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926A - 소형차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차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926A
KR20070081926A KR1020060014226A KR20060014226A KR20070081926A KR 20070081926 A KR20070081926 A KR 20070081926A KR 1020060014226 A KR1020060014226 A KR 1020060014226A KR 20060014226 A KR20060014226 A KR 20060014226A KR 20070081926 A KR20070081926 A KR 20070081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e
tube
vibration
shoc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553B1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성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기계 filed Critical (주)성진기계
Priority to KR102006001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553B1/ko
Priority to PCT/KR2007/000744 priority patent/WO2007094591A1/en
Priority to US12/279,251 priority patent/US7658392B2/en
Publication of KR2007008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4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fluid springs
    • B60G11/465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fluid springs with a flexi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4Self-pumping flui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1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the spring having a flexi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륜이나 전륜 또는 전,후륜 소형차에 적용되어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4개의 완충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완충할 수 있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 휠을 포함하는 앞, 뒤 차축에 구비되어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상쇄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다수의 완충수단으로 구성된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현가장치, 튜브

Description

소형차용 현가장치{Pssenger suspens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앞차축의 현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앞차축에 장착되는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앞차축에 장착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앞차축에 장착되는 완충수단 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가장치
11 : 완충수단
111 : 상부 플레이트, 112 : 하부 플레이트, 113 : 신축성 튜브,
114 : 승강체, 115 : 함몰홈부, 116 : 하부 지지대,
117 : 승강체, 118 : 상부 지지대, 119 : 관통관,
121 : 하부 지지대, 122 : 돌출대, 123 : 보조 스프링
2 : 엑셀 하우징
3 : 차축 프레임
31 : 휠
32 : 조향너클
321 : 차축
33 : 현가암
4 : 보조탱크
5 : 압축기
10 : 바퀴
20 : 바디
본 발명은 소형차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륜이나 전륜 또는 전,후륜 소형차에 적용되어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4개의 완충수단을 통해 신속하게 완충할 수 있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라 함은, 바퀴의 회전을 통한 이동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승용차, 승합차, 소형차, 트럭, 버스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발명은 사람이 탑승하는 승용차 및 승합차(이하"소형차"라 칭함)에 장착되는 현가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즉 상기 소형차는, 뒤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추진력을 얻는 후륜 구동형과 앞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추진력을 얻는 전륜 구동형 및 앞 뒤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추진력을 얻는 전,후륜 구동형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전, 후, 전후륜 소형차에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현가장치는 주행 중에 노면 및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스프링 및 스프링의 고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형차에서는 스프링으로 코일 스프링(이하, 스프링이라 함)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현가장치는 장착 위치에 따라 앞 현가장치와 뒤 현가장치로 구분되어지며, 각각의 현가장치는 스프링만으로 구성된 것과, 스프링 및 쇼바로 구성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현가장치는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서 바퀴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탄성적으로 완화 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은 바퀴에서 전달되는 큰 진동 및 충격의 흡수 효과는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큰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 다음에는 스프링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탄발력으로 인하여 잔류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스프링을 통한 진동의 흡수후 발생되는 잔류 진동이 바디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됨으로서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잔류 진동을 상쇄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측부 또는 내부에 쇼바를 설치하고 있는데 쇼바는 특성상 유체의 이동을 통해 진동 및 충격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쇼바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는 것으로 충격 및 진동을 순간적으로 흡수하지 않고 서서히 흡수함으로서,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잔류 진동의 흡수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유체의 이동을 통해 스프링의 잔류 진동을 흡수함으로서 유체의 흐름에 따른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잔류 진동을 흡수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으로서,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전하면 서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미세진동도 흡수할 수 있는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 휠을 포함하는 앞, 뒤 차축에 구비되어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상쇄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는, 상기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다수의 완충수단으로 구성된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현가장치(1)는, 앞 바퀴(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추진력을 얻는 전륜 구동형 및 앞뒤바퀴(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추진력을 얻는 전,후륜 구동형 소형차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뒤 차축이 엑셀 하우징(2)을 포함하는 전륜 또는 전후륜 구동형 소형차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앞,뒤 액셀 하우징(2)의 양측과 바디의 사이에 구비된 4개의 완충수단(1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11)은,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11)은 상기 바디(20)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퀴(10)로부터 충격 및 진동이 상기 완충수단(11)으로 전달될 경우에는 완충수단(11)을 구성하는 신축성 튜브(113)가 신축됨으로서 신축성 튜브(113)에 채워진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팽창되거나 압축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용 현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소형차의 주행시 바퀴(10)로부터 현가장치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바디(20)와 차축 사이에 구비된 4개의 완충수단(11)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이 흡수 완충된다. 