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265A - 트리진 핵의 비반응성 측쇄 내에 2가 황을 함유하는 반응성염료 - Google Patents

트리진 핵의 비반응성 측쇄 내에 2가 황을 함유하는 반응성염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265A
KR20070085265A KR1020077008781A KR20077008781A KR20070085265A KR 20070085265 A KR20070085265 A KR 20070085265A KR 1020077008781 A KR1020077008781 A KR 1020077008781A KR 20077008781 A KR20077008781 A KR 20077008781A KR 20070085265 A KR20070085265 A KR 20070085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onally substituted
dye
formula
substituted ar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서니 로렌스
베르너 루쓰
와렌 에베니저
Original Assignee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filed Critical 다이스타 텍스틸파르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도이칠란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8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characterised by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0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o a triazin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0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o a triazine ring
    • C09B62/08Azo dyes
    • C09B62/085Monoazo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02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0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o a triazine ring
    • C09B62/08Azo dyes
    • C09B62/09Disazo or polyazo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loring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염료 및 이들 염료의 제조 방법, 및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물질의 염색 및 프린팅을 위한 이들의 용도에 관련된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6
[식 중, R1, R2 은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3 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유기 아실기 (즉,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등) 또는 유기 티오아실기 (즉, 티오아세틸, 티오프로피오닐, 티오벤조일 등)이며, 이들 모두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R4는 임의의 착색 유기기로, 이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L은, 임의의 탄소함유 연결기로, 즉 지방족, 방향족 또는 조합된 알킬-아릴기로, 일례로 벤질 또는 펜에틸이고, X는 할로겐 또는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이다].

Description

트리진 핵의 비반응성 측쇄 내에 2가 황을 함유하는 반응성 염료{REACTIVE DYES CONTAINING DIVALENT SULFUR IN NON-REACTIVE SIDE CHAIN AT TRIZINE NUCLEUS}
본 발명은 섬유 반응성 염료 분야에 관련된다.
반응성 염료에서 양호한 염소 견뢰도가 점차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2가 황원자 함유 화학식 (I)의 염료가, 염소화 물에 대해 기대치 못하고 예상치 못한 고견뢰도를 나타냄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놀랍게도, 화학식 (I)의 염료는 특정 경우에서, 또한 산화성 워시다운에 대해서도 개선된 견뢰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견뢰도는, 2가 황원자를 함유하지 않은 유사 구조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하기 화학식 (I)의 염료를 청구한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1
[식 중
R1, R2 은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3 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유기 아실기 (즉,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등) 또는 유기 티오아실기 (즉, 티오아세틸, 티오프로피오닐, 티오벤조일 등)이며, 이들 모두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R4는 임의의 착색 유기기로, 이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L은, 임의의 탄소함유 연결기로, 즉 지방족, 방향족 또는 조합된 알킬-아릴기로, 일례로 벤질 또는 펜에틸이고,
X는 할로겐 또는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이다].
R1, R2 및 R3 알킬은, 직쇄 또는 분지쇄로 일례로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또는 n-부틸이다. 바람직하게, R1 및 R2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R3 는 바람직하게 C1-C4 알킬, 히드록시에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설파토에틸, 포스파토에틸, 설파토프로필 또는 포스파토프로필; R3 는 히드록시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R4는 설폰화 발색계로, 안트라퀴논 또는 트리펜디옥사진 염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조 기재 발색계와 같이, 모노 또는 디스아조 염료의 라디칼과 같은 면(綿)을 위한 반응성 염료에 보통 사용되는 것이다.
X는 바람직하게 염소, 불소, 4차 암모늄, 일례로 임의로 치환된 피리디늄 염 또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하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 일례로 설파토에틸설폰, 2-할로에틸설폰 또는 1,2-디할로에틸설폰이다.
본 발명의 염료는, 고체 또는 액체 (용해된) 형태의 제제로 존재 가능하다. 염료 제제는 본 발명 염료 하나 이상을 포함 가능하다. 고체 형태에서 염료는, 수용성의 경우 통상의 전해질염 및 특히 섬유 반응성 염료의 경우 소듐클로라이드, 포타슘 클로라이드 및 소듐 설페이트, 그리고 시판 염료에서 통상의 보조물인 일례로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보레이트,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소듐 시트레이트, 소듐 2수소인산 및 2소듐 수소인산과 같이 수용액의 pH 를 3-7로 유지할 수 있는 완충물질, 소량의 건조제 또는, 액체 내에 존재하는 경우 수용액 (프린트 페이스트에서 통상인 유형의 점증제의 존재 포함), 이들 제제의 영구성을 담보하는 물질, 일례로 곰팡이 방지제를 포함한다.
