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001A -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001A
KR20070075001A KR1020060003240A KR20060003240A KR20070075001A KR 20070075001 A KR20070075001 A KR 20070075001A KR 1020060003240 A KR1020060003240 A KR 1020060003240A KR 20060003240 A KR20060003240 A KR 20060003240A KR 20070075001 A KR20070075001 A KR 2007007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inge
tilt
rotat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080B1 (ko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0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2015/487Tilting or swinging movements
    • E05Y299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은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회전 힌지부재; 및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힌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트 가능한 틸트 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힌지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를 가압하는 제1,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캠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틸트 힌지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틸트축; 상기 틸트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쪽 바깥면에서 상기 틸트축에 결합되는 제3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영상촬영장치, 힌지, 틸트, 회전형, 디스플레이

Description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Rotary Hinge Unit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 1a는 디스플레이가 90도 정도 열린 상태이고, 도 1b는 180도 정도 열린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이 장착된 영상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형 힌지유닛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4a는 힌지유닛의 회전된 상태이고, 도 4b는 힌지유닛의 틸트 상태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형 힌지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회전형 힌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작동 상태도로서, 도 7a는 디스플레이가 회전된 상태이고, 도 7b는 디스플레이가 틸트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디스플레이
100: 회전형 힌지유닛 110: 회전 힌지부재
111: 회전축 112: 브라켓
113, 114: 캠부재 115, 117: 탄성부재
116: 고정부재 120: 틸트 힌지부재
121: 연결부재 122a, 122b: 틸트축
123: 지지부재 124: 스토퍼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틸트(tilt)가 가능한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초소형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캠코더(camcorder)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는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 재생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록매체의 기술발전으로 인해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고용량 HDD 등을 채용한 영상촬영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 출시되는 영상촬영장치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대부분의 초소형 영상촬영장치는 뷰파인더(view finder) 대신 LCD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영상촬영장치는 사용자에게 셀프(self) 촬영 기회도 부여하지만, 다양한 촬영 조건을 제공한다.
영상촬영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 그 디스플레이가 본체로부터 개폐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유닛을 구비한다. 대부분의 영상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본체로부터 개폐하기 위한 오픈 힌지(open hinge)와, 디스플레이를 연 상태에서 촬영각도에 따라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형 힌지(rotary hinge)를 구비한다.
최근의 영상촬영장치는 오픈 힌지와 회전형 힌지를 통합한 다양한 종류의 힌지유닛(hinge unit)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86859호에는 디스플레이를 2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힌지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유닛에 의하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는 본체(1)로부터 디스플레이(2)를 개폐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2)를 x축에 대하여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힌지유닛(10)은 디스플레이(2)가 본체(1)의 측면에서 단지 90도 정도까지 개폐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촬영장치는 렌즈 경통부(3)와 디스플레이(2)의 고정된 구조로 인하여 촬영 각도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소형의 영상촬영장치는 렌즈 경통부(3)의 상부까지 디스플레이(2)가 열리도록, 본체(1)에 오픈 힌지와 회전형 힌지유닛(10')을 별도로 구비한다. 오픈 힌지와 회전형 힌지유닛(10')을 별도로 구비한 영상촬영장치는 도 1b와 같이, 오픈 힌지에 의해 디스플레이(2)를 본체(1)에 대하여 약 180도로 개폐 가능하다. 동시에, 그러한 영상촬영장치는 회전형 힌지유닛(10')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2)의 회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픈 힌지와 회전형 힌지유닛(10')을 구비한 영상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2)를 렌즈 경통부(3)의 상측까지 회전시켜 사용 자에게 피사체를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촬영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2)가 x축에 대하여만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피사체의 높이 및 사용자의 시선 위치 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촬영조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한다. 그리고 종래의 영상촬영장치에 장착되는 힌지유닛(10, 10')들은 상당히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렌즈 경통부 방향의 정압 등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영상촬영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렌즈 경통부 위로 열어 디스플레이의 LCD 화면을 보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을 하도록, 피사체의 위치, 사용자의 시선 위치 등에 따라 LCD 화면을 회동시키면서도 적절하게 틸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형 힌지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힌지유닛이 장착된 초소형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힌지유닛은, 고정체(main body)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며, 가동체(movable body)와 결합된 회전 힌지부재(rotary hinge member); 및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힌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틸트 가능한 틸트 힌지부재(tilt hinge member);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는 예컨대, 영상촬영장치의 본체일 수 있으며, 상기 가동체는 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에서, 상기 회전 힌지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체에 결합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과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캠부재(cam member); 상기 캠부재를 가압하는 제1,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캠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가운데 부분의 높이와 양쪽의 높이가 다른 활 모양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양쪽 끝단에 체결구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단차홈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브라켓과는 별도의 부재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의 단차홈으로부터 상기 브라켓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캠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프로파일(profile)을 가지는 캠과 캠홀더(cam hold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으며, 제2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에서, 상기 틸트 힌지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 양쪽으로 연장된 틸트축(tilting axis); 상기 틸트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쪽 바깥면에서 상기 틸트축에 결합되 는 제3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 힌지부재의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속이 빈 원통형 부재인 것이 좋다.
