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225B1 -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225B1
KR102370225B1 KR1020210137024A KR20210137024A KR102370225B1 KR 102370225 B1 KR102370225 B1 KR 102370225B1 KR 1020210137024 A KR1020210137024 A KR 1020210137024A KR 20210137024 A KR20210137024 A KR 20210137024A KR 102370225 B1 KR102370225 B1 KR 10237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cream
type cosmetic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엘
Priority to KR102021013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도 보습, 탄력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피지를 조절하여 여드름 및 트러블성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보존성 및 제형 안정성이 뛰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형태가 용이하게 보존될 수 있는,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바쿠치올, 복령균핵추출물, 사과추출물, 및 비극성 보습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REAM 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AKUCHIOL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도 보습, 탄력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피지를 조절하여 여드름 및 트러블성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보존성 및 제형 안정성이 뛰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형태가 용이하게 보존될 수 있는,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가능한 젊음을 길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는 남녀노소의 공통 관심사가 되었으며 가장 쉽게 드러나는 피부 노화 방지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피부 노화의 발생 원인을 찾고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피부 노화는 원인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자연 노화(Intrinsic aging)로, 나이가 듦에 따라 생체 면역체계 및 생리활성 기능이 떨어져 히알루론산, 콜라겐 등 피부 구성요소를 원활히 회복하지 못하여 피부의 탄력이 감소되고 건조 현상이 일어나 잔주름 등이 형성된다. 히알루론산은 세포외기질 성분 중의 하나로 건조 중량으로는 불과 0.1 내지 0.2%를 차지하고 있지만 진피의 타 구성성분들과 그물망을 이루어 세포를 서로 연결하고 영양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피부의 수분 증발을 막는 동시에 물 분자와의 강력한 결합으로 피부가 일정한 양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18 내지 20세부터 시작하여 나이가 듦에 따라 또는 환경오염이나 자외선 노출에 의해 분해가 가속화 되어 진피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피부탄력 저하, 주름 생성 및 건조 피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한 피부 내 히알루론산을 보충하여 노화를 예방하고자 하는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콜라겐은 진피 전체의 70 내지 80%를 차지하고 있어 콜라겐의 분해는 피부 내 탄력 감소 및 주름 형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두 번째로는,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라 하여 자외선 등 외부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노화이다.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살균 작용의 역할이 있으나, 피부염, 피부암, 일광 화상, 피부노화, 건조, 잔주름 등을 생기게도 한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파장 길이에 따라 A, B, C의 3가지로 나뉘는데, 이 중 UVC는 오존층에서 차단되고 UVA와 UVB가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간 파장인 UVB(290~320nm)는 급성이나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심각한 피부 손상을 야기하는데, 피부 진피 내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탄력 소실을 유도하고 그 결과 굵은 주름이 생성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를 손상시켜 피부에서 콜라겐(collagen) 분해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라겐을 파괴한다.
