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964A -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964A
KR20070091964A KR1020060021797A KR20060021797A KR20070091964A KR 20070091964 A KR20070091964 A KR 20070091964A KR 1020060021797 A KR1020060021797 A KR 1020060021797A KR 20060021797 A KR20060021797 A KR 20060021797A KR 20070091964 A KR20070091964 A KR 20070091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chin
extract
composition
alpha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김수남
신현정
이병곤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2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964A/ko
Priority to JP2008529922A priority patent/JP5192380B2/ja
Priority to PCT/KR2006/003571 priority patent/WO2007029982A1/en
Priority to US12/064,887 priority patent/US20090012155A1/en
Publication of KR2007009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964A/ko
Priority to US15/058,681 priority patent/US100924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 활성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 몰식자산, 쿼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데오브로민(theobromine), 데오필린(theophylline), 데아닌(theanine), 퀴닌산(quinic acid), 녹차 에탄올추출물, 녹차 물추출물, 카테킨 추출물 1 및 카테킨추출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를 억제하고 MMP-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한다.
녹차, 카테킨, 데아닌, 데오브로민, PPAR-α 활성화, TNF-α, 염증, 노화

Description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activating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도 1은 각 시험물질들의 MMP-1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 활성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 몰식자산, 쿼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데오브로민(theobromine), 데오필린(theophylline), 데아닌(theanine), 퀴닌산(quinic acid), 녹차 에탄올추출물, 녹차 물추출물, 카테킨 추출물 1 및 카테킨추출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PPAR-α)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를 억제하고 MMP-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한다.
오늘날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고지혈증, 당뇨병 및 비만 등의 대사기능 이상에 기인한 병들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병들은 유전적인 요소와 영양학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복잡한 원인들을 가지고 있다(swiss Med Wkly 132:83-91, 2002).
퍼옥시좀(Peroxisome)은 이러한 대사기능 이상의 원인이 되는 세포 내 소기관 중 하나로 오랫동안 세포 기능상에 있어 미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의 많은 연구를 통해 세포증식/분화의 조절, 염증 매개체들의 조절 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산소, 포도당, 지질 및 호르몬의 대사에도 폭 넓은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되어지고 있다. 지질대사와 포도당대사를 통하여 퍼옥시좀은 인슐린민감성 뿐만 아니라 세포막과 비만세포(adipocyte) 형성에 영향을 주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통해서 노화와 종양형성(tumorigenesis)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Cutan Med Sirg 5(3):231-43, 2001, J Cutan Med Sirg 5(4):315-22, 2001).
이러한 부분에 대한 지난 10여년 간의 집중적 연구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 이하 'PPAR')라는 핵 호르몬 수용체가 이들 병들의 약리학적 접근의 좋은 표적이 될 것이라는 증거들을 내어 놓았다. 최근의 PPAR에 대한 연구 특히, 아형(subtype) 중 하나인 PPAR-α에 대한 연구는 이들이 피부의 표피에서 각질형성세포 분화촉진/증식 억제, 지질대사를 통한 피부장벽 형성 촉진 및 염증의 억제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말하고 있으며, PPAR-α의 자외선에 의한 염증매개체의 생성 억제와 홍반생성억제(JID 117(6):1430-6, 2001)가 알려져 있다.