상기 틸트축은 끝단에 플랜지(flang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틸트축은 상기 연결부재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틸트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판 및 상기 한쌍의 지지판을 연결하는 베이스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의 양쪽 단에는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틸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영상촬영장치는, 렌즈 경통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틸트시키는 회전형 힌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회전 힌지부재; 및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힌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트 가능한 틸트 힌지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초소형 영상촬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촬영장치는 본체(11, 도 7a의 참조), 디스플레이(20) 및 이를 연결 하는 회전형 힌지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상부에 렌즈 경통부(30)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20)는 본체(11)에 대하여 개폐 가능도록 미도시된 별도의 오픈 힌지를 구비한다. 상기 오픈 힌지는 디스플레이(20)의 힌지장착부(21)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영상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20)를 본체(11)에 대하여 개폐하는 오픈 힌지와는 별도로 디스플레이(20)를 본체(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형 힌지유닛(100)을 구비한다.
도 3은 그러한 회전형 힌지유닛(100)이 장착된 영상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20)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그 회전형 힌지유닛(100)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4a는 회전형 힌지유닛(100)이 회전된 상태이며, 도 4b는 회전형 힌지유닛(100)이 틸트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100)은 회전 힌지부재(110) 및 틸트 힌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힌지부재(110)는 본체(1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며, 디스플레이(20)와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힌지부재(110)는 디스플레이(20)를 본체(11)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힌지부재(110)는 브라켓(112), 회전축(111), 캠부재(113, 114), 제1, 제2탄성부재(115, 117) 및 고정부재(116)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12)은 디스플레이(20)에 결합된다. 브라켓(112)은 디스플레이 (2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양쪽 끝단에 체결구멍(112a, 112b)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112)은 디스플레이(20)가 회전 및 틸트될 때 본체(11) 또는 힌지장착부(21)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가운데 부분의 높이와 양쪽의 높이가 다른 모양의 부재(112c), 예컨대 활 모양의 부재(112c)인 것이 좋다.
상기 회전축(111)은 브라켓(112)의 중앙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후술될 고정부재(116)를 수용하기 위한 단차홈(111a)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회전축(111)의 단차홈(111a)에서부터 브라켓(112)의 안쪽면까지의 회전축(111)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캠부재(113, 114) 및 탄성부재(115, 117)들이 삽입된다. 회전축(111)은 후술되는 틸트 힌지부재(120)의 연결부재(121)의 내부에 삽입된다. 회전축(111)은 브라켓(112)과는 별도의 부재일 수 있으며, 브라켓(112)과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1)이 브라켓(112)과는 별도의 부재일 경우, 체결부재(118) 및 고정링(118a)에 의해 브라켓(112)에 체결된다.
