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007B1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007B1
KR100576007B1 KR1020030077346A KR20030077346A KR100576007B1 KR 100576007 B1 KR100576007 B1 KR 100576007B1 KR 1020030077346 A KR1020030077346 A KR 1020030077346A KR 20030077346 A KR20030077346 A KR 20030077346A KR 100576007 B1 KR100576007 B1 KR 100576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bearing
hinge
open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411A (ko
Inventor
윤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07B1/ko
Priority to US10/933,704 priority patent/US7446814B2/en
Priority to CNA2004100897070A priority patent/CN1614973A/zh
Priority to DE602004013252T priority patent/DE602004013252T2/de
Priority to EP04026072A priority patent/EP1528759B1/en
Publication of KR2005004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하우징을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에 있어 렌즈 하우징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이용함과 동시에, 베어링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판 스프링으로 베어링의 외측 링을 가압함으로써, 렌즈 하우징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켰으며, 렌즈 하우징의 촬영 방향을 원활하게 제어하고 촬영 시 렌즈 하우징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말기, 카메라 렌즈, 베어링, 판 스프링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단말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4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01 : 렌즈 하우징
402 : 베어링 403 : 판 스프링
404 : 힌지 더미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폴더형 단말기의 센터 힌지 암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로는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 플립 커버(flip cover)를 구비한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본체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더를 구비한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한 단말기들은 상대방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는데, 예를 들어 이 메일(e-mail)이나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넷 게임, 문자 전송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CDMA 1x EVDO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면서 단말기 사용자간의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으로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면서 카메라 렌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는 단말기의 외주면을 통해 노출창이 형성된 고정성 카메라 렌즈와, 폴더 타입 단말기의 힌지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 전성 카메라 렌즈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폴더(102)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폴더(102)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115)과 센터 힌지 암(125)을 구비하고,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 형성되는 개구(127; 도 2에 도시됨) 상에 렌즈 하우징(201)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01)는 전면에 키패드(111)와 수화부(113)를 구비하고,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115)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폴더(102)는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125)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01)의 전면과 마주하는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 사이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폴더(102)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을 지나게 연장된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101)에 개폐된다.
한편, 상기 센터 힌지 암(125) 상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127; 도 2에 도시됨)가 구비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단말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폴더(102)의 센터 힌지 암(125)에 형성된 개구(127)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 더미(203)와 힌지 모듈(209)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구성이며, 카메라 렌즈가 내장된 실린더 형상의 렌즈 하우징(201)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외주면 상에 노출창(21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지지홈(213)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하우징 홀더(215; 도 3에 도시됨)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 홀더(215)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면에는 다수의 세레이션 홀(219)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홀더(215)는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타단부에 스크류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는 힌지 모듈(209)이 수용되어 상기 폴더(102)를 개폐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힌지 모듈(209)은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국내 특허번호 제296048호(2001. 5. 7)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힌지 모듈(209)은 상기 개구(127)의 일단으로 상기 렌즈 하우징(20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를 돌출시킨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힌지 모듈(209)에 수용되거나, 상기 힌지 모듈(209)이 수용된 힌지 홀(125b)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127)의 일단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일단의 지지홈(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타측은 힌지 더미(20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힌지 더미(203)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회전홀(12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단부는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더미(203)는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의 힌지 결합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타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회전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힌지 더미(203)는 원형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그 일단부에는 캡 형상의 핀 홀더(237)가 결합된다. 상기 핀 홀더(237)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힌지 더미(203)의 일단부에 체결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하우징 홀더(215)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출몰 가능한 스프링 핀(235)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핀(235)은 그 자체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으로 그의 단부에 설치된 핀을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힌지 더미(203)의 타단부와 상기 렌즈 하우징(201)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201)이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 핀(235)은 상기 하우징 홀더(215)의 핀홀(219)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핀(235)은 상기 세레이션 홀(219)이 형성된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로 맞물림으로써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하우징의 일단에 제공되는 하우징 홀더와 스프링 핀 사이에서 지나치게 많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스프링에 의한 핀의 수직운동은 원활하지 못하여 렌즈 하우징의 회전에 장애가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하우징 회전시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렌즈 하우징의 회전을 제어하기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 힌지 암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형성된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 암의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개구;
상기 센터 힌지 암에 수용되어 상기 개구의 일단으로 지지돌기를 돌출시키는 힌지 모듈;
내측 링과 외측 링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링이 상기 지지돌기에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지지돌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개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측 링을 가압하는 판 스프링;
상기 외측 링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형상의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0)는 렌즈 하우징(401), 베어링(402), 판 스프링(403)을 구비하고, 힌지 더미(404)와 힌지 모듈(409)에 의해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양단이 지지되어 단말기 상에 형성되는 개구(1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일단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사이드 힌지 암(115)을 구비하는 본체(101)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125)이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102)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힌지 암(125) 상에 형성된 개구(127)에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실린더 형상으로, 카메라 렌즈가 내장되고, 내장된 카메라 렌즈의 노출용 개구(미도시)가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개구(127)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양단에는 결합홈(411)과 지지홈(41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411)과 지지홈(413)은 각각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형상이다.
