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059A -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059A
KR20070090059A KR1020060073157A KR20060073157A KR20070090059A KR 20070090059 A KR20070090059 A KR 20070090059A KR 1020060073157 A KR1020060073157 A KR 1020060073157A KR 20060073157 A KR20060073157 A KR 20060073157A KR 20070090059 A KR20070090059 A KR 2007009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ut
unit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241B1 (ko
Inventor
이사오 후나키
아키 기타
에이이치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4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non-volatile solid state storage medium, e.g. DVD, CD-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61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hard disk dr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cutout image)을 취득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와,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부와,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여, 상기 3차원 공간 상에서의 분배 일시 취득부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절단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부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DISPLAY DEVICE, DISPLAY PROGRAM STORAGE MEDIUM, AND DISPLAY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프로그램 분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녹화·재생 프로그램이 기억된 CD-ROM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녹화·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녹화되어 보존된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재생/더빙하는 일련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기본 3차원 공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7은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된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된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섬네일 화상의 세트를 표시하는 세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에서 표시되는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에서 표시되는 3차원 화상의 일례 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퍼스널 컴퓨터
101 : 본체 장치
102 : 화상 표시 장치
102a : 표시 화면
103 : 키보드
104 : 마우스
105 : 버스
111 : CPU
112 : 주메모리
113 : 하드 디스크 장치
114 : CD/DVD 드라이브
115 : FD 드라이브
116 : 입력 인터페이스
117 : 텔레비전 튜너
117a : 안테나
400 : 녹화·재생 프로그램
410, 510 : 지시부
420, 520 : 취입부
430, 530 : 등록부
440, 540 :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
450, 550 : 위치 산출부
460, 560 : 3차원 화상 생성부
470, 570 : 재생부
480, 580 : 표시부
490, 590 : 더빙부
500 : 녹화·재생 장치
501 : 보존부
본 발명은 녹화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에 텔레비전용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나 텔레비전 튜너가 내장되어 지고 있으며,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열람하거나, 분배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녹화하거나 하는 일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회선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 전용의 프로그램을 무료로 분배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으며, 퍼스널 컴퓨터를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데크(video deck) 대신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점점 더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그런데, 퍼스널 컴퓨터는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 장치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잔류 용량을 걱정하지 않고 다수의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으며,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한 비디오 데크 등과는 달리, 녹화 프로그램을 늘리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녹화 프로그램을 DVD 등으로 복사하거나, 불필요한 녹화 프로그램을 소거하는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흥미가 있는 프로그램은 우선 녹화해 둔다라고 하는 사용자가 많다. 이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는 대량의 프로그램이 열람되지 않고서 쌓여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녹화된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기술로서,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는 시각, 일, 주 등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상에 분배되는 예정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타이틀이 배치된 프로그램표를 표시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분배될 예정의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것이지만, 녹화된 프로그램의 일람 표시에 유용하며, 이들의 프로그램이 언제 분배된 프로그램인지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시각, 요일, 주를 3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상에 프로그램 타이틀이 배치됨에 따라, 매주 동일한 요일의 동일한 시간에 분배되는 연속 드라마 등에서는 프로그램 타이틀이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이들을 연속하여 열람하는 경우 등에,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1-2554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446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0-243309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 의하면, 녹화되어 하드 디스크 장치에 보존된 프로그램이 언제 분배된 프로그램인지를 인식할 수는 있지만, 많은 프로그램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배 일시나 프로그램 타이틀 등만으로는 이들이 어떠한 내용의 프로그램인지를 상기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매주, 동일한 요일의 동일한 시간에 분배되는 프로그램을 우선 녹화해 두고, 후일, 녹화된 다수 주의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게스트가 출연하고 있는 주의 프로그램만을 열람하는 경우 등에서는, 주축을 따라 배열된 동일한 프로그램 타이틀의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되는지는 인식할 수 있지만, 이들 다수 주의 프로그램 중 어떤 주의 프로그램이 원하는 프로그램인지 선택할 수 없고, 일단, 녹화된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대량의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을 취득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와,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부와,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상에서 분배 일시 취득부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절단 화상 취득부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부터, 신문의 프로그램표 등에는 프로그램 타이틀에 부가하여 출연자 일람이나 대략적인 개요 등도 추가하여 게재되어 있다. 