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485A -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 Google Patents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485A
KR20070095485A KR1020050085355A KR20050085355A KR20070095485A KR 20070095485 A KR20070095485 A KR 20070095485A KR 1020050085355 A KR1020050085355 A KR 1020050085355A KR 20050085355 A KR20050085355 A KR 20050085355A KR 20070095485 A KR20070095485 A KR 20070095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additive
wheat
licoric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찬
변성희
이종록
양재하
서정철
박숙자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8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485A/ko
Publication of KR2007009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 소맥, 대조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생약 추출물은 베타 아밀로이드로 유도한 뇌신경 손상 동물모델에서 수-미로 (water-maze)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 단축효과를 나타내는 뛰어난 뇌신경 보호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식품첨가제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감초, 소맥, 대조, 식품첨가제

Description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GM 조성물{GM food additive composition showing protective activity of cerebro neuronal cell}
도 1은 β-아밀로이드를 투여하여 신경세포 손상 모델 쥐에 감맥대조탕을 투여한 실험군이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 보다 수-미로(water-maze) 실험에서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의 시간을 유효하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뇌신경 보호활성을 갖는 감초, 소맥, 대조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문화가 발달하고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식품은 양적 증대와 더불어 질적인 개선을 가져왔고, 편리함이 두드러지는 식품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졌다. 그 결과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되는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의 식품들이 식탁에 오르는 일이 많아졌고 매일 새로운 종류의 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식품첨가제의 사용을 동반하고 있다.
식품 첨가제(또는 식품 첨가물)는 식품의 제조, 가공, 또는 보존을 위해 식 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식품첨가제의 종류에는 천연물과 합성품의 두 종류가 있으며, 보통 그 기능과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 현재 한국에서 식품첨가물로 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화학적 합성품 370여종, 천연첨가물 50여종이며, 주로 용도에 따라 서 보존료, 살균제, 산화방지제, 착색료, 발색제, 표백제,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및 안정제, 피막제, 껌 기초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충제, 품질개량제와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 등으로 분류되어 쓰이고 있는 것들이다.
한편, 기능성식품은 식품의 1차 기능인 영양기능, 2차 기능인 감각기능 이외에 3차 기능인 생체조절 기능이 잘 나타나도록 개발된 식품을 말한다. 식품이 나타낼 수 있는 생체조절 기능에는 항암,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혈전 저해, 당뇨 예방, 노화억제 등이 있다. 기능성식품은 생체조절 기능에 의해 만성질환을 예방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개인 및 국가의 의료비를 경감하며, 건강사회 구현으로 풍요로운 복지국가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식품에 이러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특정한 기능을 갖는 소재를 식품 첨가제로 식품에 사용할 수도 있다.
알스하이머병의 발증 메카니즘은 충분히 해명되고 있지 않다. 다만 현재 발증 요인으로서 보고되고 있는 중에서는 β-아밀로이드가 뇌의 신경세포를 중합시켜 괴사시킨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도쿄대학 분자세포 생물학연구소의 瀨戶治男 교수는 일본차나 생약에 포함된 카테킨이 알스하이머병의 원인 물질로 생각되고 있는 β-아밀로이드의 신경 독성을 억제하는 것을 시험관 레벨로 확인했다. 랏트의 뇌로 부터 얻은 해마 세포와 부신 수질 갈색 세포종인 PC12세포에 대한 β-아밀로이드 독성을 지표로 해 실험한 결과, 카테킨에 의한 신경 세포에 의한 보호 작용이 인정되었다. 이미 β-아밀로이드의 독성 억제가 확인되어 있는 비타민E보다도 효과가 크다고 한다. 뢰호 교수 등은 5천종 이상의 토양 미생물 배양액이나 약 400종류의 생약 추출액을 사용해 β-아밀로이드의 신경 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탐색해 오고 있으며, 본 발명자들 또한 한의학에서 신경 독성을 억제하는 물질 및 처방을 연구해온 결과, 본 발명의 감맥대조탕이 뇌신경 보호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확인하였다.
감맥대조탕의 적용표준은 (1) 언행이 정상이 아니거나 이유 없이 비상 혹은 희노불절한 경우 (言行失常 或無故悲傷 或喜怒不節者) (2) 심번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황홀다몽 혹은 좌불안석 혹은 몸에 개미가 기어가는 것 같은 느낌이 있는 경우. (心煩不得眠 或恍惚多夢 或坐臥不安 或身如蟻走樣者) (3) 다한 구건 불사음식 대변 비결 상수일불변의자 (4) 소리나 빛, 사람과 말하는 것을 싫어하여 홀로 어두운 곳에 있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 (一切聲光 與人交談 喜獨居暗室者) (5) 복진: 좌복직근련급 혹우협하제방구급 유결괴자 이상증상 불필실구 (<강소중의>1958.8期) 등이다.
