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657A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657A
KR20070095657A KR1020060026135A KR20060026135A KR20070095657A KR 20070095657 A KR20070095657 A KR 20070095657A KR 1020060026135 A KR1020060026135 A KR 1020060026135A KR 20060026135 A KR20060026135 A KR 20060026135A KR 20070095657 A KR20070095657 A KR 2007009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arts
extract
hawt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517B1 (ko
Inventor
김효용
주용준
조진훈
김중현
정인우
Original Assignee
(주)아르떼르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르떼르화장품 filed Critical (주)아르떼르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02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5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안전하고,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가 뛰어나며, 이러한 프리라디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매우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피부자극을 완화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산사나무, 항산화, 피부자극 완화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Antioxidant or skin irritation-reliev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조직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와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몸 안에 가지고 있는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광선으로 나오는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생체 세포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시 또는 정상적인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도 각종 프리라디칼(free radical)이 발생한다. 이러한 프리라디칼은 대부분 유해한 활성산소이다. 이들 유해한 활성산소들은 생체내의 자기 방어기구에 의해서 대부분 소멸되지만 일부분의 활성산소는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지질을 형성하며 단백질 등의 생체고분자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그 결과 세포 활력이 감소한다. 다 시 말해 생체세포는 자외선을 비롯하여 의약품, 식품첨가물, 잔류농약 등의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항시 과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있으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방어능력이 떨어져 결국에는 세포막의 손상, 지질과산화 등이 관여하여 노화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 E. Levibovitz and B. W. Siegel, J. Gerontol., 35-40, 1980), 특히 자외선 조사시 생성된 프리라디칼 중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는 직접적인 세포손상의 주원인임이 밝혀졌다(R. M. Tyrrell, Photochem. Photobiol., 49(4), 407-412, 1989). 따라서 피부의 노화방지 또는 지연은 피부 내 프리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화장품은 목표는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것이며, 아울러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천연 식물 성분들의 피부 생리 활성을 검색하여 안전성이 우수하고 피부 미용효과가 강한 물질들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을 하는 물질로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디엘-알파-토코페롤(dl-α-tocopherol), 베타-카로틴(β-carotene),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BHT) 등이 있으나, 이러한 물질들은 화학적 합성품이기 때문에 장기 사용시 또는 다량 사용시 피부안전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에 안전하고, 프리라디 칼 제거효율이 높으며, 피부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젠티안 10-30 중량부, 당아욱 10-20 중량부, 오레가노 3-10 중량부 및 산사나무 40-7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혼합원료가 젠티안 20 중량부, 당아욱 15 중량부, 오레가노 5 중량부 및 산사나무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젠티안(Gentiana lutea)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젠티안은 줄기와 타원형의 잎을 가진 다년생 식물로써 크기는 대략 1.8m 정도이며, 부분적으로 건조된 근경 또는 뿌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 성분은 폴리페놀, 폴리사카라이드, 겐티오피크로사이드, 아마로겐틴, 산톤(xanthone)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아욱(Malva sylvestris)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잎, 뿌리, 꽃 부분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꽃 부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주요성분으로는 안토시아닌(말빈, 말비딘), 플라보노이드, 탄닌, 비타민 A, B1, B2, C, E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오레가노(Origanum vulgare)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오레가노는 다년생 식물로 가지가 있으며 크기는 0.9m 정도이고, 건조된 식물과 잎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잎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요성분은 플라보노이드, 카페인산 유도체, 탄닌 성분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산사나무는 부분적으로 건조된 열매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요성분으로 플라보노이드, 루틴, 올레아놀릭 산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뛰어나 화장료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젠티안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산사나무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보다 항산화 효과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더 탁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농으로 