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930A - 항종양제 - Google Patents

항종양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930A
KR20070095930A KR1020077015520A KR20077015520A KR20070095930A KR 20070095930 A KR20070095930 A KR 20070095930A KR 1020077015520 A KR1020077015520 A KR 1020077015520A KR 20077015520 A KR20077015520 A KR 20077015520A KR 20070095930 A KR20070095930 A KR 20070095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or
cancer
agent
group
cyclohex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047B1 (ko
Inventor
고지 요시나가
다이스케 가와사키
유타카 에모리
Original Assignee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61K31/55131,4-Benzodiazepines, e.g. diazepam or cloza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 C07D24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s in positions 1 and 4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43/121,5-Benzodiazepines; Hydrogenated 1,5-benzodiazep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의약,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또는 신경성상 세포종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항종양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식 (1)
Figure 112007049359089-PCT00005
(식 중, R1 은 C1― 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페닐기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나타내며, Y 는 단결합 또는 C1― 4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항종양제

Description

항종양제{ANTITUMOR AGENT}
본 발명은 항종양제, 특히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신경성상 세포종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항종양제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암에 의한 사망률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1981년부터 사명 원인의 제 1 위를 차지하고, 2002년에는 사망 수 304,286명, 인구 10만명대 사망률 241.5명, 총 사망률의 31.0% 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췌장암, 대장암, 위암 등의 소화기암의 발증률은 특히 높다.
이 중에서도, 췌장암은 난치성의 암으로서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화학 요법제로서 염산 젬시타빈이 유일하게 승인되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염산 젬시타빈, 플루오로우라실 등의 화학 요법제는 골수 억제나 간질성 폐렴 등의 위독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투여 간격이나 투여 기간이 제한된다. 또한, 점적 주사의 약제가 많다는 점에서, 그 투여 형태도 제한되기 때문에, 이들을 대신할 항종양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항종양제는 세포 독성, 살세포 효과를 갖는 화학 요법제가 주류로서, 또 몇 가지의 화학 요법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부작용은 분산되어 효과가 증강된다는 이유로 다제 화학 병용 요법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다제 화학 병용 요법에서는 상이한 작용 기전, 상이한 부작용을 갖는 약제가 조합되는 경우가 많지만, 골수 억제와 같은 공통된 독성이 발생한 경우에는, 각각의 약제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또, 약제 내성이 일어났을 경우에도 약제의 변경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도 문제이다.
최근, 암의 증식, 전이, 침윤, 악성화 등의 작용 기전이 분자 레벨에 의해 해명되면서, 표적으로 삼는 분자가 특정된 분자 표적 약이 몇 가지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의 약제는 세포 독성이 낮은 것이 많고, 종래의 살세포 효과를 갖는 화학 요법제와 비교하여 부작용 발현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고, 단제 (單劑) 에서의 작용은 물론, 화학요법제와의 병용약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비특허 문헌 2).
또한, 암 치료의 지표로도 이전에는, 화학 요법제의 살세포 효과에 의한 암의 축소가 유일한 평가 기준이었지만, 최근에는 생활의 질(QOL) 의 개선, 전이 억제 혹은 생존 기간의 연장 작용이 평가 항목으로서 주목받기 시작하고, 화학 요법제와 분자 표적 약의 병용에 의한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3).
한편, 가스트린은 종양의 증식 인자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는 소화관 호르몬이다. 소화기암인 췌장암, 대장암 및 위암 세포에는 가스트린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되어 있고, 가스트린에 반응하여 강력한 세포 증식성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져 있다 (비특허 문헌 4, 5).
또,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신경성상 세포종에도 동일하게 가스트린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되고, 가스트린이 암 세포의 증식 인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6).
세포 증식을 항진시키는 경로로는, 가스트린이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가스트린 수용체를 자극하는 것이 주요인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해, 가스트린이 세포 증식을 항진시키는 경로로서, 가스트린 수용체로의 결합 후 엔도시토시스에 의해 세포 내에 삽입되는 경로가 있는 것 (비특허 문헌 7), 세포 내에 존재하는 가스트린 결합 단백에 결합하여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경로가 있다는 것이 추측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8, 9).
