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717A - 고휘도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고휘도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717A
KR20070091717A KR1020060021167A KR20060021167A KR20070091717A KR 20070091717 A KR20070091717 A KR 20070091717A KR 1020060021167 A KR1020060021167 A KR 1020060021167A KR 20060021167 A KR20060021167 A KR 20060021167A KR 20070091717 A KR20070091717 A KR 20070091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base
hid lamp
present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307B1 (ko
Inventor
한한천
Original Assignee
솔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솔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06002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3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76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ID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트레이 광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직진성 광선으로 활용하고, HID 램프가 차량에 결합될 시 그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키는 HID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외부 덮개와 이격되고, 베이스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덮개의 주위에 형성되되, 배광 각도를 유지하고 상향 조사를 방지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가 결합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차량과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레이 광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레이 광선을 반사시켜 차량운행에 필요한 조사광선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ID 램프는 베이스 구조에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차량과의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HID 램프, 쉴드, 스트레이 광선, 베이스, 결합홈.

Description

고휘도 방전 램프{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도 1a 내지 도 1g는 종래기술에 따른 HID 램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쉴드 110: 제1영역
120: 제2영역 130: 제3영역
140: 제4영역 150: 방전실
160: 외부 덮개 170: 조임 밀봉부
180: 밀봉부 200: 베이스
210: 결합돌기 220: 결합홈
221: 제1결합홈 222: 제2결합홈
223: 제3결합홈 230: 접촉부
본 발명은 고휘도 방전 램프(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이하 'HID 램프'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트레이(stray) 광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직진성 광선으로 활용하고, HID 램프가 차량에 결합될 시 그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키는 HID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ID 램프는 소모 전력에 비하여 높은 광효율(luminous efficacy) 및 고휘도(high intensity)를 갖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스트레이 광선의 발생으로 인해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눈부심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스트레이 광선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예로서, 도 1a 내지 도 1c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37415호에 개시된 HID 램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의 캡이 씌워진 HID 램프는 석영 유리로 만들어진 광선 전달 램프 용기(1)를 구비하며, 용기(1)는 진공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이온화 충전물이 들어 있는 방전 공간(2)을 감싸며, 방전 경로를 정하기 위하여 전극(3, 4)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온화 충전물은 수은, 나트륨, 스칸듐 아이오다이드(scandium iodide)와 같은 메탈 할리드(halide) 혼합물, 크세논(xenon)과 같은 희가스(rare gas)로 이루어진다. 램프 용기(1)는 축(5)과 융합부(8)로 봉합되는 제1목 형상부(6)와 제2목 형상부(7)를 갖는다.
외부 덮개(10)는 방전 공간(2) 주위에 석영 유리로 형성되며, 소정의 공간을 갖고 방전 용기(1)를 감싸고, 램프 용기(1)와 연결되어 있다. 램프는 접촉부(21, 22)가 제공된 램프 베이스(20)를 가지며, 제1목 형상부(6)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 (3, 4)과 연결된 제1도전체(23)와 제2도전체(24)는 제1목 형상부(6)와 제2목 형상부(7)를 통하여 램프 베이스(20)에서의 접촉부(21, 22)까지 연장된다. 제2도전체(24)는 외부 덮개(10)의 외측을 따라서 연장하는 리턴부(return portion, 25)를 갖는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덮개(10)는 제2도전체(24)의 리턴부(25)와 마주하는 측의 제1목 형상부(6) 부근의 영역에 위치함 광선 흡수 코팅층(11)을 갖는다. 광선 흡수 코팅층(11)의 영역은, 전극(3, 4)간의 중앙 위치에서 외부 덮개(10)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적어도 50°의 α각으로 감싸는 위치로부터 상기 수직축으로부터 약 65°의 β각을 감싸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α각과 β각의 정점은 램프 용기(1)의 축(5) 상에 위치한다. 세라믹 파이프(26)가 리턴부(25) 부근에 위치하며, 파이프(26)의 한쪽 단부는 램프 베이스(20) 내에 있으며, 다른 단부는 세라믹 캡(27) 내에서 접착제로 고정된다.
