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446A -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446A
KR20070081446A KR1020070013775A KR20070013775A KR20070081446A KR 20070081446 A KR20070081446 A KR 20070081446A KR 1020070013775 A KR1020070013775 A KR 1020070013775A KR 20070013775 A KR20070013775 A KR 20070013775A KR 20070081446 A KR20070081446 A KR 2007008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p
content
image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우에노
바이핑 리아오
히로유키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68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reu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정보처리 장치는 다음의 요소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 취득부는 부가 정보로서 부가된 적어도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 맵 정보 기억부는 맵 정보를 기억한다. 템플릿 정보 기억부는 컨텐츠 정보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정보를 기억한다. 맵 정보 취득부는 상기 맵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맵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 취득부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에 부가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취득한다. 컨텐츠 정보 작성부는 상기 템플릿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맵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적어도 상기 맵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작성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와 GPS 위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의 링크 페이지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장치간에 실행된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따라 작성된 블로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작성하도록 장치간에 실행된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은 실시예에 따라 작성되는 웹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PC)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서버, 웹 컨텐츠 작성 서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블로그 링크페이지를 자동으로 작성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다른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작성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촬상 장치 2. 퍼스널 컴퓨터(PC)
3. 블로그 서버 3A. 웹 컨텐츠 작성 서버
11. 촬상부 12. 비디오 압축부
13. 사운드 픽업부 14. 오디오 압축부
15. 멀티플렉서 16. 버퍼부
17. 기억부 18. 카메라 제어부
19. 오디오 제어부 20. 관리 정보 제어부
21. 이동 검출부 22.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23. 비디오 제어부 24. 데이터 인터페이스
31. CPU 32. ROM
33. RAM 34. HDD
34a. 웹브라우저 35. 조작 입력부
36. 표시 출력부 37. 미디어 드라이브
38. 데이터 인터페이스 39.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 내부 버스 41. 조작 기기
42. 표시 기기 50. 제어부
5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2. 컨텐츠 작성부
53. 메타데이터 처리부 54. 기억부
54a. 블로그 데이터베이스 54b. 맵 데이터베이스
54c.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55. 내부 버스
본 발명은 2006년 2월 10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JP2006-033655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며,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정보 등의 정보를 작성하는 기능을 갖는 정보처리 장치와 정보처리 장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정보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조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가지는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촬영 시간에 관련된 위치 정보는 촬상 장치에 의해 기록한 동영상 혹은 정지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파일(화상 파일)에 부가 정보로서 부가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파일은 맵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파일이 맵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독출되면, 맵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독출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화상 및 화상 파일이 맵 화상을 사용하여 촬영(기록)되었던 위치를 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2004-233150에 공개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에 위치정보를 부가하면, 맵 화상에 관련된 이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그렇지만, 현재의 현상에 대해서,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이러한 위치 정보는 맵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단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장치는 다음의 요소를 포함한다.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부가 정보로서 부가된 적어도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 맵 정보 기억 수단은 맵 정보를 기억한다. 템플릿 정보 기억 수단은 컨텐츠 정보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정보를 기억한다. 맵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맵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에 부가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취득한다. 컨텐츠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템플릿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맵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적어도 상기 맵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작성한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우선, 화상 정보가 취득될 때, 화상 정보에 부가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맵 정보로부터 검색되어 취득된다. 맵 정보로부터 검색된 정보가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는데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 어서, 화상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사용되므로 인해 컨텐츠 정보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재된다.
본 실시예는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혹은 정지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파일)의 촬영 기록을 실시한 사용자가 화상 데이터(파일)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작성하도록 한다.
여기에 사용된 웹 컨텐츠는 웹 사이트로서 간주되고, 웹 페이지 단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웹 컨텐츠는 인터넷에 접속된 불특정 혹은 특정의 단말이 웹 컨텐츠를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 서버 등에 기억된다. 또, 웹 컨텐츠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기재되고, 재생을 위한 마크업 언어에 기입된 데이터를 해석하도록 조작 가능한 웹 브라우저라고 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여진다.
도 1은 화상을 촬영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촬상 장치로서 비디오 카메라(100)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를 나타낸다. 비디오 카메라(100)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는 각각 내장된 GPS 모듈을 포함한다. GPS 모듈은 GPS의 위성으로부터 고주파(radio wave)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위치 계산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장치이다.
이 내장된 GPS 모듈의 사용하는 것으로, 비디오 카메라(100)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는 복수의 GPS 위성(300A, 300B, 300C)으로부터 고주파를 수신하고, 소 정의 위치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연산을 실시하고, 위치 정보로서 적어도 현재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100)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촬상 기록의 조작을 실시할 때, 촬영 조작에 의해 취득된 동영상 혹은 정지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자신이 내장하는 기억 매체 혹은 장착된 제거 가능한 기억 매체에 예를 들면 파일 단위로 기억된다. 예를 들면, 이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각 파일은 호상 데이터에 관련된 소정의 정보 항목을 갖는 메타데이터(부가 정보)로 부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메타데이터는 GPS 모듈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파일은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체 화상 데이터부와, 이 화상 데이터부의 내용에 관련한 소정의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부로 형성된다.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은 이 메타데이터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영역에서 기억된 위치 정보는 GPS 모듈에 의해 취득되고, 이 화상 데이터가 촬영되었던 위치를 지시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부에 기억되는 위치 정보 이외의 정보는 촬영 일시, 데이터(파일) 크기, 화상 데이터부의 해상도, 데이터율, 엔코딩 형식이나, 촬영 처리 동안에 노출 및 화이트 밸런스 등의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할 때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비디오 카메라(100)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200)로서 역할을 하는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촬상 화상을 기록하는 구조를 나타낸 다. 도 3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또는 메타 정보 등의 기억부내의 기록 매체(기억 매체)에 기입 및 기억되도록 사용자 데이터로 되는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 빈 화살표는 각종 제어 작동을 위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촬상 장치(1)는 촬상부(11)를 포함한다. 촬상부(11)는 광학계(촬상용 광학계), 촬상 소자 및 압축 코딩전에 실행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화상 신호 처리계 등을 포함한다. 광학계는 촬상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부와, 구경 정지 등을 포함한다. 렌즈부는 포커스를 조정하기 위한 포커스 렌즈와, 줌(화각(畵角))을 조정하기 위한 줌 렌즈를 포함한다. 촬상부(11)는 초점을 조정하도록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모터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 구동 기구(focus lens driving mechanism)가 설치된다. 또, 촬상부(11)는 줌을 조정하기 위해서, 줌 렌즈를 광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기어, 모터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기구가 설치된다.
