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685A -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685A
KR20070084685A KR1020060016787A KR20060016787A KR20070084685A KR 20070084685 A KR20070084685 A KR 20070084685A KR 1020060016787 A KR1020060016787 A KR 1020060016787A KR 20060016787 A KR20060016787 A KR 20060016787A KR 20070084685 A KR20070084685 A KR 20070084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touch pad
navigation system
main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4685A/ko
Publication of KR2007008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65D77/049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and retained at a distance of the inner side-wall of the outer container, e.g. within a bottl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비게이션의 조작이 용이하고 표시 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 표시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네비게이션, 터치, 시스템, 패드

Description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이 자동차에 장착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네비게이션 본체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멀티펑션부를 추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멀티펑션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용 네비게이션이 자동차에 장착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네비게이션 본체와 터치 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지시 유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지시 유형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네비게이션 본체 30: 터치 패드
100: 지시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본체와 별도로 터치 패드를 마련 하여 운전자의 촉수 범위 내에 설치하고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을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교통 정보 이용 또는 방송 시청 등의 목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 AV/네비게이션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일반화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 오디오 등이 있는 운전석 앞쪽의 플라스틱 모듈인 인스트루먼트 패널(50) 상단 중앙에 네비게이션 본체(10)가 설치된다. 상기 네비게이션 본체(10) 위치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 전방을 주시하면서 편하게 인식할 수 있는 위치이다.
도 2는 도 1의 네비게이션 본체(10)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본체(10)의 화면(40)에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지시부(100)가 나타나고 터치 형식의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필요한 지시부(100)에 접촉하여 네비게이션을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전석과 네비게이션 본체(10)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특히 중대형 승용차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기 때문에 조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른 형태는 도 3과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본체(10)와 별도로 멀티펑션부(20)를 마련하여 상기 멀티펑션부(2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멀티펑션부(20)는 상기 본체(10) 하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50) 중앙에 위치된다.
도 4는 도 3의 멀티펑션부(20)를 확대한 도면으로, 상기 멀티펑션부(20)에는 시디 룸(26)이나 라디오(28) 등이 마련되고 네비게이션 전환 버튼(22)과 소정의 펑션 버튼(24)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다른 형태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멀티펑션부(20)의 네비게이션 전환 버튼(22)을 누른 후에 필요한 펑션키(24)를 눌러 네비게이션 본체(1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는 상기 펑션키(24)가 네비게이션만을 위해서 구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하는 조작을 위해서 상기 펑션키(24)를 여러 번 작동해야 하고, 이로 인해 조작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네비게이션 본체와 별도로 터치 패드를 마련하여 운전자의 가까이 설치하고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을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모든 기능을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 패드는 운전자의 촉수 범위 내에 마련될 수 있고, 특히, 콘솔박스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는 접촉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네비게이션 본체로 송신할 수 있고, 1회당 접점 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네비게이션 본체로 송신할 수도 있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용 네비게이션이 자동차에 장착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의 네비게이션 본체와 터치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용 네비게이션은 인스트루먼트 패널(50)의 상단 중앙에 네비게이션 본체(10)가 설치되고, 앞좌석 중앙에 위치되고 내부에 작은 물건들이 비치되는 콘솔 박스(35) 상면에 터치 패드(30)가 마련된다.
상기 터치 패드(30)의 위치는 운전자의 촉수 범위 내이며, 운전중에 편안하게 손을 접촉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네비게이션 본체(10)와 터치 패드(30)만을 나타내는 도 6에서 보면, 네비게이션 본체(10)의 화면(40)에는 소정 위치에 필요한 지시를 할 수 있는 지시부(100)가 구비된다.
도 7은 도 6의 지시 유형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지시부(100)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지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시부(100)에는 다양한 기능을 표시하는 지시명칭(110)과 접점수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4) 및 접촉 횟수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16)가 형성된다.
지시명칭(110)이 '확대'인 경우에는 제 1 표시부(14)의 접점이 하나이고 제 2 표시부(16)의 접촉 횟수는 1이다. 이것은 상기 터치 패드(30)를 손가락으로 터치할 경우에 한 손가락(접점수)으로 한 번 터치(접촉 횟수)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
지시명칭(110)이 '축소'인 경우에는 제 1 표시부(14)의 접점이 하나이고 제 2 표시부(16)의 접촉 횟수는 2이다. 지시명칭(110)이 '상'인 경우에는 제 1 표시부(14)의 접점이 둘이고 제 2 표시부(16)의 접촉 횟수는 1이다. 지시명칭(110)이 '하'인 경우에는 제 1 표시부(14)의 접점이 둘이고 제 2 표시부(16)의 접촉 횟수는 2이다. 그리고, 지시명칭(110)이 '좌'인 경우에는 제 1 표시부(14)의 접점이 셋이고 제 2 표시부(16)의 접촉 횟수는 1이다. 지시명칭(110)이 '우'인 경우에는 제 1 표시부(14)의 접점이 셋이고 제 2 표시부(16)의 접촉 횟수는 2이다.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지시부(100)도 상기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7의 지시 유형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운전자는 자동차의 운행 중에 필요한 경우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작동하게 되고, 네비게이션의 화면(40)에서 확대 기능을 작동할 경우에는 상기 지시부(100)의 지시명칭(110)이 '확대'인 경우에 제 1 표시부(14)와 제 2 표시부(16)에 따라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30)를 한 손가락으로 한 번 접촉함으로써 상기 확대 기능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고, 축소 기능을 작동할 경우에는 지시명칭(110)이 '축소'인 경우에 제 1 표시부(14)와 제 2 표시부(16)에 따라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드(30)를 한 손가락으로 두 번 접촉함으로써 상기 축소 기능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시부(100)에 그 밖의 다른 기능들도 각 지시명칭(110)에 따라서 제 1 표시부(14)와 제 2 표시부(16)에 표시된 것과 같이 손가락을 상기 터치 패드(30)에 터치함으로써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터치 패드(30)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본체와 별도로 터치 패드를 마련하여 운전자의 촉수 가능 범위에 설치하고 상기 터치 패드를 터치하여 네비게이션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네비게이션의 본체 표시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음으로써, 표시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콘솔박스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접촉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네비게이션 본체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1회당 접점수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네비게이션 본체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0060016787A 2006-02-21 2006-02-21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070084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787A KR20070084685A (ko) 2006-02-21 2006-02-21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787A KR20070084685A (ko) 2006-02-21 2006-02-21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685A true KR20070084685A (ko) 2007-08-27

