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753A - 화물용 보유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용 보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753A
KR20070090753A KR1020070018399A KR20070018399A KR20070090753A KR 20070090753 A KR20070090753 A KR 20070090753A KR 1020070018399 A KR1020070018399 A KR 1020070018399A KR 20070018399 A KR20070018399 A KR 20070018399A KR 20070090753 A KR20070090753 A KR 2007009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ing device
rail
base portion
restrain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르트무트 볼케
디르크 가스
위르겐 살레브스키
볼프강 시츨러
악셀 휘브너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9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승용차의 트렁크 또는 저장실내에 들어가는 화물용 보유장치는 구속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피벗팅 플랩 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 형태의 고정수단이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스프링편향 플랩 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의 도움을 받아, 싣게 될 화물은 트렁크 또는 리어시트 뒷부분의 측벽쪽으로 가압될 수 있어서, 화물이 주행중에 발생되는 힘들로 인하여 전후로 흔들리지 않는다.
승용차, 화물, 보유장치, 구속레일, 베이스부, 스파이어럴 스프링, 피벗팅 플랩.

Description

화물용 보유장치{Holding device for cargo}
도 1은 그물망 형상의 보유부를 도시하는 승용차의 후부의 파단 사시도.
도 2는 베이스부의 확대 측면도.
도 3은 베이스부의 평면도.
도 4는 간단한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보유장치의 도면.
도 5는 피벗팅 판스프링을 갖는 보유장치의 도면.
도 6은 억지끼워맞춤 로킹장치를 갖는 베이스부를 지지측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현재의 차체 형상에서 디자인 엔지니어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벽으로 둘러싸이는 트렁크 또는 저장실을 만드는데 크게 관심을 두고 있다. 이러한 형상은 트렁크에 여행용 수하물과 같은 큰 화물을 넣고자 할 때 유익하다.
대조적으로, 작은 화물을 싣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포켓(pocket) 및 니취(niche)들은 작은 화물을 성가시게 빠뜨린다. 정상 주행중에 커브를 돌고, 제 동하고 가속하는 것에서 발생되는 힘 때문에 미끄러지지 않고 그러한 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
여기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그러한 작은 화물이 주행중의 동적 힘 때문에 트렁크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작은 화물을 위한 화물용 보유장치를 만드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보유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신규한 보유장치는 트렁크 또는 화물실(luggage compartment)이 보통 큰 화물이 조절식 고리의 도움을 받아 미끄러지지 않도록 큰 화물을 구속하는데 사용되는 구속레일(tie-down rail)을 포함하는 특징에서 나온다.
이러한 보유 레일에서 시작하여, 신규한 보유장치는 지지면을 갖는 베이스부(base part)를 구비한다. 프로필드 부재(profiled piece)는 그 횡단면이 구속레일의 횡단면에 적합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부의 지지면에서부터 돌출한다. 현재, 현대식 차량의 트렁크는 통상적으로 T형 홈을 가지며, 프로필드 부재는 이에 따라 횡단면에서 보아 T형 또는 버섯모양을 가진다. 화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을 갖는 보유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단순한 방법으로서, 접촉면의 도움을 받아 화물을 보유장치와 트렁크 또는 저장실의 벽 사이에 단단히 보유하도록 클램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벽들은 스테이션 왜건에서 승객실 또는 리어시트(rear seat)의 뒷부분으로부터 트렁크 또는 저장실을 분리하는 측벽 또는 경계벽이다.
보유장치에 의해 적용된 힘들은 화물이 급격한 제동과정의 경우에 저장실 또는 트렁크에서 용이하게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커야 한다. 이러한 힘들은 사고난 경우에도 화물이 고정된 채로 유지되어 있을 것을 보장하는 크기로 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보유장치는 화물을 확실하게 부착시키는 의무를 갖지 않는다. 사고의 경우 화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종래 안전망으로서 알려져 있는 격리 스크린이 있다.
