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664A - 휴대용 비디오 장치에서 디지털 tv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기 위한 바이모달 스위칭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디오 장치에서 디지털 tv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기 위한 바이모달 스위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664A
KR20070094664A KR1020077018900A KR20077018900A KR20070094664A KR 20070094664 A KR20070094664 A KR 20070094664A KR 1020077018900 A KR1020077018900 A KR 1020077018900A KR 20077018900 A KR20077018900 A KR 20077018900A KR 20070094664 A KR20070094664 A KR 2007009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button
navigation
color
digital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888B1 (ko
Inventor
에릭 앤드류 도세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7009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DTV)은 프로세서 및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포함한다. 휴대용 DTV의 프로세서는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이 적어도 바이모달 동작을 갖도록 제어한다. 일 동작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사용자에게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 바이모달 동작,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광학 소자

Description

휴대용 비디오 장치에서 디지털 TV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바이모달 스위칭{BI-MODAL SWITCHING FOR CONTROLLING DIGITAL TV APPLICATION ON HAND-HELD VIDEO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비디오 장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유럽에서 공지된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표준에 따르는 텔레비전 시스템에서(예를 들어, ETSI EN 300 744 및 기타 관련 문서 참조),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관해, 디지털 텔레비전(DTV)을 위한 원격 제어는 통상적으로 일 세트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와 일 세트의 기능 키를 포함한다. 일 세트의 네비게이션 키, 또는 버튼은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electronic program guide) 및/또는 DTV에 표시되는 메뉴 트리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위", "아래", "우측", "좌측" 및 "선택"과 같은 일반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에 비해, 기능 키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되고, 통상적으로 적어도 4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이 버튼은 각각 특정 컬러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버튼은 적색, 두번째 버튼은 녹색, 세번째 버튼은 청색, 네번째 버튼은 황색으로 표시된다. (5번째 버튼은 이후의 사용을 위해 예약되고, 자주색으로 표시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은 DTV 상에 표시되는 픽쳐에 "소프트 레이블(soft label)"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레이블은 텍스트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설명하고, 네개의 컬러 중 하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되돌아가기(go back)"의 적색 배경을 갖는 소프트 레이블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원격 제어로 적색의 기능 키를 누르는 것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되돌아가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대응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DTV 환경에서 일 세트의 네비게이션 키와 일 세트의 기능 키를 사용하는 것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휴대용 DTV의 구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DTV는, 휴대용 DTV상의 어느 장소에 적어도 10개의 버튼을 위한 충분한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거나(5개의 버튼은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고, 5개의 버튼은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임), 또는 휴대용 DTV에 (상술한 필수적인 수의 버튼을 갖는) 원격 제어의 패키징을 요구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적어도 바이모달(bi-modal) 동작을 갖는다. 일 동작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DTV에 제공되는 메뉴 및/또는 가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DTV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용 DTV는, 상술한 10개의 버튼 대신에 5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 및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둘 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DTV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이모달 동작을 갖는 5개 버튼의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 5개의 멀티-컬러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하나의 LED는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의 5개의 버튼 각각과 관련됨) 및 모드 버튼을 포함한다. 모드 버튼은, 사용자가, 프로세서가 네비게이션 동작 모드 또는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위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네비게이션 동작 모드에서, 5개의 버튼은 각각 DTV에 제공되는 메뉴 및/또는 가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관련된 LED는 각각 네비게이션 모드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도록 백색광을 제공한다. 양방향성 동작 모드에서, 5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관련된 LED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도록 상이한 컬러의 광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서의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및 자주색이다. 더욱이, 양방향성 모드에서의 컬러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휴대용 DTV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특정 양방향성 기능을 나타내는 컬러에 대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예시적 휴대용 DTV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휴대용 DTV의 예시적 전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네비게이션 모드에서의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을 도시한다.
도 5는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예시적 부분을 도시한다.
도 6, 7 및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서의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을 도시한다.