재배된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유기농이란 농약 및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유기농 비료만으로 재배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유기농 재배 식물을 사용할 경우 피부 안전성이 매우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젠티안 10-30 중량부, 당아욱 10-20 중량부, 오레가노 3-10 중량부 및 산사나무 40-7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된 추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혼합원료가 젠티안 20 중량부, 당아욱 15 중량부, 오레가노 5 중량부 및 산사나무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젠티안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오레가노 추출물 및 산사나무 추출물을 각각 10-30 중량부, 10-20 중량부, 3-10 중량부 및 40-75 중량부의 혼합비로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복합 추출물은 상기 4가지 식물이 상기 조성비로 혼합된 후 추출될 수도 있고 각각 추출되어 상기 조성비로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혼합되는 경우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 프리라디칼 소거효율, 세포 보호능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를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든 후 추출용매를 가하여 실온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한편 원료 미세분말 1kg에 대하여 1-15ℓ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러 다른 추출용매보다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프리라디칼 소거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의 제조>
유기농 원료인 젠티안 200g, 당아욱 150g, 오레가노 50g 및 산사나무 600g을 분쇄, 세절한 후 혼합하였다. 혼합원료 1kg을 물 3ℓ에 넣고 실온에서 15일간 침적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감압 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건조중량 100g의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8의 제조>
아래 표 1의 추출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용매 얻은 복합 추출물의 양(g)
실시예 1 증류수 100
실시예 2 증류수:에탄올(50%:50%) 139
실시예 3 에탄올 180
실시예 4 부틸렌글리콜 165
실시예 5 글리세린 158
실시예 6 아세톤 79
<복합 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평가>
실시예 1-6의 복합 추출물에 대해 DPPH를 이용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력을 평가하였다. 60uM 1,1-디페닐-2-피크릴(picryl) 하이드라질(hydrazyl)(DPPH) 용액 2ml에 실시예 1-6의 추출물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별로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라디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퍼센트(%)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 실험 농도(ug/ml)
10 ug/ml 50 ug/ml 100 ug/ml
실시예 1 28 49 70
실시예 2 25 59 75
실시예 3 30 57 68
실시예 4 38 68 81
실시예 5 34 64 77
실시예 6 25 55 67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대부분 높은 프리라디칼 제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극성 용매에 비해 극성 용매로 추출한 복합 추출물에서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한 복합 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1-4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배합 비율의 원료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되기 전 원료의 총 양은 모든 경우에 있어 동일하게 1kg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기농 원료를 사용하였다.
유기농 원료 배합 비율(%) 얻은 추출물의 무게(g)
비교예 1 젠티안 100% 154 g
비교예 2 당아욱 100% 115 g
비교예 3 오레가노 100% 141 g
비교예 4 산사나무 100% 162 g
실시예 7 젠티안:당아욱:오레가노:산사나무 (25%:25%:25%:25%) 160 g
<복합 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평가>
실시예 4, 실시예 7 및 비교예 1-4와 기존에 항산화제로 알려진 아스코르빈산, 디엘-알파토코페롤, 베타카로틴 및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의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을 실시예 1의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50%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IC50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IC50 (㎍/㎖)
실시예 4 27.4
실시예 7 30.4
비교예 1 38.5
비교예 2 40.7
비교예 3 45.2
비교예 4 36.6
아스코르빈산 26.6
디엘-알파토코페롤 32.7
베타카로틴 48.7
디부틸히드록실톨루엔 35.6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효과는 항산화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진 아스코르빈산과 비교될 만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원료를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4의 추출물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효과가 높아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4가지 성분이 동량 혼합된 실시예 7보다 실시예 4의 조성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이 프리라디칼 소거효과가 상대적으로 뛰어났다.
<복합 추출물의 세포 보호능 평가>
