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597A -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597A
KR20070084597A KR1020077011963A KR20077011963A KR20070084597A KR 20070084597 A KR20070084597 A KR 20070084597A KR 1020077011963 A KR1020077011963 A KR 1020077011963A KR 20077011963 A KR20077011963 A KR 20077011963A KR 20070084597 A KR20070084597 A KR 20070084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metal casing
freezer
window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귄터 노이만
베르네르 샤드
도르네르 게오르그
조세프 헤쉬트
Original Assignee
리브헤르-하우스게레테 옥센하우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브헤르-하우스게레테 옥센하우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리브헤르-하우스게레테 옥센하우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가 끼워넣어진 금속프레임을 가지는 글래스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금속프레임에는 상기 도어의 외장을 형성하여, 그 앞면부와 협면부로써 상기 창유리의 앞면 및 주변을 둘러싸는 면들을 덮어서 상기 도어의 눈에 보이는 면들을 형성하고, 주변을 둘러싸는 창유리홀더는 상기 외장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는 상기 외장이, 주변을 둘러싸도록 전체가 일체성형된 금속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의 눈에 띄는 면들은 접합자국 없이 형성되고, 또한 금속케이싱은 그 이면에서 주변을 둘러싸도록 발포체로 이면이 지지되면서 상기 창유리홀더는 주변을 둘러싸는 발포체 속에서 발포체로 지지된다
냉장고, 냉동기, 글래스 도어, 발포체, 다중창,

Description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REFRIGERATOR AND/OR FREEZER}
본 발명은 창유리(glazing)가 끼워넣어지는 금속프레임을 가진 글래스 도어(glass door)를 구비한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특히 와인을 저장하는 와인캐비넷(climatic cabinets)으로도 될 수 있다.
종래 냉장고들의 글래스 도어들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불편하다. 글래스 도어의 금속프레임은, 연귀이음(mitred)을 하여 함께 붙인, 돌출된 알루미늄 프로파일(profile)들로 이루어지는 한, 이음매에서의 허용오차들로부터 기인하는 간극들은 불가피하다. 잠금수단들, 보기창 그리고 그와 유사한 부가적인 응용들은 상기 돌출된 프로파일들에는 거의 결합될 수 없다. 게다가, 상기 금속프레임의 외형은 프레임 프로파일들에 의해 어느 정도 사전에 정해지며 최대로 해도 추가가공에 의해 약간 적용될 뿐이다.
글래스 도어들의 프레임이, 용접 또는 플러깅을 함께 적용하는 것에 의해, 돌출된 플라스틱 프로파일들 및/또는 사출성형 부품으로 조립되는 한, 고품질의 시각적인 형상은 규칙적으로 얻을 수 없다. 용접은 접점에서 눈에 띄는 얼룩들을 생기게 한다. 게다가,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들의 조합으로는 균일한 색상이나 외면을 거의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불리한 점들을 회피하고 또한 유용한 방법으로 나중에 언급되는 것을 개발하게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를 안출하는 것이다. 특히,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고품질의 시각적 형상을 가진 글래스 도어가 안출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청구된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들은 그 종속항의 주제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창유리를 둘러싸는 상기 금속프레임은 요컨대 몇개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금속프레임은 주변을 둘러싸도록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 금속케이싱(metal casing)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도어의 눈에 보이는 면은 접합자국이 없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이제까지 달성되어 오지 않았던, 균등한 시각적 형상이 실현된다. 색상 부조화, 눈에 띄는 간극들 또는 접합점들은 제거된다. 상기 도어의 외장은 완전히 균일하게 생산되고 정렬된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렇지마는 역시 필요한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금속케이싱은 발포제로 지지되거나 발포체로서 주변을 둘러싸도록 충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금속프레임의 항구적 안정성의 요구사항들에 대해 그다지 개의치 않아도, 상기 전체가 일체성형된 금속케이싱은 실질적으로 더 많은 변형들과 대체로 의도한 바대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체가 일체성형된 금속프레임은, 일체성형된 판형 막대로 조립되고 상기 창유리용으로 중앙 천공오목부를 가질 수 있는 자국없이 형성된 판형 프로파일(sheet profile)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케이싱은 딥드로잉(deep-drawn)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금속케이싱은 절곡되고 비드가공(bent and beaded) 될 수 있다. 구부려지지 않은 또는 염주상이 아닌 접경 물칼퀴형상부재들은 눈에 띄지 않는 영역의 접합점들에서 용접될 수 있다.
