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243A -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243A
KR20170119243A KR1020160047182A KR20160047182A KR20170119243A KR 20170119243 A KR20170119243 A KR 20170119243A KR 1020160047182 A KR1020160047182 A KR 1020160047182A KR 20160047182 A KR20160047182 A KR 20160047182A KR 20170119243 A KR20170119243 A KR 2017011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in
cosmetic composition
content
feeling
glyceryl poly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석
양희정
박승한
김선영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4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243A/ko
Publication of KR2017011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 떠짐성 및 사용감이 개선된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글리세린을 고함량 처방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눅진한 사용감이 개선된다. 또한, 글리세린을 30 % 이상 함유하여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며, 고온 안정성 및 떠짐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HIGH GLYCERIN CONTENT COMPRISING GLYCERYL POLYACRYLATE}
본 발명은 안정성, 떠짐성 및 사용감이 개선된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는데,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 ~ 70 %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준다.
그 중에서도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며,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 ~ 20 %의 수분을 함유하고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체내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 사회생활에서 발생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보습에 관한 문제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글리세린은 야자유나 팜유 등으로부터 추출되며, 무색, 무향의 점도 높은 수용성 액체이다. 글리세린은 수분을 끌어들이는 성질을 가지므로, 피부에 도포 시 표피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며,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글리세린은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보습용 화장료의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글리세린을 30 % 이상의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용되지 않고 있다. 글리세린의 함량을 높일수록 보습력은 증가하지만, 끈적하고 눅진한 사용감이 도드라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글리세린 함량은 글리세린 단독으로는 20 %, 기타 폴리올과의 조합으로는 35 % 를 한도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감의 문제 외에도,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에서의 안정성 및 장기 보관시의 안정성이 부족하여 성분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습력이 우수하면서도 사용감 및 안정성이 개선된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 등록특허 제5793056호, 화장료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시 우수한 보습력 및 개선된 사용감을 나타내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리세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물을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세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물을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글리세린을 고함량 처방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눅진한 사용감이 개선된다. 또한, 글리세린을 30 % 이상 함유하여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며, 고온 안정성 및 떠짐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안정성, 떠짐성 및 사용감이 개선된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글리세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물을 적정 배합비로 배합하여 제조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상 포함된다. 이와 같이 고함량으로 글리세린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보습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피부에 독성이 없고, 높은 보습 효과 및 피부염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성분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글리세린은 수분을 끌어들이는 성질을 가지므로, 피부에 도포 시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동시에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그렇지만,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얻기 위하여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처방하게 되면 끈적이고 눅진한 사용감 때문에 소비자의 거부감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 방치 또는 장기 보관시에 안정성이 부족하여 성분의 분리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며,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된다. 만일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글리세린 고유의 눅진한 사용감이 도드라져 사용감적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점증제 및 안정제로 사용된다.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물 및 글리세린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는 글리세린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 되어 글리세린의 눅진한 사용감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 화장료 조성물은 끈적이는 사용감을 피하기 위해 글리세린 함량을 30 % 미만으로 제한하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사용감을 개선시킴으로써 글리세린을 3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의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광물성 유지류의 일종으로, 끈적임이 없고 퍼짐성이 좋아 사용감이 가벼우며 여러 온도에서 안정하고 피부에 독성이 없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러한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함으로써 잔존하는 글리세린의 눅진한 사용감을 보다 더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당 업계에서 화장료의 구성성분으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가능한 실리콘 오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코놀, 비닐디메치콘, 프로폭시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10 이하 중량%로 포함된다. 만일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실리콘 오일이 유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썬 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터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터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원료로 바스프 사의 히스파겔 200(Hispagel 200)을 사용하였다. 히스파겔 200은 물 40 ~ 50 %, 글리세린 40 ~ 50 %,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1 ~ 5 %의 구성 성분비를 갖는다.
또한, 실리콘 오일로는 신에츠 사의 KF-56(페닐트리메치콘)을 사용하였다.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45 중량%,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1 중량%, KF-56 5 중량% 및 물 49 중량%를 혼합하여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점증제로 세피플러스 400(Sepiplus 400)을 사용한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세피플러스 400은 폴리아크릴레이트-13 60 %, 폴리이소부텐 27 %, 물 4.5 %, 폴리소르베이트 20 4.5 %,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4 %의 성분비를 갖는다.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45 중량%, KF-56 5 중량%, 세피플러스 400 1 중량% 및 물 49 중량%를 혼합하여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점증제로 세피플러스 400 대신 코스미디아 SPL(Cosmedia SP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코스미디아 SPL은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55 %, 수화 폴리데센 40 %, PPG-5-라우레스-5 5 %의 성분비를 갖는다.