도 9 및 10은 네비게이션 모드 및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색채) 모드에서의 휴대용 DTV(100)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른 순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개념 이외의,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잘 공지되어 있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기반의 시스템과의 유사성이 가정되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 이외의, 변조된 신호를 갖는 디지털-TV, 심볼 성상도(symbol constellation), 캐리어 복구, 보간, 위상 동기 루프(PLL;phase-locked loop), 무선 주파수(rf) 전단, 또는 저 소음 블록 다운컨버터(downconverter)와 같은 수신기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2 시스템 표준(ISO/IEC 13818-1)과 같은) 포맷팅 및 인코딩 방법, 로그 가능성 비율(log-likelihood ratio)과 같은 디코딩 방법, SISO(soft-input-soft-output) 디 코더, 비터비(Viterbi) 디코더, 저장-프로그램 제어 프로세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이 잘 공지되어 있어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은 종래의 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기술도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면에서의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적어도 일부 도면에서는 프로세싱 표현을 간략화하고, 크기대로 도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 휴대용 DTV(100)가 도 1에 도시된다. 휴대용 DTV(100)는 안테나(101), DTV 수신기(105), DTV 프로세서(110), 디스플레이(11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12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휴대용 DTV(100)는 상술한 유럽 DVB-T 표준에 따른다. 이에 대해서, DTV 수신기(105)는 안테나(101)를 통해 DTV 신호를 수신한다. DTV 수신기(105)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다운컨버트된 신호(106)를 DTV 프로세서(110)에 제공한다. DTV 프로세서(110)는 다운컨버트된 신호를 더 처리하여 이로부터, 사용자가 보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5)로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비디오 신호(111)와 같은 디지털 신호를 복구한다. 휴대용 DTV(100)는 시그널링 경로(121)를 통해 UI(120)에 의해 제어되고, 이 UI(120)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장치를 턴 온 및 턴 오프하고, 채널을 선택하고, 볼륨을 조정하고, 디스플레이(115) 상에 제공되는 (DTV 파라미터(예를 들어, 비디오, 오디오, 등)를 설정하기 위한 것과 같은) 메뉴 및/또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EPG;electronic program guide)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동시키고,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있어서, DTV 프로세서(110)는 DTV 수신기(105)를 통해 다운로드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됨)를 포함한다. DTV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공지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날씨, 뉴스, 교통 및 게임(예를 들어, 테트리스) 등이다.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채널(예를 들어, 게임 채널), 또는 현재 보여지고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프로그램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예를 들어, 추가의 팀 정보를 제공하는 색이 칠해진 기능 키를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DTV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기능을 나타내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장-프로그램 제어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DTV(100)의 예시적 전면도가 도시된다. 도 2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크기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휴대용 DTV(100)는 하우징(190)내에 포함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90)은 디스플레이(115)를 위한 서포트(support),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및 안테나(101)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적어도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 버튼 배열(130) 및 모드 버튼(13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버튼 배열(130)은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고 볼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에서는, 현재의 채널 선택을 증가 및 감소 시키는데 사용되는 버튼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레이블 "Ch+" 및 "Ch-"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의 볼륨 설정을 증가 및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버튼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레이블 "V+" 및 "V-"을 사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버튼, 예를 들어, 전원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개념과 관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은 적어도 2개의 동작 모드, 즉, 네비게이션 동작 모드와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동작 모드(본 명세서에서 색채 동작 모드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이에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2개의 동작 모드를 갖는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 순서도가 도시된다. 단계 305에서, DTV 프로세서(110)는 휴대용 DTV(100)의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DTV 프로세서(110)는 모드 설정을 위한 도 2의 모드 버튼(135)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버튼(135)은 적어도 2개 스테이트(state)의 표시를 제공한다. 일 스테이트는 네비게이션 동작 모드와 관련되고, 다른 스테이트는 양방향성 동작 모드와 관련된다. DTV 프로세서(110)는 버튼(135)의 현재 스테이트를 검출함으로써 간단하게 모드를 전환할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간단하게 모드 버튼(135)을 누름으로써 DTV 프로세서(110)가 모드를 전환하게 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모드가 설정되면, DTV 프로세서(110)는 단계 310 및 315를 실행한다. 