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373A -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373A
KR20070088373A KR1020070018241A KR20070018241A KR20070088373A KR 20070088373 A KR20070088373 A KR 20070088373A KR 1020070018241 A KR1020070018241 A KR 1020070018241A KR 20070018241 A KR20070018241 A KR 20070018241A KR 20070088373 A KR20070088373 A KR 2007008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stimation
preamble
estimation result
channe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203B1 (ko
Inventor
이서구
박민철
김태곤
박윤상
송봉기
김인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8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8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 H04L25/023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with extension to other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채널추정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채널추정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심볼에 대해 채널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결과를 출력하는 채널추정기와 상기 채널추정기가 추정한 채널 추정결과와 프리앰블위상보상기가 보상한 채널 추정결과를 저장하는 추정버퍼와 상기 채널추정기로부터 상기 채널 추정결과 중에서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추정버퍼로부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회전(Phase Rotation)값을 구하고, 상기 위상회전값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여 상기 추정버퍼에 저장하는 상기 프리앰블위상보상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FCH 및 DL-MAP의 복조시 종래 N 번째 PUSC 심볼의 채널추정을 위해 상기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했던 것과는 달리, 위상회전성분을 보상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채널추정을 함으로써,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FCH 및 DL-MAP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 FCH(Frame Control Header), DL(Downlink)-MAP, 채널추정(Channel Estimation).

Description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FOR DATA DEMODUL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래임 복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프리앰블과 PUSC 심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프리앰블과 PUSC 심볼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장치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위상보상기의 세부 블록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프리앰블과 PUSC 심볼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사용자단말기에서의 FCH(FCH: Frame Control Header)및 DL-MAP(DL-MAP: DownLink-MAP)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제공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하기로 한다)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이하 'L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이하 'MAN'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MAN 시스템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광대역(broadband) 제공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OFDM 기술은 다중반송파를 이용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기존의 단일반송파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 비해 높은 주파수효율성과 전송율을 가진다. 상기 OFDM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주파수영역에서 각 부반송파(subcarrier)별로 데이터 심볼(Symbol)을 전송하기 때문에 무선채널환경에 대한 보상이 1-tap 등화(equalization)로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IEEE 802.16 시스템과 같은 이동성(mobility)을 보장하는 OFDM 시스템의 경우 무선채널환경이 시변(time-varying)하므로, 채널추정방식은 시변하는 채널을 계속 추적(tracking)할수 있어야 한다. 상기 시변채널에 대한 채널추정은 주로 OFDM 심볼 내에 일부 파일럿(pilot) 부반송파에 수신단이 이미 알고 있는 신호를 실어 전송함으로써 가능하며, 이 경우 실제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추정은 주로 상기 파일럿을 이용한 보간(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IEEE 802.16시스템은 하나의 하향링크 프래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래임의 제일 앞부분에 위치한 FCH와 DL-MAP에 저장하여 전송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래임 복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FCH는 햐향링크 프래임의 제일 앞부분에 위치한다. 즉, 프리앰블 이후의 첫번째 PUSC 심볼의 고정된 길이와 변조방식(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12)을 가지고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어, 사용자단말기가 수 신한 프래임에 대한 정보, 즉 프래임의 구조, 데이터 버스트(burst)할당 위치, 길이 등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도 FCH는 복조할 수 있게 설계된다.
상기 DL-MAP은 FCH의 바로 다음에 위치한다. 상기 DL-MAP의 길이 및 변조율은 가변적이며, 이에 대한 정보는 상기 FCH에 포함되어 있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초기에 프래임이 시작한 이후에 이미 알고 있는 위치에 이미 알고 있는 MCS레벨(modulation and coding scheme level)로 할당되어 있는 FCH를 복조하여 DL-MAP에 대한 복조 파라미터를 찾아내고, 이를 이용하여 DL-MAP을 복조해야 실제로 프래임 전체의 존(zone)정보, 데이터 버스트의 길이, 위치 및 복조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FCH 혹은 DL-MAP 복조에 실패할 경우 그 프래임 전체에 실려 있는 프래임에 대한 복조에 실패하게 된다.
