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09B1 -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09B1
KR101413009B1 KR1020070100205A KR20070100205A KR101413009B1 KR 101413009 B1 KR101413009 B1 KR 101413009B1 KR 1020070100205 A KR1020070100205 A KR 1020070100205A KR 20070100205 A KR20070100205 A KR 20070100205A KR 101413009 B1 KR101413009 B1 KR 10141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fixed body
polyac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119A (ko
Inventor
황창연
김영기
강신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09B1/ko
Priority to US12/244,537 priority patent/US8457695B2/en
Publication of KR2009003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는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고정 몸체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이동하는 이동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몸체가 이동될 때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되는 부분이 방향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방향제를 자극하여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마찰을 통해 마찰 부재의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가 지속적으로 표면에 노출되므로 장기간을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방향제, 향기, 마찰, 사출, 폴리아세탈

Description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ragrance assembl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는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에 더하여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향기를 제공하 기 위한 방법이 다각도로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향기가 나는 플라스틱 카드나 방향 액을 내뿜는 용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이를 직접 조작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방법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향기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플라스틱 카드의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플라스틱 카드에서 향이 발산되자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향 액의 경우, 사용자가 충전되어 있는 방향 액을 사용하게 되면 이를 보충해주기 전까지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종래의 경우 향기를 유지시키기 위해 방향제(예컨대, 방향 플라스틱 카드나 방향 액 등)를 주기적으로 교체(또는 보충)해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매번 사용자가 직접 방향제를 교체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며, 교체에 따른 별도의 비용이 소모된다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별다른 조작이나 방향제의 교체 과정 없이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는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정 몸체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몸체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몸체 로부터 이동하는 이동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몸체가 이동될 때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되는 부분이 방향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찰이 발생되는 위치에 향을 발산하는 마찰 부재가 부착된다. 따라서 통화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방향제가 자극되어 향이 발산된다. 또한, 마찰을 통해 마찰 부재의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가 지속적으로 표면에 노출되므로 장기간을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고정 몸체(120)와 이동 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몸체(110)는 상부면에 표시부(112)와 다수의 제어 키(114)를 포함한다.
표시부(1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11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표시부(112)는 액정 패널과 백 라이트(back ligh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 패널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 셀들 각각은 비디오 신호, 즉 해당 화소 신호에 응답하여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백 라이트는 액정 패널로 빛을 조사한 다. 이에 사용자는 액정 패널을 투과하는 빛을 통해 화면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제어 키(1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하며 이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다른 이동 몸체(110)는 후술되는 고정 몸체(12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정 몸체(120)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된다.
고정 몸체(120)는 숫자와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는 문자 키들이 상부면에 배치되며, 문자 키(122)들이 배치된 상부면의 일측이 이동 몸체(110)의 하부면과 연결된다. 이때 이동 몸체(110)는 고정 몸체(120)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몸체(120) 상에 체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몸체(120)는 방향 부재인 마찰 부재(130)를 포함한다. 마찰 부재(130)는 고정 몸체(120)의 상부면 중 이동 몸체(110)와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120)의 문자 키(122)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부착된다. 이에 따라 이동 몸체(110)가 고정 몸체(120) 상에서 이동될 때 이동 몸체(110)의 하부면(특히 마찰 부재와 대면하는 부분)이 고정 몸체(120)의 마찰 부재(130)와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키며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130)는 향기를 내는 방향 부재로, 합성수지에 방향제를 배합하여 형성된다. 마찰 부재(130)에 이용되는 합성수지로는 폴 리아세탈(POM : Polyacetal)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아세탈이 저온 사출이 가능하기 때문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방향제의 분해 온도는 200℃ ~ 220℃ 이다. 따라서 사출 용융온도가 이를 초과할 경우, 방향제는 방향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저온 사출이 가능한 폴리아세탈을 합성수지로 이용한다. 이처럼 폴리아세탈을 이용하는 경우, 200℃ 이하로 사출이 가능하므로, 방향 기능의 상실 없이 방향제를 마찰 부재(130)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130)는 폴리아세탈에 3% ~ 7%의 비율(구체적으로 약 5%)의 비율로 방향제를 배합한다. 이는 과다하게 방향제를 투여함으로 인하여 마찰 부재(130)의 물성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배합된 폴리아세탈과 방향제는 용융된 후, 사출되어 마찰 소재로 형성된다. 전술하였듯이, 이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130)는200℃ 이하를 유지하며 사출된다. 