감맥대조탕은 양심안신(養心安神)하고 화중완급(和中緩急)의 작용이 있으며, 장조(臟躁)로 정신(精神)이 황홀(恍惚)하여 때로는 슬퍼하면서 울려고 하여 이를 자주(自主)할 수 없으며, 수면불안(睡眠不安)하고, 심하면 언행(言行)이 이상(異常)하며, 하품을 자주 하고, 설홍태소(舌紅苔少)하며 맥(脈)이 세삭(細數)한 증상 을 치료한다. 장조증(臟躁證)은 우사(憂思)의 과도(過度)로 심음(心陰)이 손상되고 오장(五臟)의 음(陰)이 부족해져서 신(神)을 수사(守舍)할 수 없게 되어 발생한다. 초기(初期) 증상은 정신(精神)이 우울(憂鬱)하고 잘 놀라며 정서(情緖)의 변화가 심하고 수면(睡眠)이 불안(不安)하며, 발작하면 번민(煩悶)과 급조(急躁)함을 느끼거나 또는 슬퍼하면서 울려고 하며, 언행(言行)이 실상(失常)하고, 심하면 전간(癲癎)과 같은 경광증(驚狂症)을 나타내기도 한다. 치법(治法)은 심음(心陰)을 자양(滋養)하는 것을 주로 하면서 겸하여 화중완급(和中緩急)하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처방(處方) 중에 소맥(小麥)은 감미한(甘微寒)하여 심음(心陰)을 자양(滋養)하고 심심(心神)을 안정(安靜)시키므로 군약(君藥)이 되고, 이것은 곧[內經]에서 "심병자 의식맥(心病者 宜食麥)"이라 하여 소맥(小麥)의 성미(性味)가 감, 평(甘. 平)하여 양심안신(養心緩急)한다는 뜻이며, 감초(甘草)는 화중완급(和中緩急)하여 신약(臣藥)으로 하였으며, 대조(大棗)는 성미(性味)가 감, 평(甘. 平)하고 질(質)이 윤(潤)하여 좌약(佐藥)으로 하여 보중익기(補中益氣)하고 아울러 윤장(潤腸)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삼미(三味)의 약물이 합용(合用)되어 감윤윤양(甘潤滋養)하여 양심안신(養心安神)하고 화중완금(和中緩急)의 효능이 있는 방제(方劑)가 된다. 본방(本方)을 운용함에 있어 정신황홀 상비상욕곡 수면불안 설홍태소(精神恍惚 常悲傷欲哭 睡眠不安 舌紅苔少) 등 증상이 변증(辨證)의 요점이 된다. 임상(臨床)에서 병(病; 히스테리)과 신경쇠약(神經衰弱) 등 질환에 상술한 증후가 있을 경우 가감하여 치료한다(김상찬, 변성희 등, 방제학, 영림사).