통상, 본 발명 염료는, 염료 분말 또는 제제를 기준으로 10-80 중량%의 강도 표준화 무색의 희석 전해질염, 일례로 상기한 것들을 포함하는 염료 분말로 존재한다. 이들 염료 분말은, 염료 분말을 기준으로 10% 이하 총량의 상기 완충 물질을 추가로 포함 가능하다. 본 발명 염료 혼합물 및 염료가 수용액 내 존재시, 이들 수용액의 총 염료 함량은, 약 50중량% 이하, 일례로 5-50 중량%이고, 이들 수용액의 전해질염 함량은 수용액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0 중량% 미만이 된다. 수용액 (액체 제제)은, 보통 10 중량% 이하, 일례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중량% 이하, 특히 2-4 중량%의 양으로 상기 완충 물질을 보통 함유 가능하다.
화학식 (I)의 염료는, 화학식 (II)의 염료를, 화학식 (III)의 아민 화합물과 약 8-12, 바람직하게는 9-10의 pH 물 중에서 반응시켜 제조 가능하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2
[식 중,
R2 는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4 는 임의의 착색 유기기로, 이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Y 는 할로겐임],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3
[식 중,
R1 는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3 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유기 아실기 (즉,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등) 또는 유기 티오아실기 (즉, 티오아세틸, 티오프로피오닐, 티오벤조일 등)이며, 이들 모두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L은, 임의의 탄소함유 연결기로, 즉 지방족, 방향족 또는 조합된 알킬-아릴기로, 일례로 벤질 또는 펜에틸이다].
X가 할로겐이 아닌 경우, 3차 아민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기와의 반응이 뒤따르고, 이에 의해 X가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인 화학식 (I)의 염료가 제공된다.
이와 다르게, 화학식 (I)의 아조 염료는, 화학식 (IV)의 아닐린 유도체를, 소듐 나이트라이트와 반응시킨 후, 화학식 (V)의 화합물 상에 통상적으로 커플링시켜 합성 가능하고, 임의로는, 3차 아민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과 추가 반응시켜, X가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인 화학식 (I)의 염료를 제공 가능하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4
[식 중,
Y, L 및 R3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Ar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임],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5
[식 중,
M 은 H, 알칼리 금속, 암모늄 이온 또는 알칼리토금속 균등물이며, n 은 0 및 1의 임의의 정수임].
본 발명 염료는, 섬유 반응성 염료를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각종 적용 및 고정 방법에 의해,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 물질의 염색 및 프린팅에 적합하다. 본 염료는, 매우 밝고 특히 강하며 경제적인 색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염료는 특히 셀룰로스성 물질의 흡진 염색시, 축적, 수용해성, 광견뢰도, 염소 견뢰도, 및 처리 변수에 대한 워시어프 (wash off) 및 강인함을 포함하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 특히 사용된다. 이는 또한, 고온 (80-100℃) 또는 온화한 온도 (40-70℃)에서 셀룰로스성 직물에 대한 적용용으로 고안된 유사한 염료와 완전 상용성이고, 따라서, 적용시간이 짧을 뿐 아니라, 높은 적용 처리 재현성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 물질의 염색 및 프린팅용의 발명의 염료 용도 및, 본 발명에 따른 염료 및 염료 혼합물을 사용한 상기 물질의 염색 및 프린팅 방법에 각각 관련되며, 특히 잉크젯 프린팅을 위한 디지털 프린트 기법에서의 용도와 또한 관련된다. 보통 염료는, 용해 형태로 기질에 적용되고, 알칼리 작용 또는 가열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섬유상에 고정된다.
히드록시 함유 물질은 천연 또는 합성 히드록시 함유 물질이고, 일례로 셀룰로스 섬유 물질이며, 종이 또는 그 재생품 및 폴리비닐알콜 형태를 포함한다. 셀룰로스 섬유 물질은, 바람직하게 면이나, 기타 천연 식물 섬유, 일례로, 리넨, 황마, 대마 및 라미 섬유이다. 재생 셀룰로스 섬유는 일례로 스테이플 비스코스 및 필라멘트 비스코스이다.