수용 홈(receptacle groove)을 갖는 구속레일의 경우에, 상기 홈의 횡단면은 대략 사각형 홈 챔버와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홈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바닥 또는 벽과의 양호한 관계는 구속레일이 홈 슬롯 부근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할 때 발생된다. 또한 이것은 평탄한 지지면을 갖는 베이스부를 사용하게 하며, 이로써 양호한 정적 마찰 관계가 발생된다. 미끄럼 마찰력과 대조적으로, 정적 마찰력은 접촉면의 크기에 대략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적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면, 베이스부를 위해 특별한 로킹장치(locking device)가 필요하지 않다. 화물을 대응하는 화물실 또는 저장실의 벽에 대고 압축함으로써 발생되는 반작용력과 정적 마찰에 의해 구속레일의 관련된 위치에 화물이 유지된다.
보관중에 발생되는 반작용력과 레일의 상단면에 가해지는 베이스부의 정적 마찰에 의해 또는 억지끼워맞춤형 홈 슬롯에 의하여 베이스부를 보유하는 것은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구속레일을 따라 베이스부를 조절하기 위하여 로킹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또한 추가의 로킹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로킹장치는 추가의 보유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억지결합(positively engaging) 또는 마찰결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억지결합식 로킹과 마찰결합식 로킹 양쪽을 사용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의 지지면상의 프로필드 부재가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두 부분 사이에 가동 래치 엘리먼트가 삽입되면 유리하다. 상기 가동 래치 엘리먼트는 부가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래치 태브(latch tab)로서 홈 슬롯에 이웃한 치형부(teeth)에 억지결합될 수 있다.
고정되어야 할 화물 또는 여행용 수하물과 상호작용하는 보유부로서 여러 실시예가 제기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서, 보유부가 단순하게 판스프링이 되고, 이 판스프링의 중립 축선이 사용중에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판스프링이 베이스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평평한 화물은 구속레일이 종방향으로 이동되면 저장실 또는 트렁크의 측벽에 압축되어 단단히 보유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판스프링의 중립 축선이 구속레일의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놓이는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판스프링은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속레일에 의해 트렁크의 전방벽에 압축되어 단단히 화물 부분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러한 판스프링의 취급은 판스프링이 구속레일의 종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하 는 축선에 대해 피벗할 수 있으면 특히 편리하다. 판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반작용력은 베이스부가 홈 슬롯 또는 홈 안으로 경사짐으로써 구속레일로 전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대응하는 경사각의 크기를 정하고 그리고 대응하는 마찰계수를 선택하여 자동로킹이 동시에 달성되며, 이것은 보조 로킹 엘리먼트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보유부를 위한 다른 가능성은 힌지를 통해 베이스부에 연결된 피벗팅 플랩(pivoting flap)을 사용하는 것이다. 힌지의 축선은 레일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하게 놓여서 화물을 트렁크 측벽에 압축시켜 단단히 보유하도록 상술한 판스프링과 동일한 방법으로 힌지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레일의 종축선에 직각으로 놓이는 힌지 축선도 생각할 수 있는데, 홈 슬롯내로 대응하여 경사지면 베이스부가 클램핑 효과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로크한다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레일의 종축선에 평행하게 힌지 축선을 정렬하면 결과적으로 에러에 상당히 관대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각 경우에 보유력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수용되어 어느 경우에도 베이스부의 미끄러짐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화물이 측벽에 대해 충분한 힘으로 압축되면, 차량의 종방향에서 가장 큰 제동의 경우에도 화물을 단단하고 확실하게 보유하기에 항상 충분한 마찰력이 화물과 트렁크 측벽 사이에 발생된다.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마찰력은, 화물이 트렁크 측벽에 대해 충분한 힘으로 압축되면, 가장 큰 제동의 경우에도 화물을 단단하고 안전하게 보유할 정도로 항상 충분하게 발생된다.