시험예 1: 고온 안정성 테스트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고온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자(jar) 용기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담고 골을 판 다음, 45 ℃의 항온조에서 1개월간 방치하여 실리콘 오일이 배어 나오는지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리콘 오일 뜸
안정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실리콘 오일층의 분리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분리층이 관찰되지 않아 고온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가 미세 실리콘 오일의 합일을 방지하여 안정도를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시험예 2: 경도 테스트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 장치는 선 레오미터 컴팩-100Ⅱ(sun rheometer compac-100Ⅱ) 를 이용하였다. 자 용기에 화장료 조성물을 채워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한 다음, 익일에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경도 값을 측정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및 경도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조성
( 중량% )
글리세린 45 45 45
KF-56 5 5 5
39 39 39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1 - -
세피플러스 400 - 1 -
코스미디아 SPL - - 1
물성 경도(mN, 익일) 15-17 13 14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높은 경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분산성을 향상시켜 계면활성제 없이 내용물이 안정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사용감 평가
10명의 전문 패널들에게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사용감 평가는 화장료 조성물을 바를 때와 바른 후(흡수 후)를 구분하여, 하기 총 6가지 속성에 대하여 5점을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펴발림성 : 피부 표면에서 제품이 잘 퍼지면서 발라지는 정도
밀착감 : 바를 때 제품이 겉돌지 않고 피부에 달라붙는 정도
수분감 : 제품이 흡수된 직후에 느껴지는 수분 함유량
잔여감 : 내용물이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정도
끈적임 : 피부 흡수 후 손가락에 달라붙는 정도
실키함 : 피부 표면에 투명하고 매끄러운 막이 씐 정도
5: 해당 속성이 강함
4: 해당 속성이 다소 강함
3: 보통
2: 해당 속성이 다소 약함
1: 해당 속성이 약함
구분 속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바를 때 펴발림성 2.1 3.4 3.1
밀착감 4.3 2.8 2.9
수분감 2.7 4.1 3.7
흡수 후 잔여감 3.2 4.0 3.7
끈적임 2.8 4.3 4.1
실키함 3.7 1.4 2.5
사용감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밀착감 및 실키함이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잔여감과 끈적임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로부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가 기타 점증제와 비교하여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개선시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감 평가와 더불어, 스코어링을 통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내용물의 분리 현상이 나타났고, 비교예 1은 사각거림이 느껴지며 윤기 및 번들거림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 2는 원료간 상용성이 떨어져 따로 도포되는 느낌이 든다고 평가되었다그러나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두께감 있게 발리고 흡수 후 눅진한 마무리 감이 약하다고 평가되었으며 내용물 분리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30 % 이상 고농도로 포함함에도 눅진한 사용감이 개선되고, 원료가 분리되지 않아 안정성이 뛰어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글리세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물을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코놀, 비닐디메치콘, 프로폭시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10 이하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47182A 2016-04-18 2016-04-18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9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82A KR20170119243A (ko) 2016-04-18 2016-04-18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82A KR20170119243A (ko) 2016-04-18 2016-04-18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43A true KR20170119243A (ko) 2017-10-26

Family

ID=6030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182A KR20170119243A (ko) 2016-04-18 2016-04-18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2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25B1 (ko) 2021-10-15 2022-03-04 주식회사 엔에스엘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25B1 (ko) 2021-10-15 2022-03-04 주식회사 엔에스엘 바쿠치올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051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159877B1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024B1 (ko)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KR101962952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0092A (ko) 내상점증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9243A (ko)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998776B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37397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936075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0741959B1 (ko) 유/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피부도포시 상전이 성질을갖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KR101814379B1 (ko)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63190B1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KR20160076348A (ko)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31181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5059B1 (ko) 개선된 흡수력을 갖는 오일 모사 화장료 조성물
KR102461821B1 (ko) 제형안정성이 개선된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518B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56700B1 (ko) 워터드롭이 가능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