단계 310에서, DTV 프로세서(110)는 네비게이션 모드 컬러(더 후술됨)를 턴 온시키고, 단계 315에서, 네비게이션 신호로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로부터의 임의의 신호를 처리한다. 한편,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설정되면, DTV 프로세서(110)는 단계 350 및 355를 실행한다. 단계 350에서, DTV 프로세서(110)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 컬러(본 명세서에서 색채 모드 컬러로도 지칭됨)(후술됨)를 턴 온하고, 단계 355에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신호로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로부터의 임의의 신호를 처리하여, 이 신호를 특정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보낸다. 따라서, 휴대용 DTV(100)는 상술한 10개의 버튼 대신에, 5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 및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모두 제공한다.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을 위한 네비게이션 모드가 도 4에 도시된다.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일부는 실제로 5개의 버튼, 즉, 위 버튼, 아래 버튼, 우측 버튼, 좌측 버튼 및 선택 버튼을 포함한다. 이들 버튼은 도 4에 도시되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125-1, 125-2, 125-3, 125-4 및 125-5 부분에 대응한다.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이들 부분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위 버튼(125-1), 아래 버튼(125-2), 우측 버튼(125-3), 좌측 버튼(125-4) 및 선택 버튼(125-5)으로도 지칭된다. 각각의 버튼 부분은, 광학적 부분 126-1, 126-2, 126-3, 126-4 및 126-5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을 포함한다. 본 설명을 위해서, 외부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126-1, 126-2, 126-3 및 126-4)은 예시적인 방향 심볼(∧, ∨, >, <)의 형태를 갖지만, 본 발명의 개념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략하게 도 5를 참조하면, 간략화된 형태의 예시적 블록도가,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일 부분(예를 들어, 하나의 버튼, 예를 들어, 버튼(125-4))에 대해 도시된다.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은 회로 기판(201), 기둥 소자(202), 광 학 소자(205), 및 (예를 들어, 도 4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126-4)에 대응하는) 광학 소자(205)로부터 광을 방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203)을 갖는 커버판(204)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201) 및 기둥 소자(202)에는 모두 대응하는 전기적 도전 소자(미도시됨)가 배열되어, 커버판(204)이 화살표(211) 방향으로 눌러질 때, 기둥 소자(202)의 전기적 도전 소자가 회로 기판(201)의 대응하는 전기적 도전 소자와 접촉하여, 도 1의 시그널링 경로(121)(도 5에는 미도시됨)를 통해 DTV 프로세서(110)로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한다. 또한, 회로 기판(201)은, 광학 소자(205)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203)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광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광학 소자(205)에 전달한다. 광학 소자(205)는 도 1의 시그널링 경로(121)(도 5에는 미도시됨)를 통해 DTV 프로세서(110)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광학 소자(205)는 멀티-컬러 LED이고, 적어도 2개 형태의 컬러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소자(205)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2-컬러 LED, 3-컬러 LED, 등일 수 있다. 본 설명을 위해서, 광학 소자(20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컬러는 백색으로 가정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는 네비게이션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각 광학 소자는 백색 컬러를 제공하도록 제어된다(도 3의 단계 310). 이는, 각각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126-1, 126-2, 126-3, 126-4 및 126-5)에서 "필(fill)" 패턴이 없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모든 버튼과 관련된 백색 광 의 존재는,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이 네비게이션 모드에 있으며 예를 들어, 채널 변경, 볼륨 조정,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가 도시된다. 도 4와 도 6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분(126-1, 126-2, 126-3, 126-4 및 126-5)에 패턴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패턴은 본 명세서에서 백색과 다른 컬러의 광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각 광학 소자는 상이한 컬러를 제공하도록 제어된다(도 3의 단계 350). 예시적으로, 위 버튼(125-1)과 관련된 수평 선 "―"은 적색 컬러로 표시되고, 아래 버튼(125-3)과 관련된 수직 선 "│"은 청색 컬러로 표시되고, 우측 버튼(125-2)과 관련된 앞슬래쉬(forward slash) "/"는 황색 컬러로 표시되고, 좌측 버튼(125-4)과 관련된 뒤슬래쉬(backward slash) "\"는 녹색 컬러로 표시되고, 선택 버튼(125-5)과 관련된 그물 모양의 패턴은 자주색으로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주색 컬러는 이후에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될 컬러로 예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선택 버튼(125-5)과 관련된 컬러는 백색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는 관련된 광학 소자가 턴 오프하여 방사되는 광이 없을 수도 있다.)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의 동작은 도 7에서 더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은 상술한 "필" 캐릭터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양방향성 모드에 존재한다. 또한, 도 7에는, 애플리케이션 모드 동안 디스플레이(115) 상에 제공되는 화상의 일 부분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5)의 부분들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들을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 기능들과 관련된 대응하는 텍스트 레이블은 도시되지 않는다.) 