촬상부(11)에 있어서, 광학계에 의해 취득된 촬상광은 촬상 소자에 설치된 광전 변환 소자부상에서 포커스되고,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광전 변환 소자의 예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을 포함한다.
촬상부(11)에 있어서,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는 예를 들면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처리, AGC(Automatic Gain Control)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경향이 있고, 그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 하여 소정의 화상 신호 처리에 영향을 받기 쉽다. 화상 신호 처리로서, 소정의 디지털 신호 처리가 실행되고, 예를 들면, 촬상 화상에 대응하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취득된다.
또, 촬상부(11)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 처리는 카메라 제어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카메라 제어부(18)에 의해 사용된 소정의 제어 파라미터의 생성 등에 필요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카메라 제어부(18)에 의해 실행되는 카메라 제어 조작은 AF(Auto Focus) 제어, 노출 제어, 화이트 밸런스 처리, 카메라 흔들림 보정을 포함한다. 이들 카메라 제어 조작은 주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행되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는 위치 검출부(21)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부(2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면, 현재 시점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검출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등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검출부(21)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가 카메라 제어부에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취득된 위치 정보는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촬상 데이터의 파일에 부가하도록 부가 정보로서 이용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부에 기억되도록 위치 정보로서 이용한다. 위치 정보는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어도 좋다. 또, 위치 검출부(21)는 현재 위치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GPS 모듈을 포함하지 않는 어떤 다른 구성을 가져도 좋다.
촬상부(11)에 의해 최종적으로 취득된 디지털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압축부(12)에 입력된다. 비디오 압축부(12)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 방식 에 따른 압축 코딩을 실시한다. 현재 상태에 대해서는, 동영상이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등의 화상 정보를 움직이는 압축 코딩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 정지화면이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의 정지 화상 압축 코딩 박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비디오 압축부(12)에 의해 압축 코딩의 결과로서, 동영상 혹은 정지화면의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고, 그 다음 멀티플렉서(15)에 출력된다.
또, 촬상 장치(1)는 사운드 픽업부(13)를 포함한다. 사운드 픽업부(13)는 오디오 신호를 생산하는 사운드를 픽업하는 소정의 개수의 마이크로폰과, 이 마이크로포폰에 의해 취득된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압축 코딩 전에 실행되는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계를 포함한다. 사운드 픽업부(13)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신호 처리 단계에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한다.
사운드 픽업부(13)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출력은 오디오 압축부(14)에 출력된다.
오디오 압축부(14)는 비디오 압축부(12)에 의해 실행된 화상 압축 코딩에 대응하는 오디오 압축 코딩을 행하고, 그 결과를 멀티플렉서(15)에 출력한다.
동영상 기록의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 압축부(12)와 오디오 압축부(14)는 이른바 립싱크가 유지되도록 압축 코딩을 실행하고, 각각 압축 코드된 비디오 신호(압축 비디오 데이터)와 압축 코드된 오디오 신호(압축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카메라 제어부(18)은 상기 설명한 AF 제어, 줌 제어 기능 등에 대표되는, 촬 상부(11)에 대해 카메라 유니트를 위한 소정의 제어 기능의 수집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또, 이 카메라 제어부(18)에 의해 취득된 어떤 제어 결과 등의 정보는 메타데이터(관리 정보) 제어부(20)에 의해 취득되고,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비디오 제어부(23)는 비디오 압축부(12)의 신호 처리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되도록 각종의 제어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제어부(23)는 비디오 압축부(12)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모션 검출 등의 각종 검출의 형태와 압축 처리를 위한 연산을 실행하고, 그 검출 결과나 연산 결과에 따라서 비디오 압축부(12)의 신호 처리 조작을 제어한다. 비디오 제어부(23)에 의해 취득된 소정의 항목에 대한 검출 결과 또는 제어 결과 등의 정보는 메타데이터 제어부(20)에 의해 취득되고, 관리 정보를 생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제어부(19)는 오디오 신호 처리 동작을 제어한다. 즉, 오디오 제어부(19)는 예를 들면 사운드 픽업부(13)의 신호 처리 결과에 따라서 출력되는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오디오 압축 처리부(14)의 신호 처리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 오디오 제어부(19)에 의해 취득된 어떤 제어 결과 등의 정보도 메타데이터 제어부(20)에 의해 취득되고,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2)는 촬상 장치(1)를 위해 설치된 각종의 조작 요소에 의해 취득되는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촬상 장치(1)가 조작에 따라서 정확한 조작을 실행하도록 조작 정보를 처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2)는 상기 설명된 기능부에서 소정 조작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를 적절한 구성요소로 전송한다.
메타데이터 제어부(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에 부가 시켜야 할 메타데이터부로서 역할을 하는 정보(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관리 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카메라 제어부(18), 오디오 제어부(21) 및 비디오 압축부(12)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 정보, 검출 결과 등의 정보를 이용하고, 위치 검출부(21) 및 촬상 일시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의 각종 정보 항목을 수집한다. 그리고, 데이터 제어부(20)는 메타데이터로서의 정보 단위를 취득하도록 정보 항목을 소정의 데이터 구조에 기억시킨다.
동영상 또는 정지화면으로서의 압축 코딩된 데이터(동영상 기록의 경우에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도 포함된다)와 메타데이터의 정보가 멀티플렉서(15)에 입력되게 된다. 멀티플렉서(15)는 동영상 또는 정지화면의 압축 코딩된 화상 데이터와 메타데이터에 대해서, 다중화 처리, 합성 등의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 데이터부와 메타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기록 데이터를 생성시키도록 기억부(17)의 기록 포맷에 기록 엔코딩 등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고, 이 기록 데이터는 버퍼부(16)에 전송되어 축적된다.
버퍼부(16)는 축적된 기록 데이터의 소정량을 기입을 위해 기억부(17)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순서대로 기록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구체적으로, 기억부(17)는 소정의 기록 매체(기억 매체)와 이 기록 매체와 호환 가능한 데이터 기록(및 재생)이 가능한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이 기록 매체는 제거 가능한 매체이어도 좋고, HDD(하드 디스크)등과 같이 드라이브와 함께 고정적으로 실장되는 매체이어도 좋다.