이것을 녹화 프로그램의 일람 표시에 적용하여, 시각, 요일, 주를 3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상에 프로그램 타이틀이나 출연자 등을 표시함으로써, 동일한 프로그램 타이틀의 프로그램이 다수 녹화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만을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문자 정보는 판독하여 내용을 판단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프로그램의 일람 표시에는 하나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가 작아지게 되어 읽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녹화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이 취득되어,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상의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의 위치에 절단 화상이 배치된다. 절단 화상의 배치 위치에 의해 녹화된 프로그램이 언제 분배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고, 절단 화상의 도안에서 그 프로그램의 내용을 추측할 수 있다. 문자 정보와는 달리 절단 화상은 도안을 보는 즉시 판단할 수 있고, 많은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원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가상적으로는 프로그램 정보를 3차원 공간 상에 배치하지만, 물리적으로는 2차원의 공간에 표시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프로그램 정보를 일정 사이즈의 공간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정보의 중복이 발생한다. 이 때, 문자 정보의 경우에는, 문자열의 일부가 중복되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절단 화상의 경우에는 최선의 경우에는 중복의 결과 표시된 일부의 배경 색 정보만으로 내용을 추측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미 열람해버린 녹화 프로그램과 녹화만 하고 아직 열람하지 않은 프로그램에 대해, 절단 화상의 구별을 위해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절단 화상의 프레임의 색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에 의해 중복이 발생하더라도 완전히 오버랩되지 않는 한, 원하는 프로그램의 선택에 있어서 유효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3차원 공간에 절단 화상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단순한 조합에서는 얻을 수 없는 효과로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절단 화상 취득부는 프로그램 내의 복수의 장면 각각이 절단된 복수의 절단 화상의 세트를 취득하는 것이며,
상기 3차원 표시부는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단 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절단 화상을 3차원 공간 상에 배치하는 것이고,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절단 화상을 조작에 따라 선택하는 절단 화상 선택부와,
절단 화상 선택부에서 선택된 절단 화상이 포함되는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단 화상을 표시하는 세트 표시부를 포함한다」라는 형태는 바람직하다.
프로그램 내의 복수의 장면의 각각에 절단된 복수의 절단 화상이 표시 되는 것에 의해 그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실하게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시부는 3차원 공간을 표 시함에 있어서, 절단 화상을 배치하지 않는 3차원 공간 상의 영역을 생략하고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화상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생략됨으로써, 필요한 영역만을 확대하여,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 「장르에 의한 프로그램의 분류에 이용되는 복수의 장르 중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분류되는 장르를 취득하는 장르 취득부와,
3차원 공간 중에 시간축을 복수의 장르를 나타내는 장르축으로 변경하는 변경 지시를 조작에 따라 접수하는 축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3차원 표시부는 축변경부에서 변경 지시가 접수된 경우에, 3차원 공간 대신에, 장르,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새로운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그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에 있어서 분배 일시 취득부 및 장르 취득부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 및 장르에 해당하는 위치에 절단 화상을 재배치하는 것이다」라는 형태는 적합하다.
예컨대, 언제, 어떠한 프로그램을 녹화한 것인지를 대략 확인하는 때에는,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 상에 절단 화상이 배치된 프로그램 일람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화가 보고 싶다」등과 같이 원하는 장르가 결정된 경우에는, 장르,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에 절단 화상이 배치된 프로그램 일람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에 의하면, 이들의 표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및 상기 새로운 3차원 공간은 절단 화상이 배치되는 영역이 넓고, 절단 화상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 좁게 할당된 불균등한 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절단 화상이 배치되는 영역이 넓게 할당됨으로써, 절단 화상을 크게 표시할 수 있고, 절단 화상의 도안이 확실하게 식별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내에서 실행되고, 컴퓨터 상에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축하는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을 취득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와,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부와,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그 3차원 공간 상에서의 분배 일시 취득부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절단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부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하면, 표시된 3차원 공간 상의 절단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그 프로그램이 언제 분배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어, 많은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원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그 기본 형태만을 나타내는데 그치지만, 이는 단순히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이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상기한 기본 형태만이 아니라, 전술한 표시 장치의 각 형태에 대응하는 각종의 형태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컴퓨터 시스템 상에 구축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 등으로 말해지는 요소는 하나의 요소가 하나의 프로그램 부품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라도 좋고, 복수의 요소가 하나의 프로그램 부품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들 요소는 이러한 작용을 스스로 실행함으로써 구축되더라도 좋고,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부품에 지시를 부여하여 실행함으로써 구축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표시 방법은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을 취득하는 절단 화상 취득 과정과,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 과정과,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그 3차원 공간 상에서의 분배 일시 취득 과정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절단 화상 취득 과정에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 방법에 의하면, 많은 프로그램이 녹화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방법에 대해서도, 여기에서는 그 기본 형태만을 나타내는데 그치지만, 이는 단순히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이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시 방법에는 상기한 기본 형태만이 아니라, 전술한 표시 장치의 각 형태에 대응하는 각종의 형태가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프로그램 분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로그램 분배 시스템(1)은 프로그램을 분배하는 텔레비전 기지국(201) 및 인터넷 기지국(202)과, 텔레비전 기지국(201) 및 인터넷 기지국(202)으로부터 분배된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퍼스널 컴퓨터(1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는 프로그램 분배 시스템(1)에는 다수의 기지국이나 다수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접속되어 구성되고 있지만,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고 있다.