즉 현가장치로 유입되는 다양한 크기의 충격 및 진동을 완충수단을 통해 완전하면서도 신속히 완충시킴으로서 주행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중 바퀴(10)로부터 진동 및 충격이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완충수단(11)으로 전달되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채워진 신축성 튜브가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현상이 반복됨으로서 충격 및 진동을 순간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기나 가스가 채워진 신축성 튜브(113)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순간에는, 공기 또는 가스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힘과 신축성 튜브(113)의 팽창 후 압축되려는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됨으로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미세 진동이 완충수단에 잔류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11)에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 후에는, 공기나 가스 및 신축성 튜브(113)의 복원력이 동시에 발생됨으로서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서 주행중 미세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승차감의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일이 채워진 신축성 튜브(113)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순간에는, 신축성 튜브(113)의 팽창후 복원력이 작용됨으로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미세 진동이 완충수단에 잔류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에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 후에는, 신축성 튜브의 복원력이 발생됨으로서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서 주행중 미세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승차감의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체가 채워진 신축성 튜브(113)로 구성된 완충수단(11)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리적인 스프링의 흡수가 아닌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크기와 관계없이 진동 및 충격으로 완만하면서도 신속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예를 들어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복원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고 완만하게 일어남으로서 가해진 충격이 신속하게 튜브의 내부에서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나 기체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될 경우에는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를 들어 순간적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복원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고 완만하게 일어남으로서 가해진 충격이 신속하게 튜브의 내부에서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이 채워진 신축성 튜브가 팽창되었다가 압축될 경우에는 채워진 오일의 흡착력으로 인하여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신축성 튜브(113)와 연통되어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압축, 복원시 상기 신축성 튜브(113) 내부에 충진된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그 내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공기가 내부에 충진된 보조탱크(4)와, 상기 보조탱크(4)에 충진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압축기(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탱크(4)의 내부에는 항상 공기가 채워져 있음에 따라서, 신축성 튜브(113)가 압축되는 순간에는 신축성 튜브(113)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보조탱크(4)로 유입되면서 압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보조탱크(4)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팽창되는 과정을 통해 보조탱크(4)의 내부로 유입되었던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다시 신축성 튜브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서 신축성 튜브(113)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압축과 복원 과정을 통해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기는 보조탱크(4)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으로서, 별도의 제어수단(도시않됨)을 통해 압축기(5)를 작동시킴에 따라서 보조탱크(4)에서 손실된 공기를 보충할 수 있음은 물론 보조탱크(4)의 공기 압력을 조정하여 충격 및 진동의 완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압축 및 복원에 의해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상쇄함으로서 소형차의 승차감 및 안전성이 좀더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완충수단(11)은, 상기 바디(20)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승강체(114)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는 상기 승강체(114)가 그 내경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몰홈부(115)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10)로 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승강체(114)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함몰홈부(115)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완충수단(11)은, 상기 바디(20)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116)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내부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승강체(117)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10)로 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승강체(117)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완충수단(11)은, 상기 바디(20)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상부면을 감싸고 상 기 신축성 튜브(113)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상부 지지대(118)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관통관(119)과,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부면을 감싸고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121)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돌출대(122)와, 상기 돌출대(122)의 상부에 그 하단부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관(119)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스프링(1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10)로 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관통관(119)에 보조 스프링(123)이 포함된 돌출대(122)가 승강되면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진동 또는 충격의 흡수효과를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소형차용 현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앞차축의 현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현가장치(1)는 뒤 바퀴(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추진력을 얻는 후륜 구동형 소형차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후륜 구동형 소형차를 구성하는 상기 앞차축은 차축 프레임(3)과 휠(31)과 연결되는 차축(321)을 포함하는 조향너클(32) 및 상기 차축 프레임(3)과 양측 조향너클(32)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하부 현가암(33)을 포함하고, 상기 뒤차축은 엑셀 하우징(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현가장치는, 상기 앞차축을 구성하는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와 양측에 구비된 하부 현가암(33)의 사이에 2개가 구비되고, 상기 뒤차축을 구성하는 엑셀 하우징(2)의 양측과 소형차 바디(20)의 사이에 2개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앞차축에 구비된 각각의 완충수단(11)은, 상기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하부 현가암(3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뒤차축에 구비된 각각의 완충수단(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뒤차축의 완충수단(11)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뒤차축 구성과 동일함으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차용 현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7과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소형차의 주행시 바퀴(10)로부터 현가장치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바디(20)와 차축 사이에 구비된 완충수단(11)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이 흡수 완충된다. 