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252A - 단열체 - Google Patents

단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252A
KR20070089252A KR1020077017225A KR20077017225A KR20070089252A KR 20070089252 A KR20070089252 A KR 20070089252A KR 1020077017225 A KR1020077017225 A KR 1020077017225A KR 20077017225 A KR20077017225 A KR 20077017225A KR 20070089252 A KR20070089252 A KR 2007008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dsorbent
adsorption
adsorbing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에 히라이
가즈타카 우에카도
아키코 유아사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20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73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63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761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6/00Alloys containing diamond or cubic or wurtzitic boron nitride, fullerenes or 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9/00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 C22C29/12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C22C32/001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with only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C22C32/001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with only oxides
    • C22C32/0015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with only oxides with only single oxides as main non-metallic constitu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62Textile, fabric, cloth, or pile containing [e.g., web, net, woven, knitted, mesh, nonwoven, matt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1Filled with gas other than air; or under vacuum

Abstract

질소 등 활성이 낮은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얻음으로써, 생산 효율의 향상 및 단열 성능이 좋은 단열체를 제공한다. 단열체(5)는, 흡착재(6), 심재(7), 외피재(8)로 이루어진다. 흡착재(6)는, Li과,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을 포함한다. 기체 흡착 활성이 매우 높아짐으로써,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진공도까지는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는 본 발명의 흡착재로 잔존 기체를 흡착하여 소정의 진공도를 얻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생산 효율이 높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외피재 내부의 활성이 낮은 기체를 흡착 가능하게 하여 열전도율을 저감하므로,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다.

Description

단열체{THERMAL INSULA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냉장고, 보온 보냉 용기, 자동 판매기, 전기 주전자, 축열 용기, 자동차, 철도 차량 및 주택 등의 단열체로서 적합한 단열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 방지 관점에서 에너지 절약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고, 가정용 전기제품에 대하여도 에너지 절약화는 긴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보온 보냉 기기에서는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는 단열체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열체로서는, 유리솜 등의 섬유재나 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는 단열체의 두께를 늘릴 필요가 있다. 단열체를 두껍게 하는 것은,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에 제약이 생겨 버려, 스페이스 절약이나 공간의 유효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곤란하다.
그래서, 고성능인 단열체로서, 진공 단열체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스페이서의 기능을 갖는 심재를,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 중에 삽입하여, 내부를 감압으로 하여 밀봉한 단열체이다.
진공 단열체 내부의 진공도를 올림으로써, 고성능인 단열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진공 단열체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에는 크게 나누어 다음의 3개가 있다. 하나는, 진공 단열체 제작시에 배기하지 못하고 잔존하는 기체이다. 두 번째는, 감압 밀봉 후, 심재나 외피재에서 발생하는 기체로, 심재나 외피재에 흡착되어 있는 기체나, 심재의 미반응 성분이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반응 가스 등이 이것에 상당한다. 세 번째는, 외피재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침입해 오는 기체이다.
이러한 기체를 흡착하기 위하여, 흡착재를 진공 단열체에 충전하는 방법이 몇 가지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진공 단열체 내의 이산화탄소나 수분을, 범용적인 흡착재인 실리카 알루미나 등으로 흡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특개소 61-103090호 공보, 이하 인용 문헌 1).
또, 진공 단열체 내의 기체를, Ba-Li 합금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표 특허, 특표평 9-512088호 공보, 이하 인용 문헌 2). 진공 단열체 내의 흡착재가 흡착해야 할 기체 중, 흡착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기체의 하나가 질소이다. 이것은, 질소 분자가 약 940kJ/mol이라는 큰 결합 에너지를 갖는 비극성 분자이기 때문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Ba-Li 합금을 채용하면 질소를 흡착 가능하게 하여, 진공 단열체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산소 흡수제로서, 철분, 산화 촉진 물질, 필러, 수분 공여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252866호 공보, 이하 인용 문헌 3).
이것은, 식품, 의약품 등의 품질 유지 용도에 이용되는 산소 흡수제로, 산소 흡수에는 수분이 필요하다.
인용 문헌 1에 있어서는, 질소 등 활성이 낮은 기체를 흡착시키기 위하여 실용화시키기에는 곤란이 따른다. 또, 인용 문헌 2에 기재된 구성은, 활성화를 위한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온에서 질소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활성화, 대용량화가 더욱 요망되고 있는 것과 함께, Ba은 독극물 지정 물질이므로, 공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환경이나 인체에 대하여 안전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합금을 용융할 필요가 있고, 제조에 걸리는 에너지가 커진다. 또, 인용 문헌 3에 있어서는, 산소 흡수에 수분이 필요하고, 미량의 수분도 꺼리는 분위기 중에서 사용하기에는 곤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으로, 질소 등 활성도가 낮은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얻음으로서, 단열 성능, 생산성이 우수한 단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체는, 외피재와,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구비한다. 흡착재가 적어도 Li과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을 갖고 25℃ 상압 하에서 적어도 질소 혹은 산소를 흡착하는 기체 흡착성 물질을 포함한다.
Li은, 통상은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는 등의 이유로 불활성화하여, 질소 혹은 산소를 흡착할 수 없다.
그러나, Li의 경도가 0.6인 것에 반해,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을 공존시킴으로써, 고체 물질이 Li을 마쇄하거나 하여, Li의 표면이 깎여 활성인 표면을 신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온에서 질소 혹은 산소를 급속히 흡착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체 흡착성 물질을 단열체에 이용함으로써, 단열체 중의 질소나 산소 등의 기체를 흡착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공업적으로 도달 용이한 진공도까지 외피재 중을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의 잔존 기체는 기체 흡착성 물질로 흡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단열체를 생산할 수 있다. 또, 특히 배기 저항이 크고 진공 배기하기 어려운 단열체에서는, 이러한 생산 방법이 특히 효율이 좋다.
이 때, 통상의 흡착재로는 외피재 중의 잔존 기체, 특히 질소를 흡착할 수 없지만, 본 기체 흡착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생산 방법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활성이므로 기체를 급속히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스피드가 빠르고, 생산 효율이 좋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단열체 제작시, 배기하지 못하고 잔존하는 기체 등을 흡착 가능하게 하므로 초기 열전도율을 저감하고, 또, 외피재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침입해 오는 기체 등을 경시적으로 흡착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경시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상기 고체 물질로서 적어도 산화물을 포함한다.
산화물을 이용함으로써, Li의 활성이 보다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Li과 금속을 조합하면, 불순물로서 산소를 함유하기 쉬운 금속을 Li이 환원함으로써, Li이 열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Li과, 안정적으로 산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Li의 산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구성의 기체 흡착성 물질을 단열체에 적용함으로써, 초기·경시적 모두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Li의 적어도 일부가, 입경 1mm 이하로 되어 있다. 입경을 1mm 이하로 함으로써, Li 외층부뿐만 아니라, Li 내부까지 질화 혹은 산화되기 쉬워져, Li당의 기체 흡착량이 증대하여, 재료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적어도 Li과, 고체 물질의 일부가 상용(相溶)되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i과 고체 물질의 일부가 상용함으로써, 계면이 증대하여, 활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기체 흡착성 물질에 있어서, 적어도 Li과, 고체 물질이 기계적 합금화(mechanical alloying)에 의해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합금화함으로써, Li과 고체 물질을 고에너지로 마쇄, 혼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체 물질에 의한 Li을 깎는 효과가 증대하여, Li 신생면 노출이나 세분화 효과가 증대한다. 또, 고체 물질도 깎여 세분화되므로, Li을 세분화하는 것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되는 것이다.