텔레비전 기지국(201)은 그 기지국에 할당된 채널의 전파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분배하는 것이다.
인터넷 기지국(202)은 인터넷 회선(10)을 사용하여 인터넷 전용 프로그램을 분배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00)에는 텔레비전 기지국(201)으로부터 분배된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 텔레비전 튜너(도 2참조)나, 인터넷 기지국(202)으로부터 분배된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가 내장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00)는 텔레비전 기지국(201)이나 인터넷 기지국(202)으로부터 분배된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신한 프로그램의 표시나 녹화를 행한다. 이 퍼스널 컴퓨터(100)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실시 형태이며, 이하에서는 이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100)는 외관 구성상 본체 장치(101), 그 본체 장치(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표시 화면(102a) 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102), 본체 장치(101)에 키 조작에 따른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103) 및 표시 화면(102a) 상에 임의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그 위치에 표시된 예컨대 아이콘 등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는 마우스(10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본체 장치(101)는 DVD나 CD-ROM이 장전되는 CD/DVD 장전구 및 플렉시블 디스크(이하에서는, FD로 약칭함)를 장전하기 위한 FD 장전구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체 장치(101)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11), 하드 디스크 장치(1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CPU(111)에서의 실행을 위해 전개되는 주메모리(112),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보존된 하드 디스크 장치(113), CD-ROM(300)이나 DVD가 장전되고, 그 장전된 CD-ROM(300)이나 DVD를 액세스하는 CD/DVD 드라이브(114), FD(310)가 장전되며, 장전된 FD(310)를 액세스하는 FD 드라이브(115), 도 1에 도시한 인터넷 기지국(202)으로부터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정보를 분배하는 입력 인터페이스(116),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기지국(201) 등에서 발신된 텔레비전용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17a), 안테나(117a)로 수신된 전파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텔레비전 튜너(117)가 내장되고 있고, 이들의 각종 구성 요소와, 또한 도 2에도 도시된 화상 표시 장치(102), 키보드(103) 및 마우스(104)는 버스(10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CD-ROM(300)에는 본 발명의 표시 프로그램의 일실시 형태가 적용된 녹화·재생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 CD-ROM(300)은 CD/DVD 드라이브(114)에 장전되어, 그 CD-ROM(300)에 기억된 녹화·재생 프로그램이 이 퍼스널 컴퓨터(100)로 업로드되어 하드 디스크 장치(113)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 표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실행되는 것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00)내에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일실시 형태가 적용된 녹화·재생 장치(500)(도 4 참조)가 구축된다.
다음에, 이 퍼스널 컴퓨터(100) 내에서 실행되는 녹화·재생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녹화·재생프로그램이 기억된 CD-ROM(3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은 지시부(410), 취입부(420), 등록부(430),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440), 위치 산출부(450), 3차원 화상 생성부(460), 재생부(470), 표시부(480) 및 더빙부(490)로 구성되어 있다.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의 각 부분의 상세에 대해서는, 녹화·재생 장치(500)의 각 부분의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녹화·재생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CD-ROM(300)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표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매체는 CD-ROM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광 디스크, MO, FD, 자기 테이프 등의 기억 매체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프로그램은 기억 매체를 통하지 않고서, 통신망을 통해 직접 컴퓨터에 공급되는 것이라도 좋다.
도 4는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을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100)에 설치했을 때의 퍼스널 컴퓨터(100) 내에 구축되는 녹화·재생 장치(5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녹화·재생 장치(500)는 지시부(510)와, 취입부(520)와, 등록부(530)와,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와, 위치 산출부(550)와, 3차원 화상 생성부(560)와, 재생부(570)와, 표시부(580)와, 더빙부(590)와, 보존부(50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을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100)에 설치하면,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의 지시부(410)는 도 4의 지시부(510)를 구축하고, 이하 동일하게, 취입부(420)는 취입부(520)를 구축하며, 등록부(430)는 등록부(530)를 구축하고,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440)는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를 구축하며, 위치 산출부(450)는 위치 산출부(550)를 구축하고, 3차원 화상 생성부(460)는 3차원 화상 생성부(560)를 구축하며, 재생부(470)는 재생부(570)를 구축하고, 표시부(480)는 표시부(580)를 구축하며, 더빙부(490)는 더빙부(590)를 구축한다.
도 4의 각 구성 요소는 컴퓨터의 하드 웨어와 그 컴퓨터로 실행되는 OS나 애 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비해, 도 3에 도시하는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의 각 구성 요소는 이들 중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하, 도 4에 도시한 녹화·재생 장치(500)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녹화·재생 프로그램(400)의 각 구성 요소도 아울러 설명한다.