상기 개구(127)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개구(127)의 일단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돌기(491)와 상기 베어링(402)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힌지 더미(40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491)는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모듈(409)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127)의 일단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돌기(491)가 상기 힌지 모듈(409)에 수용된 형태가 도시되지만, 상기 센터 힌지 암(125) 내에 먼저 상기 지지돌기(491)를 수용한 후 상기 힌지 모듈(400)을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 결합시키면, 상기 지지돌기(491)를 상기 개구(127)의 일단으로 돌출시키면서 상기 센터 힌지 암(125)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402)은 내측 링(421)과 외측 링(423)이 동축 상에 정렬되고 그 사이에 볼 조립체(미도시)가 개재된 레이디얼 베이링으로서, 상기 내측 링(421)이 상기 지지돌기(491) 상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 링(423)이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결합홈(411)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401)과 함께 회전하게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을 상기 개구(127)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베이링(402)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하게 되었다.
상기 힌지 더미(404)는 상기 센터 힌지 암(125)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127)의 타단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힌지 더미(404)는 상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폴더(102)의 힌지축을 제공한다. 상기 개구(127)의 타단으로 돌출된 상기 힌지 더미(404)의 단부는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지지홀(4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491) 상에 결합되는 베어링(402)과 상기 힌지 더미(404)가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회전축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이링(402)이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일단에만 설치되었으나,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양단에 각각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유동을 억제하여야 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00)는 판 스프링(403)을 구비한다. 상기 판 스프링(403)은 상기 개구(127)의 일단에 설치된다. 상기 판 스프링(403)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127)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돌기(491)의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홈(129)이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403)은 상기 안착홈(129) 내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402)의 외측 링(423)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403)이 상기 외측 링(423)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401)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자유롭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사체 촬영 시 렌즈 하우징(401)의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403)이 상기 베어링(402)의 외측 링(423)을 가압함으로써, 사용자는 일정 정도의 회전력을 가하여 렌즈 하우징(401)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게 되며, 상기 렌즈 하우징(401)을 촬영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는 안정된 고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403)은 소정 위치에서 절곡되어 상기 외측 링(423)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 돌기(4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돌기(431)는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멈춘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402)의 외측 링(423)에는 상기 스프링 돌기(431)에 상응하는 스프링 홈들(425)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401)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방향으로 위치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 돌기(431)와 스프링 홈(425)이 서로 맞물려 렌즈 하우징(401)을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링 홈(425)은 상기 외측 링(423)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세 개가 형성되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401)은 세 방향을 각각 향하는 위치에서 안정된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다만, 상기 스프링 돌기(431)와 스프링 홈(425)이 맞물리지 않더라도 상기 스프링 돌기(431)는 상기 외측 링(423)을 가압하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렌즈 하우징(40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어링(402)의 외측 링(423)을 가압하기 위하여 판 스프링(403)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외측 링(423)을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탄성 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 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베어링을 이용함으로써 렌즈 하우징 회전 시 소음을 감소시켰다. 또한, 판 스프링으로 베어링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렌즈 하우징의 촬영 방향을 원활하게 제어하고 촬영 시 렌즈 하우징의 고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일단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 힌지 암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형성된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 암의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 개구;
    상기 센터 힌지 암에 수용되어 상기 개구의 일단으로 지지돌기를 돌출시키는 힌지 모듈;
    내측 링과 외측 링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링이 상기 지지돌기에 고정되는 베어링;