특히 양호한 플랩 구조는, 그물망 또는 캔버스 커버(canvas cover) 또는 포켓이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때 달성된다.
아래에서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은 대응하는 관계들을 맞추기 위해 또는 형태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승용차 또는 스테이션 왜건의 화물 트렁크(1)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차량은 파단 사시도로 나타나 있다. 도면은 필수적인 형태를 볼 수 있도록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트렁크(1)는 트렁크 바닥(2)을 포함하고, 이 트렁크 바닥은 측면이 측벽(3)으로 둘러싸여 있다. 다른 파단된 측벽은 도시된 측벽(3)에 대해 종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트렁크의 측벽(3)은 그 상단이 후방 차창(5)의 하부에지(4)에서 끝나고, 하부에지는 종방향으로 D형 칼럼(D-column: 6)으로 연장한다. 전방쪽에서 트렁크(1)는 머리받이(9)부터 볼 수 있는 리어시트(rear seat) 뒷부분(8)의 후방벽(7)으로 둘러싸여 있다.
차량 후방쪽에서, 트렁크(1)는 저장공간 개구부(11)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측면은 도시된 D형 칼럼(6)과, 이 D형 칼럼(6) 반대측에 거울상으로 파단 영역에 배치된 D형 칼럼과, 저장공간의 하부에지(1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파단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지붕의 후방에지는 상단 테두리를 형성한다. 바닥(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종방향에서는 로킹 카운터피스(locking counter piece: 13)가 삽입되어 있는 화물 플랜지에지(cargo flange edge: 12)에서부터 후방벽(7)까지, 횡 단방향에서는 측벽(3)에서부터 트렁크의 대향한 측벽까지 뻗어 있다.
2개의 평행한 구속레일(14)은 트렁크의 관련된 측벽(3) 근방으로 직접 연장하며 화물 바닥(2)에서 카운터싱크(countersink) 되어 있다. 구속레일(14)의 횡단 프로필(profile)은 도 2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차량의 우측면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구속레일(14)에서, 예를 들어 쇼핑백(16) 형태와 같은 실어야 할 화물을 위한 보유장치(15)가 도시되어 있다. 구속레일(14)에서 연장하는 베이스부(17)와, 이 베이스부(17)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플랩(flap: 18)이 보유장치(15)에 속해 있다. 플랩(18)은 그물망(21)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19)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9)은 필요한 강도를 얻는데 충분한 횡단면을 가지며 대응하여 굴곡되는 원통형 와이어로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레일(14)은 하나의 레일이 다른 레일속에 삽입되어 있는 2개의 C형 프로필 레일(22, 23)로서 구성된다. 외부 프로필 레일(22)은 내식성 및 내마모성 외면을 형성하도록 양극처리된 알루미늄 재료로서 구성되고, 한편 내부 프로필 레일(23)은 강도 때문에 강철 프로필이다.
외부 프로필 레일(22)은 홈 슬롯(25)의 양측면에서 바닥(2)의 상단면과 동일한 평면상으로 연장하는 지지면(24)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직접 볼 수 있듯이, 홈 슬롯(25)은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홈 챔버(26)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홈 슬롯(25) 및 홈 챔버(26)는 가이드 레일(14)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도 2에서, 홈 슬롯은 화물 플랜지 에지(12)의 근방에 있는 영역(27)에서만 확대되어 있어서 베이스부(17)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내부 프로필 레일(23)은 홈 슬롯(25)의 양측면에서 치형부(teeth: 28)를 구비한다. 치형부(28)는 치형부 갭을 만들고, 이 갭은 등간격으로 분포되어 있고, 이 갭에 의해 대응하는 형상과 함께 베이스부(17)를 로크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베이스부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홈 챔버(26)와 함께 홈 슬롯(25)은, 확대된 영역(27)을 제외하고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며 구속레일(14)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T형 홈(29)을 형성한다. 홈 슬롯이 T형 홈을 포함하므로 이 홈 슬롯은 언더컷 홈(undercut groove)이다.