또한, 가스트린의 전구체인 글리신 연장형 가스트린은, 가스트린 수용체 이외의 미동정인 수용체에도 결합하여 세포 증식을 조절하고 있다는 보고 (비특허 문헌 10, 11) 도 있고, 가스트린을 통한 세포 증식에는 복수의 경로가 있다고 추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되어 온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약은, 가스트린 수용체만을 표적으로 하여 개발된 화합물이기 때문에, 종래의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약에는 일정한 안정된 항종양 효과가 보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벤조디아제핀계 화합물인 L―365, 260 은, 인간 췌장암 PANC―1 이식 마우스 모델에 있어서의 가스트린 유발 종양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가스트린에 의한 자극이 없는 경우에는, 종양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던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12). 글루타민산 유도체 CR2093 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13).
이들의 결과는, 외부로부터 강제적으로 가스트린 자극을 부여했을 경우에만, 즉 비생리적인 가스트린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암 세포의 증식에 대해서는 가스트 린 수용체 길항약이 억제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생리적인 조건 하에서는 세포 증식의 억제 효과가 소실된다는 점에서,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약의 항종양제로서의 효과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된다.
CCK 의 C 말단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인 CI―988 은, 강력한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약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간 대장암 이식 마우스에 25mg/kg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경우에는, 비생리적인 가스트린 자극 조건없이 증식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50mg/kg 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경우에는 증식 억제 효과가 전혀 보이지 않았던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 문헌 14).
벤조디아제핀계의 화합물인 YF476 은, 선택적 또한 강력한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약으로서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에는, 췌장암이나 대장암 이식 모델에 있어서 종양 축소 작용을 발현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지만, 200mg/kg 이상의 고용량에서 확인되는 효과로서, 그 작용 기전으로는 가스트린 수용체를 개재시킨 것인지는 불명확하다는 기재가 있다.
상기와 같이, 많은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약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의 항종양 효과에 대해서는 일정한 견해를 얻지 못하고 있다. 즉, 가스트린 수용체 길항 작용과 항종양 작용의 관계는, 단순한 상관 관계로는 설명할 수 없고, 암에 있어서 가스트린 수용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아직 완전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가스트린길항 작용을 갖는 1,5―벤조디아제핀 화합물에 있어서도, 유용한 항종양 작용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실제로 불명확하다.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공보 제 WO02/092096호
특허 문헌 2 : 국제공개공보 제 WO01/40197호
비특허 문헌 1 : 일본 임상 2003,61,6,1015―1020
비특허 문헌 2 : 일본 임상 2004,62,7,1232―1240
비특허 문헌 3 : J Clin 0ncol 2003,21,7,1404―1411
비특허 문헌 4 : Am J Physiol 1985,249,G761―769
비특허 문헌 5 : Am J Physiol 1994,266,R277―283
비특허 문헌 6 : 의학의 변천 1998,184,4,260―261
비특허 문헌 7 : Cell Tissue Res.1997,287,325―333
비특허 문헌 8 : J Gastroenterol Hepatol.1995,10,215―232
비특허 문헌 9 : Eur J Pharmacol 2000,388,9―15
비특허 문헌 10 : Science 1994,265,410―412
비특허 문헌 11 : Regul Pept.2000,93,37―44
비특허 문헌 12 : Am J Physiol.1995,268,R135―141
비특허 문헌 13 : Br J Cancer.1992,65,879―883
비특허 문헌 14 : Clin Exp Pharmacol Physiol.1996,23,438―440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발명의 목적은 항종양제, 특히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신경성상 세포종 등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항종양제를 제공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WO01/40197 에 기재된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항종양 작용에 대해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당해 화합물이, 양호한 항종양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일반식 (1)
Figure 112007049359089-PCT00001
