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432A -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82432A KR20070082432A KR1020060015286A KR20060015286A KR20070082432A KR 20070082432 A KR20070082432 A KR 20070082432A KR 1020060015286 A KR1020060015286 A KR 1020060015286A KR 20060015286 A KR20060015286 A KR 20060015286A KR 20070082432 A KR20070082432 A KR 200700824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window frame
- frame
- reaction plate
- co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개폐하게 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오염을 방지하며 비접촉 방식에 의해 마멸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기계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형 유도 모터, 코일, 코어, 리액션 플레이트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창호 개폐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선형 유도 모터의 코일부 및 리액션 플레이트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개폐장치가 하부 창틀 및 창짝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자동 개폐 장치가 장착된 단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개폐장치가 상부 창틀 및 창짝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 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짝 11 : 상부 창짝 프레임
12 : 하부 창짝 프레임 20 : 창틀
22 : 상부 창짝 프레임 22 : 하부 창틀 프레임
110 : 코일부 120 :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
130 :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
200 : 위치조절부 210 : 롤러
220 : 롤러 브라켓
본 발명은 코어가 내장된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하여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서 글래스(G)를 고정하는 창짝(10)과 상기 창짝(10)이 끼워지는 창틀(20)로 구성된다.
상기 창짝(10)과 창틀(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G)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창짝 프레임(11), 하부 창짝 프레임(12) 및 양측면 창짝 프레임(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틀(20) 또한 유사하게 상부 창틀 프레임(21) 하부 창틀 프레임(22) 및 양측면 창틀 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창호를 개폐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하부 창짝 프레 임(12)에 롤러(33)를 설치한 후 상기 창짝(1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롤러(33)를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접촉시키며 회전되게 하여 상기 창호를 개폐하였다.
근래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에 자동 개폐 장치(30)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자동 개폐 장치(30)는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며 상기 롤러(33)를 구동하는 웜기어(3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개폐 장치(30)를 컨트롤 박스나 수동 스위치(34)를 사용하여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였다.
즉, 상기 롤러(33)를 모터(31)에 의해 구동시킨 후 상기 롤러(33)가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12)의 레일(도시되지 않음)상에서 회전하며 상기 창짝(10)을 개폐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롤러(33)와 상기 레일(도시되지 않음)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창짝(10)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창호의 개폐는 마찰력에 의하게 되는바 상기 롤러(33)가 레일상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제어가 곤란하며 또한 상기 롤러(33)가 레일과 접촉되는 관계로 상기 레일이 오염이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롤러(33)와 레일이 접촉됨에 의해 마멸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모터로 인해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거나 큰 공간이 요구되는 등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과 창짝에 각각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개폐하게 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오염을 방지하며 비접촉 방식에 의해 마멸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기계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창틀과 창짝에 각각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방식은 유도모터 (Induction Motor)방식의 일종으로서, 상기 유도 모터라고 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스테이터(stator)와 로터(rotor)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테이터에 발생되는 회전 자기장에 의해 상기 로터에 토크가 발생하여 회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로터는 일반적인 동기 모터(Synchronus motor)와는 달리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구리판이나 알루미늄판과 같은 비철금속판을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유도 모터는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음에 의해 가격이 저렴해지는 한편 설치가 용이하고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게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유도 모터는 상기 비철금속판상에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기전력이 유도되고 상기 기전력에 의해 맴돌이 전류가 발생되며, 상기 맴돌이 전류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 회전력 즉 토크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발생동력이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력 즉 토크가 아닌 직선방향의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선형 유도 모터(Linear Induction Motor, LIM)라고 한다.
이러한 선형 유도 모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형 유도 모터는 리액션 플레이트(120)와 코일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20)는 스테이터(121)상에 배치되는 비철금속판(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부(110)는 요크(113)에 장착되는 코어(112)에 코일(111)이 감겨서 장착된다. 한편 상기 코어(112)는 금속재질이 이용되는데, 상기 코어(112)에 의해 추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코일부를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 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20)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게 되고 이와 같은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창짝(10)을 개폐하게 되는 기술적 사상이 본 발명인 것이다.