그러나 감맥대조탕 추출물의 뇌신경 보호 효과에 관련된 용도에 관해서는 상 기 문헌 어디에도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한방재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야채, 과일, 꽃 등의 식물 추출물 가운데 안정성이 뛰어나고 뇌신경 보호활성을 가진 원료를 찾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 해오는 가운데 동의보감에 수록된 처방인 감맥대조탕을 구성하는 감초, 소맥, 대조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한 뇌신경손상 모델 쥐에서 수-미로(water maze)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 단축효과를 나타내는 뛰어난 뇌신경 보호활성을 나타내어 식품첨가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뇌신경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감초, 소맥, 대조를 포함하는 혼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며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뇌신경 보호효과를 갖는 감초, 소맥, 대조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혼합 중량비는 감초 1~10 : 소맥 5~50: 대조 1~10, 바람직하게는 감초 1~3: 소맥 5~15: 대조 1~3의 건조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초, 소맥, 대조 외에 부가적으로 용안육, 죽력, 황 기, 산조인, 사인, 나복, 인삼, 송엽, 홍삼, 익지인, 원지 또는 창포 등의 생약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초 1~10 : 소맥 5~50: 대조 1~10 바람직하게는 감초 1~3: 소맥 5~15: 대조 1~3의 건조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 용매로 증류수를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량을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의 추출 온도에서 0.5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 침적,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한 후 추출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은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한 뇌신경손상 모델 쥐에서 수-미로(water-maze)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 단축효과를 나타내는 뛰어난 뇌신경 보호활성을 나타내어 식품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감초, 대조, 소맥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효과에 유용한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에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터킨(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rose 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식품첨가제용 혼합생약 추출물은 20 내지 90 %의 고 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는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를 식품에 보존료, 살균제, 산화 방지제, 향신료,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여러 가지 영양제,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료, 발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부제, 품질 개량 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 또는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 및 식품소재(부원료)의 필수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식품첨가제는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이들을 각각 나누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껌 제조시, 본 발명의 식품첨가물 0.5 g 또는 1 g, 껌베이스 90 g, 솔비톨 200 g, 연화제 1 g, 자일리톨 3 g, 유화제 12 g을 60 내지 70 ℃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내부 온도를 55 ℃로 유지시키면서 페퍼민트 향료를 9 g 첨가한 다음 30분 혼합한 다음 추출하여 압연하고, 24-48시간 숙성시킨 후 재단하고 포장하여 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과 제빵 제조과정에서 반죽할 때 첨가 사용하며, 소스, 양념장에도 첨가 사용하고, 또한 발효유 또는 요구르트 등에 분말이나 액상을 첨가하여 기능성 또는 기호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생약 추출분말을 김치, 젓갈, 야채 가공에 직접 투입하여 맛 보존성, 항산화, 변색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육가공에서 햄, 소세지 등에 최종 위생처리제, 미생물 생장억제 목적으로 침지 또는 분무 살포하여 사용하며,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물을 마늘, 파, 생강, 허브(herb), 감초 등을 섞어 향신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수산가공식품인 어묵, 생선, 조미어포, 젓갈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 방법으로 사용하며, 김치, 단무지, 깍두기, 야채 절임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험 재료의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생약처방은 동의보감에 기록된 내용에 준하였으며, 시료로 사용된 약재들은 약업사에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GM 열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구성 생약재들을 각각 감초 1 : 소맥 5 : 대조 1 중량배합비로 혼합하여 6L 의 증류수를 가하여 85℃에서 3시간 전기약탕기로 열수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3회 반복 추출하여 물 추출물을 수득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농축하여 동결건조하여 물 추출물 21.27g을 수득하였고(수득률 3.43%), 냉장실에 보관하며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실험동물 및 시약
1-1.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체중 250-260 g의 스프라그-다우리(Sprague-Dawley)계 수컷 랫트(효창사이언스 사)를 사용하였고,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21 ± 2, 명암: 12시간 명암주기)에서, 사료와 음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하며 실험시작 전에 실험동물을 10분 동안 사전취급(handling) 한다.
1-2. 시약의 준비
β-아밀로이드(β-amyloid, 25-35; Sigma, St. Louis, MO, U.S.A)를 멸균증류수와 혼합하여 (Delobette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319, p1-4, 1997) 15 nmol/5 ㎕를 만든다. 이 용액을 37℃ 배양기에 4일 동안 보관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GM추출물의 뇌신경 보호효과 측정
1-1. 뇌신경 손상 유도
실험동물을 50 mg/kg의 펜토바르비탈 나트륨(sodium pentobarbital)을 복강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에 스테레오탁식(Stereotaxic) 수술대에 고정시키고, 약물을 삽입할 부위의 두피를 절개한 다음, 현미경을 이용하여 람다(lamda)와 브레그마(bregma)를 찾고, i.c.v에 주입하였다. 미세주입은 주사 펌프(syringe pump)를 이 용하여 1 ㎕/min의 유속으로 β-아밀로이드 5 ㎕를 14일 동안 주입하여 뇌손상을 유발시켰다.
1-2. 약물효과에 대한 실험군 구성
실험군 분리는 β-아밀로이드와 동량의 생리식염수을 처리한 음성대조군(sham, n=4), β-아밀로이드 처리로 기저핵 (nucleus basalis) 세포를 손상시킨 손상군(control, n=4), 기저핵 (nucleus basalis) 세포를 손상시킨 손상군에 약물을 투여한 약물투여군(GM, n=5)으로 나누었다. 미세주입은 주사 펌프(syringe pump) 3일간의 회복기간 후에 12일 동안 약물을 처리하였다.