또, 기계적 합금화함으로써, 기계적 에너지가 Li이나 고체 물질에 축적되어, 출발점에서 갖는 에너지보다 기계적 합금화 후에 갖는 에너지 쪽이 증대하여, 더욱 고활성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은, 용융 등이 필요 없고 열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적 혹은 비용적으로도 우수하다.
또, 흡착재와는 다른,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병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이다.
본 발명의 기체 흡착성 물질은 수분 혹은 산소 등도 흡착 가능하지만, 질소에 대한 흡착 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수분 혹은 산소가 적은 분위기 쪽이 바람직하다. 또, 산소에 대한 흡착 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수분이 적은 분위기 쪽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이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외피재로 덮인 공간 내에, 심재를 더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외피재로서 얇은 금속판이나 플라스틱 등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해도, 안의 심재가 스페이서가 되어 대기 압축에 견딜 수 있다. 외피재를 얇게 하여, 외피재를 통한 히트 리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체가 된다. 심재는 그 구성체나 집합체로서 통기성을 갖는 형태로 하여, 넓은 의미에서의 다공질체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종래, 보온병은 대기 압축에 견디기 위해 원통형의 것이 많았지만, 본 발명은 심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원통형을 비롯하여, 평판형상의 것, 혹은 직육면체나 상자형과 같은 임의의 여러 가지 형태의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심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진공 배기시의 배기 저항이 커져, 진공 배기에 시간이 걸리는, 혹은 소정 진공도에 이르기 어려운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고활성인 기체 흡착성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잔존 질소 혹은 산소 등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진공도까지는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는 본 발명의 흡착재로 잔존 기체를 흡착하여 소정의 진공도를 얻는 등, 생산 효율이 높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외피재가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이다. 이러한 구조의 단열체는 일반적으로, 평면형상의 단열체와는 달리, 면을 복수 갖는 상자체 내부의 공간을 균일하게 감압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자체 내부의 벽간 거리가 작은 경우에서는 특히, 균일하게 감압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고활성인 기체 흡착성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잔존 질소 등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자체 내부의 기체를 흡착하여 균일하게 가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 성능이 높고, 생산 효율이 높은 상자체의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단열체 중의 질소, 산소, 수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분 등의 기체, 그 중에서도 특히 질소나 산소 등의 기체를 흡착 가능하게 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즉, 단열체 제작시, 배기하지 못하고 잔존하는 기체 등을 흡착 가능하므로 초기 열전도율을 저감하고, 또, 외피재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침입해 오는 기체 등을 경시적으로 흡착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시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진공도까지는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는 본 발명의 흡착재로 잔존 기체를 흡착하여 소정의 진공도를 얻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생산 효율이 높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단열체는, 적어도, 외피재와,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구비하고, 흡착재가, 적어도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적어도 2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을 포함하고, 또한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크다.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금속이고, 또한,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금속으로, 통상으로는 상호 작용을 갖지 않는 금속을 이용한다. 이에 의해, 그 속에 포함되는 금속의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금속과 기체의 반응성이 향상하여, 기체 흡착 활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 이유로서는, 모식적으로 서술하면, 예를 들면 Li-Fe계 합금에서는 Li원자와 Fe원자가 안정한 화학 결합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그들의 원자를 인접시키면, 서로 다른 제3 원소와 결합하려고 하는 작용이 한층 커져, 흡착 활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기체 흡착 합금을 단열체에 이용함으로써, 단열체 중의 질소 등의 기체를 흡착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공업적으로 도달 용이한 진공도까지 외피재 중을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의 잔존 기체를 기체 흡착 합금으로 흡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단열체를 생산할 수 있다. 또, 특히 배기 저항이 크고 진공 배기하기 어려운 단열체에서는, 이러한 생산 방법이 효과적이며, 또 효율도 높아진다.
이때, 통상의 흡착재로는 외피재 중의 잔존 기체, 특히 질소를 흡착할 수 없지만, 본 기체 흡착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생산 방법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활성이므로 기체를 급속히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스피드가 빠르고, 생산 효율이 좋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단열체 제작시, 배기하지 못하고 잔존하는 기체 등을 흡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초기 열전도율을 저감하고, 또, 외피재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침입해 오는 기체 등을 경시적으로 흡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경시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 2종의 금속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용이 일어날수록 혼합함으로써, 금속간의 반발력을 더욱 높여, 그 속에 포함되는 금속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체와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기체 흡착 활성이 높아짐으로써, 초기 열전도율의 저감, 경시 신뢰성의 향상이 가능해져, 단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적어도 Li과, Li과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천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흡착 합금을 이용한다.
이에 의해, 질소를 흡착 가능한 Li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흡착이 어려운 기체인 질소에 대한 기체 흡착 활성이 매우 높은 합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합금을 얻기 위하여, 기계적 합금화에 의해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또, 혼합 엔탈피가 0보다 큰 금속끼리를 합금화하여, 활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기계적 합금화으로 혼합하는 최적인 방법인 것이다.
또, 흡착재로서, 기체 흡착성 물질과, 기체 흡착 합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른 기체 흡착 활성을 갖는, 기체 흡착 합금과, 기체 흡착성 물질을 조합함으로써, 흡착 대상 기체로의 폭로 직후에는 활성인 쪽이 기체를 급속히 흡착하고, 보다 활성이 낮은 쪽이 전자보다 완만하게 흡착을 하는, 속효성에도 흡착 활성 유지에도 우수한 기체 흡착재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생산성,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기체 흡착 합금과 함께, 기체 흡착 합금과는 다른,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병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이다.
본 발명의 기체 흡착 합금은 수분 혹은 산소 등도 흡착 가능하지만, 질소 등에 대한 흡착 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수분 혹은 산소가 적은 분위기 쪽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흡착 목적물이 질소 등인 경우는,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이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외피재로 덮인 공간 내에,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외피재로서 얇은 금속판이나 플라스틱 등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해도, 안의 심재가 스페이서가 되어 대기 압축에 견딜 수 있다. 이 때문에, 외피재를 통한 히트 리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단열체가 된다.
또, 종래, 보온병은 대기 압축에 견디기 위하여 원통형의 것이 많았다. 본 발명은 심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원통형을 비롯하여, 평판형상의 것, 혹은 직육면체나 상자형과 같은 임의의 여러 가지 형태의 단열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심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진공 배기시의 배기 저항이 커져, 진공 배기에 시간이 걸리는, 혹은 소정 진공도에 이르기 어려운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고활성인 기체 흡착 합금을 이용함으로써 잔존 질소 등을 흡착 가능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진공도까지는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는 본 발명의 흡착재로 잔존 기체를 흡착하여 소정의 진공도를 얻는 등, 생산 효율이 높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외피재가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이다. 평면형상의 단열체와 달리, 면을 복수 갖는 상자체 내부의 공간을 균일하게 감압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자체 내부의 벽간 거리가 작은 경우, 특히 두께가 30mm 이하인 경우, 균일하게 감압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고활성인 기체 흡착 합금을 이용함으로써 잔존 질소 등을 흡착 가능해지므로, 상자체 내부의 기체를 흡착하여 균일하게 감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열 성능이 높고, 생산 효율이 높은 상자체의 단열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내부 상자와 외부 상자를 구비하고, 외부 상자와 내부 상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체를 배치하고, 단열체 이외의 공간에 발포 단열체를 충전한 냉동·냉장 기기 혹은 냉열 기기이다.
