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295B1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295B1
KR100849295B1 KR1020020071912A KR20020071912A KR100849295B1 KR 100849295 B1 KR100849295 B1 KR 100849295B1 KR 1020020071912 A KR1020020071912 A KR 1020020071912A KR 20020071912 A KR20020071912 A KR 20020071912A KR 100849295 B1 KR100849295 B1 KR 10084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lens assembly
hinge
portable wireless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214A (ko
Inventor
이준영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2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 힌지 암; 상기 폴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 상기 센터 힌지 암 상에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개구; 상기 폴더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개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하우징의 양측에서 회전축을 지지하는 형태로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비교하였을 때 렌즈 하우징이 단말기 중앙에 위치되므로 외부 충격에 대하여 안정하게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 카메라 렌즈, 고정 플레이트, 회전 플레이트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센터 힌지 암 일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5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01 : 렌즈 하우징
502 : 고정 플레이트 503 : 회전 플레이트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형태로는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 플립 커버(flip cover)를 구비한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본체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폴더를 구비한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한 단말기들은 상대방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는데, 예를 들어 이 메일(e-mail)이나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넷 게임, 문자 전송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CDMA 1x EVDO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면서 단말기 사용자간의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면서 카메라 렌즈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폴더형 단말기(10) 본체(11)의 사이드 힌지 암(17)에 장착된 구성이다. 상기 폴더형 단말기(10)는 키패드(13), 송화부 등이 구비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12)로 구성되며, 상기 폴더(12)는 디스플레이 장치(25)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11)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카메라 렌즈(121)가 수용되는 하우징(110), 후면 커버(130) 및 힌지 샤프트(140)를 통해 단말기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121)의 노출용 개구(111)가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121)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121)의 일측으로 단말기(10)의 메인보드(미도시)와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가 연장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121) 및 상기 카메라 렌즈(121)로부터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는 하나의 카메라 렌즈 유닛(120)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후면 커버(130)는 제1 플랜지(131)와 샤프트(13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131)는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된 카메라 렌즈(121)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133)는 단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33)의 단부가 단말기 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리브(19a; 도 3에 도시됨)를 관통하고, 상기 체결홈(135)에 이(E) 링(159)이 체결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샤프트(133)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단말기 본체(11)에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133)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회전축 A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140)는 제2 플랜지(141)와 실린더(14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플랜지(141)는 상기 후면 커버(130)의 제1 플랜지(131)와 상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후면 커버(130)와 힌지 샤프트(140)를 상호간에 구속시킨다. 상기 실린더(143)의 내부는 상기 후면 커버(130)의 샤프트(133)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 구속력을 더욱 강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33) 및 상기 실린더(143)의 내부는 상호간에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평면이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131)와 제2 플랜지(141)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와셔(151)가 구비된다. 상기 와셔(151)는 상기 제1 플랜지(131)와 제2 플랜지(141) 사이에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이다. 한편, 상기 고무재질의 와셔(151)와 같이 상기 제1 플랜지(131)와 제2 플랜지(141)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라면 고무재질 이외에도 스프링 와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와셔(151)는 상기 힌지 샤프트(14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14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를 본체(11)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힌지 샤프트(140)가 상기 본체(11)의 리브(19a)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기 리브(19a)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홈(135)에 이 링(159)이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 자체의 흔들림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회전에 따른 단말기의 리브 또는 힌지 샤프트 등이 마모되거나,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판 스프링, 고무 와셔 등의 피로 누적에 의해 탄성력을 상실하거나, 이 링 자체의 손상 또는 이 링이 체결되는 체결홈의 마모 등에 의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흔들림 등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일측에서 연장된 힌지 샤프트만으로 단말기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정 안정성이 저하되며,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소형 부품을 사용하게 되므로, 조립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 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와 조립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절감하여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개폐되는 폴더와, 상기 힌지 장치와 동축으로 제공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상단 최외곽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 힌지 암; 상기 폴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중앙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개구;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힌지홀을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의 양 단부에서 각각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안착홈; 소정의 스크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안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의 단부와 상기 개구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힌지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상호 구속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가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400)의 폴더(402)가 닫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가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400)는 본체(401), 폴더(402) 및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401)는 상면에 키패드(411)와 마이크로 폰이 내장된 송화부(413)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402)는 상기 본체(401)와 마주하는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421)와 스피커 폰이 내장된 수화부(42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401)의 상단에는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415)이 구비되고, 상기 폴더(402)의 하단에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415) 사이에 개재되는 센터 힌지 암(425)이 구비된다. 상기 센 터 힌지 암(4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41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폴더(402)의 회전축(A)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는 상기 센터 힌지 암(42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센터 힌지 암(425) 상에서 상기 폴더(402)의 회전축(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즉, 도 4에서는 상기 폴더(402) 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421)와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창(511)이 향하고 있지만, 촬영 방향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21)와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는 폴더(402)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40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동시에 상기 폴더(402)의 회전과는 별도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터 힌지 암(425)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400)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402)의 센터 힌지 암(425)의 양 단부에는 각각 본체(401)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홀(427)이 형성되고, 소정 길이의 개구(405)가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홀(427)의 단부벽에는 관통홀(429)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405)와 힌지홀(427)이 연통되고, 상기 관통홀(429)은 상기 폴더(402)의 회전축(A) 