세 번째는, 피부 세포의 손상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들 수 있다. 활성산소는 지나치게 많아질 경우 체내의 항산화 방어계를 무너뜨려 단백질, 지질, DNA와 같은 세포 성분을 손상시키고, 이에 따라 세포 기능이 변질되어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활성산소는 교원질 대사에 작용하여 직접적으로 교원질을 파괴시킬 뿐 아니라, 콜라겐의 결핍을 초래함으로써 결합조직을 손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는 세포들 사이의 공간에서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히알루론산 사슬도 절단하여, 피부 탄력 및 피부 수분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키게 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흡연,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피부병, 바이러스 감염 및 자외선 등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가지 인자들 뿐만 아니라,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호흡과 소화의 과정 중에서도 발생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노화 요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손상된 피부를 개선시켜 맑고 탄력있는 피부로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92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쿠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내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피지를 조절함으로써 피부 미백,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글리세린, 바쿠치올, 복령균핵추출물, 사과추출물, 및 비극성 보습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극성 보습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디카프릴릴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천연 물질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 물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를 들어,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 추출법, 냉침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초임계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글리세린, 바쿠치올, 복령균핵추출물, 사과추출물, 및 비극성 보습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바쿠치올, 복령균핵추출물, 사과추출물, 및 비극성 보습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피지를 조절하여 여드름 피부와 같은 문제성 피부를 개선할 수 있으며,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피부에 비타민과 영양성분을 공급해줌으로써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 및 피부 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손상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바쿠치올, 복령균핵추출물, 사과추출물, 및 비극성 보습 오일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을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약 0.1 내지 약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약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및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거나, 발림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글리세린은 피부 보습 효과 및 점도 조절을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세린은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글리세린이 약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점도가 지나치게 묽어져 발림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구성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바쿠치올(Bakuchiol)은, 아시아 지역 아유르베다와 중국 의학에서 사용되어온 야생 식물에서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바쿠치올은 피부 자극 및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식물성 레티놀로서, 종래 피부 자극 및 감작성, 최기성을 유발할 수 있는 일반 레티놀에 비해 안정성 이슈를 피할 수 있으며, 광안정도가 높아 노화된 피부에 대해 레티놀과 같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쿠치올은 레티놀에 비해 더욱 뛰어난 콜라겐 합성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바쿠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없이도 여드름 등의 문제성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쿠치올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바쿠치올 이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문제성 피부 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조 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복령균핵추출물(Poria Cocos Sclerotium Extract)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에 속하는 버섯인 복령(Tuckahoe)의 균사체 또는 균핵에서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복령은 트리터페노이드 계열인 유브리코익산(eubricoic acid), 파키믹산(pachymic acid), 투물로스산(tumulosic acid) 및 피노콜산(pinocolic acid) 등이 함유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부 건조에 의한 민감 반응을 진정시키고, 피부의 안색을 정화하며 보습력 유지 및 유연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령균핵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상기 복령균핵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등 문제성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 보습을 부여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령균핵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복령균핵추출물이 약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사과추출물(Pyrus Malus (Apple) Fruit Extract)은, 사과나무의 열매에서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사과추출물은 피부의 영양을 공급해주고 컨디셔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항산화 성분으로서 폴리페놀을 포함하여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여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과추출물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오래된 각질을 제거하여 부드러움과 윤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과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트러블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과추출물은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과추출물이 약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사과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른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및 트러블 방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약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비극성 보습 오일은 피부 보습 효과 및 점도 조절을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디카프릴릴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극성 