기억부(17)가 DVD(Digital Versatile Disc)라면, 기억부(17)의 기록 포맷은 DVD-Video, DVD-VR(Video Recording)등의 이른바 DVD 포맷을 채용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24)는 촬상 장치(1)와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소정의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통신부(16)에 의해 지지되는 데이터 통신 방식은 유선, 무선에 상관없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된 데이터 통신 방식의 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통신 방식의 현재 이용 가능한 예는 유선에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등의 데이터 버스 규격과, 무선에서는 Bluetooth(상표) 등의 내부 기기 근접거리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규격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데이터 인터페이스(24)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은 기억부(17)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이 통신 버스를 거쳐서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촬상 장치의 화상(및 사운드) 기록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에 의해 표시되고, 실제의 하드웨어 구성과는 다르다. 실제로서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촬상을 실시하데 조작 가능한 섹션과, 마이크로폰 등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픽업하는데 조작 가능한 섹션과, 이들 섹션에 의해 취득된 비디 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 코딩 및 다중화 처리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조작 가능한 프로세서와, 소정의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드라이브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각종 소정의 제어 조작를 실행하는데 조작 가능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 사용자가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을 촬영한다면,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타데이터와 함께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화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에 의해 촬영 및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공개하는 사용자의 블로그를 작성하도록 소망하는 것을 가정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블로그(blog)는 웹 로그(Web log)가 단축되고, 웹 컨텐츠 또는 웹 사이트로 여겨진다. 홈페이지라고 하는 일반적인 웹 사이트는 홈페이지와 링크 페이지를 포함하고, 블로그의 출현 이전에 주지되어 왔다. 먼저, 웹 사이트를 인터넷상에서 공공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웹 사이트 작성자는 작성자에 의해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웹 페이지군(group of Web page)을 작성 및 편집하고,이 작성된 데이터를 서버 등에 업 로드(upload)한다. 이 경우에, HTML 등의 마크업 언어의 숙지 혹은 홈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이용할 필요 등의 무거운 부담이 작성자에 대해 놓이게 된다.
반면에, 블로그는 하나의 웹 사이트 형태이고, 블로그 작성자에 대해 가벼운 부담이기 때문에 점차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블로그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에 관리되도록 하기 위해 서버에 일반적으로 기억된다. 블로그 작성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버를 액세스할 수 있고, 작성 또는 편집을 위한 사용자 블로그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블로그 형태가 이용 가능하고, 편집은 블로그 형태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이 작성 또는 갱신된 블로그는 서버에 다시 기억된다. 그러므로, 홈 페이지와 달리 블로그를 작성 또는 편집하도록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고, 블로그 형태의 기입은 HTML을 편집하는 것 보다 훨씬 더 쉬운 가장 좋은 통상의 것이다.
다른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거쳐서 블로그를 액세스할 때, 실제적으로, 방문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블로그 데이터를 로드하고,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상에 표시시킨다.
블로그를 작성하도록 촬상 장치(1)의 사용자를 위한 조작과 장치 및 시스템의 조작에 대한 흐름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 설명은 사각 선반(square bracket)내의 순서 번호에 따라서 주어진다.
사용자가 블로그를 작성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PC)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순서(1)에 있어서, 사용자는 촬상 장치(1)의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하나의 화상 데이터(파일) 중에서, 블로그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하나의 화상데이터(파일)의 선택하고, 블로그 작성에 이용되는 PC(2)에 화상 데이터의 선택된 하나를 전송시킨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24)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이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좋다. 순서(2)에 있어서,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PC(2)는 내부 HDD 등의 기억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촬상 장치(1)의 기억부(17)는 제거 가능한 기록 매체인 경우에는, 이 기록 매체를 촬상 장치(1)로부터 제거되어도 좋고, PC(2)를 위해 설치되거나 PC(2)측에 접속된 기록 매체 드라이브에 화상 데이터가 PC(2)에 의해 독출되도록 위치되어도 좋다.
촬상 장치(1)에 의해 기록한 화상 데이터를 PC(2)로 조작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블로그를 편집하도록 PC(2)를 조작시킨다. PC(2)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서 블로그 서버(3)에 접속된다. 이 블로그 서버(3)는 블로그 관리 서버이다. PC(2)로부터 블로그 편집의 요구를 받으면, 블로그 서버(3)는 지정된 블로그의 편집 형태를 독출하고, PC(2)에 그 형태를 전송한다. PC(2)측의 디스플레이에서 블로그의 편집 형태가 웹 브라우저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이 편집 형태에 대해서 소망한 편집 또는 갱신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부동산에 관한 블로그를 작성한다. 사용자는 어떤 지역내에 위치된 부동산을 소개하는 페이지를 작성하는 것을 소망한다. 이러한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순서(3)에 있어서, 사용자는 블로그 서버(3)에 소개되는 부동산 화상을 촬영함으로써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업로드한다. 이 조작도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순서(4)에 있어서, 업 로드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블로그 서버(3)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작성한다. 블로그 서버(3)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는 블로그의 본문에 포함된 링크에 의해 나타나는 링크 페이지이다. 먼저, 이 링크 페이지는 화상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부에 기억되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작성된다. 블로그 서버(3)는 블로그 서버(3)에 기억된 맵 정보로부터, 참조한 위치 정보에 의해 위치를 포함한 지역의 맵 화상 부분을 검색하고, 이 맵 화상 부분이 신규 작성된 페이지의 배경으로서 이용되도록 전송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컨텐츠를 붙인다. 즉, 화상 컨텐츠는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로 나타내는 맵 화상의 위치에서 첨부된다. 그러므로, 링크 페이지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검색된 맵 화상 부분의 데이터와 송신된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부의 컨텐츠)를 천연재료로서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성된다.
도 5b는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자동 작성되는 페이지의 화상 예를 나타낸다. 도 5b에 있어서, 사진 화상(P1, P2, P3)은 XY 타운 1초메, XY 타운 2초메, XY 타운 3초메를 덮는 부근의 맵 화상상에 붙인다.
즉, 도 5b에 있어서,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촬영 기록되고, PC(2)에 의해 검색되어 블로그 서버(3)에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는 사진 화상(P1, P2, P3)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부의 화상 컨텐츠를 갖는 3매의 화상 데이터(three pieces of image data)로 이루어진다. 이 3매의 화상 데이터는 XY 타운 1초메의 위치, XY 타운 2초메의 위치, XY 타운 3초메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블로그 서버(3)는 맵 정보로부터 XY 타운 1초메, XY 타운 2초메, XY 타운 3초메 부근을 덮는 맵 화상을 검색하고, 이 맵 화상으로 각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붙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블로그 서버(3)가 링크 페이지를 작성할 때, 이 페이지로부터 링크된 링크 목적지의 주소도 구성된다. 예를 들 면, 이 주소는 링크 페이지가 블로그 서버(3)에 기억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어도 좋다. 도 4b에 도시된 순서(5)에 있어서, 블로그 서버(3) 자체에 의해 관리하도록 블로그 서버(3)가 작성된 링크 페이지의 데이터를 기억하여 등록할 때, 블로그 서버(3)는 이 링크 페이지의 URL(주소)를 PC(2)에 송신한다. 블로그 편집을 위해서 PC(2)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 이 송신된 링크가 플로그의 본문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편집을 실시한다.