상기 금속케이싱의 안쪽은 그 표면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전체표면에서 상기 발포체와 연결된다. 특히 상기 금속케이싱은 횡단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경사진 좌우익(翼)들을 가질 때, 발포체 지지는 상당한 경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금속케이싱의 치수정확도는 발포가공(foaming)에 의해 상당히 향상된다. 동시에, 발포체로 지지된 상기 금속케이싱은, 그 프로파일의 소위 "K 값"으로 불리는 열전도효율이 상당히 향상된다. 게다가, 상기 발포체는 상기 프레임에서의 응축액의 형성 및 상기 창유리로의 전이(轉移)의 뚜렷한 감소를 제공한다. 난방기가 없어서도, 상기 금속프레임은 대체로 응축액이 없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 앞면에서, 상기 금속케이싱에는 다양한 외형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케이싱은, 상기 도어의 폭 및/또는 높이의 전역에 걸쳐 돌출한 앞면을 가진다. 동적인 시각적 외관은 별문제로 하더라도, 상기 도어는 이로써 자체적으로 증가된 강도를 얻게 된다. 상기 만곡은 횡단면에서의 만곡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돌출된 프로파일들에서도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더 정확히 하면, 상기 금속프레임의 상기 상부 및 하부 횡단레그는 상기 횡단레그들의 길이방향으로 그 앞면에서 구부려지는데, 이는 즉, 상기 금속케이싱의 전체 앞면은 만곡의 실질적인 수직축에 대해 약간 구부려졌으며, 이로써 상기 금속케이싱은 상기 평면인 창유리로부터 유연하게 돌출한다.
창유리로의 가공에 있어서 또한 정확하고 뚜렷한 선으로 된 시각적 외형을 얻기 위해, 상기 금속케이싱은 주변을 둘러싸는 일체성형의 커버프레임이 끼워지는 창유리 절취부(cut-ou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창유리 절취부를 한정하는 상기 금속케이싱의 단부에 주변을 둘러싸도록 얹힐 수 있으며, 또한 특히 주변을 둘러싸는 홈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유리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은 상기 단부 위에 꽂힐 수 있는데, 따라서 상기 금속케이싱의 단부는 상기 커버프레임에 의해 양면에서 둘러싸인다. 상기 커버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유리 절취부에 비해 약간 큰 사이즈를 가지고 단일체로 형성된다. 역시 탄성변형에 의해, 커버프레임은 상기 창유리 절취부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프레임은 그 앞면에서 간극없이 형성되고 또한 역시 상기 창유리 쪽에서 대부분 간극없이 마무리되며, 이로써 깔끔하지 않은 선들은 회피되고, 완벽한 시각적 외형이 오랫 동안 확보된다.
만약 상기 금속케이싱이 상기 도어의 전체 폭에 걸쳐 나타나는 불룩함이 있다면, 상기 커버프레임은 평면인 창유리에 대해 상기 금속케이싱 앞면의 만곡을 보정하기 위한 가변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케이싱의 창유리 절취부는 각이 질 수 있다. 둥글게 된 창유리 절취부와 대조를 이루며, 뚜렷하고 정확한 시각적 외형이 여기에 얻어진다.