(식 중, R1 은 C1― 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페닐기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나타내며, Y 는 단결합 또는 C1 ―4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항종양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1)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양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래의 화학 요법제와 같은 살세포 효과가 없고, 동물을 이용한 안전성 시험에서 위독한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화학 요법제에 보이는 골수 억제나 간질성 폐렴 등의 위독한 부작용의 발현에 대한 리스크가 적다고 할 수 있고,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신경성상 세포종 등의 항종양약으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의약은 독성이 낮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구 투여도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화학 요법제와 비교하여, 간편한 투여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을 다제 병용 화학 요법에 사용했을 경우, 부작용이 강한 항종양약의 투여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양호한 항종양 작용을 갖는 부작용이 저감된 다제 병용 화학 요법의 실현이 기대된다. 또, 종래의 화학 요법제 투여 후라도, 계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종양 증식의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일반식 (1) 중, R1 로 표시되는 C1― 6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C1― 4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C4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tert―부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2 로는, 시클로헥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Y 로 표시되는 C1― 4 알킬렌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메틸메틸렌기, 디메틸메틸렌기, 1―메틸에렌기, 1,1―디메틸에틸렌기, 1―메틸프로필렌기, 2―메틸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디메틸메틸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Y 로는, 단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중,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합물 A) 및 (R)―(―)―2―[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l,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페닐―2―메틸프로피온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합물 B) 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 중 더욱 화합물 A 가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무기염류, 암모늄염, 피리딘염, 트리에틸아민염, 에탄올아민염, (R) 혹은 (S) 체의 α―페네틸아민, 벤질아민, 4―메틸벤질아민염 등의 유기염류, 및 유기산, 무기산과의 산부가염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중 염기성염이 바람직하고, 염기성염 중에서도 무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염으로는, 알칼리 토금속염, 특히 칼슘염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 에는, 광학 활성이나 디아스테레오머체는 물론, 수화물 등의 용매화물이나 결정 다형의 물질도 포함된다.
이들의 화합물 (1) 은 WO01/40197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1) 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종양의 증식을 억제하고, 또한 담암숙주의 생존 기간을 유의하게 연장한다는 점에서, 여러 가지의 종양에 대한 예방 치료약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화합물 (1), 특히 화합물 A 는 래트 및 개에 있어서 1000mg/kg 을 28일간 연속 투여해도 사망 예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 섭이량, 안과적 검사, 요검사, 기관 중량, 부검 소견 및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은 확인되지 않아, 안전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항종양제의 대상 암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신경성상 세포종을 들 수 있다. 이 중, 소화기암, 특히 췌장암, 대장암 혹은 위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항종양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담체나 보조제를 배합하여, 경구적으로도 비경구적으로도 투여할 수 있고, 경구 투여의 형태로는,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와 같은 고형 제제로 할 수 있다. 고형 제제에서는, 예를 들어 유당, 만니트,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등의 부형제 ;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검, 젤라틴 등의 결합제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등의 붕괴제 ; 탤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의 활택제 등, 적당한 첨가제와 조합시킬 수 있다.
또, 이들의 고형 제제를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등의 피복용 기제를 사용하여 방출 제어 제제로 할 수 있고, 또한 액제, 현탁제, 유탁제와 같은 액체 제제로 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의 형태로는 주사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물, 에탈올, 글리세린, 관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 등과 조합할 수 있다. 또, 적당한 기재를 사용하여 좌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항종양제에서의 화합물 (1) 의 투여량은 그 투여 방법, 제제 형태, 환자의 증상, 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개개의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성인에 대한 1일의 경구 투여량은, 10∼1000mg 이며, 바람직하게는 50∼600m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500mg 이다. 