보습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디카프릴릴 에테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극성 보습 오일로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디카프릴릴 에테르를 모두 포함함에 따라 높은 피부 보습 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그에 따라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토코페릴(tocopheryl) 을 유효성분으로서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코페릴은 식물성 기름에서 분리되는 지용성 물질로서, 화장료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점성을 부여하며, 항산화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트로폴론(tropolone)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로폴론은 무색 결정을 나타내는 7원자고리계 방향족 화합물의 하나로서, 금속과 반응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드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트로폴론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며 미생물의 생장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변질 및/또는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로폴론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트로폴론이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변질 또는 부패 방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베지터블오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유기용매로서 활용될 수 있는 베지터블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성분이 서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지터블오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베지터블오일이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베지터블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낮아져 사용감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판테놀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테놀은 피부 내에서 비타민 B5로 변화하여 수분을 결합시키는 성질을 나타내므로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글리세린과 어우러져 뛰어난 진정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은 대나무라고도 불리우는 밤부사 불가리스의 전초를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약 60 일 내지 약 100 일 동안 계대배양하여 캘러스(callus)를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캘러스를 분리하여 여과함으로써 수득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은 폴리페놀,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C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피부 염증을 완화시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이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피부 미백 효과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솔잎 추출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잎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침엽상록수인 소나무의 잎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솔잎은 상쾌한 향취를 지니며, 테르펜류 및 탄닌을 약리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균 및 방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여 곰팡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소나무로부터 솔잎을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건조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솔잎 분말 중량의 약 10 배 내지 약 500 배의 용매를 가하고 약 100℃ 내지 약 18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됨에 따라, 솔잎에 포함된 약리성분이 충분히 용해되어 항균, 향취 및 방부 효과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솔잎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솔잎 추출물이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솔잎 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항균, 향취 및 방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글루타티온(glutathione)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루타티온은 생체 내 산화환원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로서, 글루탐산, 시스테인, 및 글리신의 세 개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을 통해 결합한 트리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상기 글루타티온은 피부 내 멜라닌의 인돌 부분과 화학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멜라닌의 반복적 중합을 막아 멜라닌의 형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루타티온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글루타티온이 약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글루타티온을 포함함에 따라 나타나는 피부 미백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을 모두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지를 조절하여 여드름성 피부를 개선시키고, 항염증 효과를 통해 피부 상처 및 염증을 완화하며, 콜라겐 합성을 증대시키고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의 노화 및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효과는 상기 성분들을 유효성분으로서 모두 포함함에 따라 그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경우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서술한 성분들 외에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요구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임의로 선정한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고급 알코올, 증저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방부제, 왁스, pH 조절제, 향료 등이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구성성분을 차례대로 혼합하여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각각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중량부
1 정제수 63.75992
2 글리세린 7.11400
3 세테아릴 알코올 3.70000
4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3.00000
5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3.00000
6 1,2-헥산디올 2.00000
7 디카프릴릴 에테르 2.0000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000
9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2.0000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2.00000
11 나이아신아마이드 1.50000
12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1.20000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00000
14 베지터블오일 1.00000
15 판테놀 1.00000
16 베헤닐알코올 0.80000
17 솔비탄 올리베이트 0.80000
18 바쿠치올 0.50000
19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40000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40000