실시예 4, 실시예 7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대해서 세포 보호능효과를 평가하였다. 세포 보호능의 측정은 적혈구의 광용혈을 이용하였다. 적혈구는 활성산소에 의한 생체 세포 노화 연구의 대상으로 이용하기에 최적인데, 이는 적혈구막은 구조적으로 많이 연구되어 있고, 시료를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생체막 모델로서 천연물, 화장품, 의약품 원료 등의 세포막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수단으로서 또는 세포막에 대한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 단백질손상 및 용혈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대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토끼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800 rpm, 5분)하고 세척한 후 얻은 적혈구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적혈구 현탁액(적혈구 6천만개/4ml)을 제조하였다. 직경 1cm의 10ml 파이렉스 시험관을 준비하고 적혈구 현탁액을 4ml씩 넣었다. 대조군으로 에탄올 50ul을 이용하였으며, 각 시험군은 20㎍/㎖로 일정하게 제조한 후, 50ul씩을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융화시켰다. 융화가 끝난 후 망증감제로서 헤마토포르피린(hematoporpyhrin) 수용액(80uM) 50ul을 첨가하고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봉한 후 내부를 검게 칠한 50cm×20cm×25cm의 직육면체의 상자 안에 20 와트(watt)의 형광등을 장치하고 형광등으로 5cm거리에 시험관들을 배열시키고 15분간 광조사하였다. 광조사가 끝난 후 시험관들을 암소에 두면서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파장에서 적혈구 현탁액의 투광도의 증가는 적혈구 용혈에 비례한다. 모든 실험은 27℃ 항온실에서 실시하였으며, 시료가 프리라디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은 상기 측정 조건에서 첨가된 적혈구의 50%가 광용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세포 보호능(분)
실시예 4 180
실시예 7 168
비교예 1 135
비교예 2 138
비교예 3 140
비교예 4 155
대조군 35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의 세포 보호능 효과는 각각의 원료를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4의 추출물보다 월등히 높아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4가지 성분이 동량 혼합된 실시예 7보다 실시예 4의 조성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의 세포 보호능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표 4의 프리라디칼 소거평가 결과와 일치한다. 이와 같은 세포 보호작용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세포막의 수용성 표면 혹은 지용성 지질막에 삽입되어 세포손상의 원인이 되는 프리라디칼을 제거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복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추출물 자체의 세포독성을 마우스 유래 피부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수 증식기의 마우스 피부섬유아세포를 웰당 10,000개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DMEM 배지 80um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실시예 4 복합 추출물의 디메틸설폭시드 희석용액 10㎕을 최종 농도가 0, 50, 100, 200, 400, 600, 800 및 1000㎍/㎖가 되도록 가하고 20시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5mg/ml의 MTT 용액을 15㎕씩 가해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복합 추출물 자체의 세포독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생존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세포생존율은 3회 측정한 평균값이다.
Figure 112006020007368-PAT00001
처리농도(㎍/㎖) 세포 생존율(%)
0 100.0
50 110.0±5.1
100 112.4±5.2
200 108.5±4.8
400 115.3±3.9
600 109.7±4.1
800 112.4±4.5
1000 115.5±3.8
상기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그 자체로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복합 추출물의 피부자극 완화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의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폐쇄첩포실험을 이용하여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에 의한 자극 유발과 이에 대한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건성이며 민감한 피부를 가진 피검자 20명(남:5/여:15)을 대상으로 상박 안쪽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다. 정제수에 시료 5%, SLS 0.08%가 되게 실험용액을 제조하고, 20㎕의 실험용액을 핀 챔버(Finn chamber)에 적하시켰다. 각각의 핀 챔버에 종이 디스크를 올려놓고, 핀 챔버를 시험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각 시험 물질을 상박 안쪽 부위에 첩부한 다음,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의 자극 농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고 각 자극 정도에 해당되는 피검자의 수 및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된 자극도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 판정 기준 -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Figure 112006020007368-PAT00002
시료 판정결과 자극도
++ + +- -
SLS 0.08% 2 6 11 1 1.45
정제수 0 0 0 20 0.00
실시예 4 + SLS 0.08% 0 0 3 17 0.15
실시예 7 + SLS 0.08% 0 0 7 13 0.35
비교예 1 + SLS 0.08% 0 1 9 10 0.55
비교예 2 + SLS 0.08% 0 0 7 13 0.37
비교예 3 + SLS 0.08% 0 0 8 12 0.40
비교예 4 + SLS 0.08% 0 0 8 12 0.40
상기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추출물 대부분이 피부자극에 대한 완화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복합 추출물인 실시예 4의 피부자극 완화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이하, 본 발명의 처방예로 유연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및 에센스을 예로 드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 제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처방예 1> 복합 추출물 함유 유연화장수
성 분 함량(단위:중량%)
실시예 4의 복합 추출물 1.00
글리세린 7.00
피이지-400 2.00
알란토인 0.10
EDTA-2Na 0.02
폴리솔베이트 20 0.40
에탄올 5.0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처방예 2> 복합 추출물 함유 로션
성 분 함량(단위:중량%)
실시예 4의 복합 추출물 1.00
글리세린 5.00
1,3-부틸렌글리콜 2.00
알란토인 0.10
EDTA-2Na 0.02
카보머 0.15
폴리솔베이트 60 1.5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00
세테아릴 알코올 1.20
스쿠알란 5.00
광물유 3.00
사이클로메치콘 2.00
디메치콘 0.50
초산토코페롤 0.10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처방예 3> 복합 추출물 함유 영양크림
성 분 함량(단위:중량%)
실시예 4의 복합 추출물 5.00
글리세린 5.00
1,3-부틸렌글리콜 2.00
알란토인 0.10
EDTA-2Na 0.02
카보머 0.3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세테아레스-4 1.20
세테아릴 알코올 1.20