각 기능은, 특정 "필" 캐릭터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특정 컬러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5-1)와 관련된 수평 선 "―"은 적색 컬러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15-3)와 관련된 수직 선 "│"은 청색 컬러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15-2)와 관련된 앞슬래쉬 "/"는 황색 컬러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15-4)와 관련된 뒤슬래쉬 "\"는 녹색 컬러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15) 상에 도시되는 컬러와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의 광학 소자에 의해 방출되는 컬러가 대응된다. 따라서, 백색과 다른 컬러가 버튼 옆에 나타나면, 사용자는, 휴대용 DTV(100)가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 있으며, 특정 컬러와 관련된 버튼을 사용하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그 기능이 선택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5-1)가 "뒤로"라는 제목의 텍스트 레이블(미도시됨)도 표시한다면, 사용자는 간단하게 버튼 125-1(적색으로도 표시됨)을 누름으로써 그 기능을 선택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디스플레이 상에 5개 미만의 기능을 제공한다면, 이에 대응하여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은 모든 컬러를 보여주거나, 또는 그 대신에 이용가능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기능에 대응하는 컬러만을 보여주도록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제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이 적색 기능 키만을 표시한다면,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은 모든 컬러(적색, 청색, 황색, 녹색 및 자주색)를 보여주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그 대신에,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은 버튼(125-1)만이 적색 컬러의 광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기능 키 정보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DTV 프로세서(110)에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서의 휴대용 DTV(100)의 또 다른 전면도가 도 8에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내비게이션 모드 및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의 예가 각각 도 9 및 10에 도시된다. 도 9 및 10은 컬러 화상의 흑백 복사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른 예시적 순서도가 도시된다. 이는, 네비게이션 모드 또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 중 하나에서 휴대용 DTV(100)를 구성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이다. 이 예에서, 휴대용 DTV(100)는 "스티키(sticky) 모드"에서 동작한다. 이 스티키 모드에서, 휴대용 DTV(100)는 항상 네비게이션 모드에 있고, 하나의 키(버튼)가 눌러질 때만, 예를 들어, 모드 버튼(135)이 사용될 때만 양방향성 모드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395에서, 휴대용 DTV(100)는 모드 버튼(135)의 스테이트를 (예를 들어, 폴링(polling) 기술 또는 끼어들기(interrupt)를 사용해서) 체크한다. 모드 버튼(135)이 눌러지면, 휴대용 DTV(100)는 단계 350에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로 들어가고, 양방향성 모드 컬러를 턴 온한다. 단계 355에서, 휴대용 DTV(100)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서의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125)상의 새로운 키 스트로크(stroke)를 처리한다. 다음 키 스트로크가 수신되면, 휴대용 DTV(100)는 단계 360에서 네비게이션 모드로 돌아가고, 네비게이션 모드 컬러를 턴 온시킨다. 도 11의 방법이, 예를 들어, "타임 아웃(time out)" 특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 에 있는 동안 지정된 기간내에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휴대용 DTV(100)가 네비게이션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하도록 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적어도 2개의 동작 모드, 즉, 네비게이션 동작 모드와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동작 모드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4개(자주색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또는 5개의 버튼만이 필요하게 되어, 휴대용 DTV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요구되는 물리적 공간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이 더 적어지므로 휴대용 DTV의 물리적 크기가 더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것이고, 따라서,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대안적 구성들을 고안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개별 소자들로서 도시되었지만, 임의의 또는 모든 소자들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소자 등에 대응하는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와 같은 저장-프로그램 제어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디지털 텔레비전, 등을 위한 원격 제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드 버튼이 상기 설명에서 예시되었지만,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 및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배열들이 고안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디지털 텔레비전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배열되며 적어도 바이모달(bi-modal) 동작을 갖는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포함하고,