21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0.29400
22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5000
23 에틸헥실글리세린 0.09990
24 부틸렌글라이콜 0.09000
25 콜레스테롤 0.08000
26 잔탄검 0.05000
27 세라마이드 NP 0.02000
28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1000
29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 0.00500
30 복령균핵추출물 0.00500
31 사과추출물 0.00483
32 글루코오스 0.00450
33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0.00275
34 글라이신 0.00245
35 세린 0.00136
36 글루탐산 0.00126
37 아스파르트산 0.00079
38 류신 0.00069
39 알라닌 0.00044
40 리신 0.00042
41 아르기닌 0.00038
42 티로신 0.00034
43 페닐알라닌 0.00032
44 발린 0.00030
45 트레오닌 0.00030
46 프롤린 0.00030
47 아이소류신 0.00027
48 히스티딘 0.00015
49 메티오닌 0.00012
50 시스테인 0.00012
51 토코페롤 0.00010
  합계 100.00000
구분 구성성분 중량부
1 정제수 63.78992
2 글리세린 7.00400
3 세테아릴 알코올 3.70000
4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3.00000
5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3.00000
6 1,2-헥산디올 2.00000
7 디카프릴릴 에테르 2.0000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000
9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2.0000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2.00000
11 나이아신아마이드 1.50000
12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1.20000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00000
14 베지터블오일 1.00000
15 판테놀 1.00000
16 베헤닐알코올 0.80000
17 솔비탄 올리베이트 0.80000
18 바쿠치올 0.50000
19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40000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40000
21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0.29400
22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5000
23 에틸헥실글리세린 0.09990
24 부틸렌글라이콜 0.09000
25 콜레스테롤 0.08000
26 잔탄검 0.05000
27 세라마이드 NP 0.02000
28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1000
29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 0.00500
30 복령균핵추출물 0.00500
31 사과추출물 0.00483
32 솔잎 추출물 0.02000
33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 0.06000
34 글루코오스 0.00450
35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0.00275
36 글라이신 0.00245
37 세린 0.00136
38 글루탐산 0.00126
39 아스파르트산 0.00079
40 류신 0.00069
41 알라닌 0.00044
42 리신 0.00042
43 아르기닌 0.00038
44 티로신 0.00034
45 페닐알라닌 0.00032
46 발린 0.00030
47 트레오닌 0.00030
48 프롤린 0.00030
49 아이소류신 0.00027
50 히스티딘 0.00015
51 메티오닌 0.00012
52 시스테인 0.00012
53 토코페롤 0.00010
  합계 100.00000
구분 구성성분 중량부
1 정제수 63.42392
2 글리세린 7.10500
3 세테아릴 알코올 3.70000
4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3.00000
5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3.00000
6 1,2-헥산디올 2.00000
7 디카프릴릴 에테르 2.0000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000
9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2.0000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2.00000
11 나이아신아마이드 1.50000
12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1.20000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00000
14 베지터블오일 1.00000
15 판테놀 1.00000
16 베헤닐알코올 0.80000
17 솔비탄 올리베이트 0.80000
18 바쿠치올 0.50000
19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40000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40000
21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0.29400
22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5000
23 에틸헥실글리세린 0.09990
24 부틸렌글라이콜 0.09000
25 콜레스테롤 0.08000
26 잔탄검 0.05000
27 세라마이드 NP 0.02000
28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1000
29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 0.00500
30 복령균핵추출물 0.00500
31 사과추출물 0.00483
32 솔잎 추출물 0.02000
33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 0.06000
34 트로폴론 0.01500
35 글루타티온 0.25000
36 글루코오스 0.00450
37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0.00275
38 글라이신 0.00245
39 세린 0.00136
40 글루탐산 0.00126
41 아스파르트산 0.00079
42 류신 0.00069
43 알라닌 0.00044
44 리신 0.00042
45 아르기닌 0.00038
46 티로신 0.00034
47 페닐알라닌 0.00032
48 발린 0.00030
49 트레오닌 0.00030
50 프롤린 0.00030
51 아이소류신 0.00027
52 히스티딘 0.00015
53 메티오닌 0.00012
54 시스테인 0.00012
55 토코페롤 0.00010
  합계 100.00000
[비교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4의 구성성분을 차례대로 혼합하여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구분 구성성분 중량부
1 정제수 69.18375
2 글리세린 10.00000
3 세테아릴 알코올 3.70000
4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3.00000
5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3.00000
6 1,2-헥산디올 2.00000
7 디카프릴릴 에테르 2.00000
8 나이아신아마이드 1.50000
9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1.2000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00000
11 판테놀 1.00000
12 솔비탄 올리베이트 0.80000
13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40000
14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40000
15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0.29400
16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5000
17 에틸헥실글리세린 0.09990
18 부틸렌글라이콜 0.09000
19 콜레스테롤 0.08000
20 잔탄검 0.05000
21 세라마이드 NP 0.02000
22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1000
23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 0.00500
24 글루코오스 0.00450
25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0.00275
26 글라이신 0.00245
27 세린 0.00136
28 글루탐산 0.00126
29 아스파르트산 0.00079
30 류신 0.00069
31 알라닌 0.00044
32 리신 0.00042
33 아르기닌 0.00038
34 티로신 0.00034
35 페닐알라닌 0.00032
36 발린 0.00030
37 트레오닌 0.00030
38 프롤린 0.00030
39 아이소류신 0.00027
40 히스티딘 0.00015
41 메티오닌 0.00012
42 시스테인 0.00012
43 토코페롤 0.00010