상기 FCH 및 DL-MAP의 복조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동기 및 채널추정을 수행하는 성능이다. 상기 채널추정은 프리앰블 및 PUSC 심볼에 전송되는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한다. 상기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한 채널추정은 LS(Least-square)기법 혹은 LMMSE(Linear Minimum Mean Square Estimation)기법이 사용되며, 상기 LS기법이 상기 LMMSE 기법보다는 성능이 낮지만 구현이 간단하여 주로 사용된다.
우수한 채널 추정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우선 시간동기 및 주파수동기단에서의 성능이 좋아야 한다. 시간동기가 어긋나서 보호구간 이후로 심볼의 시작점이 설정될 경우 ISI(Inter Symbol Interference)성분이 발생하여 채널추정의 성능이 저하되며, 주파수동기의 경우 부반송파 간격의 소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오차가 발생할 경우 이에 의한 ISI성분이 발생하여 채널 추정의 성능이 저하된다.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시변채널과 가산성백색가우스잡음(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의 영향으로 정확한 시간 및 주파수동기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어느 정도의 오차는 항상 발생한다. 그러나 채널 추정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시간동기의 경우 보호구간 안쪽에서 심볼의 시작점을 설정하고, 주파수동기의 경우는 대부분 부반송파 간격의 1% 이내의 잔류 주파수 오차가 남도록 채널이 추정되어야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프리앰블과 PUSC(Partial Use of SubChannel) 심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는 FCH와DL-MAP이 전송되는 PUSC 심볼의 구조에서 1024 탭(tap)의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프리앰블의 경우는 3개의 부반송파마다 하나의 파일럿 부반송파가 전송되고, 상기 PUSC 심볼의 경우는 14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마다 2개의 파일럿 부반송파가 전송되며 2 심볼 단위로 파일럿 부반송파의 위치가 바뀐다.
연속하는 14개의 부반송파와 2개의 심볼을 묶어 클러스터(cluster)라 칭한다. 또한,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된 파일럿 부반송파의 경우 데이터 심볼이 데이터 부반송파에 비해 9dB의 전력부스팅(Power Boosting)이, 주파수재사용팩터1(Frequency Reuse Factor 1)을 사용하는 PUSC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의 경우는 2.5dB의 전력부스팅이 된다.
상기 프리앰블은 PUSC 심볼보다 파일럿의 밀도가 높고, SNR(Signla to Noise Ratio)이 높기 때문에 채널추정의 성능은 데이터 심볼보다 프리앰블의 경우가 더 우수하다. 또한, 상기 FCH와 DL-MAP이 포함되어 있는 첫번째 두 PUSC 심볼에 대해서는 채널추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잡음감소필터(noise reduction filter)를 사용할 수 없다. 상기 두 PUSC 심볼의 주파수재사용팩터는 상기 FCH를 복조하기 전에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주파수재사용팩터는 상기 PUSC 심볼의 부반송파가 현재 프래임에서 사용되는지("주파수재사용 팩터 1"의 경우), 아니면 부반송파들 중에 일부만이 사용되는지("주파수재사용 팩터 3"의 경우)에 따라 결정되며, 일부만이 사용되는 상기 "재사용 3"일 경우, 중간의 클러스터에 파일럿 및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잡음감소필터링을 수행할 수 없다.