베이스부(17)는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모양의 베이스 몸체(31)를 가지며, 이 베이스 몸체는 그 하단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지지면(32)과 이 지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상단면(33) 및 전체가 4개인 두 쌍의 좁은 측면(34, 35, 36)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다. 좁은 측면(35)에 평행한 좁은 측면은 도 2에서는 도면의 뒤쪽에 놓여 있기 때문에 볼 수 없다.
상단면(33)이 좁은 측면(34)과 만나는 내부 코너의 지역에는 베어링 구멍(bearing eye)을 형성하는 통과 보어(37)가 있으며, 프레임(19)의 대응 부분이 상기 보어속으로 안내된다. 통과 보어(37)와 함께 프레임(19)의 이 영역이 힌지(38)를 형성하고, 이 힌지 축선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레일(14)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베이스부(17)를 T형 홈(29)에 보유할 수 있도록 프로필드 부재(profiled piece: 39)가 지지면(32)에 제공된다. 프로필드 부재(39)는 지지면(32)의 중간에서 좁은 측면(35)에서부터 이 좁은 측면에 대략 평행한 대향한 좁은 측면까지 보 어(37)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 프로필드 부재는 플랜지(41)와 연결바(42)로서 구성된다. 플랜지(41)의 횡단면은 플랜지가 홈 챔버(26)에 끼워지지만 홈 슬롯(25)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도록 선택된다. 대조적으로, 연결바(42)는 플랜지(41)를 지지면(32)에 연결시키며, 홈 슬롯(25)을 통해 안내된다.
플랩(18)을 측벽(3) 쪽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도 3에 따른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flat spiral spring: 43)이 있다.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43)은 포켓(44) 영역에서 동축상에서 프레임(19)의 원통부를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포켓은 베이스 몸체(31)에서 통과 보어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포켓(44)은 상단면(33)의 일부와 좁은 측면(34)의 일부를 통과하며 이것은 도 3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다.
포켓(44)은 2개의 좁은 측면(35) 사이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43)의 한 단부는 지점(45)에서 프레임(19)에 연결되며, 한편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43)의 다른 단부는 포켓(44)내에서 도 3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부착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보유장치(15)의 기능 및 취급은 아래와 같다:
보유장치(15)는 먼저 베이스부(17)의 프로필드 부재(39)를 구속레일(14)의 개구부(27) 안으로 삽입함으로써 저장실 또는 트렁크(1) 안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보유장치(15)를 베이스부(17)를 이용하여 구속레일(14)을 따라 측벽(3) 전방의 필요한 위치까지 민다. 이를 위해 플랩(18)은 스프링(43) 영향에 대항하여 측벽(3)에서 일정 거리로 유지되어 있다.
플랩(18)을 외부로 피벗팅함으로써 쇼핑백(16)이 상향 개방되는 V형 갭 안에 들어갈 수 있다. 플랩(18)을 해제한 후에는, 플랩(18)이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43)의 작용에 의하여 쇼핑백(16) 쪽으로 압축되며, 그때 쇼핑백은 측벽(3)과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한편으로 그물망(21)과 쇼핑백(16)간의 마찰결합과 다른 한편으로 쇼핑백(16)과 측벽(3)간의 마찰결합은 보유장치(15)와 쇼핑백(16)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제동과정이나 가속과정에서 구속레일(14)의 종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강한 결합이다. 또한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43)은 적당한 짐이 담긴 쇼핑백(16)(예로서 무게 3kg)이 커버를 돌 때 보통의 가속도를 받아 플랩(18)을 옆으로 피벗하지 않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있다.
또한 베이스부(17)를 위한 다른 고정력은 지지면(34)과 구속레일(14)상의 지지면(24) 사이의 마찰결합과 또한 플랜지(41)의 작용면과 내부 프로필 레일(23)의 대응 표면과의 마찰결합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상기 표면들은 발생되는 정적 마찰이 또한 베이스부(17)가 구속레일(14)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게 할 정도로 충분히 크게 되도록 선택된다.