상기 캠부재(113, 114)는 회전축(111)의 단차홈(111a)으로부터 브라켓(1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캠부재(113, 114)는 일정한 프로파일(profile, 113a)을 가지는 캠(113)과 상기 프로파일(113a)에 대응되는 프로파일(114a)을 가지는 캠홀더(114)로 구성된다. 캠(113)과 캠홀더(114)의 프로파일(113a, 114a)은 서로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프로파일로서, 회전 힌지부재(11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13a, 114a)에 일정 홈과 돌기를 마련할 경우 디스플레이(20)의 회전시 클리감(click sense)을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15)는 캠부재(113, 114)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디스플레이 (2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제1탄성부재(115)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17)는 틸트 힌지부재(120)의 연결부재(121) 하단에 설치되어 연결부재(121)를 브라켓(112) 쪽으로 가압해준다. 제2탄성부재(117)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한 회전 힌지부재(110)는 틸트 힌지부재(120)의 연결부재(121) 내에서 회전축(111) 즉, 도 4a의 x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틸트 힌지부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힌지부재(110)가 회동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121), 틸트축(122), 지지부재(123) 및 제3탄성부재(126a, 126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21)는 회전 힌지부재(110)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결부재(121)의 외측면에는 연결부재(121)에 대하여 양쪽의 수직방향으로 틸트축(122a, 122b)이 연장된다. 연결부재(121)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부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121)는 완전히 속이 빈 원통형 부재일 수도 있으며, 그 하단면이 막혀 있고 회전축(111)이 관통 삽입되도록 그 하단면에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21)의 하단면에는 회전 힌지부재(110)의 고정부재(116)와 제2탄성부재(117)가 설치된다.
상기 틸트축(122a, 122b)은 연결부재(121)의 몸체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틸트축(122a, 122b)은 지지부재(123)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틸트축(122a, 122b) 각각의 축에는 순차적으로 제1체결링(124a, 124b), 제3탄성부재(126a, 126b) 및 제2체결링(128a, 128b)이 결합된다. 틸트축(122a, 122b)의 끝단에는 제2체결링(128a, 128b)이 삽입될 수 있는 틸트홈(122a', 122b')이 형성되어 있다. 틸트축(122a, 122b)은 연결부재(121)와 하나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3)는 틸트축(122a, 122b)이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지지부재(123)는 틸트축(122a, 122b)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판(123a, 123b) 및 상기 한쌍의 지지판(123a, 123b)을 연결하는 베이스판(123c)을 구비한다. 지지판(123a, 123b)과 베이스판(123c)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23a, 123b)의 양쪽단에는 틸트축(122a, 122b)을 수용하도록 수용홈(123c, 123d)이 형성된다. 베이스판(123c)의 양쪽 끝단에는 회전 힌지부재(110)가 너무 틸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4a, 124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10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가 적절한 간격으로 틸트된 후에는, 스토퍼(124a, 124b)에 의해 더 이상 틸트되는 것이 규제된다.
상기 제3탄성부재(128a, 128b)는 지지판(123a, 123b)의 바깥쪽면에서 틸트축(122a, 122b)에 결합된다. 제3탄성부재(128a, 128b)는 연결부재(121)이 틸트 회전시 회전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발생시켜 토크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0)가 틸트 회전될 때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3탄성부재(128a, 128b)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100)의 중앙에는 회전형 힌지유닛(100)을 보호하는 동시에 외관상 미려해보이도록 구형의 힌지커버(hinge cover, 130)가 부착될 수 있 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회전형 힌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의 회전형 힌지유닛(101)은 회전축(111')과 브라켓(1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11')과 브라켓(112')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는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101)의 중앙에는 힌지커버(13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이외에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101)은 전술한 회전형 힌지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100, 101)들은 초소형 영상촬영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회전 힌지부재(110)는 본체(11)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고, 또한 디스플레이(20)와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100, 101)들은 이러한 영상촬영장치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고정체(main body)와 가동체(movable body)를 구비한 다른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이 구비된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디스플레이가 회전된 상태이고, 도 7b는 디스플레이가 틸트된 상태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100)은 본체(11)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힌지장착부(21)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영상촬영장치에서 디스플레이(20)의 개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 설치된 오픈 힌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디 스플레이(20)가 그러한 오픈 힌지에 의해 렌즈경통부(30)의 상단까지 열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0)를 회전시키면, 도 7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영상촬영장치에서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되면, 회전형 힌지유닛(100)은 도 4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디스플레이(20)가 회전될 때, 브라켓(112)이 회동하면서, 캠(113)은 그 프로파일(113a, 114a)에 의해 캠홀더(114)를 아래로 밀게된다. 이때, 회전축(111)은 연결부재(12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1탄성부재(115)가 압축되어 캠부재(113, 114)를 밀게 되므로, 일정 회전 각도에서 멈출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2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 7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20)를 틸트시키는 경우, 회전형 힌지유닛(100)은 도 4b와 같은 상태가 될 것이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힌지부재(110)는 틸트축(122a, 122b)을 중심으로 틸트 회전이 가능하다. 