프래임의 앞부분에 위치한 PUSC 심볼에 대한 채널추정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존부스팅(zone boosting)이다. 상기 존부스팅을 사용할 경우 PUSC의 주파수재사용팩터에 따라 파일럿의 전력이 달라지며, 첫번째 두 PUSC 심볼의 주파수재사용팩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CH를 정상적으로 복조해야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전력의 크기로 전달되는 프리앰블과 그 다음 두 심볼에는 채널추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시간보간(time interpolation)기법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FCH와 DL-MAP의 복조에 사용되는 채널 추정값은 이들이 포함되는 PUSC 심볼의 파일럿 값을 이용한 채널추정치보다 바로 앞의 프리앰블을 이용한 채널추정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우수한 복조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잔류주파수오차를 고려할 경우, 상기 잔류주파수오차의 영향은 ISI 와 시간이 지날수록 누적되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위상회전으로 나타난다. 상기 ISI의 경우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주로 상기 위상회전에 의한 성능저하만을 고려한다. 상기 위상회전 값은 심볼 단위로 누적되어 커지며, 한 심볼 내에서는 부반송파에 모두 동일한 회전값을 갖는다.
즉, 상기 잔류주파수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프리앰블을 이용해 구한 채널추정치와, 그 이후에 전송되는 프래임의 앞부분 PUSC 심볼들의 파일럿을 이용한 채널 추정치는 위상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FCH와 DL-MAP의 복조에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치를 사용할 경우, 위상회전값에 의해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즉, 상기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값을 상기 FCH와 DL-MAP의 복조에 적용할 경우, 프래임 앞부분의 PUSC 심볼의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SNR에서는 이득이 있으나, 잔류주파수오차를 고려할 경우에는 상기 위상회전성분으로 인해 큰 이득이 없다.
또한 프리앰블을 이용한 채널 추정치를 프래임 앞부분 PUSC 심볼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위상회전성분 이외에도 무선 채널 환경의 시변 특성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야 한다. 즉, 프리앰블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심볼까지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치를 적용할지는 채널의 코레런스 타임(coherence time)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채널의 코레런스 타임보다 긴 시간까지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값을 그 이후 심볼들에 적용할 경우 상기 위상회전성분보다 채널 자체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한 성능 저하가 더 크게 작용하여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변조방식(QPSK 1/12)을 적용한 DL-MAP과 데이터 버스트의 복조성능을 비교하면, DL-MAP에 대한 복조성능이 낮다. 따라서, 상기 프리앰 블을 이용한 FCH 및 DL-MAP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 방식과 프래임 앞부분의 PUSC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한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 방식의 장점만을 이용한 보다 효율적인 채널추정방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앰블을 이용한 채널추정방식과 프래임 앞부분의 PUSC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한 채널추정방식의 장점만을 이용하여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FCH 및DL-MAP 복조성능을 향상시키는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채널추정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심볼에 대해 채널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결과를 출력하는 채널추정기와, 상기 채널추정기가 추정한 채널 추정결과와 프리앰블위상보상기가 보상한 채널 추정결과를 저장하는 추정버퍼와, 상기 채널추정기로부터 상기 채널 추정결과 중에서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추정버퍼로부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회전(Phase Rotation)값을 구하고, 상기 위상회전값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여 상기 추정버퍼에 저장하는 상기 프리앰블위상보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사용자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은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값을 FCH 및DL-MAP 복조에 이용하는 경우의 이점과 프래임 앞부분의 PUSC 심볼에 있는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한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는 경우의 이점을 이용한 것이다. 즉,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구한 높은 SNR의 채널 추정값에 잔류주파수오차로 인한 프래임 앞부분의 PUSC 심볼과의 채널 추정값의 위상차이만을 보정하여 상기 FCH 및 DL-MAP 복조에 이용한다.