내부 상자와 외부 상자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본 발명의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체를 배치하고, 그 이외의 공간에 발포 단열체를 충전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우수한 냉동·냉장 기기 혹은 냉열 기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체는,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2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 또, 적어도 일부는 상용이 일어남으로써, 단열체 중의 질소, 산소, 수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분 등의 기체, 그 중에서도 특히 질소 등의 기체를 흡착 가능하게 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진공 단열체 제작시, 배기하지 못하고 잔존하는 기체 등을 흡착 가능하게 하므로 초기 열전도율을 저감하고, 또, 외피재를 통과하여 외부에서 침입해 오는 기체 등을 경시적으로 흡착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경시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진공도까지는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는 본 발명의 흡착재로 잔존 기체를 흡착하여 소정의 진공도를 얻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생산 효율이 높은 단열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단열체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Li-Fe의 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하는 흡착재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하는 흡착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하는 흡착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하는 흡착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단열체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5, 13, 14, 15…단열체 2, 2A…기체 흡착성 물질
3, 11…용기 4…외피재
6, 6A, 6B, 6C, 6D…흡착재 7…심재
8…외피재 9…주머니재
10…수분 흡착재 12…충전주머니
16…상자체 17…냉장고
18…단열 상자체 19…외부 상자
20…내부 상자 21…경질 우레탄 폼
22…증발기 23…압축기
24…응축기 25…캐필러리 튜브
26…도어체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단열체는, 외피재와,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구비하는,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Li과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을 갖고 25℃ 상압 하에서 질소 혹은 산소를 흡착하는 기체 흡착성 물질을 포함한다.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로서는, Si, B, c-C(다이아몬드), SiO2, SiC, c-BN(입방정 질화 붕소), Al2O3, MgO, TiO2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경도란 10단계의 모스 경도를 가리킨다.
또, 상기 고체 물질의 확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X선 회절로, Li과, 고체 물질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는 등의 방법으로 행해도 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고체 물질의 함유율은 5mol% 이상 95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기체 흡착성 물질 100mol%에 대하여, 고체 물질이 5mol%보다 적어지면, 연성이 높은 Li이 많아짐으로써, 고체 물질과 균일하게 혼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 95mol%보다 많아지면 활성이 높은 Li이 감소하여 기체 흡착 활성이 작아 지기 때문이다.
또, 밀도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 물질의 밀도가 4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 중에는 밀도가 4∼5g/㎤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도 포함된다. 경도와 밀도의 양면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체 물질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물질이라는 관점에서는, 밀도가 5g/㎤ 이하로 규정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고체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밀도가 0.53g/㎤인 Li과 조합했을 때에도 밀도 상승이 적고, 또, 단위 중량당의 질소 흡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기체 흡착성 물질을 제품에 장착했을 때에도 중량 증가가 적고, 또한 질소 흡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체 흡착성 물질은, 25℃ 상압 하에서 적어도 질소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하게 한다. 질소 혹은 산소 이외의 기체, 예를 들면, 수소, 수증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탄화수소를 흡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질소 혹은 산소 이외에 흡착하는 기체에 대하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흡착량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는, 흡착 용량법, 중량법 등,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적어도 질소 혹은 산소의 흡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 본 발명의 기체 흡착성 물질은, 1g당 질소 혹은 산소를 1㎤ 이상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흡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흡착량의 측정은, 예를 들면, 흡착하고 있는 과정에 있는, 일부 흡착한 기체 흡착성 물질을 취출하여, 그 기체 흡착성 물질에 대하여 질소 흡착량을 측정해도 된다. 또, 일부 흡착 혹은 흡착 활성을 잃은 기체 흡착성 물질에 대하여, 가열하는 등의 방법으로 질소를 축출하고, 그 질소량과, 가열 후의 기체 흡착성 물질로부터 1g당의 질소 흡착량을 구해도 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흡착이란, 표면으로의 흡착 외에 내부로의 흡수, 혹은 수착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기체 흡착성 물질은, 상온, 혹은 약 80℃ 이하의 분위기에서, 상압 이하, 특히 저압 영역에서의 흡착이 가능하다. 또, 기체 흡착성 물질의 사용 형태로서는, 분체, 압축 성형, 펠릿화, 시트형상, 박막형상, 혹은 다른 용기로의 수용, 다른 물질로의 증착과 같은 사용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외피재로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유리 등의 용기, 혹은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으로 금속, 무기물, 산화물, 탄소를 증착한 필름, 금속박 등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주머니, 혹은 그들의 조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단열체는, 외피재 중에 기체 흡착성 물질을 삽입하여 외피재 중을 진공 배기하고, 그 후, 외피재를 밀폐화함으로써 진공 단열 공간을 만들어 낸다. 기체 흡착성 물질로 외피재 중의 진공도를 유지하거나, 혹은 외피재 중을 공업적으로 도달 용이한 정도의 진공 배기를 하고, 그 후, 외피재를 밀폐화하여, 그 때에 잔존하는 외피재 중의 기체를 기체 흡착성 물질로 흡착한다. 이에 의해, 2단 감압과 같은 작용을 하거나, 혹은 기체 흡착성 물질은 다른 용기에 밀폐해 두고 외피재 내를 소정압으로 진공 배기 후, 기체 흡착성 물질을 어떠한 방법으로 외피재 내와 통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체 흡착성 물질을 보다 고활성으로 유지한 채로 2단 감압과 같은 작용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 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2단 감압과 같은 작용, 특히 후자의 경우, 소정압으로 진공 배기 후, 기체 흡착성 물질을 어떠한 방법으로 외피재와 통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압에 도달한 후,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 기체 흡착성 물질을 밀폐한 용기에 통기구멍을 설치하여 외피재 내와 통하게 하고, 또, 기체 흡착성 물질을, Ar 등과 함께 용기·주머니에 충전하여, 상기 용기·주머니를 외피재 내부에 배치하고 감압하여, 감압에 의해 압력차로 부풀어 오른 상기 용기·주머니의 일부를 파열시켜 개구부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열체는, 상기 고체 물질이 적어도 산화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산화물이란, Al2O3, MgO, SiO2, TiO2 등이다. 혹은, 3원소 이상 포함하는 산화물이어도 된다.