이하 상술바와 같이 코어가 내장된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1에서는 상기 선형 유도 모터를 하부 창짝 프레임(12)과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적용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창틀 프레임(22)상에 글래스(G)가 수용되는 하부 창짝 프레임(12)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의 하부에 상술한 종래의 롤러(33)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롤러(33)는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형성되는 레일(22a)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22)에는 평면형상의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12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의 롤러(33) 양측에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120)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20)는 상호작용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받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가 설치 되는 창짝(110)이 구동되며 상기 롤러(33)는 상기 구동되는 창짝(10)이 보다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창짝(10)과 창틀(20)은 종래와 같이 마찰력을 이용한 롤러(33)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기력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구동되는바, 종래와 같이 미끄러짐이 없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접촉되지 않는 방식이어서 내구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에 장착되는 코어(112)에 의해 보다 큰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성능도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1에서는 창짝(10)에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를 설치하고 창틀(20)에 리액션 플레이트(120)를 설치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창짝(10)에 리액션 플레이트(120)를 설치하고 창틀(20)에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20)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 위치가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를 설치하고 하부 창짝 프레임(12)의 하면에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120)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창호를 자동 개폐를 하게 되는데,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의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를 설치하면 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창호에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 는 모터 드라이브와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필요한데, 상기 모터 드라이브와 컨트롤러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요소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2
본 실시예2에서는 상기 선형 유도 모터를 창틀(20)과 창짝(10)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창틀 프레임(21)과 상부 창짝 프레임(11)에 적용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창짝 프레임(11)에 스테이터(131)와 비철금속판(132)로 구성되는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를 설치하였고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를 설치하였다.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부는 상기 실시예1의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와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장착하기 위해 몰딩부(114)와 몰딩 브라켓(115)이라는 구성을 추가하였다.
즉, 상기 몰딩부(114)는 상기 코어 내장형 코어부(110)를 몰딩처리에 의해 감싸게 되고, 상기 몰딩부(114)는 몰딩 브라켓(115)에 의해 상기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장착된다.
상기 몰딩 브라켓(115)은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장착되는 몰딩 브라켓 베이스(115a)와 상기 몰딩 브라켓 베이스(115a)에서 하측 방향 즉 창짝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연장부(115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 연장부(115b)사이에 상기 몰딩부(114)가 삽입되어 결국 상기 몰딩부(114)에 내장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일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112)가 내장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110)로서, 보다 큰 힘을 발생시키게 되어 대형의 창호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코어에 의해 방열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는 스테이터(131)와 상기 스테이터(131)상에 장착되는 비철금속판(13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1의 리액션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11)의 요홈부에 삽입되도록 "U"자로 형성한 점만이 상이하다.
한편,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의 측면 단부상에 다수개의 롤러(210)로 구성되는 위치 조절부(200)가 부가되는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롤러(210)중 2개를 일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롤러(210)는 상기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상에 장착되는 롤러 브라켓(220)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210)는 동일 중심선에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일부의 위치 조절 롤러(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몰딩 브라켓(115)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치우쳐 설치되며 다른 나머지의 위치 조절 롤러(210)는 그 반대측 즉, 상부 창틀 프레임의 외측 레일(26)측으로 치우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창짝(10)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여 좌우 유동을 최소화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코일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가 힘을 받게 되어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가 장착되는 창짝(10)이 몰딩 브라켓(115)측 또는 창틀의 외측 레일(26)측으로 붙게 될 수 있으며 모터 드라이브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의 극이 바뀌는 경우 상기 창짝(10)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210)를 양측에 치우치게 설치를 하면 좌우측중 어느측으로 붙으려고 하는 경우에도 이를 방지하여 좌우 