상기 방식을 설명하면, 입력되는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채널추정을 수행한 후, 그 값을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첫번째 PUSC 심볼이 입력될 때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간단한 LS(Least Square)추정을 이용하여 상기 첫번째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해 채널추정을 수행한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X 는 수신단에서 이미 알고 있는 파일롯 부반송파의 값이고, Y 는 파일롯 부반송파에서 수신한 값이다.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해 구한 상기 첫번째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값과 이미 버퍼에 저장해 둔 프리앰블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값에 대해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켤레복소수 곱셈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프리앰블과 첫번째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간의 채널 추정값의 위상차이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2
상기 첫 번째 PUSC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들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구한 위상 차이를 이용해서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의 연산과정을 수행하면 잡음과 시변채널의 성질에 따라 발생한 편차를 최소화하는 위상 차이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 의한 위상차이 값은 잡음과 시변채널의 성질에 따른 편차가 최소화되어 있고, 부반송파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잔류주파수오차에 의한 위상회전 성분만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수학식 3>의 위상차이 값은 <수학식 4>의 입력파라미터로 사용된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4
상기 <수학식 4>는 상기 <수학식 3>에서 구한 위상 차이를 이용해 상기 첫번째 PUSC심볼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 이제,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해 구한 N 번째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값과 이미 버퍼에 저장해 둔 프리앰블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값에 대해 하기 <수하식 5a>를 사용하여 켤레복소수 곱셈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프리앰블과 상기 N 번째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간의 채널 추정값의 위상차이를 하기 <수힉식 5b>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N 번째 PUSC 심볼은 하기에서 설명할 확장 제어기가 "N" 값을 결정한다. 상기 "N"값은 자연수이고 PUSC 심볼 번호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5
여기서, H는 채널행렬이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6
여기서, H는 채널행렬이다.
상기 <수학식 5a> 및 <수학식 5b> 를 사용하여 구해진 위상차이를 이용하여 위상 보상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수학식은 상기 <수학식 4>와 동일하다.
상기 보상과정을 거친 채널 추정 값은 다시 버퍼에 저장되며, 뒷 단의 복조기에서 FCH 및 DL-MAP의 복조를 위해 사용된다.
한편, (N+1) 번째 심볼부터는 정상적인 채널추정과정을 수행하는데, 그 이유는 (N+1) 번째 심볼에도 상기 과정을 적용하기에는 프리앰블과의 위상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프리앰블과 PUSC 심볼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장치의 블록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추정기(305)는 프리앰블 및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추정과정을 수행한다.
추정버퍼(315)는 상기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값 및 보상된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을 저장한다.
프리앰블위상보상기(320)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과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값을 사용하는 N 번째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의 채널 추정값을 이용하여 위상회전 값을 구하고, 상기 프리앰블 채널추정 값을 보상한다.
추정제어기(310)는 채널추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상기 채널추정기(305)에 제공한다. 그리고 MUX(327)를 제어하여 채널추정결과를 선택하게 하고, 상기 추정 버퍼(315)를 제어하여 상기 추정버퍼(315)에 입력되는 추정 값들을 구분하여 저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추정제어기(310)는 상기 프리앰블위상보상기(320)에게 PUSC심볼선택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프리앰블위상보상기(320)가 PUSC 심볼에 따른 위상보상과정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보상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확장제어기(325)는 상기 채널 추정기(305)로부터 프리앰블 채널추정값을 제공받고, 프리앰블 채널 추정 값을 사용하는 PUSC 심볼의 수를 결정하여 상기 추정제어기(310)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위상보상기의 세부 블록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켤레복소수곱셈기(410)는 추정버퍼(315)로부터의 프리앰블 채널추정 결과 값과, 채널 추정기(305)로부터의 N 번째 PUSC 심볼채널의 파일롯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추정 결과 값을 입력받아 상기 <수학식 5a>에서의 켤레복소수곱셈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 값인 상기 프리앰블의 채널추정 값과 상기 N 번째 PUSC 심볼 채널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추정 값 사이의 위상 차이를 각각 실수 연산기(415)와 허수 연산기(420)로 제공한다.
상기 실수연산기(415)는 상기 위상차이 값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5b>를 이용해 상기 N 번째 PUSC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값과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 사이의 위상차이의 실수성분을 구하고 역탄젠트(Arctangent)연산기(425)로 제공한다.
