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691B1 -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691B1
KR100832691B1 KR1020060015296A KR20060015296A KR100832691B1 KR 100832691 B1 KR100832691 B1 KR 100832691B1 KR 1020060015296 A KR1020060015296 A KR 1020060015296A KR 20060015296 A KR20060015296 A KR 20060015296A KR 100832691 B1 KR100832691 B1 KR 10083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frame
reaction plate
co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439A (ko
Inventor
서송원
신석신
양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앤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앤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1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6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의 구성에 의해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개폐하게 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오염을 방지하며 비접촉 방식에 의해 마멸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기계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기적, 기계적 노이즈가 작고 신뢰성이 높아 정밀한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코어의 사용으로 인해 고추력을 얻는 효과도 있다.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 코일, 코어레스형, 리액션 플레이트

Description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Window's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by coreless type brushless servo motor}
도 1은 종래의 창호 개폐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의 코어레스형 코일부 및 리액션 플레이트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개폐장치가 하부 창틀 및 창짝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자동 개폐 장치가 장착된 단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개폐장치가 상부 창틀 및 창짝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위치 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짝 11 : 상부 창짝 프레임
12 : 하부 창짝 프레임 20 : 창틀
22 : 상부 창짝 프레임 22 : 하부 창틀 프레임
110 : 코일부 120 :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
130 :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
200 : 위치조절부 210 : 롤러
220 : 롤러 브라켓
본 발명은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서 글래스(G)를 고정하는 창짝(10)과 상기 창짝(10)이 끼워지는 창틀(20)로 구성된다.
상기 창짝(10)과 창틀(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G)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창짝 프레임(11), 하부 창짝 프레임(12) 및 양측면 창짝 프레임(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창틀(20) 또한 유사하게 상부 창틀 프레임(21) 하부 창틀 프레임(22) 및 양측면 창틀 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창호를 개폐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에 롤러(33)를 설치한 후 상기 창짝(10)에 힘을 가하여 상기 롤러(33)를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접촉시키며 회전되게 하여 상기 창호를 개폐하였다.
근래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에 자동 개폐 장치(30)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자동 개폐 장치(30)는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며 상기 롤러(33)를 구동하는 웜기어(3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 개폐 장치(30)를 컨트롤 박스나 수동 스위치(34)를 사용하여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하였다.
즉, 상기 롤러(33)를 모터(31)에 의해 구동시킨 후 상기 롤러(33)가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12)의 레일(도시되지 않음)상에서 회전하며 상기 창짝(10)을 개폐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롤러(33)와 상기 레일(도시되지 않음)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창짝(10)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창호의 개폐는 마찰력에 의하게 되는바 상기 롤러(33)가 레일상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제어가 곤란하며 또한 상기 롤러(33)가 레일과 접촉되는 관계로 상기 레일이 오염이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롤러(33)와 레일이 접촉됨에 의해 마멸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모터로 인해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거나 큰 공간 이 요구되는 등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과 창짝에 각각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개폐하게 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오염을 방지하며 비접촉 방식에 의해 마멸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기계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창틀과 창짝에 각각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러쉬레스 서보 모터(Brushless servo motor)라고 하는 것은 동기 모터(Synchronous motor)의 한 종류인데, 상기 동기 모터라고 하는 것은 스테이터(stator)와 로터(rotor)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일컫는다. 이러한 동기 모터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노이즈가 작고 신뢰성이 높며 속도 및 가속도의 제어가 용이하고 고추력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한편 상기 동기 모터에 사용되는 브러쉬를 제거한 브러쉬레스 모터(brushless motor)는 교류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로터의 위치에 의해 전원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특히 상기 브러쉬레스 모터의 개념을 이용하여 회전력이 아닌 직선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로서 본 발명과 같이 창호의 자동 개폐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는 리액션 플레이트(120)와 코일부(110)로 구성된다.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20)는 스테이터(121)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틱(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부(110)는 요크(113)에 장착되는 코일(111)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어가 사용되지 않는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사용하는데, 상기 코어를 사용하지 않는 코어레스(coreless)형 코일부의 경우 해상도의 제한이 없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특성이 있고, 코어가 장착되지 않아 상기 코일(111)의 설치형상이 자유로와서 상기 코일부(110)의 형상 또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설계 자유도가 향상됨은 물론 생산성 또 한 향상되는 특성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20)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게 되고 이와 같은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창짝(10)을 개폐하게 되는 기술적 사상이 본 발명인 것이다.