이것을 1일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종양제는 다제 병용 요법에 사용되는 항종양제, 즉,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종양제나 방사선 요법과, 동시에 또는 상이할 때에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빈도로, 및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투여 방법으로, 병용 투여할 수 있고, 이러한 다제 병용 요법이나 방사선 요법의 병용에 의해 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종양제를 다제 병용 요법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종 다제 병용 요법에 추가하거나, 혹은, 그 중의 1∼2종의 항암제와 치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제와 병용할 수 있는 다른 항종양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대사 길항제인 플루오로우라실, 염산 젬시타빈, 메토트렉사트, 시타라빈, 플루다라빈 등, 항종양성 항생 물질인 염산 블레오마이신, 마이트마이신 C, 염산 독소르비신, 염산 다우노르비신, 염산 이다루비신 등, 알킬화 약인 부설판, 배위 금속 착물 (카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시클로포스파미드, 다카르바진, 멜팔란 등, 비스테로이드계 아로마타제 저해제인 아나스트로졸, 엑세메스탄, 면역 요법제인 트라스투주맵, 리툭시맵 등, 유사분열 인히비터인 파클리탁셀, 도세택셀 수화물, 황산 빈크리스틴, 황산 빈브라스틴 등, 트포이소메라제 저해제인 염산 이리노테칸 등, 호르몬 요법제인 시트르산 타목시펜, 아세트산 류프로레린등, 그 외의 항종양제인 레보홀리네이트칼슘(calcium levofolinate),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인 게피티니브, 모노클로날 항체 (세툭시맵, 베바시주맵),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저해제, 파르네실트랜스페라아제 저해제 등이 사용되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췌장암 치료 작용이 알려진 염산 젬시타빈의 사용시나 염산 젬시타빈과 다른 화학 요법제인 플루오로우라실이나 레보홀리네이트칼슘, 염산 이리노테칸, 배위 금속 착물과의 병용 요법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 및 병용되는 다른 항종양제의 투여량은, 병용하는 약제, 환자의 증상, 투여 방법 등에 따라 약제별로 적절하게 결정된다. 다제 병용 요법에 있어서의 화합물 (1) 의 투여량은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투여 시기, 투여 빈도 및 투여 형태는, 병용하는 약제별로 최적의 방법이 선택된다. 즉, 화합물 (1) 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1∼4) 외의 항종양제와, 동시 또는 상이할 때에,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빈도로, 및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투여 형태로 투여된다. 다제 병용 요법에 있어서의 화합물 (1) 의 투여 형태로는, 1일 1회 또는 복수회의 경구 투여 혹은 정맥 내 투여가 바람직하다. 항종양제에 있어서는, 점적에 의한 정맥 내 투여인 것이 많은데, 간편한 투여 형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구 투여가 보다 바람직하다.
후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항종양제는 다른 항종양제와 병용함으로써, 부작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달성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약을 다제 병용 화학 요법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부작용이 강한 다른 항종양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거나, 화학 요법 후에도 계속하여 본 발명 항종양제를 투여할 수 있고, 더욱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얻는 것이 충분히 기대된다.
화합물 (1) 의 래트 가스트린 수용체에 대한 결합 친화성 (Ki치) 은 0.24nM 으로 강력하고, 또, 래트에 있어서의 가스트린 자극 위산 분비를 0.17mg/kg 의 십이지장내 투여로 50% 억제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Gastroenterology 2001 ; A―311 : 1605). 그에 대해, 본제의 항종양 작용을 발현하는 용량은 고용량이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갖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1) 에 있어서의 항종양 작용 그리고 독성을 이하의 실시예 1∼6 에 의해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종양제의 조제예를 제제예 1∼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3×106개의 인간 췌장암 세포주 (MIAPaCa 2) 를 암컷 누드 마우스에 피하 이식하였다. 종양 용량이 100㎣ 이상이 된 후부터 1일 1회, 각각 10, 30, 100mg/kg 의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칼슘염 (이하, 화합물 A1 이라고 한다) 을 21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의 다음날에 종양을 적출하여,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약물을 경구 투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하게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약물 투여군과 대조군의 종양 중량을 기초로, 억제율을 측정하면, 30mg/kg, 또는 100mg/kg 에 있어서의 억제율은 각각 40%, 42% 이었다. 화합물 A1 의 투여에 의해, 용량 의존적이고 또한 유의하게 종양 증식을 억제하였다.
실시예 2
1×106개의 인간 췌장암 세포주 (PAN1VC) 를 수컷 누드 마우스에 췌장 내 이식하였다. 이식 다음날부터, 1일 1회, 각각 30, 100 의 화합물 A1 을 36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또 염산 젬시타빈 (Gemzar Injection(R)) 은, 5mg/kg 을 이식 1, 3, 6일 후에 정맥 내 투여하였다. 그 결과, 염산 젬시타빈(Gemzar Injection(R)) 단독 투여, 상기 화합물을 30mg/kg, 또는 100mg/kg 투여에 있어서, 약물 투여군과 대조군의 종양 중량을 기초로, 산출된 억제율은, 각각 32%, 19%, 23% 이었다. 한편, 염산 젬시타빈(Gemzar Injection(R)) 과 화합물 A1 을 30mg/kg, 또는 100mg/kg 병용 투여했을 경우에는, 억제율은 각각 73%, 84%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합물 A1 과 염산 젬시타빈(Gemzar Injection(R)) 을 병용함으로써, 우수한 항종양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3
1.5×106개/1mL 의 인간 대장암 세포주 (C170MH2) 를 수컷 누드 마우스에 복강 내 투여하였다. 이식 후, 1일 1회, 화합물 A1 을 3mg/kg, 또는 30mg/kg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약으로서 5―플루오로우라실 (이하, 5―FU) 및 로이코보린을 1회 25mg/kg 씩 정맥 내 투여 (종양투여 1, 4, 7, 10일 후) 하였다. C170HM2 종양을 복강 내 투여 40일 후에 간장에 전이된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화합물 A1 을 3mg/kg, 또는 30mg/kg 투여함으로써, 간장으로의 전이는 각각 73%, 또는 81% 억제되었다.