즉, 일반적인 폴리아세탈의 사출 온도인 170℃ ~ 200℃의 범위에서 용융되어 사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 몸체(110)를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이동 몸체(110)를 밀어올리기 위해 이동 몸체(110)를 엄지 손가락 등으로 누르는 동작을 우선적으로 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몸체(110)의 하부면(특히 마찰 부 재와 대면하는 부분)과, 고정 몸체(120)에 부착되어 있는 마찰 부재(130)는 서로 밀착되며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이동 몸체(110)를 밀어올리게 되면 이동 몸체(110)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접촉되어 있는 부분, 즉 이동 몸체(110)의 하부면과 마찰 부재(130)는 서로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마찰 부재(130)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들은 자극되고, 이를 통해 마찰 부재(130)는 주변으로 향을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 몸체(110)를 슬라이딩시킬 때마다 마찰 부재(130)에서 마찰이 일어난다. 따라서 마찰 부재(130)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들은 매번 자극되므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부재(130)는 마찰이 반복됨에 따라 표면이 긁히거나 조금씩 깎여 나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마찰 부재(130)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방향제들이 점차적으로 표면에 노출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기존에 노출되어 있던 방향제가 대부분 휘발되더라도, 마찰에 의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방향제가 노출되어 자극되므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몸체(120)의 숫자 키(122) 둘레를 따라 마찰 부재(130)를 부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는 상기한 위치가 슬라이드 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으로 마찰이 용이하게 발생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고정 몸 체(120)와 이동 몸체(110)가 연결되는 부분(예컨데, 슬라이딩 시 동작하는 부품들)도 이동 몸체(110)가 슬라이딩될 때 이동 몸체(110)의 움직임에 따라 접촉하며 마찰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정 몸체(120)와 이동 몸체(110)를 연결하는 부분에 마찰 부재(130)를 사용하는 등 마찰이 용이하게 발생되는 부분이라면 용이하게 마찰 부재(13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고정 몸체(220)와 회전 몸체(210), 및 힌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몸체(210)는 일면에 표시부(212)가 구비된다. 여기서 표시부(212)는 전술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의 100)와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회전 몸체(210)는 힌지부(240)를 통해 후술되는 고정 몸체(220)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힌지부(240)를 축으로 하여 고정 몸체(220)로부터 회전 이동된다.
고정 몸체(220)는 키패드(222)를 포함하며, 일단이 힌지부(240)를 통해 이동 몸체와 연결된다.
힌지부(240)는 고정 몸체(220)의 일단과 회전 몸체(210)의 일단이 각각 체결되며, 힌지부(240)를 회전축(C)으로 하여 회전 몸체(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240)는 마찰 부재(230)를 포함한다. 마찰 부재(230)는 회전 몸체(210)가 회전될 때 마찰이 발생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몸체(210)가 회전함에 따라 함깨 회전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이동 몸체가 고정 몸체(220)로부터 회전될 때 힌지부(240)의 마찰 부재(230)가 회전되지 않는 부분과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키며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되는 양쪽 부분에 모두 마찰 부재(230)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230)는 향기를 내는 방향 부재이며,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합성수지에 방향제를 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230)는 폴리아세탈과 방향제를 배합한 후 사출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은 전술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사하다. 즉, 사용자가 회전 몸체(210)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찰 부재(230) 및 그와 접촉한 다른 구성소요간에는 마찰이 발생된다.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마찰 부재(230)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들은 자극되고, 이를 통해 마찰 부재(230)는 주변으로 향을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 몸체(210)를 회전시킬 때마다 마찰 부재(230)에서 마찰이 일어난다. 따라서 마찰 부재(230)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들은 반복적으로 자극되므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부재(230)는 마찰이 반복됨에 따라 표면이 긁히거나 매우 조금씩 깎여 나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마찰 부재(230)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방향제들이 표면으로 노출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기존에 노출되어 있던 방향제가 대부분 휘발되더라도, 마찰에 의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방향제가 노출되어 자극되므로 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에 마찰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마찰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마찰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회전식 카메라(250)를 이용하는 경우, 카메라가 회전됨에 따라 마찰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위치에도 마찰 부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카메라를 움직일 때마다 향을 발산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찰이 발생되는 위치에 향을 발산하는 마찰 부재가 부착된다. 따라서 통화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방향제를 자극하여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마찰을 통해 마찰 부재의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방향제가 지속적으로 표면에 노출되므로 장기간을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시예에 한정되 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른 구조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몸체와 고정 몸체가 접촉하는 부분이나 힌지부에 마찰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찰이 발생되는 곳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 잭이 삽입되는 부분 또는 USB 컨넥터가 접속되는 부분을 마찰 부재로 형성하여 잭이나 컨넥터가 삽입될 때마다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통상적인 목적을 따라 사용하는 과정에서 기계적인 마찰이 발생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이동 몸체 112 : 표시부
114 : 제어 키 120 : 고정 몸체
122 : 문자 키 130, 230 : 마찰 부재
200 :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210 : 회전 몸체 212 : 표시부
220 : 고정 몸체 222 : 키패드
240 : 힌지부 250 : 카메라

Claims (18)