요동없이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 일측에 엔코더(313)를 장착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엔코더(313)에 의해 위치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상에 센서 브라켓(312)을 설치한 후 상기 센서 브라켓(312)상에 위치 센서(311)를 장착하면 창짝(10)의 작동 한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2의 경우에도 앞선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게 코어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상호 바꾸어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부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를 구동하여 창호를 개폐하는 방식이어서 상기 롤러가 레일상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제어가 곤란하며 또한 상기 롤러가 레일과 접촉되는 관계로 상기 레일이 오염이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롤러와 레일이 접촉됨에 의해 마멸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모터로 인해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거나 큰 공간이 요구되는 등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창틀과 창짝에 각각 코어 내장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코어 내장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에 의해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개폐하게 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오염을 방지하며 비접촉 방식에 의해 마멸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기계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부에 코어를 사용함에 의해 보다 큰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대형 창호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에 의해 방열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상기 창짝의 상부 창짝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이 접하는 상부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상기 창짝의 상부 창짝 프레임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와,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이 접하는 상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 베이스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연장부로 구성되는 몰딩 브라켓과,상기 수직 연장부사이에 삽입되는 한편 코어 내장형 코일부가 몰딩처리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여,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정 롤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 조정 롤러중 하나의 위치 조정 롤러는 실내측으로 치우치는 한편 나머지 위치 조정 롤러는 실외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상기 창짝의 하부 창짝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와,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이 접하는 하부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부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롤러가 접촉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의 바닥면 양측에 설치되는 코어 내장형 코일부와 상 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 내장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286A KR20070082432A (ko) | 2006-02-16 | 2006-02-16 |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286A KR20070082432A (ko) | 2006-02-16 | 2006-02-16 |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2432A true KR20070082432A (ko) | 2007-08-21 |
Family
ID=3861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286A KR20070082432A (ko) | 2006-02-16 | 2006-02-16 |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8243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37830A (zh) * | 2011-06-28 | 2012-02-01 | 曹睿砺 | 一种磁悬浮式电磁推拉窗 |
KR101132674B1 (ko) * | 2009-07-02 | 2012-04-05 | 민승기 | 창틀용 구동 장치 |
KR20240045067A (ko) | 2022-09-29 | 2024-04-05 | (주)엘엑스하우시스 | 개폐 구조물용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 구조물 |
-
2006
- 2006-02-16 KR KR1020060015286A patent/KR200700824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2674B1 (ko) * | 2009-07-02 | 2012-04-05 | 민승기 | 창틀용 구동 장치 |
CN102337830A (zh) * | 2011-06-28 | 2012-02-01 | 曹睿砺 | 一种磁悬浮式电磁推拉窗 |
KR20240045067A (ko) | 2022-09-29 | 2024-04-05 | (주)엘엑스하우시스 | 개폐 구조물용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개폐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082432A (ko) |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 |
KR100832691B1 (ko) |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 |
KR100782357B1 (ko) | 자기부상식 선루프 시스템 | |
JP4938360B2 (ja) | 開閉扉装置 | |
KR100832690B1 (ko) | 코어 내장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 |
KR20070082434A (ko) | 코어레스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 |
KR101023955B1 (ko) | 직류 브러쉬 방식의 미서기 창호 개폐장치 | |
WO2014194955A1 (en) | Door opening-closing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 |
JP2715225B2 (ja) | 自動扉 | |
KR102127472B1 (ko) | 마그네트 자동 도어장치 | |
JP2001227240A (ja) | 建具の開閉装置 | |
KR100913167B1 (ko) | 소음차단기능이 구비된 교실용 창호 | |
JP2007270535A (ja) | リニア駆動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 |
JPH1199057A (ja) | リニアモータ式カーテン開閉装置 | |
KR20030097569A (ko) | 도어자동개폐장치 | |
CN209603700U (zh) | 一种单电机多门联动磁悬浮导轨 | |
JP7427211B1 (ja) | 開き戸駆動ユニット | |
JP3379504B2 (ja) | 建具の自動開閉装置 | |
JP2004076447A (ja) | 引戸構造 | |
KR200288413Y1 (ko) | 도어자동개폐장치 | |
KR100341607B1 (ko) | 전동식 브라인드 | |
KR100351349B1 (ko) | 윈도 레귤레이터용 스파이럴 스프링 | |
JP2006241671A (ja) | 自動ドア | |
JP2001220951A (ja) | 建具の自動開閉装置 | |
KR20060021493A (ko) | 선형전동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