    일 동작 모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모드를 제공하고, 다른 동작 모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를 제공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은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인 디지털 텔레비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하우징(housing)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 상에 광의 컬러를 표시하기 위한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학 소자는 제1 컬러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 표시되는 특정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기능과 관련된 컬러에 대응하는 상이한 컬러의 광을 방출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는 백색이고, 상기 상이한 컬러는 적색, 황색, 청색 및 녹색을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6.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4개의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4개의 버튼 배열을 제어하여,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4개의 버튼 배열이 상기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4개의 버튼이,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 버튼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버튼 각각과 관련된 광학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학 소자가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컬러의 광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학 소자가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상이한 컬러의 광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상이한 컬러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나타내는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는 2-컬러 발광 다이오드인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10. 제8항에 있어서,
    특정 버튼과 관련된 임의의 광학 소자는 그 특정 버튼과 근접한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인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는 백색인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13. 휴대용 텔레비전(TV)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텔레비전 상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 및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가 각 버튼과 관련된 다수의 광학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적어도,
    위 버튼;
    아래 버튼;
    좌측 버튼;
    우측 버튼; 및
    선택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배열은 적어도 2개의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모드는 네비게이션 모드 및 색채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다 수의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는 제1 컬러의 광을 제공하고, 상기 색채 모드에서, 상기 다수의 광학 소자는 적어도 4개의 컬러의 광을 제공하여 상기 4개의 버튼이 각각 상기 4개의 컬러 중 상이한 일 컬러와 관련되도록 하는 휴대용 텔레비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인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는 백색인 휴대용 디지털 텔레비전.
  16.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위한 제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b) 제1 컬러가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됨 -;
    (c)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을 제2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d) 적어도 4개의 상이한 컬러가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버튼 배열은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 제공되는 양방향성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4개의 상이한 컬러는 각각 상이한 양방향성 기능과 관련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은 적어도 2개의 스테이트 -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일 스테이트 및 상기 제2 모드와 관련된 제2 스테이트 - 를 갖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스테이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모드와 관련된 스테이트가 검지되면 단계 (a) 및 (b)가 수행되고, 상기 제2 모드와 관련된 스테이트가 검지되면 단계 (c) 및 (d)가 수행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e) 사용자에 의한 버튼의 선택에 따라 단계 (a)로 되돌아가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상이한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및 황색인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는 백색인 방법.
KR1020077018900A 2005-01-20 2005-01-20 휴대용 비디오 장치에서 디지털 tv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기 위한 바이모달 스위칭 KR101156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5/002427 WO2006078254A1 (en) 2005-01-20 2005-01-20 Bi-modal switching for controlling digital tv applications on hand-held video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664A true KR20070094664A (ko) 2007-09-20
KR101156888B1 KR101156888B1 (ko) 2012-07-03

Family

ID=3496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900A KR101156888B1 (ko) 2005-01-20 2005-01-20 휴대용 비디오 장치에서 디지털 tv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기 위한 바이모달 스위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80271B2 (ko)
EP (1) EP1839436B1 (ko)
JP (1) JP4785867B2 (ko)
KR (1) KR101156888B1 (ko)
CN (1) CN101142816B (ko)
DE (1) DE602005007069D1 (ko)
MY (1) MY143709A (ko)
WO (1) WO2006078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271B1 (ko) * 2007-10-30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541924C2 (ru) 2011-03-09 2015-02-20 Сони Компьютер Энтертэйнмент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NO337112B1 (no) * 2014-03-06 2016-01-25 Norsk Telemedisin As Fremgangsmåte, datamaskinprogram og en anordning for tilveiebringe kognitiv støtte av et brukergrensesnitt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A (en) * 1841-03-12 Improvement in the manner of constructing and propelling steam-vessels