편집된 블로그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열람될 때, 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방식으로 표시되게 된다. 도 5a는 블로그의 본문이 표시되는 메인 페이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메인 페이지는 중앙의 본문 필드와 그 좌우의 프레임 필드 등의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예이다.
실제로 메인 페이지는 본문의 소정의 문자 부분에서 도 5b에 나타낸 링크 페이즈(XY 타운 부동산의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포함한다. 이 링크가 클릭될 때, 웨 브라우저는 링크 목적지의 정보를 요구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링크 페이지의 컨텐츠의 데이터는 블로그 서버(3)로부터 반송해 온다. 웹 브라우저는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5b에 도시된 화상을 표시시킨다.
도 4 ~ 도 5b를 참조하는 기재는 블로그 작성의 문자로 만들어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자동 작성은 소위 홈페이지라고 하는 웹 컨텐츠의 작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는 도 6 ~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는 여행 동안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여행기의 웹 페이지를 작성하도록 소망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대해, 도 6a에 도시된 순서(1 및 2)에 있어서, 사용자는 촬상 장치(1)로부터 PC(2)에 웹 페이지 작성을 위해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시키고, PC(2)에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PC(2)는 웹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해서, 인터넷을 거쳐서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와 접속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래 홈 페이지 등의 웹 컨텐츠는 홈 페이지 작성용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혹은 마크업 언어의 기술을 사용하여 로컬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작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는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데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웹 컨텐츠 작성 처리에서 웹 컨텐츠를 작성하도록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로부터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경우에도, 도 6b에 도시된 순서(3)에 있어서,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데 이용하는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을 거쳐서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로 송신한다. 이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는 예를 들면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웹 페이지를 작성한다.
도 7a는 여행기의 메인 페이지의 표시 모양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메인 페이지는 좌측의 화상 영역(AR1)과, 우측의 화상 영역(AR2)을 포함한다. 화상 영역(AR1)에 있어서, 어느 지역의 전체를 덮는 맵이 도시되고, 이 맵은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포함한다. 화상 영역(AR2)은 타이틀 즉, 「A도시 여행기록」 「B도시 여행기록」 「C도시 여행기록」 「D도시 여행기록」의 표제를(heading) 이어가는 "여행기 컨텐츠 테이블"을 포함한 다. 이 표제는 각 표제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이들 표제는 밑줄쳐 있다.
예를 들면 도 7a에 나타내는 메인 페이지는 실제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A도시 여행기록」의 표제가 클릭될 때, 도 7b에 나타내는 링크 페이지는 로드(load)되어 표시된다.
도 7b에 나타낸 링크 페이지는 좌측의 화상 영역(AR3)과, 우측의 화상 영역(AR4)을 포함한다. 화상 영역(AR3)에 있어서, A도시에서 촬영되었던 화상 데이터의 화상(P11, P12, P13, ···)의 썸네일(thumbnail) 표시된다. 화상 영역(AR4)에 있어서, 화상 영역(AR3)에서 표시된 각 화상(P11, P12, P13, ···)을 위한 코멘트 필드(comment field)가 표시된다. 코멘트 필드에 있어서, 「지역명」, 「화상 타이틀」, 「여행기 코멘트」등의 항목에 기입되는 문자는 이 웹 페이지의 데이터가 PC(2)에 로드 되어진 후에, PC(2)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순서(4)에 있어서,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는 다음의 방식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웹 페이지를 자동 작성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페이지 사이에 대응에 있어서, 사용자는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에서 촬영한 필요 매수의 화상 데이터를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에 송신한다.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는 송신된 모든 화상 데이터를 위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먼저, 이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단위를 특정하도록 맵 정보를 참조한다. 예를 들면,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가 프랑스에 위치된 5개의 지역이라고 하면, 유럽 지역에 있어서의 프랑스로서의 영토의 범위가 상기 지역 단위로서 특정된다. 이 프랑스의 맵 화상은 맵 정보로부터 검색되고, 도 7(a)의 화상 영역(AR1)에 표시시키는 맵 화상으로서 이용한다. 또, 맵 정보로부터, 수집한 위치 정보는 프랑스내에서의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에 해당하는 것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를 지시하는 표시는 화상 영역(AR1)의 맵 화상에 부가된다. 도 7a의 화상 영역(AR1, AR2, AR4)에 있어서, 「A도시」, 「B도시」 , 「C도시」, 「D도시」의 문자는 맵 정보에서 등록되어 있는 실제의 지명 등을 표시한다.
수집한 위치 정보가 프랑스내에서의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에 해당하는 것이 인식되기 때문에, 도 7a에 도시된 화상 영역(AR2)에 있어서의 표제는 예를 들면 「××여행기록」 등의 양식 문자열(template character string)에 대해서, 「A도시」, 「B 거리」, 「C도시」, 「D도시」의 문자를 삽입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 각 표제 문자열에 포함된 링크는 대응하는 링크 페이지에 대해서 특정되는 기억 목적지의 디렉토리(홈 페이지에 대한 상대 패스에 의해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를 이용하여 작성될 수도 있다.
도 7b에 나타내는 링크 페이지의 화상 영역(AR3)은 송신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부를 이용하여 썸네일 화상을 생성하여 썸네일 화상을 붙임으로써 작성될 수 있다. 화상 영역(AR4)은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나는 표시 스타일을 허락하도록 소정의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링크 페이지에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기재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 블로그 혹은 웹 페이지등의 웹 컨텐츠의 작성자인 사용자는 화상 컨텐츠가 블로그 서 버(3) 혹은 웹 컨텐츠에 작성 서버(3A)에 작성되도록 웹 컨텐츠에서 화상 컨텐츠가 이용되는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블로그 링크 페이지 혹은 웹 페이지가 작성될 수 있다. 특히, 블로그 서버(3) 혹은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에 있어서의 웹 컨텐츠의 자동 작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송신된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맵 정보를 검색하고, 소개되는 지역명을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는 위치 정보는 대응하는 컨텐츠를 갖는 웹 컨텐츠(컨텐츠 정보)를 자동 작성하도록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웹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자(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도 4 ~ 도 6을 참조하여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의 작성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구성이 기재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PC(퍼스널 컴퓨터)(2)의 구성예가 설명된다.