또, 상기 Li의 적어도 일부를, 입경 1mm 이하로 한다. 입경 1mm 이하란, 적어도 일부의 입경이 1mm 이하로 되어 있으면 된다. 일반적인 확인 방법으로 확인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체 흡착 전의 입경이어도, 흡착 후의 입경이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적어도 상기 Li과 상기 고체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상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용되어 있다는 것은, 적어도 일부가 물리적으로 2종의 물질을 분리할 수 없는 상태에 놓여져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2종의 물질의 경계면의 일부가 원자 레벨로 물질끼리가 혼합하고 있는 등의 상태를 말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적어도 상기 Li과 상기 고체 물질이 기계적 합금화에 의해 혼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계적 합금화으로 혼합한다는 것은, 기계적으로 혼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고활성인 기체 흡착성 물질을 제작하기 위하여, 불활성 기체 중, 예를 들면 Ar, He 등의 분위기 중, 혹은 진공 하에서 기계적 합금화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계적 합금화을 행할 때, 따로 C를 첨가하거나, 냉각 하에서 행하거나, 알코올 등을 소량 적하하거나 하여, 용기로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적어도,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적어도 2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기체 흡착 합금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금속끼리가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것은, 예를 들면 X선 회절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은, 예를 들면 상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금속종의 상도에는, 비고용형, 혹은 공정형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상도가 포함된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합금이란, 2종 이상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물질의 것을 말한다. 또, 전자의 기체 흡착 합금과 후자의 기체 흡착 물질을 포함한다는 것은, 전자와 후자를 한 번에 혼합하거나, 혹은 미리 전자의 기체 흡착 합금과 기체 흡착 물질을 따로따로 제작하여 동일 분위기 중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따로따로 제작한 것을 그 후 혼합한다. 또, 그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는, 혹은 각각 따로 펠릿화하여 동일 분위기 중에서 사용한다. 또, 전자 및 후자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으로 피복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단열체는, 단열체 기체 흡착성 물질 혹은 기체 흡착재와 함께, 상기 흡착재와는 다른,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병용한다.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란, 예를 들면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바륨,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불포화지방산, 철이나 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개 또는 이들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기체 흡착성 물질과 함께 사용할 때, 외피재 중의 공간에 이것들을 따로따로 또는 혼합하여, 분말 혹은 성형체로서 배치하거나, 혹은 통기성이 있는 용기 등의 중에 이것들을 따로따로 또는 혼합하여 봉입하거나 하여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동시에 이용해도 된다.
또, 단열체는, 성형한 상기 흡착재의 적어도 일면을, 상기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로 피복한다. 성형한 기체 흡착성 물질이란, 기체 흡착성 물질을 압축 성형, 정제화, 펠릿화, 혹은 다른 용기에 분체를 넣은 상태로의 사용 혹은 그것을 압축 성형한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들의 적어도 일면을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로 덮고 있으면 되고, 적어도 일면의 일부, 혹은 수개의 면, 전면을 덮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분 등은 범용적인 흡착재로 흡착한 후, 보다 흡착하기 어려운 기체를 기체 흡착성 물질로 흡착하는 등, 효율적으로 기체를 흡착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사양으로 할 수 있다.
또, 단열체는, 상기 외피재로 덮인 공간 내에, 심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이다. 심재는 그 구성체나 집합체로서 통기성을 갖는 형태로 하여, 넓은 의미에서의 다공질체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심재란, 섬유, 분체, 발포 수지, 박막 적층체 등,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기체에 의한 열전도율의 악화가 일어나기 쉬운 섬유형상의 심재와 기체 흡착성 물질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가 배가된다.
또, 단열체는, 상기 외피재가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이다.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란, 스테인리스, 철, 알루미늄 등의 상자체, 혹은 금속을 증착한 플라스틱을 이용한 상자체, 혹은 금속박을 갖는 플라스틱의 상자체 등의 것이고, 이것들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되고 있다. 또, 그것들을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판체를 복수장 이용하여 상자체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자체란 문자 그대로 상자형상의 형태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이형의 것이나 포장체 등의 외곽을 형성하는 형태의 것도 포함된다.
또, 단열체의 사용 방법으로서는, 내부 상자와 외부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상자와 내부 상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체를 배치하고, 상기 단열체 이외의 상기 공간에 발포 단열체를 충전한 상자체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냉장고에 적용한 경우, 냉장고의 외부 상자와 내부 상자 사이의 공간의 외부 상자측 또는 내부 상자측에 상기 단열체를 부착하고 그 밖의 공간에 수지 발포체를 충전하거나, 혹은 진공 단열체와 발포 수지체를 일체 발포한 단열체를 냉장고의 외부 상자와 내부 상자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거나, 혹은 도어부에 동일하게 사용하거나, 혹은 칸막이에 사용하는 등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단열체는, 냉동 기기 및 냉온 기기, 보냉차나 전자냉각을 이용한 냉장고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자동 판매기 등의, 보다 고온까지의 범위에서 온냉열을 이용한 냉·온 기기를 가리킨다. 또, 가스 기기, 축열·축냉 용기, 혹은 쿨러박스 등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전기포트, 밥솥, 혹은 자동차 엔진의 보온·축열의 외장재 등, 보온·축열·단열을 목적으로 하는 더욱 온도가 높은 영역에서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냉동·냉장 기기에 이용하는 경우, 압축기나 서리 제거 히터 부근에 상기 기체 흡착성 물질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열체뿐만 아니라, 감압, 혹은 질소, 산소 등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구조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압 상태를 유지, 혹은 특정한 성분을 꺼리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PDP, SED, 유기 EL, CRB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구체적인 단열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 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단열체(1)는, 기체 흡착성 물질(2)과, 기체 흡착성 물질(2)을 수납하는 용기(3)와, 기체 흡착 물질(2)과 용기(3)를 덮는 금속의 2중의 원통 용기로 구성된 외피재(4)로 이루어지고, 외피재(4)의 내부(2중의 원통 용기의 사이의 공간)는 감압하고 있다.
기체 흡착성 물질(2)은 용기(3)에 수납되어 있고, 외피재(4)는 금속의 2중의 원통 용기로 이루어지고, 원통 용기 사이는 감압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은, 기체 흡착성 물질(2)로서, Li 및 Al2O3을 사용하였다. 1mol의 Li과 1.1mol의 Al2O3을 Ar 분위기 중에 있어서, 스테인리스제 볼에 의한 유성 볼밀을 이용하여 기계적 합금화을 행하여 혼합해, 기체 흡착성 물질(Li-Al2O3)을 얻었다.
기체 흡착성 물질의 흡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체 흡착성 물질(Li-Al2O3)을 퀀타크롬(Quantachrome)사제 오토솔브(Autosorb)-1-C를 이용하여, 질소·산소 흡착량의 평가를 행하였다.
질소 흡착량을 평가함으로써, 분위기 압력이 약 5300Pa에서 21.98㎤/gSTP, 약 92000Pa에서 30.45㎤/gSTP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산소 흡착량을 평가함으로써, 분위기 압력이 약 900Pa에서 1.99㎤/gSTP, 약 92000Pa에서 6.31㎤/gSTP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열체(1)에 있어서의 기체 흡착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평가는 원통 용 기로 이루어지는 외피재(4) 중에, 밀폐된 용기(3)에 봉입한 기체 흡착성 물질을 정치(靜置)하고, 외피재(4) 내를 약 1kPa까지 진공 배기하였다. 그 후, 기체 흡착성 물질(2)을 봉입한 밀폐 용기(3)에 통기성을 갖게 하여 외피재(4) 내의 잔존 기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외피재 내의 압력 변화를 관찰하면, 분위기 압력은 1kPa에서 15Pa가 되었다. 분위기 압력이 1kPa에서 15Pa로 변화했다는 것은, 기체 흡착 물질이 잔존 기체를 흡착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단열체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단열체(5)는, 흡착재(6)와, 심재(7)와, 흡착재(6)와 심재(7)을 덮는 외피재(8)로 이루어지고, 외피재(8) 내부를 감압하고 있다.