한편, 5―FU 및 로이코보린 투여군의 억제율은 63%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합물 A1 는 화학 요법제와 동일한 정도 이상의 항전이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4
5×105개/1mL 의 인간 위암 세포주 (MGLVA1) 를 암컷 SCID 마우스에 복강 내 이식 투여하였다. 이식 후, 1일 1회, 화합물 A1 을 3mg/kg, 또는 30mg/kg 씩,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이 모델은 MGLVA1 종양에 의한 치사성의 모델로서, 약제의 효과는 생존 기간의 연장 작용으로서 평가하였다. 투여 개시 16일 후의 생존율은, 대조군에서는 6.7% 인 것에 반해, 화합물 A1 을 30mg/kg 투여하면 생존율은 46.7%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화합물 A1 이 종양 이식 후의 생존 기간의 연장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5
1×106개의 인간 대장암 세포주 (HT―29) 를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에 피하 이식하였다. 이식 4일 후부터 1일 1회, 각각 10, 30, 100mg/kg 의 화합물 A1 을 1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의 다음날에 종양을 적출하여,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또, 약물을 경구 투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하게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약물 투여군과 대조군의 종양 중량을 기초로, 억제율을 측정하면, 30mg/kg 및 100mg/kg 에 있어서의 억제율은 각각 44% 및 50% 이었다. 화합물 A1 은, 용량 의존적이고 또한, 유의하게 종양 증식을 억제하였다.
실시예 6
1×106개의 인간 대장암 세포주 (HT―29) 를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에 피하 이식하였다. 이식 10일 후부터 1일 1회, 30mg/kg 의 화합물 A1 을, 12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또, 비교 대상으로서, 3, 10, 30mg/kg 의 5―FU 를 12일간, 복강 내 투여하 였다. 최종 투여의 다음날에 종양을 적출하여,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약물을 경구 투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하게 종양 중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약물 투여군과 대조군의 종양 중량을 기초로, 억제율을 측정하면, 화합물 A1 을 30mg/kg 단독 투여했을 경우의 억제율은 34% 이었다. 또, 3, 10, 30mg/kg 의 5―FU 단독 투여에 있어서의 억제율은 각각 24, 30, 58% 이었다.
한편, 화합물 A1 30mg/kg 과 3, 10, 30mg/kg 의 5―FU 를 병용했을 경우의 억제율은 각각 31, 54, 76% 이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화합물 A1 과 5―FU 를 병용함으로써 우수한 항종양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7
종양편 70∼80mg 의 인간 췌장암 세포주 (PANC―1) 를 암컷 SCID 마우스 (각 군 15 마리) 에 췌장 내 이식하였다. 이식 7일 후부터, 1일 1회, 100mg/kg 의 화합물 A1 을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아직, 양성 대조약으로서 염산 젬시타빈(Gemzar Injection(R)) 을, 1회 100mg/kg 씩, 이식 7, 10, 14일 후에 정맥 내 투여하였다. 이 모델은 PANC―1 종양에 의한 치사성의 모델로서, 약제의 효과는 생존 기간의 연장 작용으로서 평가하였다. 투여 개시 40일 후 (이식 후 46일 후) 의 생존율은 대조 용매군에서는 46.7% 인 것에 반해, 화합물 A1 을 100mg/kg 투여하면, 86.7% 이었다. 또, 염산 젬시타빈에서는, 93.3%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화합물 A1 이 화학 요법제와 동일한 정도의 종양 이식 후의 생존 기간의 연장 작용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8
종양편 70∼80mg 의 인간 췌장암 세포주 (PANC―1) 를 암컷 SCID 마우스 (각 군 15 마리) 에 췌장 내 이식하였다. 이식 7일 후부터, 1일 1회, 100mg/kg 의 화합물 A1 을 연일 경구 투여하였다. 또 염산 젬시타빈(Gemzar Injection(R)) 은, 100mg/kg 을 이식 7, 10, 14일 후에 정맥 내 투여하였다. 이 모델은 PANC―1 종양에 의한 치사성의 모델로서, 약제의 효과는 생존 기간의 연장 작용으로서 평가하였다. 염산 젬시타빈 (표 1 중, Gem) 100mg/kg 과 화합물 A1 100mg/kg 병용 투여했을 경우에,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상의 결과는, 화합물 A1 과 화학 요법제의 병용 투여는 종양 이식 후의 생존 기간 연장 작용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Contor1 화합물 A1 GEM(100)×3 GEM(100)×3+화합물A1 (100)