그렇지만, 그러한 각이 진 창유리 절취부가 반드시 제공될 필요는 없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둥글게 된 창유리 절취부도 또한 상기 금속케이싱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상기 금속케이싱에는 상기 창유리 절취부 쪽으로 상기 금속케이싱의 앞면에 대해 각이 진 가장자리 단부(marginal web)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각이 진 가장자리 단부는 금속케이싱 그 자체의 강화를 초래하여, 상기 도어에 더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상기 창유리와 상기 금속케이싱 사이의 오차들의 보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씰이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술한 각이 진 가장자리 단부가 이용될 때에는 특히, 그러한 씰이 상기 창유리의 앞면에 제공된다. 외부로부터 정확한 시각적 외형을 얻는데 있어, 상기 씰의 보기 좋지않은 고무비드(rubber bead)에 의해 때때로 방해받지 않으며, 상기 오차보정은 전가된다고 해도, 안쪽으로 전가된다. 그 앞면에서, 상기 창유리는 상기 창유리 절취부를 한정하는 상기 금속케이싱의 단부에 또는, 창유리 절취부에 끼워지는 상술한 커버프레임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오차들의 보정을 위한 상기 탄성 씰은 그 이면에 제공된다.
상기 창유리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상기 금속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개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보강재에 부착될 수 있는 창유리홀더는 상기 창유리에 제공된다. 상술한 발포체 충진이 제공되면, 상기 창유리홀더는 상기 발포체 속에서 그 발포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유리홀더는 상기 금속프레임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지지레그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창유리는 지지레그의 편평한 면에 얹힌다. 상기 지지레그와 상기 창유리 사이의 적절한 연결은 편리하게 제공된다. 특히, 상기 창유리는 상기 지지레그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로 상기 창유리를 접착함으로써, 상기 도어는 자체의 최종 강성을 확보한다.
우수한 단열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개에 의하면 상기 창유리는 다중 창유리로서, 복수의 유리판이 각각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정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장의 글래스 판이 제공될 수 있는데, 그 단부에 제공된 주변을 둘러싸는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탄성 립씰(lip seal)은 상기 금속케이싱과 상기 창유리와의 사이 및/또는 상기 창유리홀더와 상기 창유리와의 사이에 제공되는데, 창유리를 둘러싸고 씰의 탄성 립으로써 상기 창유리의 두께 상의 변화를 보정한다. 한편, 립씰은 습기의 유입을 막는다. 다른 한편으로, 깔끔한 마감이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씰은 상이한 경도 및/또는 유연성을 가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부드러운 씰링 립은 더 견고한 체결부에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상기 씰은 이성분법(two-component method)에 의해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공압출에 의해 더 부드러운 씰링 립으로 성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씰은 상기 창유리를 단지 봉하기만 하지 않고, 동시에 상기 창유리로의 지지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도어를 조명으로 장식하기 위해, 상기 창유리로 빛을 전도하는 조명수단이 상기 금속프레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해, 발광 다이오드나 형광튜브가 상기 금속프레임과 상기 창유리 사이의 과도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기구장식의 분리된 조명수단은 생략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 난방과 같은, 부가적인 응용들이 상기 금속케이싱 안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는 부가적인 부품들, 특히 도어의 연장부분들이 상기 장치의 범위를 넘어서 덮거나 돌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가 도어 씰의 위쪽 및/또는 아래쪽으로 상기 장치 몸체를 향해 연장되면, 그때는 아마 자물쇠나 온도계와 같은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또한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 도면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며, 여기서:
도 1은 도해적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도어를 가진 냉장고의 투시도;
도 2는 도 1로부터의 냉장고 유닛의 상기 글래스 도어를 나타내는 부분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금속 케이싱이 발포체로 채워진 상태에서 도 1의 글래스 도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금속 케이싱이 발포체로 채워진 상태에서 도 3에 유사한 글래스 도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냉장고(1)는 실질적으로 입방체인 장치 본체(2)를 가지며, 도 어(3)에 의해 장치가 앞면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그러한 알려진 방법으로, 도어(3)는 수직한 도어의 선회축 주위로 선회하도록 장치본체(2)에 설치되며, 따라서 도어(3)는 도 1에서 우측에 위치한 선회축 주위로 도어손잡이(4)로써 선회하여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도 2에서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어(3)는 창유리가 끼워넣어진 금속프레임(5)을 가지는 글래스 도어를 구성한다. 이러한 글래스 도어들에는, 상기 금속프레임이 통상적으로 다소 좁게 형성된다. 상기 창유리(6)는 통상적으로 상기 도어의 폭 또는 높이의 2/3 이상을 차지한다.