흡착재(6)에 이용하는 기체 흡착성 물질(2)로서, 1mol의 Li과 2mol의 MgO을, 스테인리스제 볼에 의한 진동 볼밀을 이용하여 기계적 합금화을 행하여 혼합해, 기체 흡착성 물질(Li-MgO)을 얻었다.
또, 눈으로 Li의 적어도 일부가 1mm 이하의 분말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기체 흡착성 물질의 흡착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체 흡착성 물질(Li-MgO)을 퀀타크롬(Quantachrome)사제 오토솔브(Autosorb)-1-C에 의해, 질소·산소 흡착량의 평가를 행하였다.
질소 흡착량을 평가함으로써, 약 45Pa에서 5.44cm3/gSTP, 약 92000Pa에서 26.64cm3/gSTP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산소 흡착량을 평가함으로써, 약 45Pa에서 1.94cm3/gSTP, 약 92000Pa에서 11.93cm3/g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심재(7)로서 무기 섬유 집합체를, 외피재(8)로서 열융착층, 가스 배리어층, 표면 보호층으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였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단열체는,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와, 상기 흡착재를 덮는 가스 배리어성의 외피재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적어도 2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이다.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크다. 여기에서 말하는 합금이란, 2종 이상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물질을 말한다. 또, 금속끼리가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것은, 예를 들면 X선 회절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 적어도 2종의 금속이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으면 되고, 예를 들면 1성분 이상 원소를 더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그 원소가 상기 금속과 화합물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은, 예를 들면 상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를 어느 정도 상승시켜도 Fe의 상 특성 38과 Li의 상 특성 40이 만나지 않는 것 등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금속종의 상도에는, 도 3에 도시한 비고용형, 혹은 공정형과 같은 것을 나타내는 상도가 포함된다.
또, 흡착 가능한 기체로서는, 질소, 산소, 수소, 수증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흡착이란, 표면으로의 흡착 외에 내부로의 흡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기재된 흡착재는 고활성이기 때문에, 상온, 혹은 약 80℃ 이하의 분위기에서 상압 이하, 특히 저압 영역에서의 흡착이 가능하다.
또, 합금의 사용 형태로서는, 분체, 압축 성형, 펠릿화, 시트형상, 박막형상, 혹은 다른 용기로의 수용, 다른 물질로의 증착과 같은 사용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외피재로서는, 적어도 열융착층, 가스 배리어층, 보호층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 혹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유리 등의 용기 등, 혹은 그들의 조합 등,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단열체는, 외피재 중에 기체 흡착 합금을 삽입하여 외피재 중을 진공 배기하고, 그 후, 외피재를 밀폐화함으로써 진공 단열 공간을 만들어 내어, 기체 흡착 합금으로 외피재 중의 진공도를 유지하거나, 혹은 외피재 중을 공업적으로 도달 용이한 정도의 진공 배기를 하고, 그 후 외피재를 밀폐화하여, 그 때에 잔존하는 외피재 중의 기체를 기체 흡착 합금으로 흡착함으로써, 2단 감압과 같은 작용을 하거나, 혹은 기체 흡착 합금은 다른 용기에 밀폐해 두고 외피재 내를 소정압으로 진공 배기 후, 기체 흡착 합금을 어떠한 방법으로 외피재 내와 통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체 흡착 합금을 보다 고활성으로 유지한 채로 2단 감압과 같은 작용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 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단열체는,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와, 상기 흡착재를 덮는 가스 배리어성의 외피재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298K에서의 질화물 생성 엔탈피가 0보다 작은 제1 금속과, 상기 금속과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크다. 질화물 생성 엔탈피가 0보다 작은 금속으로서는, Li, Mg, Al, Ca, Si 등이 있다.
또, 단열체는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와, 상기 흡착재를 덮는 가스 배리어성의 외피재를 구비한다. 상기 흡착재는, 적어도 Li과, Li과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천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크다.
Li과의 혼합 엔탈피가 0보다 큰 천이 금속으로서는, Co, Cr, Cu, Fe, Hf, Mn, Mo, Nb, Ni, Ta, Ti, V, W, Y, Zr 등이 있다.
또, 천이 금속의 함유율은 5mol% 이상 95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금 100mol%에 대하여, 천이 금속이 5mol%보다 적어지면, 연성이 높은 Li이 많아짐으로써, 천이 금속과 균일하게 혼합하기 어려워진다. 또, 95mol%보다 많아지면 활성이 높은 Li이 감소하여 기체 흡착 활성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 단열체는, 상기 기체 흡착 합금에 있어서, 2종의 금속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용이 일어나고 있다. 적어도 일부는 상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적어도 일부가 물리적으로 2종의 금속을 분리할 수 없는 상태에 놓여져 있는 것을 말한 다. 예를 들면 2종의 금속의 경계면의 일부가 원자 레벨로 금속끼리가 혼합하고 있는 등의 상태를 말한다.
또, 단열체는, 상기 기체 흡착 합금이, 적어도 2종의 금속을 기계적 합금화에 의해 혼합한 것이다. 기계적 합금화으로 혼합한다는 것은, 기계적으로 혼합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또, 고활성인 기체 흡착 합금을 제작하기 위하여, 불활성 기체 중, 예를 들면 Ar, He 등의 분위기 중에서 기계적 합금화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열체는, 상기 기체 흡착 합금의 질소 흡착량이, 상온, 상압에서 10㎤/g 이상이다. 질소 흡착은 감압 하에서도 일어나지만, 25℃ 부근의 상온, 상압 조건에서의 측정으로 10㎤/g 이상을 흡착하면 된다.
또, 측정 방법은 특별히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흡착 용량법, 중량법 등,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기체 흡착 합금을 이용함으로써, 질소 흡착량이 크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공업적으로 도달 용이한 진공도까지 외피재 중을 진공 펌프로 배기하고, 그 후의 잔존 기체는 기체 흡착 합금으로 흡착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단열체는, 상기 기체 흡착 합금과 함께, 상기 기체 흡착 합금과는 다른,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병용한다.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란, 예를 들면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스트론튬, 산화바륨,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불포화지방산, 철이나 철 화 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개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기체 흡착 합금과 함께 사용할 때, 외피재 중의 공간에 이것들을 따로따로 혹은 혼합하여, 분말 혹은 성형체로서 배치하거나, 혹은 통기성이 있는 용기 등의 중에 이것들을 따로따로 혹은 혼합하여 봉입하거나 하여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단열체는, 성형한 상기 기체 흡착 합금의 적어도 일면을, 상기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로 피복한 것이다. 성형한 기체 흡착 합금이란, 기체 흡착 합금을 압축 성형, 정제화, 펠릿화, 혹은 다른 용기에 분체를 넣은 상태로의 사용 혹은 그것을 압축 성형한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들의 적어도 일면을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로 덮고 있으면 된다. 적어도 일면의 일부, 혹은 수개의 면, 전면을 덮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분 등은 범용적인 흡착재로 흡착한 후, 보다 흡착하기 어려운 기체를 기체 흡착 합금으로 흡착하는 등, 효율적으로 기체를 흡착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사양으로 할 수 있다.