US5157496A (en) * 1989-09-25 1992-10-20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television receiver equipped with remote controller
CA2151461C (en) * 1992-12-09 2004-09-21 John S. Hendricks Advanced set top terminal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
KR100409187B1 (ko) * 1994-08-16 2004-03-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텔레비젼신호수신및프로그램절환장치와방법과원격조정기
EP0978060B1 (en) * 1996-06-17 2003-02-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Network based access system
US5950809A (en) * 1996-07-03 1999-09-14 U.S. Philips Corporation Keyboard with multifunction keys and apparatus including such a keyboard
JP3904300B2 (ja) 1996-09-11 2007-04-11 フジ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H10112886A (ja) * 1996-10-04 1998-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機器操作システム
US5894276A (en) * 1996-12-23 1999-04-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button and method of operation
US8769598B2 (en) * 1997-03-24 2014-07-01 Logitech Europe S.A. Program guide on a remote control
US6310609B1 (en) * 1997-04-17 2001-10-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User interface with guide lights
US7161313B2 (en) * 1997-08-26 2007-01-09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ight emitting diode based products
US6505348B1 (en) * 1998-07-29 2003-01-07 Starsight Telecast, Inc. Multiple interac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s
US6348276B1 (en) * 1998-09-25 2002-02-19 Seagate Technology Llc Magnetic recording media with a surface-oxidized nial sub-seedlayer
US6348932B1 (en) * 1999-03-01 2002-02-19 Sony Corporation Provide two different types of service in a menu
BR0009263A (pt) 1999-03-04 2002-05-28 Starsight Telecast Inc Métodos e sistema de guias de programas eletrônicos interativos múltiplos
BR0011497A (pt) * 1999-06-11 2002-04-02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istema de aplicação de televisão interativa com dispositivo de aplicação de porte manual
WO2001017255A1 (en) 1999-08-27 2001-03-08 Nokia Corporation Mobile multimedia terminal for dvb-t and large and small cell communication
GB9929673D0 (en) * 1999-12-15 2000-02-09 Nokia Mobile Phones Ltd Handset
JP4410916B2 (ja) 2000-03-14 2010-02-1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1273832A (ja) * 2000-03-28 2001-10-05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機器のボタン、及びボタンの照明制御方法
JP2001333291A (ja) 2000-05-24 2001-11-30 Sharp Corp テレビ受信機のリモコンシステム
JP2001359179A (ja) 2000-06-13 2001-12-26 Toshiba Corp リモコン装置
US7184024B2 (en) * 2000-06-30 2007-02-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n input location with a displayed functional representation
JP3783537B2 (ja) * 2000-08-23 2006-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情報表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629077B1 (en) * 2000-11-22 2003-09-30 Universal Electronics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adapted to receive voice input
GB2407186B (en) 2000-12-28 2005-08-10 Microsoft Corp Context sensitive labels for an electronic device
EP1351217A4 (en) * 2001-01-12 2005-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POSED WITH MUSIC DISTRIBUTION COMPATIBLE PORTABLE END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7206599B2 (en) * 2001-05-09 2007-04-17 Kyocera Wireless Corp. Integral navigation keys for a mobile handset
KR100762391B1 (ko) 2001-07-10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US6906701B1 (en) * 2001-07-30 2005-06-14 Palmone, Inc. Illuminatable buttons and method for indicating information using illuminatable buttons
US6720863B2 (en) * 2001-08-16 2004-04-13 Wildseed Ltd.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lights to indicate received messages
JP2003131783A (ja) * 2001-10-25 2003-05-09 Victor Co Of Japan Ltd データ放送受信装置
US20030093812A1 (en) 2001-11-09 2003-05-1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ata to an information appliance using the ISO07816
KR100424206B1 (ko) 2002-01-09 2004-03-25 텔슨전자 주식회사 손목 시계형 휴대 단말기
US7519386B2 (en) * 2002-06-21 2009-04-1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sic player navigation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4038897A (ja) 2002-06-28 2004-02-05 Takeshi Aoki 目的の文字を直接入力できる携帯電話機の入力装置
US7166791B2 (en) 2002-07-30 2007-01-23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a multimedia player
JP4462817B2 (ja) * 2002-08-01 2010-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ーバックライト多色点灯による文字入力モードの視覚化方式