즉 현가장치로 유입되는 다양한 크기의 충격 및 진동을 완충수단을 통해 완전하면서도 신속히 완충시킴으로서 주행 안 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중 바퀴(10)로부터 진동 및 충격이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완충수단(11)으로 전달되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채워진 신축성 튜브가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현상이 반복됨으로서 충격 및 진동을 순간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기나 가스가 채워진 신축성 튜브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순간에는, 공기 또는 가스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힘과 신축성 튜브(113)의 팽창후 압축되려는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됨으로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미세 진동이 완충수단에 잔류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11)에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 후에는, 공기나 가스 및 신축성 튜브의 복원력이 동시에 발생됨으로서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서 주행중 미세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승차감의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일이 채워진 신축성 튜브가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순간에는, 신축성 튜브(113)의 팽창후 복원력이 작용됨으로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미세 진동이 완충수단에 잔류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에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한 후에는, 신축성 튜브의 복원력이 발생됨으로서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서 주행중 미세 진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승차감의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체가 채워진 신축성 튜브(113)로 구성된 완충수단(11)을 사용 할 경우에는, 물리적인 스프링의 흡수가 아닌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의 크기와 관계없이 진동 및 충격으로 완만하면서도 신속하게 완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예를 들어 순간적이 충격이 가해 지더라도 복원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고 완만하게 일어남으로서 가해진 충격이 신속하게 튜브의 내부에서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나 기체가 압축되었다가 복귀될 경우에는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함으로서 예를 들어 순간적이 충격이 가해 지더라도 복원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고 완만하게 일어남으로서 가해진 충격이 신속하게 튜브의 내부에서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이 채워진 신축성 튜브가 팽창되었다가 압축될 경우에는 채워진 오일의 흡착력으로 인하여 미세진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앞차축에 구비되는 완충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완충수단(11)은, 상기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하부 현가암(3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도 록 구비되는 승강체(114)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는 상기 승강체(114)가 그 내경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몰홈부(115)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10)로 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승강체(114)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함몰홈부(115)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앞차축에 구비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완충수단(11)은, 상기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하부 현가암(3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116)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내부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승강체(117)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10)로 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승강체(117)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완충수단(11)은, 상기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하부 현가암(3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상부면을 감싸고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상부 지지대(118)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관통관(119)과,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부면을 감싸고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121)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돌출대(122)와, 상기 돌출대(122)의 상부에 그 하단부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관(119)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스프링(1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퀴(10)로 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상기 관통관(119)에 보조 스프링(123)이 포함된 돌출대(122)가 승강되면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진동 또는 충격의 흡수 효과를 좀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전하면서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미세진동도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서, 소형차의 승차감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양측 휠을 포함하는 앞, 뒤 차축에 구비되어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상쇄하는 현가장치(1)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1)는,
    상기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공기나 기체의 압축 복원력 및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거나 오일의 흡착 복원력과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바퀴(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충하는 다수의 완충수단(1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차축은 엑셀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앞,뒤 차축에 포함되는 엑셀 하우징(2)의 양측과 소형차의 바디(20) 사이에 4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11)은 상기 바디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 중 하나가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차축은 차축 프레임(3)과 휠(31)과 연결되는 차축(321)을 포함하는 조향너클(32) 및 상기 차축 프레임(3)과 양측 조향너클(32)의 사이에 구비되는 상,하부 현가암(33)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와 하부 현가암(33) 사이에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차축 프레임(3)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하부 현가암(33)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하며;
    상기 뒤차축은 엑셀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뒤차축에 포함되는 엑셀 하우징(2)의 양측과 바디(20)의 사이에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바디 하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111)와 상기 엑셀 하우징(2) 상단부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112) 및 상,하부 플레이트(111,112) 사이에 구비되고 공기나 오일 또는 가스가 충진되는 신축성 튜브(11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신축성 튜브(113)와 연통되어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압축, 복원시 상기 신축성 튜브(113) 내부에 충진된 공기나 가스 또는 오일이 그 내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공기로 충진되는 보조탱크(4)와, 상기 보조탱크(4)에 충진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압축기(5)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승강체(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튜브(113)는 상기 승강체(114)가 그 내경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몰홈부(11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116)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내부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승강체(117)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1)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상부면을 감싸고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상부 지지대(118)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관통관(119)과,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부면을 감싸고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하단부 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하부 지지대(121)와,
    상기 신축성 튜브(113)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112)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돌출대(122)와,
    상기 돌출대(122)의 상부에 그 하단부가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1)의 하부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관(122)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스프링(1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차용 현가장치.