또, 단열체는, 상기 외피재로 덮인 공간 내에,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 외에,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갖는다.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심재란, 섬유, 분체, 발포 수지, 박막 적층체 등,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 특별히 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체에 의한 열전도율의 악화가 일어나기 쉬운 섬유형상의 심재와 기체 흡착 합금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가 배가된다.
또, 단열체는, 상기 외피재가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이다. 금속을 포함하 는 상자체란, 스테인리스, 철, 알루미늄 등의 판, 혹은 금속을 증착한 플라스틱 등의 판 등의 것이다. 이것들을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여 상자체로 하고 있다.
실시 형태 3은 기체 흡착 물질(2)로서 기체 흡착 합금을 채용한 일례를 나타낸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도, 도 1, 도 2가 적용된다. 단열체(1)는, 기체 흡착 물질(2)(기체 흡착 합금)과, 기체 흡착 물질(2)을 수납하는 용기(3)와, 기체 흡착 물질(2)과 용기(3)를 덮는 금속의 2중의 원통 용기로 구성된 외피재(4)로 이루어진다. 외피재(4)의 내부(2중의 원통 용기의 사이의 공간)는 감압하고 있다.
기체 흡착 물질(2)로서 기체 흡착 합금을 채용하고, 금속으로서 Li 및 Fe을 이용하였다. Li과 Fe을 Ar 분위기 중 볼밀로 기계적 합금화을 행하여 혼합하였다.
또, 도 3의 Li-Fe의 상도로부터 혼합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리튬(Li)과, 철(Fe)의 상도(Phase Diagram)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리튬(L)i과, 철(Fe)의 조성비를, 원자 퍼센트 및 중량 퍼센트로 각각 나타내었다. Fe의 조성비는, 리튬(Li)이 0일 때에 100원자 퍼센트 또는 100중량 퍼센트에 상당한다. 또, 리튬(Li)이 100원자 퍼센트 또는 100중량 퍼센트일 때에, Fe의 조성비는 0에 상당한다.
도 3의 세로축에는 αFe, γFe 및 δFe을 나타내었다. 이것들은, 철(Fe)의 각 상태를 나타냄과 함께, 각 철의 전이 온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특성 32는 온도가 180.6℃를 나타낸다. 이 온도에서 리튬(Li)의 βLi가 액체로 바뀐다. 특성 34는 온도가 912℃를 나타내고 있고, 이 온도에서 αFe은 γFe로 바뀌고, 특성 36은 γFe이 δFe로 바뀌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 상 특성 38은 Fe이 100%일 때를 나타낸다. 세로축에 거의 겹친 상태의 직선으로 나타내어진다. 상 특성 40은 Li이 100%일 때를 나타내고, 고온이 됨에 따라 조금 경사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금속끼리는 통상 온도를 올려도 상호 작용을 갖는 것은 얻을 수 없다. 그러나, 기계적 합금화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서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혼합할 수 있는 것은, 2종의 금속의 경계면의 일부가 나노레벨로 금속끼리가 혼합되고, 2종의 금속끼리의 경계면에서 상용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시 형태 4에 의거하여 제작한 단열체(1)에 대하여, 기체 흡착의 평가를 행해 보았다. 평가는, 도 1에 나타낸 원통 용기로 이루어지는 외피재(4) 중에, 밀폐된 용기(3)에 봉입한 기체 흡착 물질(2)(Li-Fe 합금)을 정치하고, 외피재(4) 내를 약 1kPa까지 진공 배기하였다. 그 후, 기체 흡착 합금을 봉입한 밀폐 용기(3)에 통기성을 갖게 하여 외피재(4) 내의 잔존 기체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외피재 내의 압력 변화를 관찰하면, 분위기 압력은 1kPa에서 15Pa가 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채용한 단열체 및 종래의 각 흡착재에 대하여, 도 4∼도 8을 이용하여 각각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의 단열체에 이용한 흡착재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흡착재(6A)로서, 통기성이 있는 주머니재(9) 중에 기체 흡착성 물질(기체 흡 착 합금)(2A)을 봉입하였다. 흡착재(6A)를 외피재(8) 내에 배치했을 때, 분위기 압력은 약 1kPa에서 15Pa가 되었다. 또, 분위기 압력이 15Pa가 된 단열체(5)를 소정 시간 방치 후,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질소 흡착에 대한 잔존 능력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는, 흡착재(6A)가 질소를 조금 흡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한 흡착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흡착재(6B)로서, 상면을 개구부로 한 용기(11)의 바닥부에 기체 흡착성 물질(2A)을 넣고, 그 위를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수분 흡착재(10)로 덮어, 압축 성형한 것을 이용하였다.
흡착재(6B)를 외피재 내에 배치했을 때, 분위기 압력은 약 1kPa에서 15Pa가 되었다.
또, 분위기 압력이 15Pa가 된 단열체(5)를 소정 시간 방치 후,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질소 흡착에 대한 잔존 능력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흡착재(6B)가 질소를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실시예 1에 비해 주위가 수분 흡착재(10) 및 용기(11)로 덮여 있고, 수분 등은 수분 흡착재(10)로 흡착하기 때문에, 기체 흡착성 물질(2A)로의 부하가 작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한 흡착재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흡착재(6C)로서, 압축 성형한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주위를,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수분 흡착재(10)로 덮어 더 압축 성형한 것이다.
흡착재(6C)를 외피재(4) 중에 배치했을 때, 분위기 압력은 약 1kPa에서 15Pa가 되었다.
또, 분위기 압력이 15Pa가 된 단열체(5)를 소정 시간 방치 후,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질소 흡착에 대한 잔존 능력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질소를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실시예 1에 비해 주위가 수분 흡착재(10)로 덮여 있고, 수분 등은 수분 흡착재로 흡착하기 때문에, 기체 흡착성 물질(2A)로의 부하가 작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에 이용한 흡착재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흡착재(6D)로서, 통기성이 있는 주머니재(9) 중에 기체 흡착성 물질(2A)을 봉입하고, 또한, 압력차에 의해 부풀어올라, 압력차가 약 500Pa가 된 시점에서 히트 시일부가 파열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충전주머니(12)에 Ar가스와 함께 봉입하였다.
단열체 제작시, 진공 펌프와 연결된 챔버 내에, 개구부를 갖는 외피재(8) 중 에, 심재(7)와, 충전주머니(12) 중에 봉입된 기체 흡착성 물질(2A)과 주머니재(9)가 배치되어 있다. 챔버 내를 감압으로 하여, 챔버 내부와, 충전주머니(12)의 압력차가 약 500Pa가 된 시점에서 충전주머니는 파열하고, 챔버 내와 통기성을 가져, 봉입되어 있던 Ar가스도 배기되고, 그 후, 외피재(8)의 개구부를 히트 시일에 의해 밀폐화하였다. 그 후,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효과에 의해, 단열체는 15Pa가 되었다.
