에 형성된다. 고정홀(1115)은 일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홀(1115)은 고정홀(1115)의 출구측 직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고정구(121)에 결합된 후에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어팁(111)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로 일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이어팁(111)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구(121)에 늘어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어팁(112)은 제1 이어팁(111)에 결합되어 벤트홀(1113)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2 반구몸체(1121), 조정 벤트홀(1122), 연결구(1123) 및 제2 기어(1124)를 구비한다.
제2 반구몸체(1121)는 제1 이어팁(1111)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이어팁(1111)의 상단의 반구 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납작한 내부가 빈 얇은 구조의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 벤트홀(1122)은 제2 반구몸체(1121)에 벤트홀(1113)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조정 벤트홀(1122)은 바람직하게는 벤트홀(1113)이 형성된 곳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어(1124)는 제2 반구몸체(1121)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연결구(1123)의 종단에 형성된다. 제2 기어(1124)가 제1 기어(1114)에 결합되어 치형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기어(1124)가 제1 기억(1114)와 치형결합 되면, 제2 이어팁(112)은 제1 이어팁(1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제1 이어팁(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벤트홀(113)의 노출되는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 현상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어팁(112)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이어팁(111)과 함께 귀속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 이어팁(112)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있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이어팁(111)과 결합될 때에 탄성으로 늘어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이어팁은 제1 이어팁에 결합되는 제2 이어팁을 회전 조정하면서 벤트홀의 개폐되는 범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따라 울림량, 공명 또는 막힘 현상 등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1 : 제1 이어팁 1111 : 제1 반구몸체
1112 : 결합구 1113 : 벤트홀
1114 : 제1 기어 112 : 제2 이어팁
1121 : 제2 반구몸체 1122 : 조정 벤트홀
1123 : 연결구 1124 : 제2 기어

Claims (3)

  1.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쉘의 종단에 결합되어 벤트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멀티 이어팁에 있어서,
    상기 쉘의 종단에 결합되는 결합홀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벤트홀이 형성되는 제1 이어팁; 및
    상기 벤트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정 벤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어팁의 전방을 감싸면서 상기 결합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이어팁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의 벤트홀의 노출되는 크기를 조정하는 제2 이어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이어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팁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홀을 향하여 연장되는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구의 종단은,
    둘레면을 따라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 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제2 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이어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팁 및 제2 이어팁은,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이어팁.
KR1020200108821A 2020-08-27 2020-08-27 멀티 이어팁 KR10243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21A KR102430360B1 (ko) 2020-08-27 2020-08-27 멀티 이어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21A KR102430360B1 (ko) 2020-08-27 2020-08-27 멀티 이어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69A true KR20220027669A (ko) 2022-03-08
KR102430360B1 KR102430360B1 (ko) 2022-08-09

Family

ID=8081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21A KR102430360B1 (ko) 2020-08-27 2020-08-27 멀티 이어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75A (ko) * 2004-06-14 2005-12-19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의 귀삽입구
KR20090062924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 기어세트
KR101585793B1 (ko) 2014-09-30 2016-01-15 정금필 스마트 보청기
KR20160146307A (ko) * 2015-06-12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각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375A (ko) * 2004-06-14 2005-12-19 엠엠기어 주식회사 이어폰의 귀삽입구
KR20090062924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 기어세트
KR101585793B1 (ko) 2014-09-30 2016-01-15 정금필 스마트 보청기
KR20160146307A (ko) * 2015-06-12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각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360B1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9846B2 (en) Vented in-the-ear headphone
CN107950034B (zh) 入耳式耳机的降噪
EP3429223B1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KR101558091B1 (ko) 기압평형수단이 구비된 커널형 이어폰
US8792663B2 (en) Hearing device with an open earpiece having a short vent
US9237394B2 (en) Canal type earphone with pressure equilibrium means
CN108810705B (zh) 耳屏下耳机单元
US11234085B2 (en) Earpieces and related articles and devices
CN110679160B (zh)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JP2005323363A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CN107548561B (zh) 耳机
JP2008512882A (ja) 補聴器用イヤピースおよび補聴器
JP2012244350A (ja) カナル型イヤホン
WO2006070229A2 (en) Earphone
US10972822B2 (en)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JP2000300599A (ja) 耳せん
KR102430360B1 (ko) 멀티 이어팁
US11178497B2 (en) In-ear receiver
KR102443165B1 (ko)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CN114584885A (zh) 具有倾斜麦克风/接收器的听力设备耳机
WO2009004395A1 (fr) Dispositif electro-acoustique auriculaire
KR101756648B1 (ko)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US20230049385A1 (en) Adaptive eartip for true wireless stereo headsets
US20230319494A1 (en) Hearing device
EP4254980A1 (en) Hea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