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006A -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006A
KR20240029006A KR1020240022012A KR20240022012A KR20240029006A KR 20240029006 A KR20240029006 A KR 20240029006A KR 1020240022012 A KR1020240022012 A KR 1020240022012A KR 20240022012 A KR20240022012 A KR 20240022012A KR 20240029006 A KR20240029006 A KR 20240029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glue
food composition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균
이원희
김종식
소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4002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006A/ko
Publication of KR2024002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유래 추출물인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포함함으로써 섭취를 통해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체내로 전달하여 피부 건강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근본적으로 피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Or Moisture}
본 발명은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전체 우리 몸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몸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 인자들,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피부는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Cornified layer)을 포함한 표피(Epidermis), 그 아래 진피 (Dermis), 가장 아래 피하지방층(Hypodermis)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뷰티(Inner Beauty)란 '이너(Inner)'와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뷰티(Beauty)'의 합성어로 인체 내부로부터 건강한 피부를 가꾼다는 뜻으로, 아름답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커지면서 먹는 화장품이라 불리는 이너뷰티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국내 이너뷰티 시장 규모는 2011년 500억에서 2019년 5000억으로 8년만에 10배 규모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식품 섭취를 통해 피부의 보습, 탄력, 착색에 관한 효능을 기대하는 제품의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가 기대된다.
대부분의 피부 보습 화장품이 각질층의 수분 및 유효성분 흡수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이너뷰티 소재는 섭취된 후 소화기관 및 혈관을 통해 체내로 전달되어 피부건강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각질뿐만 아니라 표피층 전체, 및 진피층의 피부 조직에 작용하여 보습 및 탄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너뷰티 소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었다. 인삼의 사포닌은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 간기능 개선, 항피로, 항스트레스 작용, 노화 방지, 두뇌 활동 촉진, 항염 활성,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 및 단백질 합성 능력의 촉진 등의 생리 활성이 있으며, 고려 홍삼은 항산화, 혈압 강하, 알코올성 고지혈증 개선, 혈당 강하 작용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가공 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으로 구분되며, 백삼은 밭에서 채굴한 가공되지 아니한 인삼 즉,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것을 지칭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사포닌 변형과 아미노산 변화 등 여러 화학적인 변화가 수반된다. 홍삼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등의 사포닌 성분이 생성되며, 홍삼 특유의 유효 성분은 암 예방 작용, 암세포 성장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및 학습 능력 개선 작용, 항혈전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우수하여 탁월한 약리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아교(Colla Corii Asini)는 동물 유래의 가죽 또는 뼈를 물에서 가열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아교는 주성분이 젤라틴(gelatin)으로서 상온에서는 보통 흑갈색의 고체이고, 물을 가하면 콜로이드가 되며, 가열하면 졸 상태가 된다.
예로부터 아교는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었는데, 소 또는 말 유래의 아교는 접착력을 가져 목재, 종이, 천 등의 접착제로 사용되었고, 당나귀 유래의 아교는 맛이 달고 신맛이 조금 있기는 하나 독성이 없고, 보혈자음(補血滋陰), 윤조(潤燥), 지혈(止血) 등의 생리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혈허위황(血虛萎黃), 현훈심계(眩暈心悸), 기위무력(肌無力), 심번불면(心煩不眠), 허풍내동(虛風內動), 폐조해수(肺燥咳嗽), 노수객혈(勞嗽喀血), 토혈뇨혈(吐血尿血), 변혈붕루(便血崩漏), 임신태루(妊娠胎漏)에 약재로서 쓰였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식품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인삼 추출물과 아교를 이용하여 근본적으로 피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3572호(2017.05.30)
본 발명은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유래 추출물인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포함함으로써 섭취를 통해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체내로 전달하여 피부 건강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바르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근본적으로 피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삼 추출물 및 아교의 복합물의 프로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8주 동안 섭취한 후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8주 동안 섭취한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인삼 추출물'은 인삼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인삼 산업법 상의 여러가지 명칭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하게 가공된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수삼, 미삼, 흑삼, 산삼, 장뇌삼, 산양삼, 백삼, 태극삼, 호정화 인삼, 효소 처리된 미삼, 발효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삼은 원형을 유지한 생인삼을 말하고, 미삼은 인삼의 가는 뿌리를 말한다.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흑삼은 홍삼을 더 여러 번 찌고 건조하여 흑색으로 변화한 인삼을 말한다. 산삼은 자생 인삼을 말하며, 장뇌삼은 심어서 기른 산삼을 말한다. 산양삼은 산간의 삼림 하에서 인위적으로 종자나 묘삼을 파종 이식하여 재배한 인삼이다.
