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534B1 -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534B1
KR100703534B1 KR1020050019789A KR20050019789A KR100703534B1 KR 100703534 B1 KR100703534 B1 KR 100703534B1 KR 1020050019789 A KR1020050019789 A KR 1020050019789A KR 20050019789 A KR20050019789 A KR 20050019789A KR 100703534 B1 KR100703534 B1 KR 10070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ration
camera lens
lens module
modu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449A (ko
Inventor
김재식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534B1/ko
Priority to US11/268,097 priority patent/US7362513B2/en
Priority to CNB2005101301172A priority patent/CN100566352C/zh
Publication of KR2006009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1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both radial and axial friction, e.g. con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어 조립되는 세레이션 모듈을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고, 그 내측에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서로 맞물리게 가압시키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와,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를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의 클릭감을 향상시키고, 카메라 렌즈 모듈과 연결된 연성회로 및 커넥터를 좁은 홀에 넣지 않고 단말기에 바로 조립하여 조립시간 및 공정순서를 줄이고, 이로 인해 조립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카메라 렌즈 모듈,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 탄성 수단, 세레이션 모듈.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SERRATION APPARATUS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세레이션 장치의 결합 순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 중 세레이션 기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결합 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 중 탄성 수단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 중 다수의 탄성 수단을 설치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의 결합 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어 조립되는 세레이션 모듈을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화상통화를 위하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피사체 촬영을 위해 서는 공지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휴대용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져야 한다. 상기 공지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카메라 렌즈와, 씨씨디 소자와 소자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물로 구성된다.
상기한 카메라 렌즈 모듈이 폴더형 단말기에 장착된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폴더형 단말기는 도 1과 같이, 다수의 키(1a)들 및 마이크 장치(1b)가 구비된 본체 하우징(1)과, 엘씨디 모듈(2a)과 스피커 장치(2b)가 구비된 폴더(2)와, 상기 본체 하우징(1)과 폴더(2)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3)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장치(3)에는 힌지 하우징(3a)과, 힌지 캠(3b)과, 힌지 샤프트(3c) 및 힌지 스프링(3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는 본체(1)이나 폴더(2) 및 힌지 장치(3)의 어느 한곳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에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4)를 회전시키면 회전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의 촉각으로 전달하도록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세레이션 장치(5)가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세레이션 장치(5)는 제 1 세레이션 더미(5a)와, 상기 제 1 세레이션 더미(5a)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려이션 더미(5a)의 회전시 클릭감을 주는 포고 스프링(6)을 구비한 제 2 세레이션 더미(5b)와, 상기 제 1, 2 세레이션 더미(5a)(5b)를 결합시키는 결합 장치(7)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는 단말기에 제공된 힌지 아암에 상기 제 1, 2 세레이션 더미 및 결합 장치를 별도로 조립 한 후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장착하고, 그 다음 힌지 모듈을 순서대로 결합해야 함으로, 조립 부품의 증가로 인해 카메라 렌즈 모듈 및 세레이션 장치의 조립공정이 어렵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는 상기 제 1, 2 세레이션 더미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재료 단가 및 도금의 후가공 비용이 증가하고, 플라스틱 제품에 비하여 제조단가를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세레이션 더미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제공된 연성회로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야 함으로, 부품의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어 조립되는 세레이션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클릭감 및 조립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모듈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서로 맞물리는 다수의 세레이션 기어부를 구성함으로써, 회전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모듈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에 스토퍼 기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스토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모듈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으로써, 재료비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후가공의 필요성이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모듈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세레이션 기어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고, 그 내측에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서로 맞물리게 가압시키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제 2 세레이션 기어부; 및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를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는 포고 스프링; 및