도 4는 보유장치(1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의한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7)는 어느 정도 정밀한 평행육면체 모양을 가지는데, 즉 상단면(33),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키는 하단면, 2개의 좁은 측면(35) 및 좁은 측면(36)과 이에 평행하지만 보이지 않는 좁은 측면을 가진다. 그러나 도 2에 의한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평행육면체 구조의 종축선은 구속레일(14)에 대해 직각으로 놓여 있다. 구속레일(14)은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형태를 가지며, 이 것은 베이스부(17)가 그 하단 지지면에서 도 2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구비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이제 프로필드 부재(39)가 편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속레일(14)에 대하여, 베이스부(17)는 배경에서 생각한 측벽(3)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좁은 측면(36)은 트렁크의 측벽(3)을 향하여 돌아선 대향한 좁은 측면에 비하여 구속레일(14)로부터 더 먼 거리를 가진다. 판스프링(46)은 혀 모양이며, 상단면(33)에서부터 위로 돌출해 있다. 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혀 모양의 판스프링(46)과 측벽(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판스프링(46)의 중립 축선은 도 4에서 가이드 레일(14)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하게 놓이는 반면에, 도 5는 중립 축선이 가이드 레일(14)의 종방향 범위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따라, 베이스부(17)는 위로 돌출하는 2개의 브래킷(47)을 가지며, 브래킷들 사이에서 판스프링(46)이 보이지 않는 액슬 볼트(axle bolt)에서 지지된다. 액슬 볼트는 가이드 레일(14)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하게 놓여 있어서, 판스프링(46)이 화살표(47)를 따라 차량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한 축선에 대해 피벗될 수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은 수직에서 위를 가리키는 위치에서부터 화물 바닥(2)에 거의 평행하게 놓이는 피벗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작은 핸드백(48)과 관련하여 취급하는 것을 도시한다. 핸드백(48)을 측벽(3)의 내부 모서리에서 후방측면(7)에 닿도록 밀어 넣는다. 다음에 보유장치(15)를 설명한 대로 구속레일(14) 안으로 삽입하고, 보유장치가 핸드백(48)의 인 접한 측벽 부근에 세워질 때까지 리어시트 뒷부분(8)의 후방측면(7)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 화살표를 따라 보유장치를 민다. 다음에 판스프링이 핸드백(48)에 접촉하여 이 핸드백이 후방측면(7)을 압축할 때까지 판스프링(46)을 굴곡 화살표를 따라 아래로 구부린다. 이로 인하여 발생된 반작용력이 베이스부(17)를 구속레일(14)로 기울어지게 하고, 베이스부(17)가 핸드백으로부터 정확한 거리에 있게 된 후에만 자동로킹이 이루어진다.
화물(48)과 접촉하는 영역에 마찰보강 코팅(49)이 제공된다면 스프링 텅(tongue: 46)의 보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내부 프로필드 레일(23)의 치형부 갭(28)에 억지끼워맞춤 로킹(positive-fit locking)을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부(17)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베이스부(17)는 프로필드 부재(39)의 영역에 갭(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갭(50)은 프로필드 부재(39)의 종방향 범위에 대하여 대략 중간에 배치된다. 갭(50)내에는 베이스 몸체(31)를 관통하는 계단형 보어가 있으며 도면에서는 볼 수 없다. 래치 엘리먼트(51)가 상기 계단형 보어에서 지지면(32)에 대해 직각으로 안내된다.