  합계  100.00000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각각에 10 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시료들을 제조하고, 각각의 시료들에 대해 DPPH(1, 1-diphenyl-2-picrylhy drazyl,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라디칼 소거능을 Blois (1958)변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희석 시료 100 μL에 1.5×10-4 M DPPH 용액 100 μL을 가하여 실온의 암실에서 30 분간 정치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DPPH 라디칼소거 활성(%) 64.87 78.07 86.98 51.1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의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더욱 향상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이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험예 2: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들의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제조된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들을 각각 상온(25℃) 및 상온 이상(50℃)에서 3 개월 동안 방치하였을 때 성분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성분의 분리 현상이 일어난 경우 '불안정',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안정'으로 기재하였다. 안정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은, 50℃의 온도에서 3 개월 동안 방치 시 분리 현상이 일어난 비교예의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과 달리 상온 및 상온 이상에서 장기 보관 시에도 분리 현상 없이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주름 개선 및 수분 공급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및 수분 공급 효과를 기호도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선발 기준에 부합하고 면제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만 30 세 내지 45 세의 남녀 180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45 명씩으로 나누어 4 주 동안 1 일 1 회, 자가 도포 방법으로 적용한 뒤 전반적인 만족감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효과가 있다(5점), 효과가 있다(4점), 보통이다(3점), 효과가 있다(2점), 전혀 효과가 없다(1점)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매우 효과가 있다(5점) 7 18 26 0
효과가 있다(4점) 24 20 14 2
보통이다(3점) 9 5 3 9
효과가 없다(2점) 3 2 2 19
전혀 효과가 없다(1점) 2 0 0 15
[실험예 4: 피지 조절 및 여드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지 조절 및 여드름 개선 효과를 기호도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선발 기준에 부합하고 면제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만 30 세 내지 45 세의 남녀 140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35 명씩으로 나누어 4 주 동안 1 일 1 회, 자가 도포 방법으로 적용한 뒤 전반적인 만족감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효과가 있다(5점), 효과가 있다(4점), 보통이다(3점), 효과가 있다(2점), 전혀 효과가 없다(1점)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매우 효과가 있다(5점) 11 18 23 0
효과가 있다(4점) 9 12 9 1
보통이다(3점) 11 3 2 8
효과가 없다(2점) 2 2 1 16
전혀 효과가 없다(1점) 2 0 0 10
상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피험자의 대부분이 피부 주름 개선, 수분 공급, 피지 조절, 및 여드름 개선 효과에 대하여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글리세린, 바쿠치올, 복령균핵추출물, 사과추출물, 토코페릴, 베지터블 오일, 판테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올레핀 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디카프릴릴 에테르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을 상기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137024A 2021-10-15 2021-10-15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24A KR102370225B1 (ko) 2021-10-15 2021-10-15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24A KR102370225B1 (ko) 2021-10-15 2021-10-15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225B1 true KR102370225B1 (ko) 2022-03-04

Family

ID=8081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24A KR102370225B1 (ko) 2021-10-15 2021-10-15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2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8991A (zh) * 2022-12-07 2023-05-26 陕西畅想制药有限公司 一种含补骨脂酚的抗衰美白组合物和乳霜及其制备方法
KR102543302B1 (ko) * 2023-03-24 2023-06-15 주식회사 더모멘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6421517A (zh) * 2023-04-12 2023-07-14 杭州未可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皮肤抗衰老组合物及其用途和护肤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724A (ja) * 2000-01-05 2001-07-10 Kanebo Ltd 化粧料
JP2016222612A (ja) * 2015-06-01 2016-12-28 昭和電工株式会社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70119243A (ko) 2016-04-18 2017-10-26 (주)아모레퍼시픽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400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724A (ja) * 2000-01-05 2001-07-10 Kanebo Ltd 化粧料
JP2016222612A (ja) * 2015-06-01 2016-12-28 昭和電工株式会社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70119243A (ko) 2016-04-18 2017-10-26 (주)아모레퍼시픽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400A (ko) *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8991A (zh) * 2022-12-07 2023-05-26 陕西畅想制药有限公司 一种含补骨脂酚的抗衰美白组合物和乳霜及其制备方法
KR102543302B1 (ko) * 2023-03-24 2023-06-15 주식회사 더모멘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6421517A (zh) * 2023-04-12 2023-07-14 杭州未可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皮肤抗衰老组合物及其用途和护肤品
CN116421517B (zh) * 2023-04-12 2024-03-01 杭州未可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皮肤抗衰老组合物及其用途和护肤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225B1 (ko)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1279B1 (ko) 피부 노화 예방, 피부 주름 개선, 유연 증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2365B1 (ko)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앰플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499608B1 (ko) 리쥬버네이팅 세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239141A (ja) 皮膚外用剤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77182B1 (ko) 아로니아 착즙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9610B1 (ko)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43302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