또, 분위기 압력이 15Pa가 된 단열체(5)를 소정 시간 방치 후,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질소 흡착에 대한 잔존 능력의 평가를 행하면, 질소를 흡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실시예 1에 비해, 기체 흡착성 물질(2A)로의 부하가 작아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 및 3에 따른 단열체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단열체(13)로서, 외피재(8) 중에 기체 흡착성 물질(2A)을 주머니재(9)에 봉입한 것 및 수분 흡착재(10)를 주머니재(9)에 봉입한 것을 따로따로 이용한다.
이러한 흡착재를 외피재(8) 내에 배치했을 때, 분위기 압력은 약 1kPa에서 15Pa가 되었다.
또, 분위기 압력이 15Pa가 된 단열체(13)를 소정 시간 방치 후, 기체 흡착성 물질(2A)의 질소 흡착에 대한 잔존 능력의 평가를 행해 보았다. 그 결과, 기체 흡 착성 물질(2A)이 질소를 흡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흡착량은 실시예 2, 3과 비교하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단열체에 대한 비교예를 나타낸다. 평가 방법은 실시예 1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비교예 1)
본 발명의 단열체에 대한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흡착재(6A)로서 Li-Au을 이용하였다. Li과 Au을 Ar 분위기 중 볼밀로 기계적 합금화을 행하였다.
흡착재(6A)를 외피재 내에 배치했을 때, 분위기 압력은 약 1kPa로부터 거의 감소하고 있지 않았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단열체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는 단열체(14, 15), 상자체(16)를 나타낸다. 또, 흡착재(6B) 및 심재(7)는 실시 형태 2의 실시예 2(도 5)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이다.
단열체(14)는, 수지 재료를 가공하여 내부를 중공으로 한 상자체(16)를 이용하였다. 또, 단열체(15)는 도어체로서 이용한다.
또한, 수지 재료는, 수지 재료-금속 필름-수지 재료와 같이, 금속 필름을 수지 재료의 사이에 끼운 것을 이용해도 된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금속 필름을 수지 재료의 사이에 끼워 넣은 구성의 상자체(15)인 경우의 단열체(13, 14)는,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6B)와, 흡착재(6B)를 매설한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심재(7)와, 흡착재(6B) 및 심재(7)를 덮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외피재가 되는 금속 필름을 적층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15)를 구비한다. 심재(7)는 그 구성체나 집합체로서 통기성을 갖는 형태로 하여, 넓은 의미에서의 다공질체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심재(7)는, 섬유, 분체, 발포 수지, 박막 적층체 등, 혹은 그들의 혼합물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재(7)는, 기체에 의한 열전도율의 악화가 일어나기 쉬운 섬유형상의 심재와 기체 흡착성 물질을 이용하면 효과가 배가된다.
또한, 단열체(13, 14)를 형성할 때, 무기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심재(7), 및 흡착재(6B)를 상자체(15) 내부에 배치한 후, 상자체(15) 내부를 진공 배기하여 밀폐화한다.
단열체(14, 15)를 형성할 때, 무기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심재(7), 및 흡착재(6B)를 상자체 내부에 배치한 후, 상자체 내부를 진공 배기하여 밀폐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열체(14)의 내부 압력이 50Pa에 이르는데 요하는 시간은, 진공 펌프에 의한 배기만으로 50Pa에 이르는데 요하는 하는 시간에 비해, 진공 펌프에 의한 배기 시간은 5분의 1 이하로 하였다. 그 후, 단열체를 밀폐화하고, 그 후, 내부 압력이 50Pa까지 기체 흡착성 물질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압됨으로써,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냉장고(17)는, 실시 형태 2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의 단열체(5)를 단열체에 이용한 단열 상자체(18)를 구비한다.
단열 상자체(18)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상자(19)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상자(20)로 이루어지는 상자체 내부에, 단열체(5)를 외부 상자(19)측에 배치하고, 단열체(5) 이외의 공간부를 경질 우레탄 폼(21)으로 발포 충전한 것이다.
냉장고(17) 내에는 증발기(22)가 배치되고, 압축기(23), 응축기(24), 캐필러리 튜브(25)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하여,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또, 냉장고(17)에는 도어체(26)가 부착되어 있고, 도어체(26)의 내부에 단열체(5)가 배치되며, 단열체(5) 이외의 공간부는 경질 우레탄 폼(21)으로 발포 충전되어 있다.
이 때, 단열체(5) 내의 흡착재(6)를 압축기(23)의 근방 혹은 냉장고에 설치되어 있는 라디언트 히터(도시하지 않음)의 근방이 되도록 단열체(5)를 배치해도 된다. 그 경우는, 압축기(23)의 근방, 혹은 서리 제거를 위한 라디언트 히터의 근방(부근)에 흡착재(6)를 배치함으로써, 압축기(23) 또는 라디언트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흡착재(6)의 활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17)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한 바, 단열체(5)를 장착하지 않은 냉장고보다 30% 저하되고, 단열 효과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체는, 냉동 기기 및 냉온 기기, 보냉차나 전자냉각을 이용한 냉장고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자동 판매기 등의, 보다 고온까지의 범위에서 온냉열을 이용한 냉·온 기기를 가리킨다. 또, 가스 기기, 축열·축냉 용 기, 혹은 쿨러박스 등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전기포트, 밥솥, 혹은 자동차 엔진의 보온·축열의 외장재 등, 보온·축열·단열을 목적으로 하는 더욱 온도가 높은 영역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냉동·냉장 기기에 이용하는 경우, 압축기나 서리 제거 히터 부근에 기체 흡착성 물질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열체뿐만 아니라, 감압, 혹은 질소, 산소 등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구조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압 상태를 유지, 혹은 특정한 성분을 꺼리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PDP, SED, 유기 EL, CRB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체는, 단열체 중의 기체, 그 중에서도 특히 보다 활성이 낮은 기체를 흡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 효율의 향상 및 단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발현 가능한 것이다. 특히, 냉동 냉장고 및 냉동 기기를 비롯한 온냉열 기기나, 열이나 추위로부터 보호하고 싶은 물상 등의 모든 단열 용도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높다.

Claims (19)

  1. 외피재와,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Li과 경도가 5 이상인 고체 물질을 갖고 25℃ 상압 하에서 적어도 질소 혹은 산소를 흡착하는 기체 흡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 물질이, 적어도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i의 적어도 일부가, 입경 1mm 이하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i과, 상기 고체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상용(相溶)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i과, 상기 고체 물질이, 기계적 합금화(mechanical alloying)에 의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와는 다르게,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병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성형한 상기 흡착재의 적어도 일면을, 상기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로 덮인 공간 내에, 심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가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0.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와, 상기 흡착재를 덮는 가스 배리어성의 외피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서로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적어도 2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이고,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1. 외피재와, 기체를 흡착하는 흡착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재를 덮는 가스 배리어성의 외피재를 구비하며,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298K에서의 질화물 생성 엔탈피가 0보다 작은 제1 금속과, 상기 금속과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제2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이고,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2. 외피재와, 기체를 흡착하는 흡착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착재가 적어도 Li과, Li과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지 않는 천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기체 흡착 합금이고, 또한 상기 2종의 금속 혼합의 엔탈피가 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착 합금에 있어서, 2종의 금속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용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착 합금은, 적어도 2종의 금속을 기계적 합금화에 의해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5. 상기 흡착재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체 흡착성 물질과,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체 흡착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흡착 합금과 함께, 상기 기체 흡착 합금과는 다른,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를 병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성형한 상기 기체 흡착 합금의 적어도 일면을, 상기 수분 혹은 산소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8.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로 덮인 공간 내에, 기체를 흡착 가능한 흡착재 외에, 다공질체로 이루어진 심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19.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가 금속을 포함하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체.