상기 금속프레임(5)은 주변을 둘러싸도록 전체가 일체성형된 금속케이싱(7)으로 이루어지는데, 비절삭성형(chipless forming)공정을 통해 하나의 부재, 특히 일체성형인 판형 막대로 제조된다. 특히, 상기 금속케이싱(7)은 딥드로잉되거나 절곡 및 비드(bead)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로써 상기 금속케이싱(7)은, 복수의 금속프레임 부품들로 구성된 종래의 금속 글래스 도어들에 있어 문제점이었던 것으로, 적어도 도 2에 나타냈듯이 눈에 보이는 앞면 상에는 접합선(seams)이나 맞댄이음부(point of abutment)가 없다.
상기 금속프레임(5)의 상부 횡단부재 부근에, 온도계(8) 및 잠금부(9) 용으로 천공된 오목부들이 상기 금속케이싱(7)에 갖추어져 있다.
상기 금속케이싱(7)이 비드가공되는 변형에서는, 상기 판재의 단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를 감추어 시각적 외관을 향상케 하기 위하여, 커버들이 그 끝면(end face)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2)에 대하여 상기 도어(3)를 씰링하기 위하여, 씰(14)이 상기 창유리(6) 둘레로 상기 금속프레임(5)의 이면에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씰은 상기 장치본체(2)에 접하여 압박된다.
상기 도어(3)가 상기 씰(14)의 상부 및/또는 하부로 연장되어야 할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장치를 넘도록 덮거나 둘출하게 하기 위해, 부가적인 요소들이 채용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9) 또는 상기 온도계(8)와 같은 부가적인 요소가 가능한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속케이싱(7)은 상기 도어의 전체 폭에 걸쳐 그 앞면이 약간 불룩하게 형성된다. 상측 및 하측 횡단레그(11)들은 그 길이에 따라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면서 약간 굽어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평면인 창유리(6)에 대해 나타나는 차이는 상기 창유리 절취부에 끼워넣어진 커버프레임에 의해 또는, 상기 앞면에 대하여 각이 진, 금속케이싱의 가장자리 단부웹(marginal webs)에 의해 보정되는데 이는 후상술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속케이싱(7)은 소정의 단면형상을 얻기 위해 비절삭성형(chipless forming)되며, 따라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앞면부(16), 협면부(narrow-side portion)(17) 그리고 후측부(18)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금속케이싱(7)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후면 공동(空洞)은 발포체로 채워지며, 따라서 주변을 둘러싸는 발포체(19)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후면 벽에 가득차게 채워져 상기 금속케이싱의 치수 정확도를 현저하게 향상하게 하는 폐쇄된 프레임 보강재를 형성한다. 발포체가 상기 금속케이싱(7)을 지지하는 것은 또한 향상된 단열(斷熱) 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금속프레임(5)은 실질적으로 향상된 K값을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유리홀더(12)는, 발포체(19) 내에서, 그 발포체(19)로 발포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그 한쪽에서는 창유리(6)를 지지하기 위해 안쪽으로 돌출하는 지지레그(13)와 이지지레그에 L자 형상으로 각이 진 막음레그(terminating leg)(20)를 가진다. 창유리홀더(12)로 사용되는 프로파일이, 상기 금속케이싱(7)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상기 금속프레임(5)의 개방면을 막아 발포체(19)를 수용하는 공간을 규정한다.