카복스아미도 함유 물질은 일례로 합성 또는 천연 폴리아미드 및 폴리유레탄이고, 특히 섬유 형태인, 일례로 모 및 기타 동물 모피, 실크, 가죽, 나일론-6,6, 나일론-6, 나일론-11, 및 나일론-4이다.
본 발명 염료의 적용은, 섬유 반응성 염료의 공지 적용 기술에 의한 염색 및 프린팅 섬유 물질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이다.
본 발명의 염료는, 고온 적용 (80-100℃)을 위해 고안된 유사한 염료와 상용성이 높고, 흡진 염색 과정에 유리하게 유용하다.
유사하게, 셀룰로스 섬유의 통상 프린팅 방법은, 일례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또는 기타 다른 산 결합제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프린팅 페이스트로 프린팅하고, 이어 적절한 온도에서 스티밍하는 단일상 또는, 일례로 착색제 함유 중성 또는 약산성 프린팅 페이스트로 프린팅하고, 이후 프린트된 물질을 전해질을 함유하는 뜨거운 알칼리조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알칼리 전해질을 힘유하는 패딩 액체로 오버패딩하고 이어서 상기 처리된 물질을 뱃치화 하거나 또는 이어서 스티밍 또는 이어서 건조열로 처리하는 2 상에 따라 수행되어, 뚜렷한 경계선 및 선명한 백색 바탕을 가지는 강한 프린트를 생산한다. 고정화 조건의 변화는, 프린팅의 결과에 단지 미미한 효과만을 가진다. 염색뿐 아니라 프린팅에서도, 본 발명의 염료 또는 염료 혼합물로 수득한 고정화도는 매우 높다. 통상의 열건조 과정에 의한 건조열 고정화에서 사용되는 고온의 공기는 120-200℃의 온도를 가진다. 101-103℃의 통상의 스팀에 더하여, 160℃ 이하의 초과가열된 스팀 및 고압 스팀을 또한 사용 가능하다.
셀룰로스 섬유에 염료를 고정시키는 산결합제는, 일례로 유기 또는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의 수용성 염기성염과, 고온에서 알칼리를 방출하는 화합물이다. 특히 적절한 것은, 약산 내지 중간산 정도의 무기 또는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이며,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소듐 및 포타슘 화합물이다. 이들 산결합제는 일례로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소듐 포메이트, 소듐 2수소 인산 및 2소듐 수소 인산이다.
열과 함께 또는 열 없이 산결합제로 본 발명의 염료를 처리하는 것은, 셀룰로스 섬유에 대하여 염료를 화학 결합시킨다. 특히 셀룰로스 상의 염색에서, 고정되지 않은 염료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통상의 린스 후처리 이후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폴리유레탄 및 폴리아미드 섬유의 염색은 보통, 산 매질로부터 수행된다. 염료 욕조는 일례로, 아세트산 및/또는 암모늄 설페이트 및/또는 아세트산 및 암모늄 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목적 pH로 만들수 있다. 허용할만한 염색을 균일성을 얻기 위해, 일례로 시아뉴르산 클로라이드와 아미노벤젠 설폰산 또는 아미노나프탈렌설폰산 3배 몰량의 반응 생성물에 기초한 것 또는, 일례로 스테아릴아민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 생성물에 기초한 것과 같은 통상의 균일화 보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겠다. 일반적으로, 염색할 물질을 약 40℃ 온도의 욕조에 가하고, 그 안에서 일정 시간 교반하고, 염색 욕조를 이후 바람직한 약산성 pH (바람직하게는 약한 아세트산)로 조절하고, 이후 실제 염색을 60-98℃의 온도에서 실시한다. 그러나, 염색은 또한 120 ℃이하의 온도 도는 비등점에서 실시 가능하다 (대기압초과 압력하에서).