래치 엘리먼트는 평행육면체 모양의 래치몸체(52)와 원통형 샤프트(53)로서 구성된다. 래치몸체(52)는 갭(50)에 대응하는 폭과 플랜지(41)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다. 샤프트(53)는 계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직경이 더 큰 부분이 래치몸체(52)를 둘러싸고 있다. 직경이 더 작은 부분은 베이스 몸체를 통과하여 더 돌출하고, 보이지 않는 상단면(33) 부근에서 나선형 압축스프링(54)이 감싸고 있다. 끝으로, 샤프트(53)의 자유단에는 작동판(55)이 있으며, 이 작동판은 상단면(33)의 대응하는 포켓형 리세스내에 놓인다. 연속적인 카운터싱크된 스크루(56)가 보어(57)에 삽입됨으로써 래치 엘리먼트(53)가 작동판(55)에 나사결합된다. 보어(57)는 샤프트(53) 및 래치몸체(52)를 통해 동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53)의 프로필에 있는 숄더는 평행육면체 형상의 래치몸체(52)가, 베이스부(17)가 제거되면 스프링(54)에 의해 이동되어 지지면(32)상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따라 상술한 베이스부(17)를 취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부(17)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속레일(14)의 확장된 개구부(27)로 삽입한다. 작동판(55)을 작동시키지 않으면, 래치몸체(52)와 지지면(32) 사이의 갭이 홈 슬롯(25)의 이웃한 영역에 있는 구속레일(14)의 전체 두께에 해당하는 갭보다 더 작아지게 된다. 스프링(54)의 작용에 대항하여 작동판(55)을 누르면 래치 엘리먼트(51)의 래치몸체(52)가 압축되며 따라서 지지면(32)과 래치몸체(52) 사이의 갭이 홈 슬롯(25)의 주변에서 구속레일(14)의 두께에 해당하는 갭보다 더 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두께는 치형부를 갖는 내부 프로필드 레일(23)을 포함한 외부 프로필드 레일(22)의 두께에 대해 측정된 것이다.
베이스부(17)가 구속레일(14)을 따라 필요한 위치로 밀리자 마자, 작동판(55)이 해제된다. 베이스부(17)가 구속레일(14)을 따라 약간 이동하면 베이스부(17)는 래치몸체(52)가 치형부 갭(28)과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제 압축 스프링(54)이 래치몸체(52)를 지지면(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로 끌어당길 수 있으며, 그러면 래치몸체(52)가 치형부(28)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부는 가이드 레일(14)을 따라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된다.
치형부 갭(28)은 래치몸체(52)와 상당히 작은 유격을 가지지만 그 기능을 발휘하기에는 충분히 큰 유격을 가진 채로 결합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평평한 치형부가 적절하기 때문에, 래치몸체(52)가 프로필드 몸체(39)의 종방향 범위에 직각인 방향으로 측정될 때 플랜지(41)의 폭보다 조금 작은 것이면 충분하다. 래치몸체(52)가 연결바(42)를 약간 지나서 돌출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억지끼워맞춤 로킹을 하는 상술한 베이스부(17)는 플랩 또는 판스프링의 형태로 된 보유수단의 상술한 형태중 어느 것이라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승용차의 트렁크 또는 저장공간에 있는 화물용 보유장치는 구속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피벗팅 플랩 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 형태의 고정수단이 베이스부에 부착된다. 스프링편향 플랩 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의 도움을 받아, 싣게 될 화물은 트렁크 또는 리어시트 뒷부분의 측벽쪽으로 가압될 수 있어서, 화물이 주행중에 발생되는 힘들로 인하여 전후로 흔들리지 않는다.