1-3. 수-미로(Water-maze) 실험
β-아밀로이드 주입이 끝난 다음날부터 14일 동안 실시예1의 GM 추출물을 100 ㎖/kg농도로 경구 투여한 다음 7일 정도 발현 기간을 거친 뒤, 7일 동안 하루에 4번씩 수-미로 실험을 하였다. 수-미로 실험은 β-아밀로이드 주입 하루에 3번씩 7일 동안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의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 sec)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thovision (Noldus, Nethelan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는 원통의 물 탱크(water tank; 지름 180cm, 높이 50cm)와 비디오-추적 시스템(video-tracking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탱크안에는 플랫폼(platform; 지름 10cm, 높이 25cm)이 한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물의 온도는 약 22~23℃에 맞추었고 물의 높이는 플랫폼위 2cm까지로 하였다. 하루에 세 번 수-미로(Water-maze) 실험시 수영시키는 각 방향은 다르게 하였다. 전체 수영시간은 3분(180초)으로 정하였고, 전체 180초 중 숨겨진 플랫폼위에 찾아가는 시간을 기록하였으며, 만 약 플랫폼을 찾아가 그 위에서 10초 동안 머무르면 시간을 기록하고 홈케이지에 넣었다.
본 실험의 수행 결과, 하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β-아밀로이드 주입 후 생리식염수만 처리한 실험군(control)의 평균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의 시간은 120.8 ± 40초 였으며, 처리기간에 따른 도피 잠재기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는 반면, β-아밀로이드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정상군(sham)의 평균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의 시간은 36.3 ± 18초 였으며, 기간이 지날수록 수-미로에 대한 인지능이 증가하여 도피 잠재기가 감소되었는데, 특히 4 일후 유의한 도피잠재기 감소가 확인되었다. 반면, GM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β-아밀로이드처리에 의한 인지능의 저하가 회복되었다. 특히 GM 열수 추출물 처리 5일째에 도피잠재기가 sham 51.2초, control 161.6초, GM 열수추출물 87.6초로, GM 열수추출물이 유의성있게 인지능력을 회복시켰다. β-아밀로이드 주입 후 실시예 1의 GM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평균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의 시간은 47.0 ± 22초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평균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어 뇌신경 보호효과에 유용한 식품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독성 실험
마우스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GM 추출물의 반복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암컷 Balb/c 마우스를 열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서 매일 150 mg/kg 체중의 용량으로 상기 실시예 1의 GM 추출물을 4 주간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물을 투여하였다. 독 성의 징후는 체중의 변화, 혈액학적 분석, 조직검사를 통해서 4 주 동안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GM 추출물은 그 투여 가능 용량인 150 ㎎/㎏에서 사망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조직검사, 혈액검사 등에서 전혀 유의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체중 및 육안 관찰: 어떠한 비정상적인 체중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음.
(2) 혈액학 검사: WBC, 림프구(lymphocyte), 단핵구(monocyte), 호중구 (neutrophil),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RBC, 헤모글로빈 (hemoglobin), 혈소판(platelet)의 수에 있어서 어떠한 이상 징후도 발견되지 않았음.
(3) 혈청생화학 검사: 혈청을 이용한 생화학 검사 결과 AST, ALT, LDH, 빌리루빈(bilirubin), 크레아티닌(creatinine), 글루코즈(glucose), 콜레스테롤 (cholesterol), 미네랄(minerals), 알부민(albumin), BUN, 리파아제(lipase), 아밀라제(amylase)의 수치에 있어서 어떤 이상 징후도 보이지 않았음.
(4) 조직 검사: 신장, 비장, 간, 흉선의 조직에서 어떤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음.
하기에 상기 식품첨가물의 제제예를 예시하나 이는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캔디의 제조
실시예 1의 GM 열수추출물..............1 g
말티톨...................................55 g
환원물엿................................44.5 g
올리고당.................................0.2 g
구연산...................................0.1 g
상기한 원료를 배합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캔디 제조방법으로 뇌신경 보호에 유용한 캔디를 제조할 수 있다.
제제예 2.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GM 열수 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전체 900 ㎖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3. GM 추출물 함유 천연물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의 GM 추출물 외에 하기한 바와 같은 부가생약으로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제조하여, 식품첨가제의 조제예로 제시하고자 한다.