지시부(510)는 도 1에 도시한 키보드(103)나 마우스(104)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된 각종 설정 화면에 따라 입력된 지시를 그 지시에 따라 각종 구성 요소에 전송한다. 지시부(51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절단 화상 선택부 및 축변경부의 각각의 일례에 해당한다.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 기지국(201)으로부터 발신된 텔레비전용 전파는 도 2에 도시한 안테나(117a)로 수신되고, 사용자에 의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표시나 녹화가 지시되면, 지정된 채널의 전파가 텔레비전 튜너(117)에서 프로그램 신호로 변환된다. 취입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텔레비전 튜너(117)로부터 프로그램 신호를 취득하여 표시부(580)로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녹화가 지시된 경우에는, 프로그램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등록부(53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인터넷 프로그램의 표시나 녹화가 지시되면, 도 1에 도시하는 인터넷 기지국(202)으로부터 발신된 디지털 프로그램 데이터가 도 2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수신되어, 취입부(520)로 취득된다. 취입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인터넷 프로그램의 표시가 지시된 경우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표시부(580)로 전송하고, 사용자에 의해 인터넷 프로그램의 녹화 가 지시된 경우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등록부(53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아날로그 프로그램 신호도, 디지털 프로그램 데이터도, 통합하여 프로그램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등록부(530)는 취입부(520)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녹화함과 동시에, 그 프로그램 중 복수의 장면을 절단하여 축소하고, 복수의 섬네일 화상의 세트를 생성한다. 또한, 등록부(530)는 녹화된 프로그램을 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나 섬네일 화상의 세트와 함께 보존부(501)에 보존한다.
보존부(501)는 도 2에 도시한 하드 디스크 장치(113)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녹화된 프로그램이 기지국(201, 202)으로부터 분배된 프로그램 정보 및 프로그램 내의 복수의 장면이 절단된 섬네일 화상의 세트와 대응하여 보존되어 있다. 이 때 실제로 프로그램 등이 보존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곳에 있어도 좋다.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는 보존부(501)에 보존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와 섬네일 화상의 세트를 취득한다.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 분배 일시 취득부 및 장르 취득부의 각각의 일례에 해당한다.
위치 산출부(550)는 요일, 시간,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이하에서는, 이 3차원 공간을 기본 3차원 공간이라 칭함) 상, 또는 요일, 장르,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이하에서는, 이 3차원 공간을 새로운 3차원 공간이라 칭함) 상의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에서 취득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 함되는 분배 일시나 장르 등에 대응하는 위치를 산출한다.
3차원 화상 생성부(560)는 기본 3차원 공간 또는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의 위치 산출부(550)로 산출된 위치에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로 취득된 섬네일 화상을 배치하여 3차원 화상을 생성한다.
재생부(570)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이 지시된 프로그램을 보존부(501)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프로그램을 표시부(580)로 전송한다.
표시부(580)는 도 2에 도시한 화상 표시 장치(102)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 기능과, 아날로그 방송의 프로그램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아날로그 표시 기능의 양쪽 모두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부(580)는 취입부(520)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방송 프로그램이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서 생성된 3차원 화상 및 재생부(570)로부터 전송된 재생 영상 등을 도 1에 도시한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한다. 위치 산출부(550), 3차원 화상 생성부(560) 및 표시부(580)를 합한 것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3차원 표시부의 일례에 해당하며, 표시부(58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세트 표시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더빙부(590)는 도 2에 도시한 CD/DVD 드라이브(114)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더빙이 지시된 프로그램을 보존부(501)로부터 취득하여, 취득한 프로그램을 DVD에 더빙한다. 또한, 이 부분은 선택한 프로그램을 보존부(501)로부터 삭제하는 기능 등, 보존부(501)에 보존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기능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녹화·재생 장치(50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녹화된 보존부(501)에 보존된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일련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녹화되어 보존된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재생/더빙하는 일련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녹화된 프로그램의 선택이 행해지는 때는, 우선 사용자에 의해 보존부(501)에 보존된 녹화 프로그램의 일람 표시가 지시된다. 녹화·재생 장치(500)에는 녹화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화면이 미리 준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마우스(104) 등을 사용하여 일람 표시의 지시를 입력하면, 도 4의 지시부(510)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에 지시 내용이 전송된다.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에서는 보존부(501)에 보존되어 있는 프로그램 정보 및 섬네일 화상이 취득된다(도 5의 단계 S1, 단계 S2).