창유리(6)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스페이서(24)(2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3장의 유리판(21)(22)(23)로 이루어진 3중 창유리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24)(25)는 바람직하게는 전 둘레로 뻗으며, 이로써 전체적으로 폐쇄된 단열 유리 패키지가 얻어진다. 상기 창유리(6)는 상기 창유리홀더(12)에 끼워넣어지며 거기에 본드(26)로 지지레그(13)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막음레그(20)에 대하여, 상기 창유리(6)는 주변을 둘러싸는 씰(27)로써 봉해진다.
창유리(6)가 끼워넣어진 창유리홀더(12)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개방면으로 그 이면으로부터 삽입되고, 거기서 상기 창유리(6)를 위하여 중심이 천공된 상기 금속케이싱(7)의 요입부 가장자리가 씰링되며, 상기 금속케이싱(7)의 단부에 설치되는 추가씰(28)에 의해 깔끔하게 마감된다. 상기 창유리홀더(12)에 상기 창유리를 끼워넣은 다음, 상기 금속케이싱(7)에서 이면부에 형성된 공동내에 발포체가 채워지며, 따라서 상기 창유리홀더(12)는 상기 발포체(19) 속에서 그 발포체(19)가 발 포됨으로써 지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유리홀더(12)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이면측 레그부(18)에 지지되는 지지부(29)를 포함한다. 이 지지부(29)에, 도어씰(14)이 장착되는데, 이 도어씰이 장치본체(2)에 대하여 도어(3)를 씰링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속케이싱의 창유리 절취부(41)를 규정하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가장자리 단부(40)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앞면에 대하여 안쪽을 향해 각이 져 있으며, 그 최종 가장자리 단부(웹부)는 번갈아 상기 창유리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이 져 있다. 상기 가장자리 단부(40)의 각이 진 구조로 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현저하게 증가된 강도를 얻는다. 상기 씰(28)은 상기 가장자리 단부(40)에 설치된다. 상기 창유리에 앞면에서 지지되고 또한 허용오차의 보정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씰(28)의 씰링 립들은 주변을 둘러싸도록 하여 같은 곳 즉, 상기 가장자리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조상의 허용오차들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상기 다중 창유리가 압력 변화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더 높은 고도로 운송하는 동안, 두께가 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허용오차들의 보정이 필요한다. 상기 글래스 도어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자리 단부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창유리 절취부(41)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각지지 않고, 둥글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케이싱(7)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폭 전체에 걸쳐 가운데가 볼록하고 또한 횡단면에서 삼각형상이 되도록 구부려지며 상기 창유리홀더(12)에 설치되는 상기 창유리는 창유 리홀더의 중앙 천공 오목부에 끼워넣어진다. 여기에 또한, 상기 창유리홀더(12)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이면 레그부(18)에 놓여지는 지지부(29)를 가진다. 그렇지만, 상기 창유리홀더(12)는, 말하자면, 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창유리가 놓이는 상기 지지레그(13)는, 상기 창유리홀더(12)의 막음레그(20)의 앞면끝에서 뻗는다. 상기 지지레그(13)와 상기 금속케이싱(7)의 사이에는, 말하자면, 복잡한 씰(labyrinth seal)을 이루는 커버프레임(42)의 형태로 연결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커버프레임(42)을 형성하는 프로파일부재(31)는 상기 중앙 천공 오목부에 접하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창유리(6) 쪽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프로파일부재(13)는 상기 창유리(6)를 향하는 포크와 같은 형상으로 설계된다. 상기 포크 프로파일 안으로, 상기 지지레그(31)에 성형되는 가장자리 단부(32)가 뻗어있다. 상기 커버프레임(42)은 주변을 둘러싸도록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창유리 절취부(41)에 대해 다소 크게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유리 절취부(41)를 규정하는 상기 단부(40)는 각이 지지 않고 즉, 실질적으로 상기 창유리 면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상기 커버프레임(42)은, 커버프레임(42)을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함으로써 상기 단부(40) 위로 꽂힐 수 있도록 하는, 주변을 둘러싸는 홈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단부는 양면에서 둘러싸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42)에 의해, 상기 금속케이싱의 만곡이 특히 상기 창유리 쪽으로 또 보정된다. 상기 금속케이싱의 만곡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상기 창유리 면으로부터의 단부(40)의 거리가 바뀐다. 상기 커버프레임(42)은 상기 횡단레그(11)의 길이에 따라 가변하는 깊이를 가지는데, 즉, 상기 창유리에 면하는 그 이면이 평면을 형성하며, 이로써 상기 창유리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파일부재(31)의 레그와의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된다. 