외부 덮개(10)는 제2도전체(24)의 리턴부(25)와 마주하는 측에서 방전 경로와 평행한 양 측부상에 밴드형의 광선 흡수 코팅층(12, 13)을 갖는다. 밴드형 코팅층(12, 13)은 사실상 165°각도 γ로 감싸며 상호 대향하는 가장부(12', 13')와, 85°내지 145°의 각도 δ로 감싸며 상호 대향하는 가장부(12", 13")를 갖는다. γ와 δ의 정점은 램프 용기(1)의 축(5) 상에 위치한다.
도 1d는 도 1a 내지 도 1c에서 살펴본 종래기술을 기반으로 실시되는 HID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HID 램프는 외부 덮개에 광선 흡수 코팅층(11)이 형성되고, 램프 베이스(20)에는 차량과의 결합을 위한 결 합돌기(28)와 결합홈(29)이 형성된다.
도 1e는 도 1d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베이스(20) 하부이다. 도 1e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HID 램프는 베이스(20) 하부 중심에 접촉부(21)가 형성되고, 베이스(20) 하부 둘레 양단에 결합돌기(28)가 형성되며, 베이스(20) 상부 둘레에 결합홈(29)이 형성된다. 도 1f 및 도 1g는 도 1e의 결합홈(29)의 다른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도 1a 내지 도 1g에서 예를들어 살펴본 종래기술에 따른 HID 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광선 흡수 코팅층(11)은 광선을 단지 흡수할 뿐이므로, 광선 흡수 코팅층(11)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램프의 휘도가 저하된다. 다음, 램프 베이스(20)의 결합홈(29)은 어느 특정 차량에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트레이 광선을 직진성 광선으로 활용하기 위한 HID 램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결합될 시 그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키는 HID 램프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덮개와 이격되고, 베이스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덮 개의 주위에 형성되되, 배광 각도를 유지하고 상향 조사를 방지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가 결합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차량과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HID 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쉴드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팅 혹은 도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의 복수의 결합홈은 제1결합홈을 중심으로 그 양쪽으로 제2결합홈 및 제3결합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스트레이 광선을 흡수시켜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눈부심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만을 개선시키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쉴드를 이용하여 스트레이 광선을 반사시켜 활용할 수 있는 광선으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차량에 결합될 시 그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키는 베이스 구조를 갖는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부 공지된 구성요소에 대한 명칭 및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한 설명을 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며, 구체적으로는 도 1a 내지 도 1g를 참조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는 외부 덮개와 이격된 위치에 쉴드(100)가 형성되고, 램프 베이스(200)에는 차량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210)와 결합홈(220)이 형성된다. 도 2b는 쉴드(100)를 이루는 제1영역(110) 내지 제4영역(140)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도 2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베이스(200) 하부이다. 도 2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는 베이스(200) 하부 중심에 접촉부(230)가 형성되고, 베이스(200) 하부 둘레 양단에 결합돌기(210)가 형성되며, 베이스(200) 상부 둘레에 결합홈(2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의 쉴드(10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쉴드(100)는 금속성 재질 자체의 반사되는 성질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코팅 혹은 도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쉴드(100)는 차량의 배광에 대한 법적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성 된다. 예를들어, 현재 대한민국의 차량의 배광에 대한 법적 각도는, 좌측 0°, 우측 15°이므로, 배광 각도를 벗어나는 스트레이 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하는 쉴드(100) 구조를 갖는다. 또한, 쉴드(100)는 지나치게 상향으로 조사되는 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쉴드(100)는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눈부심을 유발시키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의 쉴드(100)가 형성되는 각도 및 그 형상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쉴드(100)가 형성되는 각도는 아크 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실(150) 중심에서 외부 덮개(160)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베이스(200) 방향으로, 30°내지 70°범위에서 외부 덮개(160)와 이격된 주위에 형성되는 제1영역(110)을 갖고, 제1영역(110)과 연결되고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제2영역(120)을 갖으며, 베이스(200)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외부 덮개(160)의 조임 