도 8에 도시된 PC(2)는 내부 버스(40)를 거쳐서 서로 접속하는 CPU(31), ROM(32), RAM(33), HDD(하드 디스크)(34), 조작 입력부(35), 표시 출력부(36), 미디어 드라이브(37), 데이터 인터페이스(3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를 포함한다.
CPU(31)는 ROM(32)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 HDD(34)에 기억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프로그램을 실행을 위해 RAM(13)에 로드한다. 또, RAM(13)은 필요하다면, CPU(3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등도 기억시킨다. ROM(32)은 일반적으로는 고쳐쓰기 불가능하지만,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입 가능한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여도 좋다.
HDD(34)는 PC에 있어서의 보조기억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프로그램을 인스톨(install)함으로써 이 CPU(3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시킨다. 또, HDD(34)는 각종의 애플리케이션 파일등도 기억시킨다. HDD(34)에 기억되는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 등에 의해 관리된다. CPU(31)는 HDD(34)에 대한 데이터를 기입 및 독출하도록 파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HDD(34)에 인스톨 되는 프로그램 중에서 웹 브라우저(34a)를 나타내고 있다. 웹 브라우저(34a)는 인터넷을 거쳐서 업 로드 및 공공으로 액세스 가능한 웹 사이트 혹은 로컬에 기억되어 있는 HTML 등의 마크업 언어에 기입된 문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웹 사이트 혹은 문서를 브라우저하여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 상기 기재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34a)는 웹 컨텐츠의 작성을 위해 인터넷을 거쳐서 블로그 서버(3) 혹은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를 액세스하도록 사용된다.
조작 기기(4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수신할 시에, 조작 입력부(35)는 CPU(3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명령(instruction)으로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고, CPU(31)에 그 명령을 출력한다. CPU(31)는 이 명령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 조작 기기(41)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컴퓨터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입력 기기의 선택이다. 표시 출력부(36)는 예를 들면 CPU(31)의 제어에 따라 표시 기기(42)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미디어 드라이브(37)는 종래의 현재 상태에 있어서, CD-ROM, DVD, 또 제거 가능하고 소정 규격에 호환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등의 특정 미디어에 따라서 데이터를 독출/기입하도록 한다. 미디어 드라이브(37)는 또한 CPU(31)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38)는 PC(2)와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소정의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실장함으로써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 인터페이스(38)는 촬상 장치(1)의 데이터 인터페이스(24)와 통신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면, 종래의 현 상태에 있어서, EthernetTM 혹은 예를 들면, IEEE802.11a/b/g 등의 무선 LAN 규격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가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접속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9)는 모뎀을 포함하여도 좋다.
도 9는 블로그 서버(3) 및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기재에 있어서, 블로그 서버(3)와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는 구별하는 것 없이 포괄적으로 서버라고 간주한다.
도 9에 있어서, 서버(3, 3A)는 내부 버스(55)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는 제어부(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 컨텐츠 작성부(52), 메타데이터 처리부(53) 및 기억부(54)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CPU, RAM, ROM 등을 포함하고, 서버(3, 3A)의 제어 조작을 실시하도록 내부 ROM 혹은 기억부(54)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는 인터넷 혹은 LAN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서버(3, 3A)는 인터넷을 거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를 이용하여 서버(3, 3A)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자로 접속된다.
블로그 서버(3)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기재된 블로그 등의 웹 컨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에 있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기재된 웹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컨텐츠 작성부(52)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웹 컨텐츠의 자동 작성이 이용된다.
컨텐츠 작성부(52)의 기능은 예를 들면 실제로 제어부(50)에 있어서의 CPU가 컨텐츠 작성부(52)의 기능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 신호 처리 회로 등의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메타데이터 처리부(53)는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는 메타데이터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컨텐츠의 해석 및 인식 등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이 메타데이터 처리부(53)는 화상 데이터에 메타데이터의 일부로서 부가된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 메타데이터 처리부(53)의 기능은 예를 들면 실제로 제어부(50)에 있어서의 CPU가 메타데이터 처리부(53)의 기능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 신 호 처리 회로 등의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기억부(54)는 예를 들면 실제로 HDD를 포함하고, 웹 컨텐츠 작성 등의 서버(3, 3A)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의 정보 및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도 9에 있어서, 블로그 데이터베이스(blog database)(54a), 맵 데이터베이스(map database)(54b), 템플릿 데이터베이스(template database)(54c)를 포함한다. 블로그 데이터베이스(54a)는 블로그 서버(3)의 경우에 기억되는 정보원이며, 블로그 서버(3)에 의해 제공되는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인터넷상에 공개되어야 할 블로그로서의 컨텐츠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면 이 블로그 데이터베이스(54a)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블로그를 열람하는 요구는 인터넷상의 단말로부터 송신된다. 이 요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50)에 전송된다. 제어부(50)는 웹 페이지를 구축하도록 기억부(54)의 블로그 데이터베이스(54a)로부터 지정된 블로그의 정보를 독출하고, 이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에서 인터넷을 거쳐서 요구하는 단말로 송신한다. 단말은 송신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맵 데이터베이스(54b)는 맵 정보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먼저, 맵 정보는 위도/경도로 나타낸 위치 정보가 맵으로서의 화상에 관련되는 기본 구조를 가진다. 게다가, 예를 들면 지명, 주소, 그 외의 각종 부가 정보 등이 위치 정보와 관련된다.
템플릿 데이터베이스(54c)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블로그 페이지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웹 페이지를 위한 템플렛(모델)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이다. 블로그의 링크 페이지나 웹 페이지가 기초하는 템플릿 데이터는 HTML 등의 소정의 마크업 언어로 기재된 문서 파일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기본적인 기재는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링크 페이지 혹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웹 페이지에서 디폴트에 의해 이미 준비되었다. 실제로 이 템플릿 중 하나가 링크 페이지나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데 이용할 경우에는, 템플릿에 있어서의 디폴트의 기재 컨텐츠가 레이아웃(lay out)되는 화상이나, 문자열의 변경 등에 따라서 갱신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기억부(54)는 서버(3, 3A)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도 기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제 사용에 있어서,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과 이 OS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컨텐츠 작성부(52) 및 메타데이터 처리부(53) 등의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블로그의 링크 페이지를 자동 작성하기 위한 PC(2) 및 블로그 서버(3)에 의해 실행된 처리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순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블로그를 갱신하기 위해서 촬상 장치(1)로부터 PC(2)로 화상 데이터를 이미 전송했고, 웹 브라우저(34a)는 블로그를 편집하기 위해 인터넷을 거쳐서 블로그 서버(3)에 PC(2)를 접속하도록 이미 기동되었다.