상기 허수연산기(420)는 상기 위상차이값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5b>을 이용해 상기 N 번째 PUSC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값과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 사이의 위상차이의 허수성분을 구하고 상기 역탄젠트연산기(425)로 제공한다.
상기 역탄젠트연산기(425)는 상기 실수연산기(415)와 허수연산기(420)가 제공한 위상 차이값에 역탄젠트 연산과정을 수행하여 편차를 최소화한 위상 값을 구하고 COS/SIN 연산기(435)로 제공한다.
상기 COS/SIN 연산기(435)는 상기 역탄젠트 연산기(425)가 제공한 위상 값에 따라, N 번째 PUSC 심볼 추정을 위한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4>에서 사용할 지수 값을 상기 복소수곱셈기(430)로 제공한다.
상기 복소수곱셈기(430)는 상기 COS/SIN 연산기(435)가 제공한 지수 값에 따라,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을 보상한다.
상기 도 3의 확장 제어기(325)는 각 프래임의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값으로부터 채널의 시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프리앰블의 채널추정결과를 사용하는 PUSC 심볼 수( "N")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추정제어기(310)에 전달한다.
이 때 느리게 변하는 채널이라고 해서 프래임의 뒷부분까지 계속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결과를 확장(extension)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정상적으로 프리앰블과의 위상차이를 구하려면 해당 데이터 심볼이 PUSC 심볼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채널의 시변 특성을 관찰한 결과 10번째 데이터 심볼까지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 결과를 적용해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더라도, 그 전에 7번째 심볼에서 존 스위칭(zone switching)이 발생하여 PUSC가 아닌 다른 순열(permutation)에 속하는 심볼이 전송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 결과는 6번째 심볼까지만 적용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프리앰블과 PUSC 심볼의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05단계에서 현재 채널추정기(305)에 프리앰블이 입력되고 있는 경우, 상기 채널 추정기(305)는520단계로 진행하여 프리앰블에 대한 채널추정을 수행하고 540단계에서 채널추정결과를 추정 버퍼(315)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 프리앰블이 입력된 다음에, 510단계에서 채널 추정기(305)에 N 번째 PUSC 심볼이 입력되고 있을 때, 상기 채널추정기(305)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N 번째 PUSC 심볼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롯에 대한 채널 추정값과 미리 버퍼에 저장한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학식 5a> 및 <수학식 5b>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앰블과 N 번째 PUSC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값의 위상 차이를 계산하고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한다.
이후, 5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25단계에서 구한 위상차이 값과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상기 N 번째 PUSC 심볼 추정을 위한 프리앰블 채널 추정값을 보상하고 560단계로 진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추정버퍼(315)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 하향링크의 N 번째 PUSC 심볼이 입력된 후, 상기 채널추정기(305)에 N+1 번째 심볼이 입력되고 있을 때, 상기 채널추정기(305)는 5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롯 부반송파들을 이용해 정상적인 채널추정을 수행하고, 555단계에서 그 결과를 추정버퍼(315)에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CH 및 DL-MAP의 복조시 종래 N 번째 PUSC 심볼의 채널추정을 위해 상기 심볼에 위치한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했던 것과는 달리, 위상회전성분을 보상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채널추정을 함으로써,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FCH 및 DL-MAP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2)

  1.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채널추정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심볼에 대해 채널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결과를 출력하는 채널추정기와,
    상기 채널추정기가 추정한 채널 추정결과와 프리앰블위상보상기가 보상한 채널 추정결과를 저장하는 추정버퍼와,
    상기 채널추정기로부터 상기 채널 추정결과 중에서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추정버퍼로부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회전(Phase Rotation)값을 구하고, 상기 위상회전값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여 상기 추정버퍼에 저장하는 상기 프리앰블위상보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채널추정기에게 채널추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추정버퍼에게 입출력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프리앰블위상보상기에게 심볼선택정보를 제공하는 추정제어기와, 상기 채널추정기로부터 채널추정결과를 제공받아 현재 무선 채널의 시변 특성을 분석하여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 결과를 프 래임의 앞부분 몇 번째 데이터 심볼까지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정제어기에게 제공하는 확장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은 PUSC(Partial Use of SubChannel)심볼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시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의 위상을 보상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에 있어서,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 채널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위상회전값을 출력하는 제 1 장치와,