표 1은 보존부(501)에 보존된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녹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정보 섬네일 화상 세트
분배 일시 프로그램 타이틀 장르 분배 채널
TV 1 2005/10/31 08:15 아침 드라마 드라마 TV 1 TV 1_대표1 TV1_2 TV1_3 TV1_4 TV1_5
TV 2 2005/10/31 21:00 월요 드라마 드라마 TV 8 TV 2_대표1 TV2_2 TV2_3 TV2_4 TV2_5
TV 3 2005/11/01 08:15 아침 드라마 드라마 TV 1 TV 3_대표1 TV3_2 TV3_3 TV3_4 TV3_5
TV 4 2005/11/02 08:15 아침 드라마 드라마 TV 1 TV 4_대표1 TV4_2 TV4_3 TV4_4 TV4_5
TV 5 2005/11/03 08:15 아침 드라마 드라마 TV 1 TV 5_대표1 TV5_2 TV5_3 TV5_4 TV5_5
TV 6 2005/11/04 08:15 아침 드라마 드라마 TV 1 TV 6_대표1 TV6_2 TV6_3 TV6_4 TV6_5
인터넷1 2005/11/05 23:00 저녁 뉴스 뉴스 네트 1 네트1_대표1 네트1_2 네트1_3 네트1_4 네트1_5
인터넷2 2005/11/07 21:00 액션 영화 영화 네트 2 네트2_대표1 네트2_2 네트2_3 네트2_4 네트2_5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존부(501)에는 녹화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정보 및 섬네일 화상과 대응하여 보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정보는 분배 일시, 프로그램 타이틀, 프로그램의 장르(영화, 드라마, 버라이어티, 다큐멘터리, 뉴스, 교육) 및 분배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녹화된 프로그램이 보존부(501)에 보존될 때에, 등록부(530)에서 10분마다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복수의 섬네일 화상의 세트가 생성되고, 세트 중에 가장 처음에 생성된 섬네일 화상이 대표적인 섬네일 화상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S1의 처리는 본 발명의 표시 방법에서의 분배 일시 취득 과정의 일례에 해당하고, 섬네일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 S2의 처리는 본 발명의 표시 방법에서의 절단 화상 취득 과정의 일례에 해당한다. 취득된 프로그램 정보는 위치 산출부(550)로 전송되고, 취득된 세트 중의 대표적인 섬네일 화상은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 전송된다.
위치 산출부(550)에는 시간, 요일, 주를 3축으로 하는 기본 3차원 공간 상의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로부터 전송되는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분배 일시에 대응되는 위치가 산출된다(도 5의 단계 S3).
도 6은 기본 3차원 공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일을 X축(가로 방향), 시간을 Y축(세로 방향), 주를 Z축(깊이 방향)으로 하는 기본 3차원 공간이 적용된다.
X축에는 일요일을 기점으로 하여, 월요일, 화요일, …, 토요일이 순차적으로 할당되어 있고, 분배 일시(YYYY년 MM월 DD일 HH시간 PP분)의 날짜「YYYY년 MM월 DD일」에 기초하여, X축 상의 값인 요일이 산출된다. 날짜로부터 요일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Y축에는 23시를 기점으로, 22시, 21시, …, 1시, 0시의 순으로 할당되어 있다. 분배 일시(YYYY년 MM월 DD일 HH시간 PP분)의「시간 HH」가 Y축 상의 값으로서 취득된다.
Z축에는 금주를 기점으로서, 지난 주, 지지난주, …의 순으로 할당되어 있고, 분배 일시(YYYY년 MM월 DD일 HH시간 PP분)의 날짜「YYYY년 MM월 DD 일」와 오늘의 날짜에 기초하여 Z축 상의 값인 주가 산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산출된 기본 3차원 공간 상의 위치는 3차원 화상 생성부(560)로 전송된다.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서는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로부터 전송된 대표적인 섬네일 화상이, 기본 3차원 공간 상의 위치 산출부(550)로부터 전송된 위치에 배치되어 3차원 화상이 생성된다(도 5의 단계 S4). 생성된 3차원 화상은 표시부(580)로 전송된다.
표시부(580)는 3차원 화상 생성부(560)로부터 전송된 3차원 화상을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한다.
도 7은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된 3차원 화상(61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3차원 화상(610)에는 매일 동일한 시간에 분배된 프로그램의 섬네일 화상(612, 613, 614, 615, 616, 617)이 X축(요일)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표시되고 있으며, 매주 동일한 요일의 동일한 시간에 분배된 프로그램의 섬네일 화상(611_1, 611_2, 611_3, 611_4, 611_ 5)이 Z축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500)에 의하면, 동일한 시간에 분배되는 프로그램의 섬네일 화상은 3차원 화상(610) 중에 동일 선 상에 배열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이들 프로그램이 매주 동일한 요일에 분배되는 연속 드라마나 매일 아침 동일한 시간에 분배되는 뉴스 등에 말해지는 관련된 프로그램인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화상(610) 중의 섬네일 화상은 프로그램 중의 장면이 절단된 화상이기 때문에, 섬네일 화상의 도안을 확인함으로써, 그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내용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중의 결정된 시간에서의 장면이 절단되고 섬네일 화상이 생성되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시간에 프로그램 타이틀 등이 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에서는, 3차원 화상(610) 중의 섬네일 화상의 도안을 확인함으로써, 야구 방송의 연장 등에 의해 프로그램의 분배 시간이 틀어져 버린 것 등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3차원 화상(610)은 초기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녹화가 행해지는 일이 많은 7시부터 23시에 분배되어 녹화된 프로그램의 일람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포인터(601)를 사용하여 스크롤 바(502)를 이동시킴으로써, 0시부터 6시까지의 사이에 분배되어 녹화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섬네일 화상이 요일, 시간 및 주를 3축으로 하는 기본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연속 드라마 등으로 말해지는 관련된 복수의 프로그램을 녹화된 순으로 열람해 나가는」 경우 등으로,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화상(610)에는 섬네일 화상을 요일, 장르 및 주를 3축으로 하는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에 배치하고 표시하기 위한 장르 버튼(603)이 준비되어 있다. 사용자가 포인터(601)를 사용하여 장르 버튼(603)을 선택하면, 축변경의 지시가 도 4에 도시한 지시부(510)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 및 위치 산출부(550)로 전해진다.