또, 도 10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웹 브라우저는 PC(2)에서 설명되고, 컨텐츠 작성 처리, 메타데이터 처리 및 맵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가 블로 그 서버(3)에서 설명된다. PC(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작 입력부(35)에 대응한다. PC(2)의 웹 브라우저는 HDD(34)에 기억되어 있고, 이미 기동되었고, CPU(31)에 의해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34a)에 대응한다. 블로그 서버(3)의 컨텐츠 처리, 메타데이터 처리, 맵 데이터베이스는 각각 도 9에 도시된 컨텐츠 작성부(52), 메타데이터 처리부(53), 맵 데이터베이스(54b)에 대응한다.
먼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링크 페이지를 자동 작성시키기 위해서, 그 링크 페이지에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가 PC(2)로부터 블로그 서버(3)에 전송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의 화면상에서 PC(2)에 대한 조작을 실시하여, 전송되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특정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단계(S101)에 있어서, PC(2)는 이 지정된 화상 데이터를 블로그 서버(3)에 송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명령을 한다. 단계(S102)에 있어서, 웹 서버는 특정의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인터넷을 거쳐서 블로그 서버(3)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사진 화상(P1, P2, P3)에 대응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이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시에, 블로그 서버(3)는 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컨텐츠 작성부(52)에 건네준다. 화상 데이터가 건네받을 시에, 단계(S103)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메타데이터 처리부(53)에 메타데이터의 처리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작성부(52)는 건네준 화상 데이터의 각각으로부터 메타데이터부를 추출하여 취득하고 , 이 메타데이터부의 정보를 메타데이터 처리부(53)에 건네준다.
단계(S104)에 있어서, 메타데이터 처리의 요구를 수신할 시에, 메타데이터 처리부(53)는 요구와 함께 수신된 각 화상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부의 정보로부터 필요한 메타데이터 항목을 검색하여 취득하는 등, 원하는 메타데이터상의 처리를 실행한다. 링크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해, 단계(S104)의 메타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취득한다. 단계(S10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마다 대응하여 이 취득된 위치 정보는 단계(S103)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컨텐츠 작성부(52)에 전송된다.
이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시에, 단계(S106)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주고 받아진 각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위한 맵 데이터베이스(54b)를 검색 키로서 검색한다. 이 검색 결과로서, 검색 키로 사용된 모든 위치 정보가 포함하는 영역 범위가 특정되게 된다. 검색 결과가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취득될 때, 단계(S107)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검색 결과로 취득된 영역 범위의 데이터를 맵 데이터베이스(54b)로부터 독출하여 수신한다.
이 단계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단계(S102)에 의해 건네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단계(S107)에서 수신된 영역 범위의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있다. 단계(S108)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소재로서 링크 페이지를 작성한다.
이 링크 페이지 작성 처리는 도 5b에 도시된 링크 페이지의 문자에 기재된다. 먼저, 컨텐츠 작성부(52)는 기억부(54)의 템플릿 데이터베이스(54c)로부터, 썸네일 화상이 맵 화상상에 붙여진 표시 모양을 갖는 링크 페이지의 작성에 기초한 템플릿 데이터를 독출한다. 링크 페이지가 기초하는 이 템플릿 데이터는 HTML 등의 소정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되는 문서 파일에 기초하여 작성되어 오고 있다.
컨텐츠 작성부(52)는 맵 데이터베이스(53c)로부터 독출된 영역 범위의 데이터로서 그 맵 화상의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 사진 화상(P1, P2, P3)에 대응한 각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맵 화상의 위치는 예를 들면 맵 화상 데이터의 화소 위치로서 특정한다.
또한, 맵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위도/경도 등로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는 맵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일치되므로 인해,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맵 화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맵 화상 데이터의 화소 위치에 대한 데이터에 의해 위치 정보를 대신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맵화상의 위치는 맵 화상 데이터의 화소 위치로서 취득될 수 있다. 그 다음, 컨텐츠 작성부(52)는 배경 화상으로서 맵 화상 데이터를 레이아웃하도록 템플릿에 기입을 실행한다. 게다가, 물체로서의 사진 화상(P1, P2, P3)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 위치가 맵 하상 데이터의 지정된 화소 위치에 근거하여 판별되고, 템플렛에 기입된다. 그러므로, 링크 페이지가 작성된다.
또, 단계(S108)에 있어서, 이 작성한 링크 페이지는 블로그 데이터베이스(54a)에 등록되도록 기억부(54)에 기억된다.
이 작성한 링크 페이지에 기억될 때, 링크 페이지의 주소(URL)가 결정되게 된다. 단계(S109)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링크 페이지의 링크 목적지 URL를 인터넷 경유로 PC(2)의 웹 브라우저에 송신한다.
도 10에 도시되지 않지만, 링크 페이지의 URL을 수신할 시에, 웹 브라우저는 소정의 모양으로 그 URL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사용자는 이 제시된 URL을 이용하여 본문내에 링크를 삽입하도록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블로그 본문을 편집한다.
도 6 ~ 도 7b에 도시된 웹 페이지를 자동 작성하는 PC(2)와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순서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페이지 등의 웹 컨텐츠 역할을 하는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갱신하기 위해, 사용자가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PC(2)에 이미 전송되는 환경에서 실행되고, 웹 브라우저(34a)는 웹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인터넷을 거쳐서 PC(2)를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와 접속하도록 이미 기동되었다.
또, 도 11에 있어서, 도 10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웹 브라우저가 PC(2)를 위한 처리로서 설명되고, 컨텐츠 작성 처리 및 메타데이터 처리가 블로그 서버(3)을 위한 처리로서 설명되고, 맵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가 처리 대상으로 설명된다.
도 11에 있어서, 단계(S201 ~ S207)의 처리는 도 10에 도시된 단계(S10 1 ~ S107)의 처리와 같다. 도 7a 및 7b에 대응에 있어서, 단계(S201, S202)에서 PC(2)로부터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에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는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에 촬영된 화상 중에서 웹 페이지 작성을 위해 선택되는 화상이다. 그러므로, 단계(S207)에서 맵 데이터베이스(54b)로부터 컨텐츠 작성부(52)에 의해 수신하여 기억된 영역 범위는 유럽내의 프랑스의 국경 지역이다.