최후의 개체가 사망한 날 56 61 54 63*
평균 생존 기간(day) 43 49.5 46.9 50.9
생존 기간 중앙치(day) 39 51 48 54
투여 개시 50일 후(이식 후 56일)생존율(%) 40 53.3 20 66.7
투여 개시 60일 후(이식 후 66일)생존율(%) 0 6.7 0 20*
*<0.05, **<0.01
: Control군에 대해서, 카플란마이어법 로그 랭크의 검정 (다군) 에 의해 유의차가 생긴 것
시험예 1 래트에 있어서의 28일간 반복 경구 투여 독성 시험
6주령의 자웅 SD계 래트에게 화합물 A1의 30, 100, 300 및 1000mg/kg 을 28일간 반복 경구 투여하였다. 어느 군에 있어서도 사망 예는 확인되지 않고, 체중, 섭이량, 안과적 검사, 요검사, 기관 중량, 부검 소견 및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 있어서, 이상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2 개에 있어서의 28일간 반복 경구 투여 독성 시험
8개월의 자웅 비글개에게 화합물 A1 의 30, 100, 300 및 1000mg/kg 을 28일간 반복 경구 투여하였다. 어느 군에 있어서도 사망 예는 확인되지 않고, 체중, 섭이량, 안과적 검사, 심전도, 혈압, 요검사, 혈액학적 검사, 혈액 생화학적 검사, 기관 중량 및 부검 소견에 있어서, 이상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다.
제제예 1
화합물 A1 을 20g, 유당을 315g, 옥수수 전분을 125g 및 결정 셀룰로오스를 25g, 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7.5%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 200mL 를 첨가하고, 압출 조립기에 의해, 직경 0.5㎜ 스크린을 사용하여 과립으로 하고, 바로 조립기에 의해 둥글게 한 후, 건조시켜 과립제로 한다.
제제예 2
화합물 A1 을 20g, 유당을 100g, 옥수수 전분을 36g, 결정 셀룰로오스를 30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을 10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4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단발 타정기로 직경 7.5㎜ 의 절구공이로 1정 200mg 의 정제로 한다.
제제 예 3
화합물 A1 을 100mg, 아세트산 나트륨을 2mg, 아세트산 (pH 5.8 로 조정용)을 적당량, 증류수를 잔량 (합계 10mL/바이알) 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주사제로 한다.

Claims (27)

  1. 일반식 (1)
    Figure 112007049359089-PCT00002
    (식 중, R1 은 C1― 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페닐기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나타내며, Y 는 단결합 또는 C1― 4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이 tert―부틸기이고, R2 가 시클로헥실기이며, Y가 단결합인 항종양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 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항종양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 또는 그 칼슘염인 항종양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또는 신경성상 세포종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항종양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화기암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항종양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췌장암, 대장암 또는 위암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항종양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제인 항종양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항종양제와의 병용 투여 또는 방사선 요법과 병용 치료되는 것인 항종양제.
  10. 일반식 (1)
    Figure 112007049359089-PCT00003
    (식 중, R1 은 C1― 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페닐기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나타내며, Y 는 단결합 또는 C1― 4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항종양제 제조를 위한 용도.
  11.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이 tert―부틸기이고, R2 가 시클로헥실기이며, Y 가 단결합인 용도.