KR1020060014226A 2006-02-14 2006-02-14 소형차용 현가장치 KR10079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226A KR100795553B1 (ko) 2006-02-14 2006-02-14 소형차용 현가장치
PCT/KR2007/000744 WO2007094591A1 (en) 2006-02-14 2007-02-12 Suspension apparatus
US12/279,251 US7658392B2 (en) 2006-02-14 2007-02-12 Suspen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226A KR100795553B1 (ko) 2006-02-14 2006-02-14 소형차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26A true KR20070081926A (ko) 2007-08-20
KR100795553B1 KR100795553B1 (ko) 2008-01-21

Family

ID=3837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226A KR100795553B1 (ko) 2006-02-14 2006-02-14 소형차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58392B2 (ko)
KR (1) KR100795553B1 (ko)
WO (1) WO20070945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1548A (zh) * 2013-01-31 2013-05-22 青特集团有限公司 一种重卡桥壳冷锻内涨成型专用涨形机
CN112060849A (zh) * 2020-10-09 2020-12-11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小型赛车三簧减震悬架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7319A1 (en) * 2008-11-12 2010-05-1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Vehicle and Trailer Set With Interchangeable Suspension Assemblies
KR102324819B1 (ko) * 2014-12-12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용 고분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6256921B2 (ja) * 2015-02-10 2018-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型車両
US20150159729A1 (en) * 2015-02-16 2015-06-11 Caterpillar Inc. Suspension assembly for payload carrier
CN111038203B (zh) * 2020-03-17 2022-11-22 绩溪县徽洋车桥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汽车车桥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8435B (de) * 1955-08-01 1958-04-17 Daimler Benz Ag Ausgleichsfederung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NL302468A (ko) * 1961-05-11
US3966223A (en) * 1974-11-08 1976-06-29 Carr James P Vehicle suspension
JPS59212551A (ja) 1983-05-16 1984-12-0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US5046752A (en) * 1988-03-31 1991-09-10 Paccar Inc. Axle suspension system
US5346246A (en) 1992-11-23 1994-09-13 Load-Air, Inc. Automatic air bag suspension control system
US5374077A (en) * 1993-01-11 1994-12-20 Paccar Inc. Pneumatically damped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030168821A1 (en) * 1998-07-29 2003-09-11 Angela Kate Haire Vehicle suspension with linked air bags
US7690663B2 (en) * 1998-07-29 2010-04-06 Angela Kate Haire Vehicle suspension with linked air bags
US7740257B2 (en) * 1998-07-29 2010-06-22 Angela Kate Haire Vehicle suspension with linked air bags
US6149142A (en) * 1999-01-19 2000-11-21 Paccar, Inc. Pneumatic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variable spring stiffness
BE1013399A3 (nl) * 2000-04-20 2001-12-04 Hool Nv Van Verbeterde voorwielophanging voor bussen en dergelijke.
JP2002254912A (ja) 2001-02-28 2002-09-11 Toki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762943B2 (ja) 2001-04-17 2006-04-05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アー サスペンション
JP4116365B2 (ja) 2002-08-21 2008-07-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懸架装置
KR100527741B1 (ko) 2003-09-0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US7097192B2 (en) * 2003-09-17 2006-08-29 Arvinmeritor Technology, Llc Trailer slider locking pin interlock with parking brake
JP2005048959A (ja) 2004-11-04 2005-02-24 Yuzuru Oishi サスペンショ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1548A (zh) * 2013-01-31 2013-05-22 青特集团有限公司 一种重卡桥壳冷锻内涨成型专用涨形机
CN112060849A (zh) * 2020-10-09 2020-12-11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小型赛车三簧减震悬架结构
CN112060849B (zh) * 2020-10-09 2023-08-01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小型赛车三簧减震悬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4591A1 (en) 2007-08-23
KR100795553B1 (ko) 2008-01-21
US7658392B2 (en) 2010-02-09
US20090026723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553B1 (ko) 소형차용 현가장치
KR100503272B1 (ko) 차량의 현가장치
EP3290244A1 (en) Combined spring compensation suspension device
KR20060082068A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완충장치
CN203248591U (zh) 载重汽车减振器
CN108859721A (zh) 一种客车发动机前悬置软垫
CN210027010U (zh) 一种悬置装置及车辆
JPH0747828A (ja) 懸架装置の板ばねの共振振動を吸収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520995A (ja) 可変応答ブッシング
CN210661182U (zh) 一种电子复合减振器
JP2006281981A (ja) 懸架装置
KR100235446B1 (ko) 이중실린더 형충격흡수장치
KR100315149B1 (ko) 차량용 시트의 완충장치
JP4810860B2 (ja) 懸架装置
KR20110123433A (ko) 대형트럭의 무진동장치
KR200245831Y1 (ko) 유압을 이용한 쇽업쇼바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CN214822756U (zh) 一种汽车减震座椅
KR101941920B1 (ko) 고무탄성완충기를 이용한 자동차 현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CN213619480U (zh) 一种汽车座椅悬架
KR100579881B1 (ko) 소형차용 현가 장치
KR19990031634U (ko)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CN101665067A (zh) 空气悬挂平衡装置
KR20030006347A (ko) 버스의 현가장치용 공기 스프링
KR19990004996A (ko) 캐빈 서스펜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