도 11에 도시된 단계(S208)에 있어서, 컨텐츠 작성부(52)는 단계(S202)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와 예를 들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웹 페이지를 작성하도록 단계(S207)에서 취득된 영역 범위의 데이터를 이용한다.
단계(S208)의 웹 페이지 작성할 때, 먼저,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메인 페이지와 도 7b에 도시된 링크 페이지가 기초하는 템플릿 데이터가 기억부(54)의 템플릿 데이터베이스(54c)로부터 독출되어 수신된다. 메인 페이지에 있어서, 맵 데이터베이스(54b)로부터 검색된 영역 범위의 맵 화상 데이터가 화상 영역(AR1)에 레이아웃 된다. 게다가,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의 위치를 가리키는 지점은 맵 화상에 부가된다.
컨텐츠 작성부(52)는 송신된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된 맵 정보와 일치시킨다. 그러므로,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A도시 , B도시, C도시, D도시의 4개의 도시의 몇개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화상 영역(AR1)에 있어서의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은 이 인식 결과에 따라서 작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화상 영역(AR2)에 있어서의 각 표제의 타이틀도 템플렛에 기입함으로써 인식 결과에 따라 작성될 수 있고, 「××여행기록」의 양식 문자열에 있어서의 「× ×」의 부분에 대해서, 「A도시」, 「B도시」, 「C도시」, 「D도시」의 문자를 삽입하도록 한다. 또, 각 표제에 삽입되는 링크 정보도 템플릿에 기입된다.
또, 도 7b의 도시된 링크 페이지에 있어서, 먼저, 화상 영역(AR3)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의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붙이기 위한 기입 조작이 템플릿상에 실시된다. 화상 영역(AR4)에 있어서, 화상 영역(AR3)에 붙인 개개의 화상을 위한 코멘트가 코멘트 필드에 입력된다. 화상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컨텐츠의 정보 혹은 화상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맵 정보 사이의 간계를 이용하여 자동 입력될 수 있는 정보가 미리 입력된다. 도 7b에 도시된 경우에, 정보는 화상마다의 코멘트 필드에서 입력 「A도시 날짜」에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위치가 A도시에 위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기재된 인식 결과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대응하는 화상의 촬영일이 데이터 엔트리에 실제로 표시된다. 이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부에 기억되는 촬영일 정보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단계(S209)에 있어서, 단계(S208)에서 작성된 웹 페이지로서의 컨텐츠 정보의 전체 데이터가 PC(2)에 송신된다.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는 사용자의 PC 등에서 작성되고, 블로그와 달리 서버가 작성 처리에서 웹 페이지를 관리하지 않더라도, 웹 컨텐츠 서버 등으로 업로드 된다. 그러므로,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는 웹 컨텐츠로서 역할을 하는 웹 페이지의 작성만을 지원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블로그 서버(3)와 달리 웹상에서의 열람을 위해서 작성된 컨텐츠를 관리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단계(S209)에 있어서, 이 작성한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체가 송신된다.
사용자는 상기 기재된 방식으로 자동 작성되어 웹 컨텐츠 작성 서버(3A)로부터 PC(2)에 송신되는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를 작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부가하기 위한 어떤 수법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가 조작을 실행하여 편집함으로써 촬영 및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어도 좋다.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데이터는 전체 부분이 반드시 촬상 조작에 의해 취득되지 않는 화상 데이터일 필요는 없고, 일반적인 화상 데이터 형태이어도 좋다.
자동 작성된 웹 컨텐츠는 도 5a, 도 5b, 도 7a, 도 7b에 도시된 이들을 부가하여 각종 컨텐츠를 포함하여도 좋다. 그러므로, 자동 작성되는 컨텐츠 정보는 정보가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는 한 웹 컨텐츠 이외의 어느 정보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를 자동 작성하기 위해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PC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화상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서버는 컨텐츠 작성 처리와 메타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맵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컨텐츠 작성 기능은 PC에 부여되어도 좋고, 서버가 PC로부터의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맵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도 좋다. 이 배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조가 복수의 장치로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개념으로서 도 10, 도 11에 나타나는 기능의 수는 PC에 의해 실행되도록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맵 데이터베이스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모든 기능이 PC내에서 실행되도록 PC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 기 기재된 실시예에 있는 바와 같이, 컨텐츠 작성 처리, 메타데이터 처리 및 맵 데이터베이스 검색이 서버의 기능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PC를 위해 필요한 기능이 더 용이하고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도, PC의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로 불리는 PC에 인스톨된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아직도 이용한다. 이 수단은 컨텐츠 작성용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컨텐츠의 자동 작성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컨텐츠 작성 기능에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면, 컨텐츠를 작성하는 장치도 프로그램 생신 및 하드웨어 증강이 서버상에서만 실행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낮은 운영 부담 및 높은 설계 자유도를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첨부된 청구항과 그와 동등한 실질적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결합, 부분 결합 및 교체는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소들에 근거하여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컨텐츠 정보는 화상 정보에 부가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작성되고,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데이터는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별한 이점은 일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 장치가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컨텐츠 정보가 작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컨텐츠 정보의 간단하고 쉬운 작성이 허락된다.