US7958455B2 (en) * 2002-08-01 2011-06-07 Apple Inc. Mode activated scrolling
US7358963B2 (en) 2002-09-09 2008-04-15 Apple Inc. Mouse having an optically-based scrolling feature
KR100754647B1 (ko) * 2002-09-1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텔레비전 영상신호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4178551A (ja) * 2002-10-02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JP4047124B2 (ja) * 2002-10-08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20040090556A1 (en) * 2002-11-12 2004-05-13 John Kamieniecki Video output signal format determination in a television receiver
KR20040047345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리모콘을 이용한 데이터 방송 도우미 시스템 및 그방법
JP4261895B2 (ja) * 2002-12-13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機の制御方法
US6897787B2 (en) * 2002-12-23 2005-05-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 illumination pattern
JP4172580B2 (ja) 2003-01-21 2008-10-2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型受信装置
JP2004295355A (ja) 2003-03-26 2004-10-21 Nec Corp 多方向キーの切り替え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端末
USD497618S1 (en) 2003-04-25 2004-10-26 Apple Computer, Inc. Media device
US7627343B2 (en) * 2003-04-25 2009-12-01 Apple Inc. Media player system
JP2004336489A (ja) * 2003-05-08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ャンネル選択装置
CN2650227Y (zh) * 2003-06-11 2004-10-20 精元电脑股份有限公司 具多功能按键组的简报用遥控指示装置
JP4101121B2 (ja) 2003-06-13 2008-06-18 富士通株式会社 双方向番組視聴機器および双方向番組視聴システム
US7154428B2 (en) * 2003-06-25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with selective key illumination
GB2403366B (en) * 2003-06-27 2007-12-2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amera mounting and image capture
JP4033814B2 (ja) 2003-07-23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KR20050016148A (ko) 2003-08-04 2005-02-21 이준호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8253532B2 (en) * 2003-10-27 2012-08-28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evice having a device mode state toggle feature
JP4047793B2 (ja) 2003-10-28 2008-02-1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ーバックライト付き携帯電話、キーバックライト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4079143B2 (ja) * 2003-12-22 2008-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EP1553764A1 (en) 2004-01-07 2005-07-13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ng an item in a list of items and associated products
US7461350B2 (en) * 2004-12-30 2008-12-02 Nokia Corporation Application specific key buttons in a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42816B (zh) 2012-11-28
EP1839436B1 (en) 2008-05-21
JP4785867B2 (ja) 2011-10-05
KR101156888B1 (ko) 2012-07-03
CN101142816A (zh) 2008-03-12
US20090027565A1 (en) 2009-01-29
WO2006078254A1 (en) 2006-07-27
US8780271B2 (en) 2014-07-15
MY143709A (en) 2011-06-30
JP2008529347A (ja) 2008-07-31
EP1839436A1 (en) 2007-10-03
DE602005007069D1 (de)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428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및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사용을 위한 방법
KR19980018618A (ko) 리모트컨트롤장치
US20060092038A1 (en) Chameleon butto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tactile feel
US20070152965A1 (en) 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JP200825889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20100095346A1 (en) Set-top box receiver sof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80186411A1 (en) Television receiv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156888B1 (ko) 휴대용 비디오 장치에서 디지털 tv 애플리케이션을제어하기 위한 바이모달 스위칭
KR100686152B1 (ko) 채널 절환/관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CN101167360B (zh) 电视系统、广播接收装置及操作终端
JP4206315B2 (ja) 放送受信装置、リモコン制御方法及びリモコン制御プログラム
JP2007281659A (ja) 電子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電子情報表示装置ならび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CN102645990A (zh) 控制并显示可控装置上的画面信息的系统与其应用方法
KR20050007327A (ko) 페어런틀 콘트롤 채널 리스트 추적
JP2001045391A (ja) 受信装置
JP2008011042A (ja) 電子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電子情報表示装置ならび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819944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1042219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01742159A (zh) 操作电子设备的方法以及电子设备
JP2001223955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設定方法
JP2010278608A (ja) リモコン送信機
CN103313136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36844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JP2010056821A (ja) 学習機能付きリモコン
JP200732953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