  1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용도.
  13.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 또는 그 칼슘염인 용도.
  14. 제 10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가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 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또는 신경성상 세포종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용도.
  15.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가 소화기암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용도.
  16.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가 췌장암, 대장암 또는 위암의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인 용도.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가 경구 투여용 항종양제인 용도.
  18. 제 10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항종양제와의 병용 투여 또는 방사선 요법과 병용 치료되는 것인 용도.
  19. 일반식 (1)
    Figure 112007049359089-PCT00004
    (식 중, R1 은 C1― 6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는 페닐기 또는 시클로헥실기를 나타내며, Y 는 단결합 또는 C1― 4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1,5―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양의 치료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이 tert―부틸기이고, R2 가 시클로헥실기이며, Y 가 단결합인 치료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치료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R)―(―)―3―[3―(1―tert―부틸카르보닐메틸―2―옥소―5―시클로헥실―1,3,4,5―테트라히드로―2H―1,5―벤조디아제핀―3―일)우레이드]벤조산 또는 그 칼슘염인 치료 방법.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이 소화기암, 백혈병, 하수체종양, 폐소세포성암, 갑상선암 또는 신경성상 세포종인 치료 방법.
  24.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이 소화기암인 치료 방법.
  25. 제 1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양이 췌장암, 대장암 또는 위암인 치료 방법.
  26. 제 1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수단이 경구 투여인 치료 방법.
  27. 제 1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항종양제와의 병용 투여 또는 방사선 요법과 병용 치료되는 것인 치료 방법.
KR1020077015520A 2005-01-19 2006-01-16 항종양제 KR101285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1158 2005-01-19
JP2005011158 2005-01-19
PCT/JP2006/300445 WO2006077793A1 (ja) 2005-01-19 2006-01-16 抗腫瘍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930A true KR20070095930A (ko) 2007-10-01
KR101285047B1 KR101285047B1 (ko) 2013-07-10

Family

ID=3669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20A KR101285047B1 (ko) 2005-01-19 2006-01-16 항종양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5) US20080161293A1 (ko)
EP (1) EP1839662B1 (ko)
JP (1) JP4957250B2 (ko)
KR (1) KR101285047B1 (ko)
CN (1) CN101102776B (ko)
AU (1) AU2006207152B2 (ko)
BR (1) BRPI0606459A2 (ko)
CA (1) CA2594482C (ko)
DE (1) DE602006013094D1 (ko)
DK (1) DK1839662T3 (ko)
ES (1) ES2341728T3 (ko)
HK (1) HK1116064A1 (ko)
PL (1) PL1839662T3 (ko)
PT (1) PT1839662E (ko)
RU (1) RU2391982C2 (ko)
SI (1) SI1839662T1 (ko)
TW (1) TWI399206B (ko)
WO (1) WO2006077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1839662T1 (sl) * 2005-01-19 2010-07-30 Zeria Pharm Co Ltd Antitumorsko sredstvo
TWI459948B (zh) * 2008-05-15 2014-11-11 Zeria Pharm Co Ltd The use of a 1,5-benzodiazepine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the manufacture of a pain therapeutic agent composition
RU2498819C2 (ru) 2008-08-05 2013-11-20 Торэй Индастриз, Инк.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опухолей
ES2570731T3 (es) 2008-08-05 2016-05-20 Toray Industries Método de detección de cáncer
RU2011143755A (ru) 2009-03-31 2013-05-10 Зериа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ого 1,5-бензодиазепина
PT2741085T (pt) * 2011-08-04 2017-06-30 Toray Industries Método para a deteção de cancro prancreático
KR102056654B1 (ko) 2012-07-19 2019-12-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암의 검출 방법
RU2668125C2 (ru) * 2013-03-27 2018-09-26 Тайхо Фармасьютикал Ко., Лтд.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е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низкодозированный гидрохлорида иринотекана гидрат
WO2015020212A1 (ja) 2013-08-09 2015-02-12 東レ株式会社 癌の治療及び/又は予防用医薬組成物
CN103435562B (zh) * 2013-08-26 2016-02-24 华东理工大学 6-取代苯并二氮卓-2,4-二酮类化合物及其用途
BR112016011727A2 (pt) 2013-11-22 2017-08-08 CL BioSciences LLC Antagonistas de gastrina para o tratamento e prevenção de osteoporose
CN108395410A (zh) * 2018-05-09 2018-08-14 日照市普达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苯胺喹唑啉化合物及其在抗肿瘤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8115A (en) * 1991-04-10 1993-06-08 Merck & Co., Inc. Cholecystokinin antagonists
JPH0840908A (ja) * 1994-07-28 1996-02-13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癌細胞増殖抑制剤
DE69724644D1 (de) * 1996-12-10 2003-10-09 Zeria Pharm Co Ltd 1,5-benzodiazepinderivate
JP2000026434A (ja) * 1998-06-05 2000-01-25 Zeria Pharmaceut Co Ltd 新規1,5−ベンゾジアゼピン誘導体
WO2000066125A1 (en) * 1999-04-29 2000-11-09 Aventis Pharma S.A.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ing camptothecin derivatives and 5-fluorouracil
ES2228633T3 (es) * 1999-12-02 2005-04-16 Zeria Pharmaceutical Co., Ltd. Sales de calcio de derivados de 1,5-benzodiazepina,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estas sales y medicamentos que las incluyen.