KR1020077017225A 2005-01-28 2006-01-27 단열체 KR20070089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0734 2005-01-28
JP2005020734A JP4797387B2 (ja) 2005-01-28 2005-01-28 断熱体、及び冷凍・冷蔵機器もしくは冷熱機器
JPJP-P-2005-00105903 2005-04-01
JP2005105903 2005-04-01
JPJP-P-2005-00363027 2005-12-16
JP2005363027A JP4797614B2 (ja) 2005-04-01 2005-12-16 断熱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23A Division KR20080085064A (ko) 2005-01-28 2006-01-27 단열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252A true KR20070089252A (ko) 2007-08-30

Family

ID=367404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23A KR20080085064A (ko) 2005-01-28 2006-01-27 단열체
KR1020077017225A KR20070089252A (ko) 2005-01-28 2006-01-27 단열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23A KR20080085064A (ko) 2005-01-28 2006-01-27 단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33327B2 (ko)
EP (1) EP1843076B1 (ko)
KR (2) KR20080085064A (ko)
TW (1) TW200632245A (ko)
WO (1) WO20060804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62B1 (ko) * 2019-08-27 2020-1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화수소 화물창 단열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0367A1 (de) * 2008-07-11 2010-02-25 Evonik Degussa Gmbh Bauteil zur Herstellung von Vakuumisolationssystemen
JP5899395B2 (ja) * 2011-09-05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箱体
CN103384556A (zh) * 2011-02-14 2013-1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隔热箱体
JP5261616B2 (ja) 2011-02-14 2013-08-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気体吸着デバイス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断熱材
KR101323490B1 (ko) * 2011-08-23 2013-10-31 (주)엘지하우시스 수분 및 가스 흡착용 게터재를 구비한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JP5661175B2 (ja) * 2011-08-31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及び冷蔵庫用の真空断熱材
KR101861832B1 (ko) 2011-11-04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205368B2 (en) * 2012-03-21 2015-12-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as adsorbing device and hollow body housing the same
EP2990712B1 (en) * 2013-04-23 2019-03-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sulator including gas adsorbent
EP3012020B1 (en) 2014-10-24 202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adsorbing material and use of a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cluding the same
CN109154641B (zh) 2016-03-04 2021-09-17 概念集团有限责任公司 具有反射材料增强的真空隔热制品
JP6807661B2 (ja) 2016-06-01 2021-01-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ガス吸着材、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ガス吸着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014463A1 (en) * 2017-07-12 2019-01-17 Radhakrishnan Shriram VACUUM INSULATED ARTICLES ENHANCED WITH REFLECTIVE MATERIAL
CN109488563B (zh) * 2018-12-21 2024-04-02 江苏深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真空冷泵装置及方法
EP4082935A4 (en) * 2019-12-26 2023-07-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STANT TEMPERATURE TANK
US11904297B1 (en) 2023-01-11 2024-02-20 Iliad Ip Company, Llc Process for manufacturing lithium selective adsorption/separation media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469A (en) * 1968-03-08 1970-01-06 Lincoln Electric Co High impact cored welding electrode
JPS61103090A (ja) 1984-10-23 1986-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真空断熱構造体
US4770697A (en) * 1986-10-30 1988-09-1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lanketing atmosphere for molten aluminum-lithium alloys or pure lithium
JPH03252866A (ja) 1990-03-02 1991-11-12 Hitachi Ltd 計算機のデータ検索方法
IT1271207B (it) * 1994-07-07 1997-05-27 Getters Spa Dispositivo per il mantenimento del vuoto in intercapedini termicamente isolanti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JPH08159377A (ja)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Refrig Co Ltd 真空断熱体
IT1277457B1 (it) * 1995-08-07 1997-11-10 Getters Spa Combinazione di materiali getter e dispositivo relativo
BR9707403A (pt) * 1996-02-09 1999-04-06 Getters Spa Combinação de materiais para a partida em baixa temperatura da ativação de materiais absorventes metálicos e dispositivos absorventes metálicos que contêm os mesmos
JP3795615B2 (ja) * 1997-03-11 2006-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断熱箱体
EP0940239B1 (en) * 1998-03-06 2004-01-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ycling of cured phenolic resin
TW470837B (en) 2000-04-21 2002-01-01 Matsushita Refrigeration Vacuum heat insulator
JP2001349492A (ja) 2000-06-05 2001-12-21 Sanyo Electric Co Ltd 廃棄物等を利用した積層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44482A1 (en) * 2001-04-06 2002-10-10 Henson Robert G. Shapeable vacuum insulation panel containing a single core component
TW593919B (en) * 2002-05-31 2004-06-21 Matsushita Refrigeratio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frigerator using th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US7036550B2 (en) * 2002-09-27 2006-05-02 University Of Queensland Infiltrated aluminum preforms
US6911065B2 (en) * 2002-12-26 2005-06-28 Matheson Tri-Gas,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high purity fluid
JP2004358390A (ja) * 2003-06-05 2004-12-24 Mitsubishi Chemicals Corp 二酸化炭素吸収材
JPWO2004110930A1 (ja) 2003-06-12 2006-07-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ナノ粒子含有複合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7053A (ja) * 2005-07-06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7057199A (ja) * 2005-08-26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562B1 (ko) * 2019-08-27 2020-1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화수소 화물창 단열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3076B1 (en) 2017-10-25
US20090007789A1 (en) 2009-01-08
TW200632245A (en) 2006-09-16
EP1843076A1 (en) 2007-10-10
US7833327B2 (en) 2010-11-16
WO2006080416A1 (ja) 2006-08-03
EP1843076A4 (en) 2014-01-08
KR20080085064A (ko) 200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9252A (ko) 단열체
JP4779684B2 (ja) 真空断熱箱体
US20180266620A1 (en) Vacuum heat insulator, heat insulation device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heat insulator
JP5198167B2 (ja) 真空断熱箱体
EP1275894B1 (en) Heat insulation box, and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used therefor
JP4797387B2 (ja) 断熱体、及び冷凍・冷蔵機器もしくは冷熱機器
JP2007238141A (ja) 真空容器
JPH08159377A (ja) 真空断熱体
US9556998B2 (en) Insulator including gas adsorbent
JP4862569B2 (ja) ガラスパネル
JP2007162824A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箱体
JP4797614B2 (ja) 断熱体
JP2010096291A (ja) 真空断熱箱体
JP2009063033A (ja) 断熱体
JP2008208844A (ja) 真空断熱箱体
JP2009287791A (ja) 真空断熱箱体
JP2007017053A (ja) 冷蔵庫
JP2007239904A (ja) 情報機器
JP2009018826A (ja) 真空断熱箱体
JP3935556B2 (ja) 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81089A (ja) 真空断熱材
JP2006075756A (ja) 気体吸着材および断熱体
JP2006046512A (ja) 断熱体
JP2008069820A (ja) 断熱体
JP4779687B2 (ja) 真空断熱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10

Effective date: 20100430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