    상기 위상회전값을 입력받아 위상이 보상된 프리앰블 채널추정결과를 출력하는 제 2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결과와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롯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켤레복소수곱셈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인 상기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차이값을 각각 실수연산기와 허수연산기로 제공하는 켤래복소수곱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켤레복소수곱셈기는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롯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에 대한 켤레복소수곱셈을 하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프리앰블위상보상기.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7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치는, 상기 켤레복소수곱셈기로부터의 위상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차이의 실수성분을 구하는 실수연산기와,
    상기 켤레복소수곱셈기로부터의 위상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의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차이의 허수성분을 구하는 허수연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수연산기 및 허수연산기는 상기 켤래복소수곱셈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상차이값의 실수성분과 허수성분을 하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모두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8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실수연산기와 상기 허수연산기가 제공한 상기 실수성분값과 허수성분값을 바탕으로 역탄젠트 연산과정을 수행하여 편차를 최소화한 위상회전값을 출력하는 역탄젠트연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 블위상보상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은 PUSC(Partial Use of SubChannel)심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역탄젠트연산기가 출력한 위상회전값을 기반으로,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기 위해 추정제어기의 심볼선택지시에 따른 지수(exponential)값을 출력하는 COS/SIN 연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OS/SIN 연산기는 제 N 데이터 심볼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는 복소수곱셈과정에서 사용할 지수값을 상기 복소수곱셈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COS/SIN 연산기가 출력한 지수값에 따라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는 복소수곱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수 곱셈기는 제 N데이터 심볼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하기 <수학식 8>을 이용하여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위상보상기.
    Figure 112007015952249-PAT00009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15.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채널추정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프래임의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추정한 결과를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에 저장한 후, 상기 하향링크 프래임의 데이터의 심볼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의 위상차이를 구하여 상기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회전값을 보상하고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회전값을 보상하고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프리앰블 채널추정결과를 저장한 후, 상기 하향링크 프래임의 제 N 데이터 심볼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의 위상차이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차이를 구하여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하고, 상기 위상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에 대한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회전값을 보상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회전값을 보상하고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에 대한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회전값을 보상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한 후, N+1번째 심볼을 수신하는 경우부터는 일반적인 채널추정과정을 수행하고 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의 위상차이는 하기 <수학식 9> 및 <수학식 10>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7015952249-PAT00010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15952249-PAT00011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프래임의 제 N 데이터 심볼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한 위상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에 대한 프리앰블 채널의 위상회전값을 보상하는 과정은 하기 <수학식 11>을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7015952249-PAT00012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은 PUSC(Partial Use of SubChannel)심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시 프리앰블위상보상기의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의 위상 보상방법에 있어서,