이하 상술 바와 같이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1에서는 상기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하부 창짝 프레임(12)과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적용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창틀 프레임(22)상에 글래스(G)가 수용되는 하부 창짝 프레임(12)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의 하부에 상술한 종래의 롤러(33)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롤러(33)는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형성되는 레일(22a)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하부 창틀 프레임(22)에는 평면형상의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12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12)의 롤러(33) 양측에 코어레스형 코일부(11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120)와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20)는 상호작용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받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가 설치되는 창짝(110)이 구동되며 상기 롤러(33)는 상기 구동되는 창짝(10)이 보다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창짝(10)과 창틀(20)은 종래와 같이 마찰력을 이용한 롤러(33)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기력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구동되는바, 종래와 같이 미끄러짐이 없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접촉되지 않는 방식이어서 내구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1에서는 창짝(10)에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를 설치하고 창틀(20)에 리액션 플레이트(120)를 설치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창짝(10)에 리액션 플레이트(120)를 설치하고 창틀(20)에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20)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 위치가 상호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창틀 프레임(22)에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를 설치하고 하부 창짝 프레임(12)의 하면에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120)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창호를 자동 개폐를 하게 되는데,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의 코일부(110)를 설치하면 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창호에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드라이브와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필요한데, 상기 모터 드라이브와 컨트롤러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요소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2
본 실시예2에서는 상기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창틀(20)과 창짝(10)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창틀 프레임(21)과 상부 창짝 프레임(11)에 적용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창짝 프레임(11)에 스테이터(131)와 마그네틱(132)으로 구성되는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를 설치하였고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를 설치하였다.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부는 상기 실시예1의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와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장착하기 위해 몰딩부(114)와 몰딩 브라켓(115)이라는 구성을 추가하였다.
즉, 상기 몰딩부(114)는 상기 코어레스형 코어부(110)를 몰딩처리에 의해 감싸게 되고, 상기 몰딩부(114)는 몰딩 브라켓(115)에 의해 상기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장착된다.
상기 몰딩 브라켓(115)은 상부 창틀 프레임(21)에 장착되는 몰딩 브라켓 베이스(115a)와 상기 몰딩 브라켓 베이스(115a)에서 하측 방향 즉 창짝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연장부(115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 연장부(115b)사이에 상기 몰딩부(114)가 삽입되어 결국 상기 몰딩부(114)에 내장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11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가 없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는 스테이터(131)와 상기 스테이터(131)상에 장착되는 마그네틱(13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1의 리액션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의 측면 단부상에 다수개의 롤러(210)로 구성되는 위치 조절부(200)가 부가되는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롤러(210)중 2개를 일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롤러(210)는 상기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상에 장착되는 롤러 브라켓(220)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롤러(210)는 동일 중심선에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일부의 위치 조절 롤러(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몰딩 브라켓(115)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치우쳐 설치되며 다른 나머지의 위치 조절 롤러(210)는 그 반대측 즉, 상부 창틀 프레임의 외측 레일(26)측으로 치우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창짝(10)은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여 좌우 유동을 최소화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130)가 힘을 받게 되어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가 장착되는 창짝(10)이 몰딩 브라켓(115)측 또는 창틀의 외측 레일(26)측으로 붙게 될 수 있으며 모터 드라이브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의 극이 바뀌는 경우 상기 창짝(10)이 좌우로 흔들리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210)를 양측에 치우치게 설치를 하면 좌우측중 어느측으로 붙으려고 하는 경우에도 이를 방지하여 좌우 요동없이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 일측에 엔코더(313)를 장착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엔코더(313)에 의해 위치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30)상에 센서 브라켓(312)을 설치한 후 상기 센서 브라켓(312)상에 위치 센서(311)를 장착하면 창짝(10)의 작동 한계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2의 경우에도 앞선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하게 코어레스형 코어부(110)와 리액션 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상호 바꾸어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하부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를 구동하여 창호를 개폐하는 방식이어서 상기 롤러가 레일상에서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제어가 곤란하며 또한 상기 롤러가 레일과 접촉되는 관계로 상기 레일이 오염이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롤러와 레일이 접촉됨에 의해 마멸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모터로 인해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거나 