위치 산출부(550)에는 시간 대신 장르를 Y축으로 한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의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에서 전송된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되는 분배 일시 및 장르가 대응하는 위치가 산출되고,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서는 섬네일 화상이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의 위치 산출부(550)로 새롭게 산출된 위치에 배치된 3차원 화상이 생성된다. 생성된 새로운 3차원 화상은 표시부(580)에 의해서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된다.
도 8은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된 3차원 화상(62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3차원 화상(620)에는 복수 장르 중 영화로 분류된 프로그램의 섬네일 화상(623)이 Y축(장르축) 상의「영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드라마로 분류된 프로그램의 섬네일 화상(621, 622)이 Y축상의「드라마」 영역에 배열되어 배치되고 있으며, 뉴스로 분류된 프로그램의 섬네일 화상(624, 625, 626, 627, 628)은 Y축상의「뉴스」 영역에 배열되어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섬네일 화상이 장르마다 모두 배치되는 것에 따라, 「영화를 열람하고 싶은」경우 등에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3차원 화상(620)에는 시간 버튼(604)이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포인터(601)를 사용하여 시간 버튼(604)을 선택하면, 도 8에 도시한 새로운 3차원 화상(620)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3차원 화상(610)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포인터(601)를 사용하여, 도 8에 도시한 3차원 화상(620) 또는 도 7에 도시한 3차원 화상(610)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섬네일 화상이 도 4의 지시부(510)로부터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로 전송된다(도 5의 단계 S6 : Yes).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에는 지시부(510)로부터 전송된 섬네일 화상이 포함되는 세트가 표시부(580)로 전송된다. 표시부(580)는 전송된 세트를 구성하는 섬네일 화상을 표시 화면(102a) 상에 배열하여 표시한다(도 5의 단계 S7).
도 9는 섬네일 화상이 배열되어 배치된 팝업 윈도우(62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파트(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팝업 윈도우(62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섬네일 화상이 포함되는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네일 화상(631, 632, 633, 634, 635)이 배열되어 표시되고 있다. 섬네일 화상의 세트가 표시됨으로써, 그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실하게 추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마우스(104)를 우클릭하면, 선택된 섬네일 화상의 프로그램을 재생/더빙하는 지시를 선택하기 위한 팝업 윈도우가 표시된다.
도 9의 파트(B)에는, 재생/더빙 지시용의 팝업 윈도우의 일례가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00)가 소형 기록 매체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팝업 윈도우(640)상의「소형 기록 매체」란이 회색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포인터(601)를 사용하여 팝업 윈도우(640) 상에 표시된 지시를 선택하면(도 7의 단계 S8), 지시 내용이 도 4의 재생부(570)나 더빙부(590)로 전송된다.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는, 재생부(570)에서 선택된 섬네일 화상의 프로그램이 보존부(501)에서 취득되고, 이 취득된 프로그램이 표시부(580)로 전송됨으로써, 프로그램이 표시 화면(102a) 상에 표시된다. 「DVD」가 선택된 경우에는, 더빙부(590)에서 프로그램이 취득되고, 그 취득된 프로그램이 도 2에 도시하는 CD/DVD 드라이브(114)를 통해 CD-ROM(300)으로 바뀌어 퍼스널 컴퓨터(100)에 장전된 DVD(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된다(도 7의 단계 S9).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많은 녹화 프로그램이 보존부(501)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프로그램 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는 생성되는 3차원 화상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4를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도 사용하며,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만,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서 생성되는 3차원 화상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에서 표시되는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3차원 화상(610)과는 달리, Y축(시간축)이 균등하게 할당되어 있지 않고,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예에서는 8시와 22시에 대응하는 영역)이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위치 산출부(550)에서 산출된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넓게 함으로써, 섬네일 화상을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3차원 화상(650)에는, Z축(주)의 선두(즉, 금주)의 영역에 배치된 섬네일 화상(651, 652, 653, 654, 656, 657, 658, 659)은 Z축의 후방(즉, 지난 주 이전)의 영역에 배치된 섬네일 화상(660)보다도 강조 표시되어 있다. Z축 방향에 대해서는 섬네일 화상의 배치 위치가 인식하기 어렵지만, 선두의 영역에 배치된 섬네일 화상이 강조 표시되는 것에 따라, 금주 녹화된 새로운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며,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4를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도 사용하며,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에서는, 3차원 화상이 생성될 때에, 프로그램 정보·섬네일 취득부(540)에서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 대표적인 섬네일 화상뿐만 아니라, 섬네일 화상의 세트가 모두 전송된다. 3차원 화상 생성부(560)에서는, 우선 요일, 시간, 주를 3축으로 하는 기본 3차원 공간에서, 시간축 상의,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 생략되고, 불필요한 영역이 생략된 기본 3차원 공간 상에 섬네일 화상의 세트가 배치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녹화·재생 장치에서 표시되는 3차원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3차원 화상(670)에는 Y축(시간축)에서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는 위치와 그 전후 1시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생략되어 있다. 