    프리앰블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 채널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위상회전값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회전값을 입력받아 위상이 보상된 프리앰블 채널추정결과를 출력하 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 채널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위상회전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켤레복소수곱셈기가 추정버퍼로부터의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와, 채널추정기로부터의 제 N 데이터 심볼채널의 파일롯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켤레복소수곱셈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인 위상차이값를 각각 실수연산기와 허수연산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켤레복소수곱셈기는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롯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에 대한 켤레복소수곱셈을 하기 <수학식 12>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7015952249-PAT00013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 채널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위상회전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실수연산기와 상기 허수연산기가 상기 위상차이값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의 채널 추정결과와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대한 채널 추정결과 사이의 위상차이의 실수성분과 허수성분을 구하여 역탄젠트연산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실수연산기 및 상기 허수연산기는 상기 켤래복소수곱셈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위상차이값의 실수성분과 허수성분을 하기 <수학식 13>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7015952249-PAT00014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채널 추정결과와 제 N 데이터 심볼 채널추정결과를 입력받아 위상회전값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위상차이의 실수성분과 허수성분을 제공받은 상기 역탄젠트 연산기가 역탄젠트 연산과정을 수행하여 편차를 최소화한 위상회전값을 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데이터 심볼은 PUSC(Partial Use of SubChannel)심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회전값을 입력받아 위상이 보상된 프리앰블 채널추정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은,
    위상차이의 실수성분과 허수성분을 제공받은 상기 역탄젠트 연산기는 역탄젠트 연산과정을 수행하여 편차를 최소화한 위상회전값을 구하고 COS/SIN 연산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회전값을 입력받아 위상이 보상된 프리앰블 채널추정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편차를 최소화한 위상회전값을 제공받은 상기 COS/SIN 연산기가 상기 추정제어기의 심볼선택지시에 따른 지수값을 복소수곱셈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COS/SIN 연산기는 제 N 데이터 심볼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보상하는 복소수곱셈과정에서 사용할 지수값을 상기 복소수곱셈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회전값을 입력받아 위상이 보상된 프리앰블 채널추정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지수값을 제공받은 상기 복소수곱셈기가 상기 지수값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채널의 추정결과를 보상하고 추정버퍼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수 곱셈기는 제 N 데이터 심볼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기 프리앰블 채널 추정결과를 하기 <수학식 14>를 이용하여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7015952249-PAT00015
    여기서 H 는 채널행렬을 나타낸다.
KR1020070018241A 2006-02-24 2007-02-23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 KR100896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042 2006-02-24
KR20060018042 200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373A true KR20070088373A (ko) 2007-08-29
KR100896203B1 KR100896203B1 (ko) 2009-05-12

Family

ID=3816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241A KR100896203B1 (ko) 2006-02-24 2007-02-23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01252B2 (ko)
EP (1) EP1826972B1 (ko)
JP (1) JP4455607B2 (ko)
KR (1) KR100896203B1 (ko)
CN (1) CN101115036B (ko)
DE (1) DE602007006246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09B1 (ko) * 2007-11-26 2009-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역탄젠트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1492641B1 (ko) * 2008-12-29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추정 및 보상 방법 및 그 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84B1 (ko) * 2005-07-04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뎀에서 데이터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US20080285693A1 (en) * 2007-05-18 2008-11-20 Mediatek Inc. Receiver apparatus for processing amplitude-modulated signal
KR101422012B1 (ko) * 2007-10-19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 생성 방법, 제어채널 복호화 방법, 이를 구현하는기지국 및 단말
KR101452995B1 (ko) * 2008-02-19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수신기에서 아이/큐 불균형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8059759B2 (en) * 2008-05-19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nitial FCH processing
CN101686218B (zh) * 2008-09-28 2013-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ofdm通信系统处理帧前缀的方法
JP5477480B2 (ja) * 2010-03-29 2014-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正確な時間同期用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20140805A1 (en) * 2010-12-06 2012-06-07 Schneider Electric USA, Inc. Complex adaptive phase estimation
US8644330B2 (en) * 2011-03-29 2014-02-04 Intel Corporation Architecture and method of channel esti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78203B2 (en) * 2011-07-31 2013-07-02 Xiao-an Wang Phase synchronization of base stations via mobile feedback in multipoint broadcasting