PPAR에 대한 특허들을 살펴보면 주로 γ형에 대한 활성화제, 즉 신물질에 대한 특허와 검색방법에 대한 특허, 당뇨 비만등에 대한 용도 특허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신물질에 대한 특허는 PPAR-γ에 대한 효능제 활성을 갖는 치환된 4-히드록시페닐알카논산 유도체(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74202호), PPAR 매개 질환의치료에 유용한 신규 화합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5790호), 키랄 옥사졸-아릴프로파이온산 유도체 및 PPAR 작용제로서 그의 용도(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5750호), 체액 잔류, 부종 또는 울혈심부전증을 유발하지 않는 신규 PPAR 리간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5701호),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PPAR 작동제로서 N-치환된-1H-인돌-5-프로파이온산 화합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2809호), PPAR-γ와 PPAR-α의 활성을 항진시키는 신규화합물,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한 약제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40746호), PPAR-α 및 γ의 조절물질로서 벤조산 유도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4014호), 경구용 항당뇨병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44515호) 등이 있고, 검색방법에 대한 특허는 비만 및 당뇨 조절물질의 검색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8046호), βGK 유전자의 퍼옥시좀 증식 반응 요소(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434948호), PPAR-γ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특이항체분비 융합세포주 및 항체를 이용한 염증, 암, 대사성질환과 같은 질 병 관련 조절인자를 검색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27808호) 등이 있고, 용도특허로는 항지방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박과 식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4009호 및 제2005-0054006호),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및 식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4908호), 심장 인슐린 내성 관련 증상의 치료 및 예방(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9434호), 뼈 형성의 조절(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93808호), 진성 당뇨병 치료를 위한 벤조산 유도체(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7382호), 피부 관리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47101호), 심혈관 질환 치료용 PPAR-δ 억제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12323호), 알쯔하이머병, 중추신경계 손상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01085호) 및 증후군 X의 치료를 위한 PPAR-α 및 PPAR-γ 길항제의 용도(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7099호) 등이 있다.
녹차의 효능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에 이로운 작용을 제공하는 조성물은 매우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특허 제2003-26015호에서는 녹차의 데아닌과 카테킨 성분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이용 시 우수한 지방분해 효과 및 비만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녹차 및 그 성분들의 PPAR 기전을 이용한 노화방지 효과에 대한 특허는 전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들 PPARs의 생리(biology)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와 PPAR-α의 피부에서의 효능과 작용 기작, 특히 피부노화와의 관련성 등에 대해 살펴보고, 활성을 유도할 수 있는 리간드를 찾던 중 녹차 추출물과 각각의 단일 성분들 중 일부가 PPAR-α의 활성화를 통해 염증을 억제하여 피부노화에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녹차 추출물과 녹차 단일성분을 함유하는 외용제를 사용할 경우,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노화증상을 막거나 회복시켜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PPAR-α의 활성화를 통한 염증 억제 기전으로 진피를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아제-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 녹차 추출물과 각각의 단일 성분들 중 일부를 함유하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 몰식자산, 쿼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데오브로민(theobromine), 데오필린(theophylline), 데아닌(theanine), 퀴닌산(quinic acid), 녹차 에탄올추출물, 녹차 물추출물, 카테킨 추출물 1 및 카테킨추 출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 몰식자산, 쿼르세틴, 캠프페롤, 데오브로민, 데오필린, 데아닌 및 퀴닌산은Sigm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녹차 에탄올추출물은 70% 에탄올에서 추출한 추출물(녹차추출물 1)이며, 녹차 물추출물은 열수로 추출한 추출물(녹차추출물 2)을 사용하였고, 카테킨 추출물 1은 카테킨 70%를 함유한 추출물이며, 카테킨 추출물 2는 EGCG 50%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를 억제하고 MMP-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 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 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시험예 1] 피부세포 분화촉진/증식억제 및 지질 생합성 촉진과 항염에 있어 역할을 하는 PPAR -α(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 alpha ) 활성화 시험
원숭이 신장 상피 세포주인 CV-1세포(ATCC CCL 70)를 차콜(charcol)/덱스트란(dextran) 처리된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고 페놀 레드(phenol red)의 에스트로겐(estrogen)에 의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페놀 레드 무처리(phenol red-free) 배지를 사용하였다. 플라스미드는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도 발현되는 유니버셜 프로모터(universal promoter) 뒤에 PPAR-α 유전자를 지닌 것과 리간드 결합 형의 PPAR-α가 결합하여 활성화되는 PPRE(PPARs Response Element)를 프로모터로 가지고 뒤에 리포터로써 역할을 하는 반디불(firefly) 루시퍼라아제(luciferase) 유전자를 지닌 것 그리고 참고물질(reference)로 사용될 유니버셜 프로모터에 레닐라 루시퍼라아제(Renilla luciferase) 유전자가 결합된 플라스미드가 사용되었다.
