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296B1 -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296B1
KR101219296B1 KR1020050083667A KR20050083667A KR101219296B1 KR 101219296 B1 KR101219296 B1 KR 101219296B1 KR 1020050083667 A KR1020050083667 A KR 1020050083667A KR 20050083667 A KR20050083667 A KR 20050083667A KR 101219296 B1 KR101219296 B1 KR 10121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extract
gallate
skin
cate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903A (ko
Inventor
김수남
신현정
김정기
이병곤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5008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296B1/ko
Priority to US12/064,887 priority patent/US20090012155A1/en
Priority to PCT/KR2006/003571 priority patent/WO2007029982A1/en
Priority to JP2008529922A priority patent/JP5192380B2/ja
Publication of KR2007002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96B1/ko
Priority to US15/058,681 priority patent/US10092493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세틴(Myricetin),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추출물 및 녹차 카테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표피-진피 경계부 분해억제 및 생성촉진효과 또는 보호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리세틴 * 표피-진피 경계부

Description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protecting dermal-epidermal junction}
본 발명은 미리세틴(Myricetin),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추출물 및 녹차 카테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표피-진피 경계부 분해억제 및 생성촉진효과 또는 보호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을 저하시키고 탄력손실, 각질화 및 주름생성 등의 피부노화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특히 자외선에 의해 표피-진피 경계부가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사람 피부에서 노화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중화 및 단열 등의 표피-진피 경계부의 구조변화가 자외선 노출부 피부에서 20대후반부터 이미 일어나고 있 었다. 그러므로, 사람의 자외선 노출부 피부의 표피에서는 젤라티네이즈(gelatinase; MMP-2, MMP-9)의 생성이 유도되어, 표피-진피 경계부의 상해에 관여한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더욱이, 자외선 B 장기조사로 유도된 생쥐 주름모델을 사용해서 연구한 결과, 자외선 B 조사에 의해 표피에서 생성된 젤라티네이즈가 표피-진피 경계부손상, 진피의 손상 및 주름의 형성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단 자외선을 많이 받지 않은 비노출부 피부에서는 이러한 다중화 및 단열 등의 변화가 고령에서도 대부분 관찰되지 않았다.
젤라티네이즈(MMP-2, MMP-9)는 표피-진피 경계부 구성성분인 4형 콜라겐, 7형 콜라겐 및 기타 세포외 기질 성분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법(Gelatin zymography) 및 효소면역법(ELISA)으로 해석한 결과, MMP-2와 MMP-9 효소가 노출부 표피 중에서 검출되었다. 피부 중의 젤라티네이즈 활성은 이마의 동결피부에서는 표피 기저층과 유극층 부근에 존재하였다. 더욱이 안면 등의 자외선 노출부 피부의 표피에서도 젤라티네이즈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자외선이 표피 기저세포에서의 젤라티네이즈 생성을 유도하고, 그 일부가 진피 경계부의 파괴에 작용하며, 나머지가 표피 중에 머무르고 표피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생쥐에 자외선을 장기조사해서 제작한 주름모델에 있어서 주름 형성기전에 관해 검토하면, 자외선 B를 장기조사한 피부에서는 젤라티네이즈 활성이 표피 전층에서 검출되었다. 표피-진피 경계부 상해는 자외선 B 조사 5주째에서 관찰되기 시작하고, 7주째 및 10주째에서 그 정도가 높아졌다. 10주째에는 진피 경계부의 단열과 일부에서의 다중화가 관찰되었다. 진피 유두부의 콜라겐섬유를 관찰하면 자외선 B 장기조사에 의해 섬유밀도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유도된 젤라티네이즈가 표피-진피 경계부 상해와 유두진피의 콜라겐분해에 관여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표피-진피 경계부가 손상되면, 경계부 편평화, 다중화, 단열 등이 일어나서 주름이 생성되고, 피부가 늘어지며, 쉽게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본연의 장벽(barrier) 기능이 상실되어, 외부환경의 오염물질을 표피-진피 경계부에서 걸러주지 못해서 쉽게 유해물질이 진피까지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져서 피부가 쉽게 손상될 것으로 추정된다. 손상된 표피-진피 경계부를 회복시키거나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려면, 먼저 그 구성성분들이 제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해야 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합성이 줄어든다고 알려진 성분은 4형 콜라겐, 7형 콜라겐 및 라미닌 10/11 이고, 변화가 없는 것은 라미닌 5이며, 생합성이 늘어나는 것은 분해에 관련된 효소인 젤라티네이즈(MMP-2, MMP-9)이다(Lavker 등 J. Invest. Derm. 1979, 73:59-65, Pouliot 등 Exp. Dermatol. 2002, 11:387-397).