CN102857291B (zh) * 2012-01-04 2015-01-07 东南大学 一种基于均匀天线阵的提高无线传输接收信号增益方法
JP5482844B2 (ja) * 2012-08-02 2014-05-07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イロット配置方法及びこれを適用する送受信装置
CN105635020B (zh) * 2015-12-25 2018-09-2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Ofdm的采样频率偏差和载波频率偏差估计方法及装置
CN107064969B (zh) * 2017-03-06 2019-11-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gnss接收机码相位估计与补偿方法
CN108832965B (zh) 2017-05-04 2019-11-1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上行同步定时偏差的方法及装置
CN109525524B (zh) * 2018-06-28 2020-07-17 大唐联仪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同步方法及装置
US11038719B2 (en) * 2019-04-30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systems with PLL phase discontinuiti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6714C (en) 1999-04-22 2007-07-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Receiver for ofdm packet communication system
JP3539383B2 (ja) 2000-11-28 2004-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Ofdm通信装置
US7103116B2 (en) * 2001-09-24 2006-09-05 Atheros Communications, Inc. Detection of a false detection of a communication packet
US7020222B2 (en) * 2001-10-24 2006-03-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fficient method and system for offset phasor determination
US7180965B2 (en) * 2001-12-12 2007-02-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hase estimation and compensation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 systems
EP1335552B1 (en) * 2002-02-07 2007-01-10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Estimation of channel response and of delay in multicarrier systems
JP2004064587A (ja) 2002-07-31 2004-02-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器
JP3791473B2 (ja) 2002-08-07 2006-06-28 Kddi株式会社 伝搬路推定を行うofdm受信装置
JP2004159138A (ja) 2002-11-07 2004-06-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Ofdm変調方式による無線システム及び受信器
CN100347962C (zh) * 2004-03-31 2007-11-07 清华大学 时域同步正交频分复用接收机去除相位噪声的方法及系统
CN100403657C (zh) * 2004-05-25 2008-07-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基于训练序列的td-scdma系统频偏补偿方法及装置
KR100651536B1 (ko) 2004-06-2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모드 정보 송수신방법
JP4406398B2 (ja) 2005-12-26 2010-01-27 株式会社東芝 Ofdm信号の送信方法と送信装置及びofdm信号の受信装置
KR100718607B1 (ko) 2005-12-29 2007-05-17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09B1 (ko) * 2007-11-26 2009-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역탄젠트 계산 방법 및 장치
KR101492641B1 (ko) * 2008-12-29 2015-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추정 및 보상 방법 및 그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5036A (zh) 2008-01-30
US7801252B2 (en) 2010-09-21
EP1826972B1 (en) 2010-05-05
US20070211832A1 (en) 2007-09-13
KR100896203B1 (ko) 2009-05-12
CN101115036B (zh) 2014-01-22
JP2007228592A (ja) 2007-09-06
EP1826972A2 (en) 2007-08-29
EP1826972A3 (en) 2008-12-10
DE602007006246D1 (de) 2010-06-17
JP4455607B2 (ja)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203B1 (ko)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한 채널추정장치 및 방법
KR100635534B1 (ko) 고속 이동 환경을 위한 하이브리드 채널 추정 방법 및시스템
KR100932320B1 (ko) 수신기 장치 및 전송 시스템
US8406319B2 (en) Channel estimator with high noise suppression and low interpolation error for OFDM systems
US8363536B2 (en) OFDM channel estimation
US75804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50647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398393B1 (ko) Ofdma 시스템에서의 반송파간 간섭 제거 방법
US8149968B2 (en) Estimating a signal-to-interference ratio in a receiv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920386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오프셋을 보상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00009649A1 (en) Channel estimator
KR20060082228A (ko) 다중반송파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파일럿 기반의채널 추정 방법
KR100835164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0738350B1 (ko) Ofdm 통신시스템에서 위상잡음 보상을 위한 등화기 및그 방법
KR20090013957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채널 임펄스 응답의추정 오류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86166B1 (ko) Dft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dvb 시스템과 dvb 시스템의 채널 추정 방법
KR100752421B1 (ko) 오에프디엠 시스템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070113563A (ko) 채널 추정 방법, 채널 추정기, 단말기 및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