잉크젯 프로세스에 사용시 본 발명 염료는, 수성 잉크 내에서 제제화되며, 이는 이후 기질상에 작은 방울로 바로 스프레이된다. 잉크가 균일한 속도로 노즐을 통해 피에조전기로 압착되어, 생성할 패턴에 따라 전기장에 의해 기질 상에 편향시키는 연속 프로세스가 있고, 착색된 점이 놓일 위치에만 잉크가 방출되는, 드랍-온-디맨드 (drop-on-demand) 프로세스 또는 단절된 잉크젯 (interrupted inkjet)이 있다. 후자의 프로세스는, 피에조전기 결정 또는 가열된 캐뉼라 (거품 또는 열젯 프로세스)을 사용하여, 잉크 시스템 상에 압력을 가하고, 따라서 잉크 방울을 방출한다. 이들 기법은, 문헌에 공지이다 (Text. Chem. Color, volume 19 (8), pages 23 ff. 및 volume 21, pages 27 ff).
잉크젯 프로세스를 위한 프린트 잉크는 본 발명 화학식 (I)의 염료 하나 이상을, 잉크 총 중량에 대해 일례로 0.1-50 중량%, 바람직하게 1-30 중량%의 양, 특히 바람직하게 5-25 중량%으로 포함한다. 이들 프린트 잉크는, 바람직하게 적절한 완충 시스템을 이용하여 pH 7.0-9.0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잉크 총 중량에 대해 일례로 0.1-3 중량%, 바람직하게 0.5-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잉크 프린팅을 위한 유용한 완충 시스템은, 일례로, 보랙스, 2소듐 수소인산, 개질된 인산 및, 문헌에 기재된 완충 시스템을 포함한다: 'Chemie der Elemente', VCH Verlagsgesellschaft mbH, 1st edition 1988, pages 665-666, Holleman-Wiberg,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DG & Co. Verlage 47th-56th edition, pages 109-110, Laborchemikalienverlag der Fa. MERCK, Darmstadt, Ausgabe 1999, pages 1128-1133, 'Der Fischer Chemicals Katalog' (Fischer Scientific UK, 1999) pages 409-411, Riedel-de Haen, Laborchemikalien 1996, pages 946-951, Riedel-de Haen, Labor-Hilfstabellen No. 6, buffer solutions.
잉크젯 프로세스 잉크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염료는, 특히 염료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미만, 일례로 0.01-0.099 중량%의 양의 염 함량을 가진다. 필요시에, 염은 일례로 막 분리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중에 사용되기 이전에 탈염화된다. 연속 유동법에서 잉크를 사용하기 위해, 전해질을 가하여 0.5-25 mS/m 로 전도도를 맞출 수 있다. 유용한 전해질은, 일례로 질산리튬 및 질산칼륨을 포함한다.
잉크젯 프로세스를 위한 잉크는, 총 잉크 중량에 대해 1-20 중량%, 바람직하게 1-15 중량% 총 함량의 추가의 유기 용매를 포함 가능하다.
적절한 유기 용매는 일례로, 알코올, 즉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tert-부탄올, 및 펜틸 알코올; 다가수소 알코올, 즉 1,2-에탄디올, 1,2,3-프로판디올, 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2,3-프로판디올, 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D,L-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및 1,2-옥탄디올;
폴리알킬렌 글리콜,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2-8개의 알킬렌기 함유 알킬렌 글리콜, 즉 모노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티오글리콜, 티오디글리콜, 부틸 트리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다가수소 알코올의 저급 알킬 에테르, 즉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데실 에테르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닐페닐 에테르;
아민, 즉 메틸아민, 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부틸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아세틸에탄올아민, N-포르밀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유레아 유도체, 즉 유레아, 티오유레아, N-메틸유레아, N,N'-디메틸유레아, 에틸렌유레아, 1,1,3,3-테트라메틸유레아;
아미드, 즉,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아세트아미드;
케톤 또는 케토알콜, 즉 아세톤 및 디아세톤 알코올, 고리형 에테르, 즉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트리메틸롤에탄, 트리메틸롤프로판, 2-부톡시에탄올, 벤질알콜, 2-부톡시에탄올, γ-부티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
또한 설폴란, 디메틸설폴란, 메틸설폴란, 2,4-디메틸설폴란, 디메틸 설폰, 부타디엔 설폰, 디메틸 설폭시드, 디부틸 설폭시드, N-시클로헥실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N-에틸피롤리돈, 2-피롤리돈, 1-(2-히드록시에틸)-2-피롤리돈, 1-(3-히드록시프로필)-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1,3-디메틸-2-이미다졸리논, 1,3-비스메톡시메틸이미다졸리딘,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2-(2-프로폭시에톡시)에탄올, 피리딘, 피페리딘, 부티로락톤, 트리메틸롤프로판, 1,2-디메톡시프로판, 디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에틸 펜틸 에테르, 1,2-디메톡시프로판 및 트리메틸롤프로판을 포함한다.