이러한 자외선이나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노화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동물, 식물 및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화장품 원료로는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것이 적당하다. 미리세틴은 차, 베리류, 과일, 채소 및 의료용 생약 등 식물 중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이다. 알려진 효능으로는 라디칼 소거효능, 지질과산화 억제, 크산틴 산화효소 억제제(xanthine oxidase inhibitor) 및 리폭시게나아제 억제제(lipoxygenase inhibitor)로 작용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항암작용 및 항변이원성을 가지며, 항바이러스작용, 항혈전작용, 항죽상경화증(antiartherosclerosis), 항당뇨, 지사 및 항균 작용이 있다(Gen. Pharmc. 29:121-126, 1997). 그간의 미리세틴에 대한 연구방향을 살펴보면, MMP-2의 생합성과 활성을 억제하고 전이(metastasis)를 방지하여 대장선암(colorectal carcinoma)에 대해 항암 활성이 있다(Mol Cancer Ther. 4(2):281-90. 2005)는 것이 보고되어 있고, 그 외에 위에서 열거한 효능을 증명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미리세틴에 대한 특허들을 살펴보면 광독성(Phototoxicity) 억제제(일본공개특허 제2000-319154호), 탈색제(일본공개특허 제1982-035506호 및 제1980-111411호), 항궤양, 전이억제 및 치주염 예방에 관한 MMP 억제제(일본공개특허 제1996-104628호) 및 리파아제(lipase) 억제제(일본공개특허 제1995-061927호)에 대한 특허들이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미리세틴 및 녹차 성분들에 대해서는 표피-진피 경계부에 대한 분해억제 및 생성촉진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는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노화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방법을 탐색하던 중 녹차에서 추출한 카테킨 성분을 함유하는 외용제를 사용할 경우,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표피-진피 경계부의 변 성, 단열 및 다중화 등의 변화를 막거나 회복시켜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미리세틴과 녹차 카테킨 추출물의 표피-진피 경계부 분해 억제 및 생성촉진 작용은 표피와 진피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및 의약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01~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리세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분자량이 318.24 Da인 6개의 하이드록시기(-OH기)를 가진 플라본(flavone)류에속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미리세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이다.
Figure 112005050276997-pat00001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및 카테킨 갈레이트(CG)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이다.
Figure 112005050276997-pat00002
Figure 112005050276997-pat00003
Figure 112005050276997-pat00004
Figure 112005050276997-pat00005
또한, 미리세틴과 함께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리세틴, EGCG, GCG, ECG 및 CG는 Sigm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70% 에탄올에서 추출한 녹차 추출물 또는 열수로 추출한 녹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로 사용한다.
녹차 카테킨 추출물 1은 카테킨 70%를 함유하는 추출물로서, Naturex(France)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녹차 카테킨 추출물 2는 EGCG를 50% 함유하는 추출물로 Spec-Chem Ind.(Chin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함량은 각 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표피-진피 경계부 분해억제 및 생성촉진을 통해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노화의 제반 증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유효한 외용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외용제 조성물은 미리세틴에 녹차 추출물 및 카테킨 성분들을 함께 사용하여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에 따른 주름 및 탄력 등 피부의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증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 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녹차 추출물 1 제조
녹차의 건조된 잎 100g에 10배의 에탄올을 넣고 12-15시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그 여액을 50℃ 에서 감압농축하여 제조하였다.
[참고예 2] 녹차 추출물 2 제조
녹차의 건조된 잎 100g에 10배의 증류수를 넣고 12-15시간 상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그 여액을 50℃ 에서 감압농축하여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자외선에 의한 젤라티네이즈 A ( MMP -9) 와 젤라티네이즈 B (MMP-2) 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24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하고, 24시간 후에 자외선 B를 30mJ/㎠ 로 조사한 후, 각 시험물질을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2일째 상등액을 수확해서 젤라틴젤을 이용한 자이모그래피(zymography)를 한 후 생성된 MMP-2와 MMP-9의 양을 덴시토미터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자외선 대조군을 100으로 하는 비교치로 산출하였으며,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성분 MMP-2(%) MMP-9(%)
미리세틴 51 55
EGCG 52 56
GCG 53 56
CG 53 55
녹차 추출물 1 48 49
녹차 추출물 2 61 62
녹차 카테킨 추출물 1 55 59
녹차 카테킨 추출물 2 62 60
대조군 100 100
표 1로부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효성분인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피부 기질인 4형 콜라겐과 7형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2 와 MMP-9의 생합성을 감소시켜, 표피-진피 경계부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피부세포의 4형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5x104 개의 농도로 24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각 시험물질을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상등액을 수확해서 닷 블랏(Dot Blot)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4형 콜라겐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는 비교치로 산출하였으며,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4형 콜라겐 생합성(%)
미리세틴 139
EGCG 138
GCG 135
CG 134
녹차 추출물 1 140
녹차 추출물 2 139
녹차 카테킨 추출물 1 145
녹차 카테킨 추출물 2 143
대조군 100
표 2로부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효성분인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4형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세포의 7형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24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각 시험물질을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상등액을 수확해서 닷 블랏(Dot Blot)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7형 콜라겐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7형 콜라겐 생합성(%)
미리세틴 125
EGCG 127
GCG 121
CG 124
녹차 추출물 1 132
녹차 추출물 2 128
녹차 카테킨 추출물 1 131
녹차 카테킨 추출물 2 127
대조군 100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효성분인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7형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피부세포의 라미닌 10/11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5x104 개의 농도로 24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각 시험물질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상등액을 수확해서 웨스턴블랏(Western Blot)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생성된 라미닌 10/11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는 비교치로 산출하였으며,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성분 라미닌 10/11 생합성(%)