    상기 지지돌기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개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외측 링을 가압하는 탄성 수단;
    상기 외측 링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형상의 렌즈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베어링의 외측 링 방향으로 굴곡을 이루어 돌출되는 스프링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판 스프링이고,
    상기 베어링의 외측 링은 상기 판 스프링과 대면하는 면에 상기 스프링 돌기에 상응하는 스프링 홈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힌지 암에 수용되어 상기 개구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힌지 더미; 및
    상기 렌즈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더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030077346A 2003-11-03 2003-11-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76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46A KR100576007B1 (ko) 2003-11-03 2003-11-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10/933,704 US7446814B2 (en) 2003-11-03 2004-09-03 Camera lens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A2004100897070A CN1614973A (zh) 2003-11-03 2004-11-02 用于移动通信终端的照相机镜头部件
DE602004013252T DE602004013252T2 (de) 2003-11-03 2004-11-03 Kameralinsenbaugruppe für ein tragbares, zweischaliges, klappbares Kommunikationsgerät
EP04026072A EP1528759B1 (en) 2003-11-03 2004-11-03 Camera lens assembly for a flip-u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46A KR100576007B1 (ko) 2003-11-03 2003-11-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411A KR20050042411A (ko) 2005-05-09
KR100576007B1 true KR100576007B1 (ko) 2006-05-02

Family

ID=3442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46A KR100576007B1 (ko) 2003-11-03 2003-11-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6814B2 (ko)
EP (1) EP1528759B1 (ko)
KR (1) KR100576007B1 (ko)
CN (1) CN1614973A (ko)
DE (1) DE6020040132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8885B2 (en) * 2005-02-07 2009-05-05 Ensky Technolog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ens rotation positioning structure
KR100703534B1 (ko) * 2005-03-0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KR100703353B1 (ko) * 2005-05-30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200643590A (en) * 2005-06-03 2006-12-16 Asustek Comp Inc A revolving lens module for cellular phones
KR100810370B1 (ko) * 2006-07-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1601260A (zh) * 2007-02-28 2009-12-09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
KR101413009B1 (ko) * 2007-10-05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 부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TWI679896B (zh) * 2017-09-22 2019-1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喇叭樞紐器組件及其相關電子裝置
CN107707696A (zh) * 2017-10-10 2018-02-16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可折叠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WO2020237773A1 (zh) * 2019-05-31 2020-12-03 嘉兴日默瓦箱包有限公司 可折叠多功能旅行箱
TWI789562B (zh) * 2019-06-04 2023-01-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KR19980026188A (ko) 1996-10-04 1998-07-15 김광호 캠코더의 프로그램 노브와 렌즈 커버 연동장치
JP4385490B2 (ja) *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WO2002082674A1 (en) 2001-04-04 2002-10-17 M2Sys Co., Ltd.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4578727B2 (ja) * 2001-06-19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動機能付きカメラ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KR100449451B1 (ko) 2001-12-08 2004-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JP2004056383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8759A1 (en) 2005-05-04
CN1614973A (zh) 2005-05-11
DE602004013252D1 (de) 2008-06-05
US20050094025A1 (en) 2005-05-05
EP1528759B1 (en) 2008-04-23
DE602004013252T2 (de) 2009-05-20
KR20050042411A (ko) 2005-05-09
US7446814B2 (en)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8414B1 (en)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724862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45954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40066645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5760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20080055829A1 (en)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0335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10084929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662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결합 장치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70075001A (ko)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KR200500357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5001848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034159A (ko) 슬라이드식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302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