상기 인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인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인삼 추출물 제조시, 추출은 5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1회 내지 8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6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4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아교는 소, 말, 당나귀 등의 동물 유래의 가죽이나 뼈를 원료로 하여 물로 가열한 후 추출하고 지방을 제거하고 농축 및 건조시켜 생성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약재로 사용되는 당나귀 유래의 아교(Colla Corii Asini)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교는 통상의 시판되는 아교 블록이거나, 또는 통상의 방식에 의해 당나귀의 가죽이나 뼈에 용매를 가하고 추출한 후 농축 및 건조시켜 형성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공정 조건은 통상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당나귀 가죽이나 뼈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추출 온도는 70℃ 내지 12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1회 내지 4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2회 실시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추출물의 건조는 0~25℃, 또는 0~15℃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8~15시간, 또는 10~1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35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37 내지 63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2 내지 58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5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또는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7 내지 5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피부의 콜라겐 합성능이 더욱 개선됨에 따라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며, 특히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경우에 특히 우수한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 및 아교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아교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 및 아교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천연 추출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을 활용한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은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식품은 상기 식품 조성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상기 식품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식품은 상기 식품 조성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식품은 상기 식품 조성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2.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35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37 내지 63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2 내지 58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5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하거나, 또는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를 47 내지 5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피부의 콜라겐 합성능이 더욱 개선됨에 따라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며, 특히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경우에 특히 우수한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아교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아교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을 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 개선 또는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인간이 아닌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인삼 추출물 및 아교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 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200 ㎎/㎏ 범위 내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홍삼 농축액의 제조
홍삼 20kg에 정제수 8~12배수를 가하여 90±10℃에서 8시간씩 4회 추출한 다음 저온에서 원심분리 후 감압 농축하여 홍삼농축액 14k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아교의 제조
당나귀 껍질 20kg에 정제수 8~12배수를 가하여 90±10℃에서 4시간씩 3회 추출한 다음 저온에서 원심분리 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아교 8k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복합물의 제조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을 비율을 다르게 하여 홍삼 농축액과 아교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함량을 100㎍/㎖:100㎍/㎖, 100㎍/㎖:50㎍/㎖, 50㎍/㎖:100㎍/㎖로 하여 3종류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프로콜라겐 합성능 확인
<1-1> 실험방법
피부섬유아세포(fibroblast) (ATCC, USA)를 24웰 플레이트에 1×105씩 분주한 후 DMEM:F12 혼합배지에 10% 소혈청을 함유시킨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제조예 1의 홍삼 농축액 및 제조예 2의 아교를 단독으로 각각 50 ㎍/㎖ 또는 100 ㎍/㎖ 농도로 처리하고, 제조예 3의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을 20 ㎍/㎖ 농도로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24시간 후 상층액만을 분리하여 상층액 내의 프로콜라겐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 여부를 관찰하였다.