미리세틴 132
EGCG 137
GCG 131
CG 129
녹차 추출물 1 137
녹차 추출물 2 133
녹차 카테킨 추출물 1 139
녹차 카테킨 추출물 2 142
대조군 100
표 4로부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효성분인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라미닌 10/11 생합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무모생쥐에서 표피-진피 경계부의 변화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자외선에 의한 표피-진피 경계부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 생쥐의 등 부위에 표 5에서와 같이 영양크림의 형태로 실시예 1~9와 비교예 1을 제조하여, 2주 동안 일주일에 5회 도포한 후 이후 12주 동안은 일주일에 자외선을 3회 조사하면서 실시예 1~9와 비교예 1을 5회 도포한 후 생검하여 피부 진피 경계부의 변화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1-1 1-2 2 3 4 5 6 7 8 9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미리세틴 0.1 0.2 0.5 0.1 0.1 0.1 0.1 0.1 0.1 0.1 0.1 -
EGCG - - - 0.1 - - - - - - 0.1 -
GCG - - - - 0.1 - - - - - 0.1 -
CG - - - - - 0.1 - - - - - -
녹차 추출물 1 - - - - - - 0.1 - - - - -
녹차 추출물 2 - - - - - - - 0.1 - - - -
녹차 카테킨 추출물 1 - - - - - - - - 0.1 - - -
녹차 카테킨 추출물 2 - - - - - - - - - 0.1 -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그 결과,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실시예 1-9의 화장료를 도포하였을 경우 비교예에 비해 표피-진피 경계부의 변형, 분열, 단리 및 다중화 증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효성분인 미리세틴,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피부의 주름을 감소시키고, 탄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특히, 미리세틴 단독보다는 미리세틴에 에피갈로카테킨(E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게 나타났으며, 또한 미리세틴을 고농도에서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저농도에서 카테킨들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피-진피 경계부의 변화
실시예 비교예
1 1-1 1-2 2 3 4 5 6 7 8 9 1
다중화 + + + + +/- +/- +/- +/- +/- +/- +/- ++++
단열 + + + + +/- +/- +/- +/- +/- +/- +/- ++++
+/-:거의 변화없음, +:약, ++:중하, +++:중상, ++++:강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들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며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녹차 추출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녹차 카테킨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푸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마사지크림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5] 팩
배합성분 중량%
정제수 잔량
미리세틴 0.1
카테킨 갈레이트(CG)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미리세틴과 녹차 카테킨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젤라티네이즈(MMP-2, MMP-9)의 생합성을 감소시키고, 4형 콜라겐, 7형 콜라겐, 라미닌 10/11의 생합성을 증가시켜, 표피-진피 경계부의 분해를 억제하고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표피-진피 경계부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2)

  1. 미리세틴과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카테킨 갈레이트(CG), 녹차 카테킨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감소 또는 피부 탄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들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83667A 2005-09-08 2005-09-08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1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667A KR101219296B1 (ko) 2005-09-08 2005-09-08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2/064,887 US20090012155A1 (en) 2005-09-08 2006-09-08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PCT/KR2006/003571 WO2007029982A1 (en) 2005-09-08 2006-09-08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JP2008529922A JP5192380B2 (ja) 2005-09-08 2006-09-08 皮膚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組成物
US15/058,681 US10092493B2 (en) 2005-09-08 2016-03-02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667A KR101219296B1 (ko) 2005-09-08 2005-09-08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03A KR20070028903A (ko) 2007-03-13
KR101219296B1 true KR101219296B1 (ko) 2013-01-08

Family

ID=3810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667A KR101219296B1 (ko) 2005-09-08 2005-09-08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766B1 (ko) * 2013-11-06 2020-11-10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나무 잎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682865A1 (en) * 2019-01-15 2020-07-2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or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CN112057361A (zh) * 2020-09-18 2020-12-11 广东医科大学 一种预防uvb诱导的皮肤光老化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979A (ko) * 1999-07-30 2002-02-21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피부 관리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979A (ko) * 1999-07-30 2002-02-21 알 브이 테이트 (로드니 비버스 테이트), 에이치 드로이. 씨. 지. 오닌크, 이. 에디, 산드라 웨드워즈 (에스 제이 에드워즈) 피부 관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03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493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KR10186826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45735B1 (ko) 인삼열매 아위버섯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1178A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0225B1 (ko)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2475897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296B1 (ko) 표피-진피 경계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10216A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1743826A (zh) 一种祛斑抗皱保湿乳液
Mukherjee et al. Validation of medicinal herbs for skin aging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Chiang et al. Role of Coffea arabica extract and related compounds in preventing photoaging and photodamage of the skin
Lodhi et al. Effect of Tephrosia purpurea (L) Pers. on partial thickness and full thickness burn wounds in rats
KR102475898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9293B1 (ko) 최적 농도의 카테킨과 데아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RU2666602C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крем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KR201501061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212964A1 (en) Sterile topical saline putrescine formulation and uses thereof
KR101521239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0340A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