번호 조성물 배합비(%, w/w)
3-1 감초 소맥 대조 용안육 감초 1 소맥 5 대조 1 용안육 2
3-2 감초 소맥 대조 죽력 감초 1 소맥 5 대조 1 죽력 1.5
3-3 감초 소맥 대조 황기 감초 1 소맥 5 대조 1 황기 3
3-4 감초 소맥 대조 산조인 감초 1 소맥 5 대조 1 산조인 2
3-5 감초 소맥 대조 사인 나복 감초 1 소맥 5 대조 1 사인 1 나복 1.5
제제예 4. 감맥대조탕 함유 천연물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의 GM 추출물 외에 하기한 바와 같은 부가생약으로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제조하여, 식품첨가제의 조제예로 제시하고자 한다.
번호 조성물 배합비(%, w/w)
4-1 감초 소맥 대조 인삼 감초 1 소맥 5 대조 1 인삼 2
4-2 감초 소맥 대조 송엽 감초 1 소맥 5 대조 1 송엽 1
4-3 감초 소맥 대조 홍삼 감초 1 소맥 5 대조 1 홍삼 3
4-4 감초 소맥 대조 익지인 감초 1 소맥 5 대조 1 익지인 2
4-5 감초 소맥 대조 원지 감초 1 소맥 5 대조 1 원지 1.5
제제예 5. 감맥대조탕 함유 천연물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의 GM 추출물 외에 하기한 바와 같은 부가생약으로 본 발명의 천연물 조성물을 제조하여, 식품첨가제의 조제예로 제시하고자 한다.
번호 조성물 배합비(%, w/w)
5-1 감초 소맥 대조 창포 감초 1 소맥 5 대조 1 창포 1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초, 소맥, 대조의 혼합생약 추출물은 베타 아밀로이드로 유도한 뇌신경 손상 동물모델에서 수-미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도피 잠재기(escape latency) 단축효과를 나타내는 뛰어난 뇌신경 보호활성을 확인하여 식품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감초, 소맥, 대조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첨가제.
  2. 제 1항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감초 1~10 : 소맥 5~50: 대조 1~10의 건조중량비의 배합비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혼합생약 외에 부가적으로 용안육, 죽력, 황기, 산조인, 사인, 나복, 인삼, 송엽, 홍삼, 익지인, 원지 또는 창포로부터 구성된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첨가제.
  4. 제 1항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식품첨가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된 것인 식품 첨가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첨가제는 야채, 과일, 상기 야채와 과일의 건조제품 및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 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인 것에 사용할 수 있는 식품첨가제.
KR1020050085355A 2005-09-13 2005-09-13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KR20070095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55A KR20070095485A (ko) 2005-09-13 2005-09-13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55A KR20070095485A (ko) 2005-09-13 2005-09-13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485A true KR20070095485A (ko) 2007-10-01

Family

ID=3880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355A KR20070095485A (ko) 2005-09-13 2005-09-13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54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0633A (zh) * 2015-04-24 2015-07-29 天津中医药大学 一种甘麦大枣汤制剂、其制备方法及用途
KR20180126231A (ko) 2017-05-17 2018-1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WO2021025139A1 (ja) * 2019-08-07 2021-02-11 住友化学株式会社 Aβによる神経細胞傷害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0633A (zh) * 2015-04-24 2015-07-29 天津中医药大学 一种甘麦大枣汤制剂、其制备方法及用途
KR20180126231A (ko) 2017-05-17 2018-1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WO2021025139A1 (ja) * 2019-08-07 2021-02-11 住友化学株式会社 Aβによる神経細胞傷害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
CN114206364A (zh) * 2019-08-07 2022-03-18 住友化学株式会社 用于抑制Aβ引起的神经细胞损伤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RU2523384C2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из плодов бергамо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и в области фармакологии
US10576057B2 (en) Methods for treating muscle wasting and degeneration diseases
JP6027573B2 (ja) 二日酔い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20150055876A (ko) 체지방 감소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조성물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CN104560576B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US20040219238A1 (en) Remedies
US8673287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acacia bark derivative
WO2006135084A1 (ja) 脂肪性肝炎または脂肪肝の予防または治療薬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070095485A (ko) 감초, 소맥 및 대조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첨가제
KR101082938B1 (ko) 수용성 비타민이 인리치먼트된 비타민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102439576B1 (ko) 뇌기능 개선용 영양전달체 조성물
CN102657351A (zh) 一种抗衰老药膳饮料和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8169A (ko) 두메부추와 곤드레 추출복합물(complex)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CN103766500B (zh) 一种抗疲劳奶片
EP3047849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r proliferation of erythrocytic cells, containing monoacetyl 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101312025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추출물의 용도
KR100656241B1 (ko)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240029006A (ko)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22

Effective date: 2008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