밀봉부(170) 주위에 형성되는 제3영역(130)을 갖고, 제1영역(110)과 제3영역(130)을 연결하는 제4영역(14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영역(110), 제2영역(120), 제3영역(130) 및 제4영역(140)의 리턴부(180)와 인접한 부분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4영역(140)은 제1영역(110)과 제3영역(130)을 연결하는 정도의 넓이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의 쉴드(100)는, 배광 각도를 벗어나는 스트레이 광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반사시켜 운전시 필요한 휘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쉴드(100)의 크기가 커질수록 램프의 휘도가 반드시 저하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의 베이스(200)는, 차량에 결합될 시 그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키는 베이스(200) 구조를 갖는 바, 제1결합홈(221)을 중심으로 그 양쪽으로 제2결합홈(222) 및 제3결합홈(223)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ID 램프의 베이스(200)는, 제1결합홈(221) 및 제2결합홈(222)이 필요한 차량에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결합홈(221) 및 제3결합홈(223)이 필요한 차량에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레이 광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ID 램프는 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스트레이 광선을 반사시켜 차량운행에 필요한 조사광선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ID 램프는 베이스 구조에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차량과의 결합호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외부 덮개와 이격되고, 베이스에 지지되며, 상기 외부 덮개의 주위에 형성되되, 배광 각도를 유지하고 상향 조사를 방지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가 결합되며, 복수의 결합홈을 구비하여 차량과 결합되는 베이스
    를 포함하는 HID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코팅 혹은 도색이 이루어지는 HID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복수의 결합홈은 제1결합홈을 중심으로 그 양쪽으로 제2결합홈 및 제3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HID 램프.
KR1020060021167A 2006-03-07 2006-03-07 고휘도 방전 램프 KR10076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167A KR100760307B1 (ko) 2006-03-07 2006-03-07 고휘도 방전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167A KR100760307B1 (ko) 2006-03-07 2006-03-07 고휘도 방전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717A true KR20070091717A (ko) 2007-09-12
KR100760307B1 KR100760307B1 (ko) 2007-09-19

Family

ID=3868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167A KR100760307B1 (ko) 2006-03-07 2006-03-07 고휘도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27B1 (ko) * 2008-12-29 2011-06-22 최상근 에치아이디 램프 조립체
KR100952170B1 (ko) 2009-05-27 2010-04-09 (주)씨씨티라이팅 수평 구조형 엘이디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388A (ko) * 2003-11-11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일체형 헤드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307B1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5416B2 (ja) 光吸収被覆を備える口金付き高圧放電ランプ
US20040174121A1 (en) Discharge bulb
JP2004103461A (ja) 放電バルブ用アークチューブ
KR101036970B1 (ko) 금속증기 방전램프 및 조명장치
KR20030043696A (ko) 고압 가스 방전 램프와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100760307B1 (ko) 고휘도 방전 램프
US6825616B2 (en) Discharge bulb with shroud glass having metal oxide in specific range
KR101037034B1 (ko) 조명장치 및 금속증기 방전램프
JP4535384B2 (ja) 自動車用放電バルブおよび自動車用前照灯
US8247973B2 (en) Discharge chamber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JP2010251328A (ja) 照明装置及び金属蒸気放電ランプ
JP4743847B2 (ja) 自動車用前照灯
US7923908B2 (en) Metal halide reflector lamp with beam color homogenizer
JP2004288630A (ja) ランプ
JP2014186987A (ja) 紫外線ランプ及び照射装置
CN100550279C (zh) 受激准分子灯
JP2003077419A (ja) 高圧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20110298366A1 (en) High intensity discharge arc tube and associated lamp assembly
JP2007080678A (ja) 金属蒸気放電ランプ、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2013527587A (ja) 発光管末端部に塩プール収容部を有する小型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US20110032711A1 (en) High efficiency projection system
JP2007273333A (ja) 蛍光ランプ
JPH11283566A (ja) 発光管、高圧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7317401A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11181437A (ja) 放電ランプ、および当該放電ランプを有する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