그 예에서는,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는 8시와 22시 및 이들의 전후인 7시, 9시, 21시, 23시에 대응하는 합계로 6시간 분의 영역만이 표시되고, 이들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공간 상의 불필요한 영역을 생략함으로써, 섬네일 화상이 배치되는 영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이 도 11에 도시한 3차원 화상(670)에서는 대표로서 설정된 섬네일 화상(671_1, 672_1)뿐만 아니라, 이들 섬네일 화상(671_1, 672_1)이 포함되는 세트(671, 672)의 섬네일 화상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가 적용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비디오 데크 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프로그램을 녹화할 때에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는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시킬 때에 녹화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생성된 섬네일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프로그램의 장면을 10분 후로 절단하여 복수의 섬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는 프로그램의 음성 피크가 검출된 장면을 절단한 절단 화상을 취득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음성 피크 검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 내에서 고조되고 있는 중심적인 장면을 절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추측할 수 있도록 녹화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Claims (6)

  1.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cutout image)을 취득하는 절단 화상 취득부와;
    상기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부와;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있어서의 상기 분배 일시 취득부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상기 절단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화상 취득부는 상기 프로그램 내의 복수의 장면 각각이 절단된 복수의 절단 화상의 세트를 취득하는 것이고,
    상기 3차원 표시부는 상기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단 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절단 화상을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배치하는 것이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절단 화상을 조작에 따라 선택하는 절단 화상 선택부와;
    상기 절단 화상 선택부에서 선택된 절단 화상이 포함되는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단 화상을 표시하는 세트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표시부는 상기 3차원 공간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에서 절단 화상을 배치하지 않는 영역을 생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장르에 의한 프로그램의 분류에 이용되는 복수의 장르 중에서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분류되는 장르를 취득하는 장르 취득부와;
    상기 3차원 공간 중의 시간축을 상기 복수의 장르를 나타내는 장르축으로 변경하는 변경 지시를 조작에 따라 접수하는 축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3차원 표시부는 상기 축변경부에서 상기 변경 지시가 접수된 경우에, 상기 3차원 공간 대신에 장르,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새로운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새로운 3차원 공간 상에 있어서 상기 분배 일시 취득부 및 상기 장르 취득부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 및 장르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절단 화상을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컴퓨터 내에서 실행되고, 상기 컴퓨터 상에,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축하는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을 취득하 는 절단 화상 취득부와;
    상기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부와;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3차원 공간상에 있어서 상기 분배 일시 취득부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상기 절단 화상 취득부에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부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 내의 장면이 절단된 절단 화상을 취득하는 절단 화상 취득 과정과;
    상기 프로그램이 분배되는 분배 일시를 취득하는 분배 일시 취득 과정과;
    시간, 요일 및 주의 각각을 축으로 하는 3차원 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있어서 상기 분배 일시 취득 과정에서 취득된 분배 일시의 위치에 상기 절단 화상 취득 과정에서 취득된 절단 화상을 배치하는 3차원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KR1020060073157A 2006-03-01 2006-08-03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 KR100842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5260A JP4641269B2 (ja) 2006-03-01 2006-03-01 表示装置、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JP-P-2006-00055260 2006-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059A true KR20070090059A (ko) 2007-09-05
KR100842241B1 KR100842241B1 (ko) 2008-06-30

Family

ID=3832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157A KR100842241B1 (ko) 2006-03-01 2006-08-03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07791B2 (ko)
JP (1) JP4641269B2 (ko)
KR (1) KR100842241B1 (ko)
CN (1) CN100539656C (ko)
DE (1) DE102006034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84B1 (ko) * 2009-04-03 2011-03-0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6324B2 (en) * 2007-01-12 2011-07-26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display program storage medium and display method
US8555311B2 (en) * 2007-12-19 2013-10-0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senting guide listings and guidance data in three dimension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8373880B2 (en) * 2008-03-26 2013-02-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echnical documents capturing and patents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110058788A1 (en) * 2008-05-16 2011-03-10 Kazuhisa Asao Recording/playback device