잉크젯 프로세스를 위한 프린트 잉크는 일례로, 20-25℃의 온도 범위에서 1.5-40.0 mPa*s 의 범위로 점도를 고정하기 위한 점도 조절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 가능하다. 바람직한 잉크는, 1.5-20mPa*s의 점도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한 잉크는 1.5-15mPa*s의 점도를 가진다.
유용한 점도 조절제는, 유동성 첨가제, 일례로; 폴리비닐카프로락탐,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올, 혼합성 점증제, 폴리유레아, 폴리유레탄, 소듐 알지네이트, 개질 갈락토만난, 폴리에테르유레아, 폴리유레탄 및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를 포함한다. 추가의 첨가제로 이들 잉크는, 표면장력을 20-65 mN/m 으로 고정하기 위한 표면활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 가능하고, 이는, 사용한 과정 (열 또는 피에조 기술)의 함수에 따라 필요시 조절한다. 유용한 표면 활성 물질은 일례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부틸 디글리콜, 1,2-헥산디올을 포함한다. 잉크는, 추가의 통상 첨가제, 일례로, 잉크 총 중량에 대해 0.01-1 중량%의 양으로 진균 및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포함 가능하다.
잉크는, 목적 비율로 물 중에서 그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부(part)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다. 중량부는, 킬로그램이 리터에 관련되는 것과 같이 부피에 대한 부에 관련된다.
화학식에 따른 하기의 실시예는 자유산 형태로 기재된다; 보통, 이는 그 알칼리 금속염, 일례로, 리튬, 소듐, 또는 포타슘염의 형태로 제조 및 분리되며, 그 염 형태로 염색에 이용된다. 하기 실시예에 언급한 자유산 형태의 출발 물질 및 성분들 또한 그대로 또는 그 염,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염 형태로 합성에 유사하게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 염료에 대해 보고된 가시 영역 최대 흡수 (λmax)는, 그 알칼리 금속염을 참조로 하여 수용액에서 측정된 것이다.
실시예 1
화합물 (II-1) (7mmol) 및 아민 (III-1) (8mmol)을 pH 10.0 물 중에서 4시간 동안 함께 교반하였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6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7
니코틴산 35mmol을 (I-1)에 가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메틸화 스프릿을 가하고, 결과의 고체를 걸러내고 건조하여 적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4.80g, 80%-str, 66%). 분석 결과는 목적 생성물 (I-2)와 일치하였다. UV:□max = 532.5nm, εmax = 32000.
실시예 2
구조물 (I-3) 내지 (I-6)을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 하였다. 각 경우에서, 분석 결과는 각각의 구조와 완전 일치하였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8
UV:□max = 532.5nm, εmax = 32000.
실시예 3
Figure 112007029353014-PCT00009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0
UV:□max = 517.5nm, εmax = 16000.
실시예 4
화합물 (II-3) (4.3mmol) 및 아민 (III-1) (9.9mmol)을 pH 9.0 물 중에서 2시간 동안 함께 교반하였다. 염을 가하고,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고 건조하여 암청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5.75g, 70%-str, 79%).
분석 결과는 목적 생성물 (I-7)와 일치하였다. UV:□max = 609.0nm, εmax = 48000.
실시예 5
물 250ml 중 화합물 (IV-1) (20mmol)에 얼음 100g과 염산 (15ml, 31%)을 가하였다. 소듐 나이트라이트 21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분간 교반하였다. 화합물 (V)(13mmol)을 가하고, 1시간 동안 pH 6.0에서 교반하였다. 염을 가하고, 결과의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고 투석하여 과량의 염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암청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10.5g, 73%-str, 60%).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2
분석 결과는 목적 생성물 (I-8)와 일치하였다. UV:□max = 609.0nm, εmax = 56000.
실시예 6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3
염료 (I-8) (2.1mmol)을 2.5mmol 3-β-설파토에틸설포닐 페닐아민과, 50℃ pH 2.5 물 중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틸화 스프릿을 가하고, 결과의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고 건조하여 암청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2.1g, 82%-str, 64%). 분석 결과는 목적 생성물 (I-9)와 일치하였다. UV:□max = 609.0nm, εmax = 56000.