Claims (21)

  1. 자동차 특히 승용차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속레일(14)을 사용하여 승용차의 트렁크 또는 저장공간(1)에 들어가는 화물(16)용 보유장치(15)에 있어서,
    지지면(32)을 갖는 베이스부(17)와;
    지지면(32)에서부터 돌출하고 구속레일(14)의 고정영역(29)의 횡단면과 상보하는 횡단면을 갖는 프로필드 부재(39)와;
    베이스부(17)에 부착되며 화물(16)을 위한 접촉면을 운반하는 보유부(18, 46)를 포함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일(14)은 수용 홈(29)을 구비하고, 이 수용 홈의 횡단면은 양호하게 사각형 홈 챔버(26)와 양호하게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홈 슬롯(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레일(14)은 홈 슬롯(25)에 인접한 외측면에서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7)의 지지면(32)은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7)에는 로킹장치(32, 41; 28, 51)가 제공되고, 상기 로킹장치는 베이스부(17)가 종방향에서 구속레일에 로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32, 41)는 마찰 로킹 작용을 갖는 로킹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32, 41; 28, 51)는 독단적으로 해제가능한 클램핑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32, 41; 28, 51)는 억지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32, 41; 28, 51)는 독단적으로 해제가능한 래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드 부재(39)가 구속레일(14)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한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구속레일(14)의 종방향 범위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치수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프로필드 부재(39)는 연결바(42) 및 헤드(41)를 가지며 공간적으로 격리된 2개의 버섯형 돌출부로서 구성되며, 상기 연결바(42)는 구속레일(14)의 슬롯(25)을 통해 끼워지는 치수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로필드 부재(39)를 형성하는 두 돌출부 사이에는 베이스부(17)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킹엘리먼트(51)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엘리먼트(51)는 로킹 위치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보유부(18, 46)는 베이스부(17)에 견고하게 연결된 판스프링(4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보유부(18, 46)는 힌지(19, 37; 47)를 거쳐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힌지(19, 37; 47)의 축선은 보유장치(15)가 구속레일(14)에 삽입될 때 구속레일(14)의 종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보유부(18)는 힌지 축선에 대해 피벗된 위치에서 스프링(43)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3)은 플랫 스파이어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보유부(18)는 플랩형 구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보유부(18)는 그물망(21)이 장착되는 프레임(1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프레임(19)의 한 구역은 힌지(19, 37; 47)의 축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보유장치.
KR1020070018399A 2006-03-03 2007-02-23 화물용 보유장치 KR20070090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0377.7 2006-03-03
DE102006010377A DE102006010377A1 (de) 2006-03-03 2006-03-03 Haltevorrichtung für Ladeg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753A true KR20070090753A (ko) 2007-09-06

Family

ID=3805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399A KR20070090753A (ko) 2006-03-03 2007-02-23 화물용 보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07000A1 (ko)
EP (1) EP1829746A3 (ko)
JP (1) JP2007238082A (ko)
KR (1) KR20070090753A (ko)
CN (1) CN101028805A (ko)
DE (1) DE1020060103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08A2 (en) 2009-01-23 2010-07-29 Hanwha Chemical Corporation Scaffold materials-transition metal hydride complexes, intermediates theref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025B1 (ko) * 2006-12-15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후 이동이 가능한 컴비네이션 타입 카고 스크린
DE102008051620A1 (de) 2008-10-02 2010-04-08 Bos Gmbh & Co. K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Ladegut
GB2472654A (en) * 2009-08-15 2011-02-16 Bentley Motors Ltd A retention system
US8727278B2 (en) * 2010-07-16 2014-05-20 The Boeing Company Article retention device
FR2963294B1 (fr) * 2010-07-30 2014-10-10 Faurecia Automotive Ind Dispositif de maintien d'accessoire avec des moyens de reglage, et ensemble associe.