CV-1 세포를 5x104의 농도로 24공 평판배양기에 깐 다음 24hr 배양 후 상기 세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 주입(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24hr 배양한 다음 1x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리간드 후보물질들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hr 배양한 다음 1xPBS로 세척한 후 1xPLB(Passive Lysis Buffer)로 세포를 깬 다음 Dual-LuciferaseR Reporter Assay System kit를 사용하여 샘플과 참고물질의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양성대조군은 PPAR-α의 리간드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Wy-14,643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은 시료들을 녹일 때 사용한 에탄올과 무처리군을 1.0으로 하여 비교치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6491180-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다양한 녹차의 구성 성분 중 녹차 추출물 1, 녹차 추출물 2, 카테킨 추출물 1, 카테킨 추출물 2,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GCG), 데오브로민, 퀘르세틴의 경우 유의한 정도의 PPAR-α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EGCG, (-)ECG, (-)CG, (+)C의 몰식자산, 카페인, 캠프페롤, 데오필린, 데아닌, 퀴닌산 및 미리세틴(myricetin)이 그 다음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자외선에 의한 종양괴사인자알파 ( TNF -α) 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105 개의 농도로 12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자외선 B를 30mJ/cm2로 조사한 후, 각 시험물질을 10uM, 추출물의 경우는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6-24시간 후 세포를 수확해서 ELISA (Pharmingen 555212)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양을 정량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Wy-14,643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자외선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10uM) TNF-α 생합성(%)
(-) EGCG 35
(-) GCG 27
(-) ECG 32
(-) CG 37
(+) C 40
몰식자산 36
카페인 39
쿼르세틴 27
캠프페롤 41
데오브로민 25
데오필린 36
데아닌 30
퀴닌산 35
미리세틴 36
양성대조군 30
녹차 추출물 1 25
녹차 추출물 2 30
카테킨 추출물 1 15
카테킨 추출물 2 12
상기 표 2로부터, 녹차 추출물, 카테킨 추출물 및 각 녹차 단일성분들은 자외선에 의한 종양괴사인자알파의 생합성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자외선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염증, 피부 기질물질의 감소, 탄력 저하 및 주름 형성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3]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MMP-1)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신생아포피에서 분리한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48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자외선 A를 15J/cm2로 조사한 후, 종양괴사인자알파에 대한 항체를 1 ug/ml 농도로 첨가하였다. 배양 2일째 상등액을 수확해서 ELISA(AP biotech RPN2610)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으로 한 비교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항체 비처리군 TNF-α항체 처리군
자외선 A 조사군 210 134
TNF-α처리군 250 -
대조군 100 100
상기 표 3으로부터, 자외선 A와 염증매개인자인 TNF-α, 처리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증가는 TNF-α 에 대한 항체를 처리 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자외선 A에 의해 염증매개인자인 TNF-α가 증가하여 이로 인해 타입 I 콜라게나제가 증가하고, 중간 염증매개인자의 차단 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신생아섬유아세포에 PPAR-α 활성화제인 아래 시험물질 처리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이 감소되었으며, 이는 다시 염증 매개인자인 TNF-α 처리시 원래대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신생아포피에서 분리한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48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자외선 A를 15J/cm2로 조사한 후, 각각의 시험물질 10uM 또는 10 ppm씩을 함유한 배지로 갈아준 후 TNF-α 10ng/ml 씩을 가하였다. 배양 2일째 상등액을 수확해서 ELISA (AP biotech RPN2610)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양을 정량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Wy-14,643과 레티노익산(Retinoic acid;RA)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자외선 조사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100으로 한 비교치를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10ppm) 타입I 콜라게나제 생합성(%)
자외선 A 조사군 자외선 A + TNF-α처리군
(-) EGCG 42 88
(-) GCG 43 86
(-) ECG 45 87
(-) CG 53 89
(+) C 45 86
몰식자산 52 89
카페인 58 91
쿼르세틴 35 91
캠프페롤 48 94
데오브로민 32 90
데오필린 40 92
데아닌 60 95
퀴닌산 75 98
미리세틴 52 97
RA 48 86
Wy14643 60 92
녹차 추출물1 39 88
녹차 추출물2 44 89
카테킨1 38 87
카테킨2 40 89
음성대조군 100 124