실시예 7
염료 (I-7) (2.1mmol)을 5mmol 3-β-설파토에틸설포닐 페닐아민과, 50℃ pH 2.5 물 중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메틸화 스프릿을 가하고, 결과의 고체를 여과로 분리하고 건조하여 암청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2.1g, 82%-str, 64%). 분석 결과는 목적 생성물 (I-10)와 일치하였다.
UV:□max = 613.0nm, εmax = 55000.
하기의 염료들을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5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6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7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8
Figure 112007029353014-PCT00019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0
실시예 8
머서라이징시킨 면직물 섬유에, 35g/l 무수 탄산소듐, 100g/l 유레아 및 150g/l 저점도 소듐 알지네이트 용액 (6%) 함유 액체를 두드려 적시고, 이후 건조시켰다. 70%이다. 이와 같은 예비처리된 직물을, 하기를 포함하는 수성 잉크로 드랍-온-디맨드 (drop-on-demand; bubble jet) 잉크젯 프린트 헤드를 이용하여 프린팅한다;
2% 염료 (I-2),
20% 설폴란,
0.01% Mergal K9N,
77.99% 물.
프린트물을 완전 건조시킨다. 이후 8분간 102℃ 포화 스팀으로 고정시킨다. 프린트물을 이후 따뜻하게 린스하고, 95℃의 고온수로 견뢰도 세정하고, 따뜻하게 린스한 후 건조한다.
그 결과는, 우수한 사용 견뢰도를 가지는 푸른 빛의 적색 또는 다홍색 프린트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I)의 염료;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1
    [식 중
    R1, R2 은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3 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유기 아실기 (즉,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등) 또는 유기 티오아실기 (즉, 티오아세틸, 티오프로피오닐, 티오벤조일 등)이며, 이들 모두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R4는 임의의 착색 유기기로, 이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L은, 임의의 탄소함유 연결기로, 즉 지방족, 방향족 또는 조합된 알킬-아릴기로, 일례로 벤질 또는 펜에틸이고,
    X는 할로겐 또는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및 R2 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3 는 C1-C4 알킬, 히드록시에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설파토에틸, 포스파토에틸, 설파토프로필 또는 포스파토프로필이고,
    R4는 아조 기재 발색계이고,
    X는 염소, 불소, 또는 3차 암모늄염인 염료.
  3. 화학식 (II)의 염료를, 화학식 (III)의 아미노 화합물과 약 8-12의 pH 물 중에서 반응시켜 제조하고, 3차 아민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과 추가 반응시켜, X가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인 화학식 (I)의 염료를 제공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화학식 (I)의 염료의 제조 방법;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2
    [식 중,
    R2 는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4 는 임의의 착색 유기기로, 이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Y 는 할로겐임],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3
    [식 중,
    R1 는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R3 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유기 아실기 (즉,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등) 또는 유기 티오아실기 (즉, 티오아세틸, 티오프로피오닐, 티오벤조일 등)이며, 이들 모두는 염료-섬유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기를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고,
    L은, 임의의 탄소함유 연결기로, 즉 지방족, 방향족 또는 조합된 알킬-아릴기로, 일례로 벤질 또는 펜에틸이다].
  4. 화학식 (IV)의 아닐린 유도체에서 출발하여, 이를 소듐 나이트라이트와 반응시킨 후, 화학식 (V)의 화합물 상에 통상적으로 커플링시킴에 따른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화학식 (I)의 아조 염료 제조 방법으로, 임의로는, 3차 아민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과 추가 반응시켜, X가 3차 암모늄 또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아민인 화학식 (I)의 염료를 제공하는 방법: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4
    [식 중,
    Y, L 및 R3는 제 1 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Ar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임],
    Figure 112007029353014-PCT00025
    [식 중,
    M 은 H, 알칼리 금속, 암모늄 이온 또는 알칼리토금속 균등물이며, n 은 0 및 1의 정수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화학식 (I) 염료가 사용되는,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 물질의 염색 및 프린팅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화학식 (I) 염료가 사용되는, 디지탈 프린팅 기법, 특히 잉크젯 프린팅에 사용되는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 물질의 프린팅 방법.
  7.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 물질의 염색 및 프린트용의, 제 1 항의 화학식 (I)의 염료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염료 제제.
  8. 제 1 항의 본 발명 화학식 (I) 염료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로세스용 프린트 잉크.