상에 위치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는, 렌즈 하우징(501), 고정 플레이트(502) 및 회전 플레이트(503)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501)은 카메라 렌즈 유닛(미도시)이 내장되어, 상기 센터 힌지 암(425)의 개구(40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501)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유닛의 노출창(511)이 구비되고, 양 단부에는 소정의 안착홈(51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502)는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탭(tab) 가공된 스크류 홀(521)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501)의 안착홈(513)에 조립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501)이 상기 센터 힌지 암(425)의 개구(405)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 홀(521)은 상기 관통홀(429)과 대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521)은 상기 폴더(402)의 회전축(A) 상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3)는 상기 힌지홀(427)의 단부벽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며,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탭 가공된 스크류 홀(53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3)의 스크류 홀(531)은 상기 관통홀(429)과 대면되어, 상기 폴더(402)의 회전축(A) 상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503) 측으로부터 스크류(591)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502)와 회전 플레이트(503)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가 상기 단말기(400)의 폴더(402) 상에 조립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는 렌즈 하우징(501)의 양측에서 각각 하나의 스크류(591)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502)와 회전 플레이트(503)가 결합되는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힌지홀(427)의 관통홀(429)을 더 크게 형성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501)의 회전축(A)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두 개 또는 등각도 간격으로 두 개 이상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는 회전 범위를 제한하거나 회전정지 각도를 지정하기 위한 정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의 정지 수단이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의 정지 수단은 상기 힌지홀(427)의 단부벽과 대면하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503)의 면에 형성된 돌기(533)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503)가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돌기(533)의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힌지홀(427)의 단부벽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430)은 반원형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기(533)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홈(430)은 상기 돌기(533)의 이동 궤적을 0도 내지 180도 범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홈(430)의 저면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홈(431)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533)가 돌출된 높이가 상기 슬라이딩 홈(430)의 깊이보다 크다면, 상기 돌기(533)가 상기 슬라이딩 홈(43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돌기홈(431)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한 촬영방향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를 안정되게 고정시켜 촬영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533)가 상기 돌기홈(431)에 마주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503)가 일정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502)와 상기 힌지홀(427) 내에 조립된 회전 플레이트(503) 사이에 상기 힌지홀(427)의 단부벽이 개재된 구성이며, 상기 스크류(591)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크류(591)가 상기 힌지홀(427)의 단부벽에 지지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의 회전축(A)이 구성된 것이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591)의 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500)의 회전 범위가 제한되지 않고, 단말기 본체(401)의 후면을 향하여 촬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401)의 상단 소정 위치에는 노출용 홈(4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어셈블리(500)는 상기 폴더(402)와 함께 상기 폴더(402)의 회전축(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폴더(402)와는 별도로 상기 폴더(402)의 센터 힌지 암(42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힌지 암(425) 상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하우징의 양측에서 회전축이 지지되면서, 회전 정 지 수단이 구비되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하우징, 고정 플레이트 및 회전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스크류로 체결하는 방식이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종래의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비교하였을 때 렌즈 하우징이 단말기 중앙에 위치되므로 외부 충격에 대하여 안정하게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개폐되는 폴더와, 상기 힌지 장치와 동축으로 제공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상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사이드 힌지 암;
    상기 폴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중앙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개구;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힌지홀; 및
    상기 힌지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힌지홀을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의 양 단부에서 각각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세스된 안착홈;
    소정의 스크류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안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의 단부와 상기 개구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힌지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를 상호 구속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의 단부 벽에 대면하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면에 형성되는 돌기;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돌기의 회전 궤적을 따라 상기 힌지 홀의 단부 벽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돌기의 이동 범위를 0도 ~ 180도 범위 이내로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돌기에 상응하는 다수의 돌기홈이 일정 각도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020071912A 2002-11-19 2002-11-19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84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12A KR100849295B1 (ko) 2002-11-19 2002-11-19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12A KR100849295B1 (ko) 2002-11-19 2002-11-19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14A KR20040044214A (ko) 2004-05-28
KR100849295B1 true KR100849295B1 (ko) 2008-07-29

Family

ID=3734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912A KR100849295B1 (ko) 2002-11-19 2002-11-19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627B1 (ko) * 2004-10-22 2006-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20060122241A (ko) * 2005-05-26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087A (ko) * 1997-10-15 1999-05-25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장치
KR20010059498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20030047225A (ko) * 2001-12-08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20040024336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087A (ko) * 1997-10-15 1999-05-25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장치
KR20010059498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20030047225A (ko) * 2001-12-08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KR20040024336A (ko) * 2002-09-13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회전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2003-47225호
공개특허 2004-2433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14A (ko) 200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5954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70335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760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84929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681373B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EP1511312B1 (en) Camera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20040050414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4003546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5662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결합 장치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20040077168A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238538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10063017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KR1006780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24893B1 (ko) 스윙 폴딩형 휴대 장치의 스윙 폴더 로킹 장치
KR200600302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
KR2005000382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2005001848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9980059864U (ko) 휴대폰의 플립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