상기 표 4 및 도 1로부터, 녹차 추출물 및 녹차 개개성분들은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을 감소시키고, 이는 PPAR-α를 활성화시켜 염증매개인자의 생합성 감소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들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며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에피갈로카테킨(EGCG) 0.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녹차 추출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캄페롤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푸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마사지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5] 팩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카테킨 갈레이트(CG)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외용제 조성물은 녹차에 함유된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 몰식자산, 쿼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데오브로민(theobromine), 데오필린(theophylline), 데아닌(theanine), 퀴닌산(quinic acid), 녹차 에탄올추출물, 녹차 물추출물, 카테킨 추출물 1 및 카테킨추출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를 억제하고 MMP-1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카테킨(C), 몰식자산, 쿼르세틴(quercetin), 캠프페롤(Kaempferol), 데오브로민(theobromine), 데오필린(theophylline), 데아닌(theanine), 퀴닌산(quinic acid), 녹차 에탄올추출물, 녹차 물추출물, 카테킨 70%를 함유한 추출물인 카테킨 추출물 1 및 EGCG 50%를 함유하는 추출물인 카테킨 추출물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PAR-α)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이 억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를 억제하는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60021797A 2005-09-08 2006-03-08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070091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797A KR20070091964A (ko) 2006-03-08 2006-03-08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JP2008529922A JP5192380B2 (ja) 2005-09-08 2006-09-08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PCT/KR2006/003571 WO2007029982A1 (en) 2005-09-08 2006-09-08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US12/064,887 US20090012155A1 (en) 2005-09-08 2006-09-08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US15/058,681 US10092493B2 (en) 2005-09-08 2016-03-02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797A KR20070091964A (ko) 2006-03-08 2006-03-08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964A true KR20070091964A (ko) 2007-09-12

Family

ID=3868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797A KR20070091964A (ko) 2005-09-08 2006-03-08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9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767A2 (ko) * 2009-11-26 2011-06-03 (주)아모레퍼시픽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EP2982365A3 (de) * 2012-06-20 2016-05-18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 oder mehrere sub-stanz(en), die das gen / protein für den rezeptor endo180 modulier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767A2 (ko) * 2009-11-26 2011-06-03 (주)아모레퍼시픽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WO2011065767A3 (ko) * 2009-11-26 2011-11-03 (주)아모레퍼시픽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US10183048B2 (en) 2009-11-26 2019-01-2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activity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delta
EP2982365A3 (de) * 2012-06-20 2016-05-18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 oder mehrere sub-stanz(en), die das gen / protein für den rezeptor endo180 modulie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2380B2 (ja)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EP1827109B1 (en) Use of natural plant extracts in cosmetics compositions
CN108670878B (zh) 抗皮肤过敏的化妆品组合物
JP5389434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発現低下抑制剤及びその用途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090170788A1 (en) Novel use of 1, 2, 3, 4, 6-penta-o-galloyl-beta-d-glucose
JP5645344B2 (ja) 外用剤組成物
KR20070091964A (ko)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 활성화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WO2021017448A1 (zh) 具有止痒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KR100806162B1 (ko) 식물유래 PPARs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1876617B1 (ko)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200098042A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형성 억제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102322441B1 (ko) 녹차 잎자루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8280319A (ja) 皮膚外用剤
KR20070028902A (ko) 카테킨류 및 캄페롤 성분을 함유하는 피지억제용 화장료조성물
KR101219296B1 (ko)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17565A (ko) 감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
US2017023915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 for regulating expression of abh antigens
EP4342442A1 (en) Composition with endothelin inhibiting effect,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20090126692A (ko)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JP2013014627A (ja) ヘパリン結合性上皮成長因子様成長因子(hb−egf)生成促進剤
KR20130077953A (ko) 카르노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제
KR101602884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255A (ko) 파리신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748944B (zh) 基質金屬蛋白酶產生抑制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