TWI310684B (en) * 2000-03-27 2009-06-11 Bristol Myers Squibb Co Synergistic pharmaceutical kits for treating cancer
WO2002092096A1 (fr) * 2001-05-11 2002-11-21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Agents antitumoraux
SI1839662T1 (sl) * 2005-01-19 2010-07-30 Zeria Pharm Co Ltd Antitumorsko sredstv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9206B (zh) 2013-06-21
US20180318314A1 (en) 2018-11-08
EP1839662A1 (en) 2007-10-03
CA2594482A1 (en) 2006-07-27
US20100143366A1 (en) 2010-06-10
DE602006013094D1 (de) 2010-05-06
ES2341728T3 (es) 2010-06-25
EP1839662A4 (en) 2008-05-21
RU2391982C2 (ru) 2010-06-20
US20100086553A1 (en) 2010-04-08
BRPI0606459A2 (pt) 2009-06-30
RU2007131435A (ru) 2009-02-27
CA2594482C (en) 2013-10-01
CN101102776B (zh) 2011-08-24
WO2006077793A1 (ja) 2006-07-27
AU2006207152B2 (en) 2011-02-24
CN101102776A (zh) 2008-01-09
TW200637561A (en) 2006-11-01
EP1839662B1 (en) 2010-03-24
SI1839662T1 (sl) 2010-07-30
PL1839662T3 (pl) 2010-08-31
US20170151256A1 (en) 2017-06-01
DK1839662T3 (da) 2010-05-10
US20080161293A1 (en) 2008-07-03
JPWO2006077793A1 (ja) 2008-06-19
JP4957250B2 (ja) 2012-06-20
PT1839662E (pt) 2010-04-28
HK1116064A1 (en) 2008-12-19
AU2006207152A1 (en) 2006-07-27
KR101285047B1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047B1 (ko) 항종양제
IL256148A (en) Anti-cancer agent
EA028452B1 (ru) Лечение рака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KR20140069340A (ko) 4-아닐리노-3-사이아노퀴놀린과 카페시타빈의 항신생물성 조합물
US7851443B2 (en) Combination comprising combretastatin and anticancer agents
KR101565430B1 (ko) N-메틸렌나프토[2,1-b]퓨란-2-카보하이드라지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208840A2 (en) Combination of fluorouracil and a methylol transfer agent for the treatment of tumor metastases and cancer
JP2007500240A (ja) Abt−751による持続投与レジメン
KR100844477B1 (ko) 항종양 효과 증강제, 항종양제 및 암 치료 방법
MX2007008753A (es) Agente antitumoral.
WO2024028846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cancers
US20040138207A1 (en) Antitumor agents
US20200347136A1 (en) Constrained cyclic peptides as inhibitors of the cd2:cd58 protein-protein interaction for treatment of diseases and autoimmune disorders
WO2019230679A1 (ja) 抗腫瘍剤及び腫瘍治療方法
WO2024028847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cancers
RU2486900C2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боли
TW202327584A (zh) 用於癌症療法之新穎口服醫藥組合物
JP2005520806A (ja) がん治療を改善する併用療法におけるキナゾリノン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