상기 금속케이싱(7)의 단부(40)에 주변을 둘러싸도록 얹히는 상기 일체성형의 커버프레임(42)에 의해, 뚜렷하고 정확한 시각적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40)의 굽음이 없어짐으로써 상기 창유리 절취부(41)의 예리하고 각이 진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창유리(6)에 대한 허용오차들의 보정은 이면으로, 말하자면, 즉 상기 도어의 안쪽으로 전가된다. 상기 이면에서, 창유리(6)는 주변을 둘러싸는 씰(33)로써 상기 창유리홀더(12)에 파지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씰(33)은 상기 창유리홀더(12)에 걸려질 수 있고 상기 창유리(6)의 단부를 덮는다. 상기 주변을 둘러싸는 씰(33)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되거나 이성분법(two-component method)으로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들로부터 공압출(共壓出)된다. 특히, 상기 씰(33)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체결부(44)에 성형되는 탄성 씰링 립(43)을 가질 수 있다. 도해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단단한 체결부(44)에는, 상기 씰(33)이 창유리홀더(12)와 맞물림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맞물림 암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 씰링 립(43)에 의해, 상기 창유리(6)에 필요한 허용오차들의 보정이 확보된다. 상기 창유리의 두께가 압력이 저하하는 동안 증가하게 되면, 상기 씰링 립(43)은 상응하여 꺾이게 된다.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또한 그 이면 벽쪽에서 발포체로 채워진다. 결과로 생긴 발포체(19) 속에서, 상기 창유리홀더(12)는 발포체(19)의 발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연속적인 금속케이싱(7)에 의해, 동질성을 가지면서 수려한 시각적 외관은, 이제 완벽하고 균일하게 채색되고 결합된 물질로 이루어진 눈에 보이는 겉면에서 얻어진다. 이로써 색상 불일치, 접합지점에서의 간극이나 점들의 눈에 띄는 형성은 배제된다. 부가하여, 인쇄, 도색 또는 열승화에 대한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써 상기 금속케이싱의 눈에 보이는 겉면에 고객의 독특한 취향이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이한 재료가 사용됨으로 해서 오직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했지던, 상기 글래스 도어의 색상도 물론 장치본체(2)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창유리(6)가 끼워넣어진 금속프레임(5)을 가지는 글래스 도어(3)를 구비한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프레임(5)은 주변을 둘러싸도록 전체가 일체성형된 금속케이싱(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특히 심가공(deep-drawn)되고 및/또는 절곡되고 비드가공되어 형성된 판형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3. 제1항과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체(19)는, 상기 금속케이싱(7)이 발포체로 지지되거나 발포체로 채워지는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상기 도어(3)의 폭 및/또는 높이의 전역에 걸쳐 부풀어진 앞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의 상부 및/또는 하부 횡단레그(11)의 앞면에는 이 상부 및/또는 하부 횡단레그(11)의 길이방향으로 만곡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주변을 둘러싸는 일체성형의 커버프레임(42)이 끼워넣어지는 창유리 절취부(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42)은 상기 창유리 절취부(41)를 규정하는 상기 금속케이싱(7)의 단부(40)의 둘레를 따라 지지되며, 특히 원주방향 홈에 의해 상기 창유리면에 거의 평형하여 뻗은 상기 단부 상에 끼워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양면에서 상기 커버프레임(42)에 의해 상기 단부(40)가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8. 제6항과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42)은 상기 금속케이싱(7) 앞면의 만곡을 상기 창유리(6) 쪽으로 보정하는, 가변하는 깊이(4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은 각이 진 창유리 절취부(4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6)가 부착되는 창유리홀더(12)는 상기 금속케이싱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1. 제3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홀더(12)는 상기 발포체(19) 속에서 발포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홀더(12)는 상기 금속프레임(5)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지지레그(13)를 가지고, 상기 지지레그 위에 상기 창유리가 놓이고 바람직하게는 지지레그의 편평한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는 다중 창유리로서, 복수의 유리판(21)(22)(23)이 각각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정렬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24)(25)로써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케이싱(7)과 상기 창유리(6)과의 사이 및/또는 상기 창유리홀더(12)와 상기 창유리(6)와의 사이에 씰(27)(28)이, 특히 탄성 립씰(lip seal)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6)는, 그 창유리(6)를 둘러싸면서 그 창유리 용으로 허용오차들의 보정을 제공하는 탄성 씰(3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씰(33)은 상기 창유리(6)의 내측 도어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7. 