US8905276B2 (en) * 2011-12-19 2014-12-09 Havis, Inc. Mounting and storage system affixed to the floor of a vehicle trunk and method for mounting a device thereon
JP2013144493A (ja) * 2012-01-13 2013-07-25 Kyoraku Co Ltd 車両の荷室構造
IES20130059A2 (en) * 2013-02-20 2014-04-09 Michael Culleton A device for securing items in a cargo area of a car
CN103395396B (zh) * 2013-07-26 2016-04-1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行李舱物件固定装置
CN111990841A (zh) * 2013-08-02 2020-11-27 Rtc工业股份有限公司 产品管理展示系统
US9561752B2 (en) * 2014-10-07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rbiting platform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US10005398B2 (en) * 2016-07-13 2018-06-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rgo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US10549700B2 (en) * 2017-02-17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ckup box adaptable side-mounted rail
US10414342B2 (en) * 2017-02-21 2019-09-17 Currentwrx, LLC Rail system for vehicle shelving and canopies
CN108162873A (zh) * 2017-12-26 2018-06-15 宁波江北清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保护装置
US10589690B2 (en) * 2018-05-07 2020-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rgo bin system with “T” bracket fastener
CN109334575B (zh) * 2018-10-22 2024-04-23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载行李箱固定机构及车辆
DE102018126380B4 (de) 2018-10-23 2021-09-16 Kipp Gmbh & Co Kg Lastaufnahmevorrichtung und Lastaufnahmesystem
US11490768B1 (en) * 2022-03-08 2022-11-08 Michael Ippolito Tension system to restrain food and beverages during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0769A (en) * 1987-06-08 1989-07-25 James E. Irvin Tie-down device
US5167479A (en) * 1988-09-26 1992-12-01 Bott John Anthony Cargo restraint system
US4875730A (en) * 1988-10-11 1989-10-24 Justice Kendall W Truck bed load organizer and stabilizer apparatus
DE4132954A1 (de) * 1991-10-04 1993-04-08 Helmut Walter Sterzel Vorrichtung zum unterteilen eines kraftfahrzeug-kofferraums
DE19514605A1 (de) * 1995-04-20 1996-10-24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variablen Unterteilen eines Kraftfahrzeug-Kofferraums und Festhalten des Ladegutes
DE19837685A1 (de) * 1998-04-08 1999-10-14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Segmentierungsvorrichtung
DE10134889B4 (de) * 2001-07-18 2006-01-19 Daimlerchrys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zum Haltern und/oder Sichern von Gegenständen
DE10220496B8 (de) * 2002-05-07 2013-05-08 Bos Gmbh & Co. Kg Kfz-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Kfz-Laderaum
US7232172B2 (en) * 2003-01-29 2007-06-19 Projx, Inc. Multi-functional cargo bed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08A2 (en) 2009-01-23 2010-07-29 Hanwha Chemical Corporation Scaffold materials-transition metal hydride complexes, intermediates theref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9746A2 (de) 2007-09-05
DE102006010377A1 (de) 2007-09-06
EP1829746A3 (de) 2010-09-29
CN101028805A (zh) 2007-09-05
US20070207000A1 (en) 2007-09-06
JP2007238082A (ja)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0753A (ko) 화물용 보유장치
US7731461B2 (en) Load-bearing rail
US7533932B2 (en) Slide adjuster for an automobile seat
US5106134A (en) Latch housing & striker for being secured in the latch housing
US7325281B1 (en) Security strap
US10882425B2 (en) Longitudinal adjuster and vehicle seat
US8251429B2 (en) Striker webbing guide assembly
US6234529B1 (en) Seat belt routing via roof mount
US5188425A (en) Pretensioning latching mechanism
US5066042A (en) Belt lock for a safety belt system provided with a tightening means
US20070085368A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including seat
US20110089706A1 (en) Absorber element for a motor vehicle lock
KR20070041367A (ko) 차량의 짐칸용 차폐장치
US6886797B2 (en) Seat track assembly
EP1582411A1 (en) Vehicular back trim
JPS63116952A (ja) 車両座席用背もたせ
US20040262973A1 (en) System for locking a first element with a second element, and a seat with such a locking system
CN104487287B (zh) 杯保持器
EP1097857A3 (en) Rear floor structure for vehicles
US7325879B2 (en) Seat belt guide
JP414819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拘束構造
US4374449A (en) Mini seat belt buckle
KR101930415B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개방제한유닛
JP349529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CN111591219A (zh) 车辆用行李箱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