상기 포고 스프링과 대응되게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세레이션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구속되는 세레이션 하우징; 및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내에 구비되고, 그 원주둘레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접촉되는 포고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세레이션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도 5 및 도 8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10)는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와, 탄성 수단(4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는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와 대응되게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의 일단에 결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를 수용함과 아울러 서로 맞 물리게 가압시키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도록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 수단(40)은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를 서로 맞물리 수 있게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일단부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은 상, 하부 케이스(4a)(4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 및 탄성 수단(40)을 순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4c)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의 중심부에는 상기 단말기(1)(2)에 구비된 힌지 장치(3)의 일단과 결합 고정되도록 기어측 고정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측 고정홀(21)의 둘레에는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와 서로 맞물림과 아울러 회전가능하도록 곡률의 산형부 및 골형부로 이루어진 제 1 톱니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는 고정부(31)와, 회전홀(32)과, 제 2 톱니부(3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회전홀(32)은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의 일단 과 결합되어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톱니부(33)는 상기 제 1 톱니부(22)의 산형부 및 골형부와 서로 맞물리도록 곡률의 산형부 및 골형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홀(32)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부(31)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수납 공간(4c)내에 형성된 걸림홈(4d)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턱(3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탄성 수단(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지고, 도 11과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40)은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타일단부와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40)은 상기 제 1, 2 세레이션의 기어부(20)(30)의 가압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 수단(5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수단(50)은 원반형의 스토퍼 부재(51)와, 락커 부재(5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토퍼 부재(51)는 리세스 되게 홈으로 형성된 상기 락커 부재(52)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커 부재(52)는 상기 스토퍼 부재(51)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 부(30)의 회전시 접촉되어 제한하도록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중심부에 리세스 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락커 부재(52)는 상기 스토퍼 부재(51)에 형성된 걸림 돌기(51a)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도록 락킹 돌기(5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 공간(4c)내에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 및 코일 스프링(40)을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40)은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일측면과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는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타측면내에 형성된 회전홀(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에 형성된 제 1, 2 톱니부(22)(33)는 서로 맞물리게 결합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에는 고정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1)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수납 공간(4c)내에 형성된 걸림홈(4d)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3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가 상기 수납 공간(4c)(4c)내로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 부(31)의 이탈 방지턱이 상기 걸림홈(4d)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상기 단말기(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20)(30)에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을 결합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힌지 장치(3)에 제공된 힌지 샤프트(3c)의 일단은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기어측 고정홀(21)에 관통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과 함께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가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톱니부(33)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2 톱니부(33)의 산형부 및 골형부가 상기 제 1 톱니부(22)의 산형부 및 골형부에서 각각 이탈 및 삽입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에 클릭감을 준다.
상기 렌즈 모듈(4)의 일측면과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를 가압하여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는 상기 렌즈 모듈(4)의 길이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각각의 기어부(20)(30)의 톱니부(22)(33)에 형성된 산형부 및 골형부에서 이탈 및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도 10과 같이,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중심부에 리세스 되 게 형성된 락커 부재(52)가 회전하고, 상기 락커 부재(52)에 형성된 락커 돌기(52a)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원반형의 스토퍼 부재(51)에 형성된 걸림 돌기(51a)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 2 세레이션의 제 1, 2 톱니부(22)(33)가 서로 이탈 및 삽입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고 상기 락커 부재(52)의 돌기(52a)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20)의 스토퍼 부재(51)에 형성된 걸림 돌기(51a)에 다시 접촉되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수단(40)의 코일 스프링(40)의 설치위치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1과 같이.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타일단부와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다수의 코일 스프링(40)을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30)의 양측면 사이에 구비하여 상기 기어부(20)(30)에 탄성력 제공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포고 스프링(60)을 장착한다.
이때, 도 13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수용 공간(40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401)내에는 상기 포고 스프링(60)을 상기 렌즈 모듈(4)의 길이방향으로 장착시키는 스프링 장착홈(4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장착홈(402)내에 상기 포고 스프링(60)을 장착한다.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상기 수용 공간(401)내에 상기 포고 스프링(60)과 대응되게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클릭감을 주는 세레이션 모듈(70)을 결합한다.
상기 세레이션 모듈(70)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레이션 모듈(70)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포고 스프링(60)과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세레이션 홈(73)이 형성된다.
이때, 도 14와 같이, 상기 세레이션 모듈(70)에는 상기 수용 공간(401)에 형성된 홈(401a)에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6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상기 단말기(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에 제공된 힌지 샤프트(3c)도 결합한다.