Family

ID=3861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787A KR20070084685A (ko) 2006-02-21 2006-02-21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46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58B1 (ko) * 2007-10-18 2010-0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터치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58B1 (ko) * 2007-10-18 2010-01-2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터치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345B1 (en)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vehicle electronics device
US10719146B2 (en) Input device with plurality of touch pads for vehicles
JP6315456B2 (ja) タッチパネル式の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4260383B2 (ja) 車載用表示装置
US20150153936A1 (en) Integrated multimedia device for vehicle
JPS61244632A (ja) 中央操作入力―情報出力装置
JP4628199B2 (ja) 表示装置
KR20020092957A (ko) 스위치 장착 핸들장치
JP2008545571A (ja) 車両情報の表示方法
JP2002225724A (ja) 車載機器の操作装置
JP2009090690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3222214A (ja) 表示操作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14113873A (ja) 車両用連携システム
CN105358380A (zh) 输入装置
JP2016097928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2004262363A (ja) 自動車用入力装置
WO2014087523A1 (ja) 電子機器
KR20070084685A (ko)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JP6523449B2 (ja) 電子機器
JP201113168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4151880A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1029866B1 (ko) 차량용 오디오 패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의 변환 방법
JP2014031098A (ja) 車載装置
CN215436211U (zh) 一种光感车辆控制系统及车辆
JP2004050916A (ja) 車載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