제15항과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33)은 상이한 경도 및/또는 유연성의 부분을 가지며, 특히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체결부 상에 성형된 부드러운 씰링 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씰(33)은 사출성형되거나 이성분법(two-component method)에 의해 상이한 재료로부터 공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절취부(41)를 향하여 상기 금속케이싱(7)은 상기 금속케이싱(7)의 앞면에 대해 각이 진 가장자리 단부(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씰은 상기 가장자리 단부(4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응용으로, 특히 난방기, 조명수단(15), 온도계(8)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이, 상기 금속케이싱(7)과 상기 창유리(6)의 사이에서 금속프레임(5)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6)를 조명으로 장식하기 위한 조명수단이 상기 금속프레임(5)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KR1020077011963A 2004-11-29 2005-11-29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KR20070084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4018464 2004-11-29
DE202004018464.8 2004-11-29
DE202004019866 2004-12-23
DE202004019866.5 2004-12-23
DE202005000923U DE202005000923U1 (de) 2004-11-29 2005-01-20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202005000923.7 2005-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597A true KR20070084597A (ko) 2007-08-24

Family

ID=3589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963A KR20070084597A (ko) 2004-11-29 2005-11-29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05892B2 (ko)
EP (1) EP1819972B1 (ko)
JP (1) JP2008522122A (ko)
KR (1) KR20070084597A (ko)
DE (1) DE202005000923U1 (ko)
ES (1) ES2709892T3 (ko)
WO (1) WO2006058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2231U1 (de) * 2005-01-25 2006-06-08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20100281910A1 (en) * 2006-08-31 2010-1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Door for a cold storage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or freezer
US8869493B2 (en) * 2012-03-14 2014-10-28 Thermoseal Industries, L.L.C. Door for a refrigerated cabinet
DE102012223536A1 (de) * 2012-12-18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ägerrahmen für einen Isolationskörper mit einer Dichtung an der Innenwand sowie Haushaltskältegerät
KR101892794B1 (ko) 2015-08-25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2564B1 (ko) 2016-01-05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8613462A (zh) * 2016-12-12 2018-10-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及其隔热门
US20180223589A1 (en) * 2017-02-09 2018-08-09 Thermoseal Industries, Llc Insulating door and frame
JP7063740B2 (ja) * 2018-06-18 2022-05-0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真空ガラスパネル
TR201902651A2 (tr) * 2019-02-21 2020-09-21 Serdar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2K Sızdırmaz Püskürtmeli Döner Pervane
CN112577252B (zh) * 2019-09-29 2023-10-2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及其门体
KR102327687B1 (ko) * 2020-01-13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4279164B (zh) * 2021-12-30 2022-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的控制方法及具有食品保鲜冷冻功能的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2837A (en) * 1921-02-15 1921-06-28 Jurek Martin Refrigerator-door