  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가 형성된 상면을 포함하는 고정 몸체와,
    하면과 표시부가 형성된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 몸체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는 이동 몸체와,
    상기 이동 몸체가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몸체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이동 몸체의 하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합성수지에 방향제를 배합하여 형성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의 배합 비율은 3%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상기 폴리아세탈과 상기 방향제를 배합하여 용융시킨 후,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170℃ ~ 200℃의 온도에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이동 몸체가 연결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 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둘레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삭제
  9.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고정 몸체와,
    회전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 1 원통형 부재 및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 2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체결되는, 힌지부와,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몸체가 회전될 때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와 마찰을 일으키는 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합성수지에 방향제를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의 배합 비율은 3%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폴리아세탈과 상기 방향제를 배합하여 용융시킨 후,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170℃ ~ 200℃의 온도에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15.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에 체결된 이동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 1 원통형 부재 및 상기 이동 몸체로부터 연장된 제 2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체결되는, 힌지부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에 배치된 회전식 카메라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와 상기 카메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회전될 때 상기 카메라와 마찰을 일으키는 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부재는 합성수지에 방향제를 배합하여 용융시킨 후,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아세탈(POM : Polyace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의 배합 비율은 3% ~ 7%인 것을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100205A 2007-10-05 2007-10-05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1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05A KR101413009B1 (ko) 2007-10-05 2007-10-05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2/244,537 US8457695B2 (en) 2007-10-05 2008-10-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ragrance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05A KR101413009B1 (ko) 2007-10-05 2007-10-05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19A KR20090035119A (ko) 2009-04-09
KR101413009B1 true KR101413009B1 (ko) 2014-08-07

Family

ID=4052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05A KR101413009B1 (ko) 2007-10-05 2007-10-05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57695B2 (ko)
KR (1) KR101413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1621B2 (en) 2008-12-05 2013-09-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olymerization initiator having aryl azide and surface modification method of cyclic olefin copolymer using the same
US8090244B2 (en) * 2009-01-09 2012-01-03 S.C. Johnson & Son,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KR20110090485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팬택 향기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733808B1 (ko) * 2010-12-20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20120099865A (ko) * 2011-03-02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의 댐핑 장치
IL231686A (en) * 2014-03-24 2016-04-21 Shmuel Ur Automatic odor selector
WO2017100874A1 (pt) * 2015-12-16 2017-06-22 Ananse Química Ltda Dispositivo liberador de fragâncias e aromas acionado por tecnologia sem fi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8417A1 (en) * 2002-12-25 2004-10-07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strument
KR20060012913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향기 배출형 리모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6896A (en) * 1981-05-13 1982-11-17 Kyoshin:Kk Fragrance emanater for telephone set
US6425530B1 (en) * 2000-06-29 2002-07-30 Dan Coakley Scented fresh rolls
EP1574017B1 (en) * 2002-04-08 2018-02-21 Joseph Manne Portable scent delivery device
US20040204043A1 (en) * 2002-08-29 2004-10-14 Hwai-Ming Wang Information apparatus with interactive scent interface
US7200363B2 (en) * 2003-01-22 2007-04-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cent release feature and method thereof
TW583003B (en) * 2003-05-23 2004-04-11 Benq Corp Mobile phone and odorant module thereof
JP2005024094A (ja) * 2003-06-10 2005-01-27 Ntn Corp すべり軸受
KR100576007B1 (ko) * 2003-11-03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512415B2 (en) * 2005-06-03 2009-03-3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scent from a hand-held device
KR101137634B1 (ko) * 2006-03-24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09537287A (ja) * 2006-05-15 2009-10-29 デヴィッド・チャン Usbポートで使用するフレグランス発生装置
US20090054116A1 (en) * 2007-08-23 2009-02-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ent dispensing
KR101409458B1 (ko) * 2007-11-28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충전 장치
KR20110105625A (ko) * 2010-03-19 201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향기 분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8417A1 (en) * 2002-12-25 2004-10-07 Kyocera Corporation Mobile instrument
KR20060012913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향기 배출형 리모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3282A1 (en) 2009-04-09
US8457695B2 (en) 2013-06-04
KR20090035119A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009B1 (ko)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86852B1 (ko) 휴대기기 구조
JP2007174617A (ja) ディスプレイパートおよびキーパッドパートを含む個人携帯端末機
KR200600459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JP2010065801A (ja) 開閉装置および当該開閉装置を搭載した携帯情報端末
KR20040025624A (ko) 듀얼 슬라이드 표시장치
EP2222058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KR20070109779A (ko) 휴대기기 구조
KR100875312B1 (ko) 인간공학 포인팅 디바이스
KR101106145B1 (ko) 오토 틸트 힌지모듈
KR100790089B1 (ko)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86398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0705022B1 (ko) 휴대형 통신단말기
KR100702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101246356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5247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장치
KR20030091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확대 표시장치
KR20010083320A (ko) 휴대 전화기
KR101339798B1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653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5709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97648B1 (ko) 개인휴대단말기
US20110292000A1 (en) Stylus
KR101153374B1 (ko) 바아 타입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틸트 힌지 장치
KR1007103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