Claims (6)

  1.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부가 정보로서 부가된 적어도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맵 정보를 기억하는 맵 정보 기억 수단과,
    컨텐츠 정보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정보를 기억하는 템플릿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맵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맵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에 부가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취득하는 맵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템플릿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맵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적어도 상기 맵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컨텐츠 정보 작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소정의 마크업 언어의 기술에 의해 재생 출력 모양이 지정되는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컨텐츠 정보 작성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작성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에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은 소정의 마크업 언어의 기술에 의해 재생 출력 모양이 지정되는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컨텐츠 정보 작성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작성 수단은 상기 컨텐츠 정보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컨텐츠 정보에 관련한 링크 목적지 주소를 상기 컨텐츠 정보 작성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에 전송되는 주소 전송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4. 정보처리 방법에 있어서,
    부가 정보로서 부가된 적어도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맵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맵 정보로부터 상기 얻어진 화상 정보에 부가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템플릿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는 템플릿 정 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취득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5. 정보처리 장치가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부가 정보로서 부가된 적어도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맵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맵 정보로부터 상기 얻어진 화상 정보에 부가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템플릿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는 템플릿 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상기 취득된 맵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6.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부가 정보로서 부가된 적어도 위치 정보를 갖는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부와,
    맵 정보를 기억하는 맵 정보 기억부와,
    컨텐츠 정보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정보를 기억하는 템플릿 정보 기억부와,
    상기 맵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맵 정보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 취득부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에 부가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맵 정보를 취득하는 맵 정 보 취득부와,
    상기 템플릿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맵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적어도 상기 맵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를 작성하는 컨텐츠 정보 작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KR1020070013775A 2006-02-10 2007-02-09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KR200700814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3655 2006-02-10
JP2006033655A JP2007213385A (ja) 2006-02-10 2006-02-1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446A true KR20070081446A (ko) 2007-08-16

Family

ID=3800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775A KR20070081446A (ko) 2006-02-10 2007-02-09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5650B2 (ko)
EP (1) EP1835420A1 (ko)
JP (1) JP2007213385A (ko)
KR (1) KR20070081446A (ko)
CN (1) CN10053019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387B2 (ja) * 2005-09-07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201000A1 (en) * 2007-02-20 2008-08-21 Nokia Corporation Contextual grouping of media items
JP5252854B2 (ja) * 2007-08-15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ダプ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52827B2 (ja) * 2007-09-04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地図情報表示装置、地図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76032A (ja) 2008-01-24 2009-08-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65668B1 (ko) * 2008-06-24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블로깅 방법
US8935292B2 (en) 2008-10-15 2015-0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dia object
US9218682B2 (en) 2008-10-15 2015-12-2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JP2011002923A (ja) * 2009-06-17 2011-01-06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549437B2 (en) * 2009-08-27 2013-10-01 Apple Inc. Downloading and synchronizing media metadata
KR20110097048A (ko) * 2010-02-24 201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처리, 재생, 또는 저장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655812B1 (ko) * 2010-05-06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583605B2 (en) 2010-06-15 2013-11-12 Apple Inc. Media production application
JP5893827B2 (ja) * 2010-09-24 2016-03-2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655889B2 (en) * 2010-12-10 2014-02-18 Microsoft Corporation Autonomous mobile blogging
KR101750827B1 (ko) 2011-03-02 201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2404685A (zh) * 2011-11-08 2012-04-0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位置信息的发送方法、共享方法及其移动通信终端
JP5315424B2 (ja) 2012-01-23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517226A (zh) * 2012-06-29 2014-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004807B2 (ja) * 2012-07-24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3030179A (ja) * 2012-09-20 2013-02-07 Olympus Imaging Corp 画像記憶検索システム
CN104298754B (zh) * 2014-10-17 2017-08-25 梁忠伟 以图片序列为主干的信息挖掘传递方法、社交网络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362B1 (en) * 1995-11-07 2001-08-28 Trimble Navigation Limited Geographical position/image digital recording and display system
SG70025A1 (en) 1996-08-14 2000-01-25 Nippon Telegraph & Telephone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nd registering homepages interactive input apparatus for multimedia informations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teractive input programs of the multimedia informations
JP3906938B2 (ja) * 1997-02-18 2007-04-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方法及び画像データ管理方法
US6026433A (en) * 1997-03-17 2000-02-15 Silicon Graphics, Inc. Method of creating and editing a web site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using customizable web site templates
GB2354104A (en) * 1999-09-08 2001-03-14 Sony Uk Ltd An editing method and system
JP4352543B2 (ja) * 1999-12-07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GB2360658B (en) * 2000-03-20 2004-09-08 Hewlett Packard Co Camera with user identity data
US6657661B1 (en) 2000-06-20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camera with GPS enabled file management and a device to determine direction
US20020005866A1 (en) * 2000-07-14 2002-01-17 Space-Wis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on of a spatially referenced multimedia relational database that can be transmitted among users or published to internet
JP4422305B2 (ja) 2000-07-27 2010-02-24 日鉱金属株式会社 銅製錬炉の操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送風ランス
JP2002083309A (ja) 2000-09-07 2002-03-22 Hitachi Ltd 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88314A (ja) * 2001-03-23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その画像管理方法
US7096428B2 (en) * 2001-09-28 2006-08-22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patially indexed panoramic video
CN100444156C (zh) 2002-04-18 2008-12-17 宇智(大连)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具样版辅助的网页实时编辑系统及其方法
JP2004218894A (ja) 2003-01-14 2004-08-05 Sharp Corp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JP2004233150A (ja) 2003-01-29 2004-08-19 Nec Corp 位置情報機能付き携帯電話、その測位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4250205A (ja) 2003-02-21 2004-09-09 Daifuku Co Ltd 可動荷台付き流動棚
US7149961B2 (en) * 2003-04-30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generation of presentations from “path-enhanced” multimedia
JP2005136604A (ja) * 2003-10-29 2005-05-26 Seiko Epson Corp 電子写真アルバム作成支援装置及び方法
GB0412906D0 (en) * 2004-06-09 2004-07-14 Capture Ltd Data compil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334464B2 (ja) * 2004-12-02 2009-09-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更新装置、情報配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れらの方法、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6101A1 (en) 2007-09-06
EP1835420A1 (en) 2007-09-19
US8295650B2 (en) 2012-10-23
JP2007213385A (ja) 2007-08-23
CN100530191C (zh) 2009-08-19
CN101017506A (zh)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1446A (ko)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프로그램
CN100481087C (zh) 搜索设备和方法
JP538559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管理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70229B2 (ja) ビデオデータ記録装置,メタデータ提供方法,ビデオデータ再生装置,ビデオ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1527804B (zh) 多图像文件编辑装置和多图像文件编辑方法
JP2010034763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382410B (zh) 記錄及再生裝置和記錄及再生方法
JP2009111957A (ja) 電子カメラおよび記憶媒体
JP2011078008A (ja) コンテンツ共有装置、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共有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
JP2002204381A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
JP200529333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8268995A (ja) 辞書データ生成装置、文字入力装置、辞書データ生成方法、文字入力方法
JP2002027386A (ja) データファイル管理用記録媒体およびデータファイル管理装置
JP4821462B2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64729B2 (ja) 検索方法、検索装置、プログラム、検索条件設定方法、情報端末装置
JP4329416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編集処理装置及び編集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10284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175957A (ja) 画像管理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管理方法
JP4165542B2 (ja) ビデオデータ処理装置,ビデオデータ処理装置の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165543B2 (ja) ビデオデータ記録装置,ビデオデータ再生装置,ビデオデータ記録装置の処理方法,ビデオデータ再生装置の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2103912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5217505A (ja) 撮像装置、ビューワソフト、通信ソフト及び画像管理ソフト
JP6428877B2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
JP2004133721A (ja) 俳句生成システムおよび俳句生成装置
JP2009060423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