DE3407639A1 (de) * 1984-03-01 1985-09-12 Gebrüder Kömmerling Kunststoffwerke GmbH, 6780 Pirmasens Verbundstab, insbesondere fuer fensterrahmen, tuerrahmen und rollaeden
DE3716914C1 (en) 1987-05-20 1988-11-17 Heraeus Voetsch Gmbh Installation for testing climatic or temperature conditions
US4897975A (en) * 1987-10-23 1990-02-06 Odl, Incorporated Integral door light with glazing stop
US5111618A (en) * 1989-12-11 1992-05-12 Ardco, Inc. Refrigerator door assembly with stylized substantially all glass front
US5113628A (en) * 1990-09-20 1992-05-19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Railless refrigerator display door
US5363611A (en) * 1990-09-20 1994-11-15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Foam rail door
US5910083A (en) * 1990-09-20 1999-06-08 New Anthony, Inc. Integral spacer for door rail
US5699676A (en) * 1995-09-29 1997-12-23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Refrigerator unit with lighted door
DE19818682C1 (de) 1998-04-27 1999-12-23 Schott Glas Sichttür für ein Hausgerät
DE29811084U1 (de) * 1998-04-27 1998-09-24 Schott Glas Sichttür für ein Hausgerät
JP2000130918A (ja) 1998-10-26 2000-05-12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6406108B1 (en) * 1999-11-05 2002-06-18 Specialty Equipment Companies, Inc. Display case with door-mounted internal lighting
KR20000018013A (ko) * 2000-01-04 2000-04-06 김영호 가정용 냉장고의 도어 구조
US6367223B1 (en) * 2000-06-09 2002-04-09 Anthony, Inc. Display case frame
US6698154B2 (en) * 2001-12-14 2004-03-02 Asv Plastics, Inc. Window trim for recreational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9972A1 (de) 2007-08-22
US20080093957A1 (en) 2008-04-24
US7805892B2 (en) 2010-10-05
WO2006058707A1 (de) 2006-06-08
JP2008522122A (ja) 2008-06-26
ES2709892T3 (es) 2019-04-22
EP1819972B1 (de) 2018-11-07
DE202005000923U1 (de)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4597A (ko)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KR20070095419A (ko)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KR20070086450A (ko) 냉장고 및/또는 냉동기
US697451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integrated multipane window sash
US6463706B1 (en) Unitary insulated glass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43047A (en) Seal for simultaneously sealing a door window pane and a door opening on a motor vehicle
US20090139165A1 (en) Insulating glass unit
NO176220B (no) Isolert kjöleskaps-/fryserdörenhet
BR102019019071A2 (pt) módulo de janela fixa encapsulado para um veículo a motor
KR20140132728A (ko) 인터스페이스 구성 요소를 가진 단열 유닛을 위한 스페이서 프레임을 위한 스페이서 프로파일과 단열 유닛
JPH10102939A (ja) 多重にガラスをはめ込む構成体のための縁部密封ガスケットアセンブリ
US8011137B2 (en) Gasket and insulating glass comprising said gasket
US4809469A (en) Assembly of clip and door frame members
EP0380398B1 (fr) Ensemble modulaire de glace de custode pour porte d'automobil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FR2662739A1 (fr) Assemblage de produits verriers sur chassis aluminium, pvc ou autres.
US2659940A (en) Refrigerator gasket
NO774007L (no) Rammekonstruksjon for vinduer og doerer med dobbeltglass
EP1338745B1 (fr) Ensemble de profilés pour la réalisation d'un ouvrant
KR20160113844A (ko) 창호에 구비된 창짝과 창틀의 단열구조
EP3591159A1 (en) Window frames
LU83438A1 (fr) Profile en matiere plastique,destine a la fixation d'un double vitrage en renovation
JPH06147739A (ja) 冷蔵庫
SI24024A (sl) Okvir krila okna ali vrat z večslojno zasteklitvijo
EP0000795A1 (fr) Encadrement en matière synthétique, à renforcement intérieur, pour fenêtres et portes.
FR2469545A1 (fr) Joint d'etancheite pour vit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