이때, 도 17과 같이, 상기 힌지 샤프트(3c)의 일단은 상기 세레이션 모듈(70)에 형성된 세레이션측 고정홀(72)에 결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포고 스프링(60)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세레이션 모듈(70)은 상기 힌지 샤프트(3c)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포고 스프링(60)이 회전하면서 상기 세 레이션 모듈(70)의 홈(73)에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준다.
도 15와 같이, 상기 고정홀(72)과 세레이션 홈(73)의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형성된 회전 부재(403)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403)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스토퍼부(74)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74)는 곡선으로 형성된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부재(403)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홈(74)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403)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홈(74)의 타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때, 상기 포고 스프링(60)도 회전하여 상기 세레이션 모듈(70)의 홈(73)에서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세레이션 하우징(8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일측면에 결합 공간(40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공간(405)내에는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을 상기 렌즈 모듈(4)의 길이방 향으로 장착시킨다.
이때, 도 18과 같이,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의 원주 외곽 둘레에는 상기 결합 공간(405)내에 형성된 결합 돌기(404)와 걸려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8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 돌기(404)에 상기 고정부(81)를 삽입하여 걸리게 함과 동시에 구속시킨다.
상기 세레이션 모듈(90)에는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에 형성된 홈(83)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턱(94)이 형성된다.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내의 원주 둘레에는 세레이션 모듈(90)에 구비된 포고 스프링(60)과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포고 홈(82)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상기 단말기(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단말기(1)(2)의 힌지 장치(3)도 결합한다.
이때, 상기 힌지 장치(3)에 제공된 힌지 샤프트(3c)의 일단은 상기 세레이션 모듈(90)의 중심부에 형성된 세레이션측 고정홀(91)에 결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20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세레이션 모듈(90)은 상기 힌지 샤프트(3c)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이 회전하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90)의 포고 스프링(60)이 상기 하우징의 포고 홈(82)에서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준다.
도 20과 같이, 상기 세레이션 모듈(90)의 일측면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 (4)의 일측면에 형성된 회전 돌기(403)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 스토퍼부(93)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93)는 곡선으로 형성된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 돌기(403)가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홈(93)의 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돌기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스토퍼홈(93)의 타일단에 접촉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때,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80)의 포고 홈(82)도 함께 회전하여 상기 세레이션 모듈(90)의 포고 스프링(60)에서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준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하여 조립하는 세레이션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클릭감 및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휴대 단말기에서 서로 맞물리는 다수의 세레이션 기어부를 구성하여 회전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하여 조립하는 세레이션 모듈을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클릭감 및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휴대 단말기에서 서로 맞물리는 다수의 세레이션 기어부를 구성하여 회전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에 스토퍼 기능을 구비하여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이캐스팅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재인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재료비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후가공의 필요성이 없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카메라 렌즈 모듈과 연결된 연성회로 및 커넥터를 좁은 홀에 넣지 않고 단말기에 바로 조립하여 조립시간 및 공정순서를 줄이고, 이로 인해 조립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세레이션 기어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고, 그 내측에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서로 맞물리게 가압시키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제 2 세레이션 기어부; 및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를 서로 맞물릴 수 있게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힌지 장치의 일단과 결합 고정되는 기어측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측 고정홀의 둘레에는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와 서로 맞물림과 아울러 회전가능하도록 곡률의 산형부 및 골형부로 이루어진 제 1 톱니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 및 탄성 수단을 순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더 형성되어짐을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기어부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홀과
    상기 회전홀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톱니부와 서로 맞물리는 곡률의 선형부 및 골형부로 이루어진 제 2 톱니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수납 공간내에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의 일단부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의 타일단부와 상기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의 양측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원반형의 스토퍼 부재와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의 중심부에 리세스 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기어부의 회전시 접촉되어 제한하는 락커 부재로 구 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부재는 상기 스토퍼 부재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락킹 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 공간내에 제 1, 2 세레이션 기어부 및 코일 스프링을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함께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의 제 2 톱니부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2 톱니부의 산형부 및 골형부가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의 제 1 톱니부와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제 2 톱니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산형부 및 골형부에서 이탈 및 삽입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고,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 2 세레이션 기어부가 상기 제 1 세레이션 기어부를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3.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장착되는 포고 스프링; 및