세라마이드 0.50
스쿠알란 7.00
광물유 5.00
사이클로메치콘 3.00
디메치콘 0.50
초산토코페롤 0.1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처방예 4> 복합 추출물 함유 맛사지크림
성 분 함량(단위:중량%)
실시예 4의 복합 추출물 1.00
글리세린 7.00
1,3-부틸렌글리콜 3.00
알란토인 0.10
EDTA-2Na 0.02
산탄검 0.30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세테아레스-4 1.20
세테아릴 알코올 1.20
스쿠알란 7.00
광물유 30.00
사이클로메치콘 3.00
디메치콘 0.50
초산토코페롤 0.1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처방예 5> 복합 추출물 함유 에센스
성 분 함량(단위:중량%)
실시예 4의 복합 추출물 5.00
글리세린 6.00
1,3-부틸렌글리콜 4.00
알란토인 0.10
EDTA-2Na 0.02
카보머 0.15
폴리솔베이트 60 1.50
세테아레스-4 1.20
세테아릴 알코올 1.20
세라마이드 0.50
콜레스테롤 0.50
스쿠알란 7.00
광물유 5.00
사이클로메치콘 3.00
디메치콘 0.50
초산토코페롤 0.10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00
본 발명은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안전하고, 프리라디칼 소거효율이 높으며, 피부자극을 완화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젠티안(Gentiana lutea), 당아욱(Malva sylvestris), 오레가노(Origanum vulgare) 및 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젠티안 10-30 중량부, 당아욱 10-20 중량부, 오레가노 3-10 중량부 및 산사나무 40-7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원료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원료는 젠티안 20 중량부, 당아욱 15 중량부, 오레가노 5 중량부 및 산사나무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는 유기농으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젠티안, 당아욱, 오레가노 및 산사나무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부틸렌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젠티안은 뿌리를 사용하고, 당아욱은 꽃을 사용하며, 오레가노는 잎을 사용하고, 산사나무는 열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26135A 2006-03-22 2006-03-22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078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35A KR100782517B1 (ko) 2006-03-22 2006-03-22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135A KR100782517B1 (ko) 2006-03-22 2006-03-22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657A true KR20070095657A (ko) 2007-10-01
KR100782517B1 KR100782517B1 (ko) 2007-12-06

Family

ID=3880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135A KR100782517B1 (ko) 2006-03-22 2006-03-22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21B1 (ko) * 2009-06-04 2011-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100678B1 (ko) * 2009-06-04 2012-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6208A (ko) * 2020-06-17 2021-12-24 가부시키가이샤 블룸 클래식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869A (ja) * 1994-10-26 1996-05-14 Mikimoto Pharmaceut Co Ltd 活性酸素抑制剤
KR100570120B1 (ko) 1998-12-30 2006-07-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CA2385139A1 (en) 1999-10-14 2001-04-19 The Nisshin Oil Mills, Ltd. Skin-beautifying agent, anti-aging agent for the skin, whitening agent and external agent for the skin
JP4252460B2 (ja) 2002-02-28 2009-04-08 日本ケフィア株式会社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516355B1 (ko) 2002-09-30 2005-09-26 임 그리워 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화장료
KR100972777B1 (ko) 2003-01-27 2010-08-03 비타민 씨60 바이오리서치 가부시키가이샤 항산화 조성물과 외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21B1 (ko) * 2009-06-04 2011-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100678B1 (ko) * 2009-06-04 2012-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1904807B (zh) * 2009-06-04 2013-07-03 熊津豪威株式会社 包含植物提取物的化妆品成分
KR20210156208A (ko) * 2020-06-17 2021-12-24 가부시키가이샤 블룸 클래식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517B1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027B1 (ko)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CN108430485A (zh) 包含金盏花油性提取物和水提取物以及白花百合球茎水提取物的抗污染复合物及其应用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2517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20110068949A (ko)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20150132754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초임계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61551B1 (ko) 느릅나무의추출물을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화장료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2A (ko) 님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45573A (ko)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20000045575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100870110B1 (ko)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753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엽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210015392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30024168A (ko) 복합 조직배양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0715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