틸트축(122a, 122b)에 결합된 제3탄성부재(126a, 126b)에 의해 연결부재(121)에 탄성력이 부여 되므로, 회전 힌지부재(110)는 토크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일정한 틸트 회전 각도에서 멈출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0)는 원하지 않는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며, 다양한 촬영 각도를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20)가 전후로 틸트될 때, 디스플레이(20)는 지지부재(123)의 양쪽으로 돌출된 스토퍼(124a, 124b)에 의해 일정 각도 이상의 틸트가 진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렌즈경통부의 상측까지 회전시킨 후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틸트가 동시에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피사체를 확인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나은 촬영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자유로운 회전과 틸트가 가능하여 피사체의 높이 및 사용자의 시선 위치 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촬영 조건을 만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힌지유닛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는 회전과 틸트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촬영 각도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회전형 힌지유닛은 매우 작은 공간에 장착이 가능하여, 초소형 렌즈를 장착하는 카메라 휴대폰, 메모리 기록매체를 가지는 캠코더 등과 같은 초소형 영상촬영장치에 매우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고정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며, 가동체와 결합된 회전 힌지부재; 및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힌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체에 대하여 틸트 가능한 틸트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회전형 힌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힌지부재는,
    상기 가동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를 가압하는 제1,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캠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회전형 힌지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힌지부재는,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 양쪽으로 연장된 틸트축;
    상기 틸트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쪽 바깥면에서 상기 틸트축에 결합되는 제3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회전형 힌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틸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힌지유닛.
  5. 렌즈 경통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틸트시키는 회전형 힌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형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회전 힌지부재; 및
    상기 회전 힌지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힌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대하여 틸트 가능한 틸트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KR1020060003240A 2006-01-11 2006-01-11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KR10074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40A KR100744080B1 (ko) 2006-01-11 2006-01-11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240A KR100744080B1 (ko) 2006-01-11 2006-01-11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001A true KR20070075001A (ko) 2007-07-18
KR100744080B1 KR100744080B1 (ko) 2007-08-01

Family

ID=3850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240A KR100744080B1 (ko) 2006-01-11 2006-01-11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40B1 (ko) * 2011-06-28 2014-01-23 이진호 파티션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56B1 (ko) 2012-10-29 2013-02-15 (주)액트론 스위블 힌지유닛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501B2 (ja) 1997-04-15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6256837B1 (en) 2000-01-05 2001-07-10 Usa Spec, Inc. Hinge assembly for car-mounted video display unit
KR20050066305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KR101063408B1 (ko) * 2004-10-11 201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40B1 (ko) * 2011-06-28 2014-01-23 이진호 파티션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080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27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594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636984B2 (en) Hinge unit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62845B1 (ko) 메모리 카드 슬롯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모바일기기
JP3390718B2 (ja) 二軸ヒンジ装置
JP2006010025A (ja) 2軸ヒン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JP2011166738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US20080055829A1 (en)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JP2002111834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4241241B2 (ja) 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KR1005760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5008875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744080B1 (ko) 회전형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JP3937501B2 (ja) 電子機器
JP4139747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70065189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737863B1 (ko) 전자기기
KR100504801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KR100974680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0499796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353389Y1 (ko) 휴대폰의 폴더부 회전각도 고정장치
KR1005662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결합 장치
KR1004879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KR1011425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