무처리 대조군(Control) 대비 프로콜라겐 I형 합성 증가량(%)을 계산하되, 모든 값은 2회 반복 측정 후 평균±표준편차로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1-2> 프로콜라겐 합성능
도 1로부터,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복합물의 경우 아교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프로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고, 특히 홍삼 농축액 100 ㎍/㎖ 및 아교 100 ㎍/㎖를 혼합하여, 즉 1:1의 중량비로, 사용한 경우에 가장 우수한 프로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4> 홍삼 농축액 및 아교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벌꿀(허니스티, 프리미엄 아카시아꿀) 120g, 식물혼합농축액(KGC예본, 식물혼합농축액1120) 30g, 말토올리고당(인그리디언코리아, MO-R1) 490g을 교반하며 가온(80~100℃)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제조예 2의 아교 100g을 상온의 정제수 100g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본 아교 용해액을 상기 제1 혼합물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혼합물에 제조예 1의 홍삼농축액 100g, 정제수 60g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점조성의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2-1> 실험방법
제조예 4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 후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40~50대의 성인 남녀 각 6명(총 12명)에게 8주 동안 매일 1회 상기 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제품 복용 전 피험자의 전완부를 흐르는 물로 세정하고 항온항습 조건(20~24℃, 40~60% RH) 에서 피부의 수분량을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825로 측정하였다. 이후 피험자들에게 제품을 섭취하도록 하면서 섭취 4주 후, 섭취 8주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의 수분량을 코르네오미터 CM825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5회 반복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거한 3회 측정값의 평균을 나타내었고, 통계분석은 IBM SPSS 통계도구(USA)를 이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2-2> 피부 수화도
도 2로부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피부 보습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8주 동안 섭취한 후에 피부 수화도가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피부 탄력 개선 효과
<3-1> 실험방법
제조예 4의 식품 조성물의 섭취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40~50대의 성인 남녀 각 6명(총 12명)에게 8주 동안 매일 1회 상기 식품 조성물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제품 복용 전 피험자의 전완부를 흐르는 물로 세정하고 항온항습 조건(20~24℃, 40~60% RH) 에서 피부의 탄력을 큐토미터(Cutometer) MPA580으로 측정하였다. 이후 피험자들에게 제품을 섭취하도록 하면서 섭취 4주 후, 섭취 8주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의 탄력을 큐토미터 MPA580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나타내었고, 통계분석은 IBM SPSS 통계도구(USA)를 이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3-2> 피부 탄력
도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피부 탄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8주 동안 섭취한 후에 피부 탄력이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5> 음료의 제조
<5-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혼합물(중량비 1:1)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5-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혼합물(중량비 1:1)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5-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농축액 및 아교의 혼합물(중량비 1:1)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인삼 추출물; 및 아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 45 내지 5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삼 추출물 50 중량부에 대해서 아교 47 내지 53 중량부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인삼에 물을 가하고 50~100℃에서 2~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되는 식품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교는 당나귀 유래의 아교인 식품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품 조성물.
KR1020240022012A 2021-01-27 2024-02-15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40029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2012A KR20240029006A (ko) 2021-01-27 2024-02-15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40A KR20220108628A (ko) 2021-01-27 2021-01-27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40022012A KR20240029006A (ko) 2021-01-27 2024-02-15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40A Division KR20220108628A (ko) 2021-01-27 2021-01-27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006A true KR20240029006A (ko) 2024-03-05

Family

ID=828473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40A KR20220108628A (ko) 2021-01-27 2021-01-27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40022012A KR20240029006A (ko) 2021-01-27 2024-02-15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40A KR20220108628A (ko) 2021-01-27 2021-01-27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086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572B1 (ko) 2017-04-12 2017-06-05 주식회사 더마랩 백토와 미네랄 수를 이용한 당나귀 유래 아교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572B1 (ko) 2017-04-12 2017-06-05 주식회사 더마랩 백토와 미네랄 수를 이용한 당나귀 유래 아교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628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4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626358B1 (ko) 삼칠근, 숙지황,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6523897A (ja) 月経前症候群及び月経痛緩和の機能を持つ組成物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6765090B2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9530B1 (ko)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02775A (ko) 으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9006A (ko) 피부 탄력 또는 보습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20170014329A (ko) 당나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6192A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517664B1 (ko)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97262B1 (ko)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식품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22782B1 (ko)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N102188489A (zh) 含有楮树提取物而可以增强免疫功能的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