큰 공간이 요구되는 등 설계의 자유도가 떨 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창틀과 창짝에 각각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상기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리액션 플레이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창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에 의해 상기 창틀과 창짝이 기계적 접촉을 하지 않고도 개폐하게 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레일의 오염을 방지하며 비접촉 방식에 의해 마멸이 방지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의 기계식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창호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는 등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기적, 기계적 노이즈가 작고 신뢰성이 높아 정밀한 제어가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코어의 사용으로 인해 고추력을 얻는 효과도 있으며,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사용함에 의해 코어에 의한 코킹이 없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형상 제약이 적어 설계 자유도와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2.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3.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상부 창짝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이 접하는 상부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4.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상부 창짝 프레임의 요홈부에 삽입되는 "U"자형 리액션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이 접하는 상부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창짝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 베이스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연장부로 구성되는 몰딩 브라켓과,
    상기 수직 연장부사이에 삽입되는 한편 코어레스형 코일부가 몰딩처리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 조정 롤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 조정 롤러중 하나의 위치 조정 롤러는 실내측으로 치우치는 한편 나머지 위치 조정 롤러는 실외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6.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하부 창짝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이 접하는 하부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액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7. 글래스가 고정되는 창짝 프레임과 상기 창짝 프레임의 하부 창짝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롤러가 접촉되기 위한 레일이 형성되는 창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로 구성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하부 창짝 프레임의 바닥면 양측에 설치되는 코어레스형 코일부와 상기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평탄형 리액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와 코어레스형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상기 창짝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 장치.
KR1020060015296A 2006-02-16 2006-02-16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KR10083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96A KR100832691B1 (ko) 2006-02-16 2006-02-16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96A KR100832691B1 (ko) 2006-02-16 2006-02-16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439A KR20070082439A (ko) 2007-08-21
KR100832691B1 true KR100832691B1 (ko) 2008-05-28

Family

ID=3861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96A KR100832691B1 (ko) 2006-02-16 2006-02-16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4B1 (ko) 2009-10-22 2010-03-26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친환경 자동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498B1 (ko) * 2021-02-17 2022-12-26 이동주 미닫이 창문 자동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100A (ko) * 2002-07-09 2004-01-24 황규선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04116283A (ja) 2002-09-23 2004-04-15 Otis Elevator Co ドアの非接触式直線移動を引き起こす装置およびドア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100A (ko) * 2002-07-09 2004-01-24 황규선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04116283A (ja) 2002-09-23 2004-04-15 Otis Elevator Co ドアの非接触式直線移動を引き起こす装置およびドア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94B1 (ko) 2009-10-22 2010-03-26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친환경 자동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439A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18800A (ja) 吊設部材駆動装置
AU2020392413B2 (en) Motorized drive device of an occultation or solar protection device, occultation or solar pro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installation
CN109768691A (zh) 一种用于悬浮门的永磁同步直线电机装置
KR100832691B1 (ko) 코어레스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CN102155138B (zh) 移拉门窗的磁悬浮助滑方法
ITPD20110123A1 (it) Struttura perfezionata di attuatore lineare particolarmente per porte scorrevoli
KR20070082432A (ko) 코어 내장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JP4938360B2 (ja) 開閉扉装置
KR100782357B1 (ko) 자기부상식 선루프 시스템
KR100832690B1 (ko) 코어 내장형 브러쉬레스 서보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개폐 장치
KR101023955B1 (ko) 직류 브러쉬 방식의 미서기 창호 개폐장치
KR20070082434A (ko) 코어레스형 선형 유도 모터를 이용한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
KR20050113678A (ko) 마그네틱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슬라이드방식의 윈도우 블라인딩 시스템
KR102127472B1 (ko) 마그네트 자동 도어장치
US20220408957A1 (en) Motorized drive device of an occultation or sunscreen device, occultation or sunscreen device and associated installation
JP2715225B2 (ja) 自動扉
JP2006016963A (ja) スクリーンの作動装置とそれを装備したガラス窓
JP2007270535A (ja) リニア駆動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JP2001227240A (ja) 建具の開閉装置
JP2020105854A (ja) 引き戸駆動装置および引き戸
CN209603700U (zh) 一种单电机多门联动磁悬浮导轨
KR20030097569A (ko) 도어자동개폐장치
EP3839183A1 (en) Automatic door with balanced movement
JPH11294012A (ja) 自動引き戸
KR200176156Y1 (ko) 전동식 브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