  9. 제 1 항의 화학식 (I)의 고정된 염료를 가지는 히드록시- 및/또는 카복스아미도 함유 섬유 물질.
KR1020077008781A 2004-11-19 2005-11-15 트리진 핵의 비반응성 측쇄 내에 2가 황을 함유하는 반응성염료 KR20070085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425551.9A GB0425551D0 (en) 2004-11-19 2004-11-19 New reactive dyes
GB0425551.9 2004-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265A true KR20070085265A (ko) 2007-08-27

Family

ID=3354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81A KR20070085265A (ko) 2004-11-19 2005-11-15 트리진 핵의 비반응성 측쇄 내에 2가 황을 함유하는 반응성염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280053A1 (ko)
EP (1) EP1817380A2 (ko)
JP (1) JP2008521957A (ko)
KR (1) KR20070085265A (ko)
CN (1) CN101023141A (ko)
BR (1) BRPI0518341A2 (ko)
CA (1) CA2587963A1 (ko)
GB (1) GB0425551D0 (ko)
TW (1) TW200632046A (ko)
WO (1) WO20060538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18138B (zh) * 2007-10-24 2012-05-09 上海雅运纺织化工股份有限公司 低盐染色用的藏青色活性染料组合物及其染色应用
US9903069B2 (en) * 2014-04-22 2018-02-27 Milliken & Company Colored coatings and artificial leath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5304D0 (en) * 1995-07-26 1995-09-20 Ilford Ag Azo dyes
EP0918074B1 (de) * 1997-11-20 2000-07-12 ILFORD Imaging Switzerland GmbH Azofarbstoff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9823634A1 (de) * 1998-05-27 1999-12-02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Wasserlösliche Monoazo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arbstoffe
DE19851497A1 (de) * 1998-11-09 2000-05-18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Farbstoffmischungen vo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und ihre Verwendung
DE10035805A1 (de) * 2000-07-22 2002-02-07 Dystar Textilfarben Gmbh & Co Wasserlösliche faserreaktive 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6588879B2 (en) * 2001-12-03 2003-07-08 Supersample Corporation Method for ink jet printing a digital image on a textile, the system and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method,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6407220B1 (en) * 2001-12-14 2002-06-18 Everlight Usa, Inc. Reactive formazan dyestuff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3141A (zh) 2007-08-22
TW200632046A (en) 2006-09-16
EP1817380A2 (en) 2007-08-15
US20080280053A1 (en) 2008-11-13
BRPI0518341A2 (pt) 2008-11-18
WO2006053874A2 (en) 2006-05-26
CA2587963A1 (en) 2006-05-26
JP2008521957A (ja) 2008-06-26
GB0425551D0 (en) 2004-12-22
WO2006053874A3 (en)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646B1 (ko) 반응성 염료의 혼합물 및 이의 용도
US20030172840A1 (en) Aqueous printing inks for use in the ink-jet printing method the production and the use on textile fibre materials therof
ES2267416T3 (es) Mezclas de colorantes de tintes azo reactivos a las fibras, su preparacion y su uso.
DE102005047391A1 (de) Farbstoffe und Farbstoffmischungen vo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80031392A (ko) 반응성 염료의 혼합물 및 이의 용도
DE102007005795A1 (de) Mischungen vo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EP1789499A1 (de) Farbstoffmischungen von faserreaktiven azofarbstoff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60133015A (ko) 섬유-반응성 아조 염료의 혼합물, 이의 제조 및 용도
EP2861673A1 (en) Metal free reactive dyes,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ir use
JP2006213911A (ja) 繊維反応性アゾ染料の混合物、その製造及びその使用
EP1756233B1 (en) Mixtures of fibre reactive azo dyes
DE102009000417A1 (de) Faserreaktive Azo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070085265A (ko) 트리진 핵의 비반응성 측쇄 내에 2가 황을 함유하는 반응성염료
KR20070015522A (ko) 신규한 반응성 염료
DE102009000423A1 (de) Faserreaktive Kupferkomplex-Disazofarbstoffe
KR101287741B1 (ko) 반응성 염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MX2007005993A (en) Reactive dyes containing divalent sulfur in non-reactive side chain at trizine nucleus
US20080194817A1 (en) Reactive Dyestuff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the Same
EP3063229A1 (en) Acid dy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PT2655519E (pt) Corantes disazo, preparação e utilizaç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