    상기 포고 스프링과 대응되게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세레이션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레이션 모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수용 공간내에는 상기 포고 스프링을 상기 렌즈 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장착시키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에는 상기 수용 공간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됨과 아울러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은, 상기 모듈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모듈의 일단과 결합 고정되는 세레이션측 고정홀과
    상기 세레이션측 고정홀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포고 스프링과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세레이션 홈과
    상기 고정홀과 세레이션 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 형성된 회전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곡선으로 형성된 스토퍼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홈의 일단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스토퍼홈의 타일단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부재와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0.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에 구속되는 세레이션 하우징; 및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내에 구비되고, 그 원주둘레에 포고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클릭감을 주는 세레이션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는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을 결합시킴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결합 공간이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의 원주 외곽 둘레에는 상기 결합 공간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걸려 구속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가 형성되 고,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내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포고 스프링과 착탈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포고 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은, 상기 모듈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모듈의 일단과 결합 고정되는 세레이션측 고정홀과
    상기 모듈의 원주 둘레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포고 스프링과 결합됨과 아울러 구속시키는 결합홈과,
    상기 고정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일측면에 형성된 회전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 모듈에는 상기 세레이션 하우징에서 형성된 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턱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25. 삭제
KR1020050019789A 2005-03-09 2005-03-09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KR10070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89A KR100703534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US11/268,097 US7362513B2 (en) 2005-03-09 2005-11-07 Serration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B2005101301172A CN100566352C (zh) 2005-03-09 2005-12-12 用于便携式终端的锯齿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89A KR100703534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49A KR20060097449A (ko) 2006-09-14
KR100703534B1 true KR100703534B1 (ko) 2007-04-03

Family

ID=3696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89A KR100703534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62513B2 (ko)
KR (1) KR100703534B1 (ko)
CN (1) CN1005663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8052B (en) * 2005-02-23 2006-12-01 Benq Corp Transceiv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ransceiving direction
KR100653212B1 (ko) * 2005-11-17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폴더형 힌지장치 및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KR100810264B1 (ko) * 2006-07-20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해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10370B1 (ko) * 2006-07-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I383674B (zh) * 2008-03-11 2013-01-21 Quanta Comp Inc 影像擷取裝置
KR100925832B1 (ko) * 2008-08-04 2009-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평조립이 가능한 후드힌지유닛
JP2010074477A (ja) * 2008-09-18 2010-04-02 Sony Corp 電子機器
JP4645712B2 (ja) * 2008-09-18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装置
CN101750698A (zh) 2008-12-10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WO2011072427A1 (en) * 2009-12-17 2011-06-23 L'oreal Cosmetic packaging system and using methods thereof
CN102546857A (zh) * 2010-12-16 2012-07-0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翻转后可旋转的电子装置
JP2016148688A (ja) * 2013-05-30 2016-08-18 株式会社 ニコンビジョン 光学機器
CN108583457A (zh) * 2018-05-22 2018-09-28 合肥诚辉电子有限公司 一种取放式汽车显示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755A (ko) * 2003-05-29 2004-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2668B2 (en) * 2001-08-24 2003-09-02 Micron Technology, Inc. Portable computer with articulate base
KR100640378B1 (ko) * 2003-04-3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스텝 자동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
KR100576007B1 (ko) * 2003-11-03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755A (ko) * 2003-05-29 2004-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10275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66352C (zh) 2009-12-02
CN1832509A (zh) 2006-09-13
US20060200941A1 (en) 2006-09-14
US7362513B2 (en) 2008-04-22
KR20060097449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534B1 (ko) 휴대 단말기의 세레이션 장치
KR100630069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JP4188867B2 (ja) 回転型カメラレンズハウジング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KR100630068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20070293286A1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100790105B1 (ko) 키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163520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팝업 장치
KR100630075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7586538B2 (en) Apparatus for locking camera of mobile terminal
JP200614489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1371032B1 (ko) 휴대 단말기
KR101744788B1 (ko) 휴대전자기기용 힌지장치
KR10063209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의 접사렌즈 회전 장치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10497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100529962B1 (ko) 통합 힌지 모듈
KR100733206B1 (ko)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644439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7105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0995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1005397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630357B1 (ko) 휴대 전화 단말기
KR100689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