JP2009282607A (ja) * 2008-05-20 2009-12-03 Ricoh Co Ltd 画像閲覧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I661723B (zh) * 2008-08-08 2019-06-01 日商尼康股份有限公司 攜帶資訊機器及資訊取得系統
WO2010150961A1 (ko) 2009-06-23 2010-12-29 (주)엘지전자 3차원 영상 제공 장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5439591B2 (ja) * 2010-04-13 2014-03-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ショット表示制御装置、スクリーンショット表示制御方法、スクリーンショット表示制御用集積回路、サーバ装置
US20110286647A1 (en) * 2010-05-24 2011-11-24 Microsoft Corporation Image Browsing and Navigating User Interface
CN102456216A (zh) * 2010-11-03 2012-05-16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频谱分析仪的图像数据构造方法及装置
CN103414863A (zh) * 2013-08-07 2013-11-27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的处理方法及装置
CN103763625A (zh) * 2014-02-24 2014-04-30 广州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视频展示方法及系统
JP6290109B2 (ja) * 2015-01-19 2018-03-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による表示方法
CN105898583B (zh) * 2015-01-26 2020-06-1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图像推荐方法及电子设备
CN105100776B (zh) * 2015-08-24 2017-03-15 深圳凯澳斯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视频截图方法及装置
CN108898680B (zh) * 2018-05-30 2019-06-18 贝壳找房(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在虚拟三维空间中自动校正截取图片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0342B2 (ja) 1997-02-28 2002-11-05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選局装置
JP3780623B2 (ja) * 1997-05-16 2006-05-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画像の記述方法
JP3413065B2 (ja) 1997-07-03 2003-06-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情報処理装置
US6054989A (en) * 1998-09-14 2000-04-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data structur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which exploits spatial memory in three-dimensions, to objects and which provides spatialized audio
JP3267249B2 (ja) 1998-10-30 2002-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番組録画再生装置および番組録画再生方法
JP4462685B2 (ja) 1999-12-08 2010-05-1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245233A (ja) * 2000-02-28 2001-09-07 Pioneer Electronic Corp 番組ガイド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4587416B2 (ja) 2000-04-25 2010-11-24 富士通株式会社 デジタル映像コンテンツ閲覧装置及び方法
EP1287688A1 (en) * 2000-05-31 2003-03-05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guide to digital content
JP2002084469A (ja) * 2000-09-07 2002-03-22 Sharp Corp 番組自動選局装置
KR20040073511A (ko) * 2001-12-25 2004-08-1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JP3913071B2 (ja) 2002-02-04 2007-05-0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番組表表示装置
US20060107301A1 (en) * 2002-09-23 2006-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recorder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3997882B2 (ja) 2002-10-10 2007-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の検索方法および装置
KR100518808B1 (ko) * 2003-05-16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JP4186779B2 (ja) * 2003-10-08 2008-11-26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6990637B2 (en) * 2003-10-23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3-dimensional view of a data collection based on an attribute of the data
US8650596B2 (en) * 2003-11-03 2014-02-11 Microsoft Corporation Multi-axis television navi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84B1 (ko) * 2009-04-03 2011-03-0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9656C (zh) 2009-09-09
DE102006034088A1 (de) 2007-09-06
US8107791B2 (en) 2012-01-31
US20070206916A1 (en) 2007-09-06
KR100842241B1 (ko) 2008-06-30
JP2007235610A (ja) 2007-09-13
JP4641269B2 (ja) 2011-03-02
CN101031040A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241B1 (ko)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및 표시 방법
US7986324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rogram storage medium and display method
JP6356097B2 (ja) デジタル格納部を備えた電子番組ガイド
KR100956320B1 (ko) 표시 장치, 표시 프로그램 기억 매체, 및 표시 방법
KR100832055B1 (ko) 선택 장치, 선택 방법 및 선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10058791A1 (en) Recording controller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KR20040029027A (ko)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시스템
JP2006340136A (ja) 映像再生方法、インデックス情報提供方法、映像再生端末、及び映像用インデックス作成検索システム
CN101836440A (zh) 显示装置及方法
JP200012524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US20070269184A1 (en) Recording/playback device, recording/playback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viewing history recording system
JP2001008121A (ja) 受信装置、番組情報表示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H11195256A (ja) 番組予約収録システム
US20040028379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60291804A1 (en) Recording device,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JP4592491B2 (ja) 映像記録装置
JP2006186663A (ja) 録画再生装置及び録画再生方法
KR20080059534A (ko) 저장기능을 갖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