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092A -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092A
KR20070081092A KR1020070012136A KR20070012136A KR20070081092A KR 20070081092 A KR20070081092 A KR 20070081092A KR 1020070012136 A KR1020070012136 A KR 1020070012136A KR 20070012136 A KR20070012136 A KR 20070012136A KR 20070081092 A KR20070081092 A KR 2007008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butt
gun
upright piano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리 쿠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7008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0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1/02General design of 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of upright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61Actions specially adapted for upright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잭 운동 제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잭의 의도된 동작을 얻을 수 있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잭에 접하게 하여 건의 누름에 따라 동작하는 잭의 운동을 제한한다. 이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재는 잭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이 장치의 베이스 층은 치수 안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된다. 이 장치의 표면 층은 내마모성과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층에 부착되며 잭이 접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JACK MOTION-RESTRICTING DEVICE FOR UPRIGHT PIANO}
도 1은 건 해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잭 운동 제한 장치가 적용되는 업라이트 피아노의 건반, 액션, 해머 및 이들과 연관된 성분 부분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이는 액션의 잭과 조정 버턴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보이는 해머 조립체의 버트와 이와 인접한 부분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션 2a : 건
3 : 해머 4 : 해머 조립체
11 : 위펀 13 : 잭
15 : 버트(잭 운동 제한 장치) 16 : 버트 펠트
17 : 버트 플랜지 18 : 백 체크
19 : 스푼 20 : 조정 버턴(잭 운동 제한 장치)
20a : 베이스 부재 20b : 베이스 층
20c : 표면 층 21 : 조정 브라켓
22 : 조정 레일 29 : 중심 레일
본 발명은 잭에 접하게 하여 잭의 운동을 제한하는 버트와 조정 버턴과 같은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Kokai) 번호 H05-323953에 업라이트 피아노(upright piano)용 버트(butt) 및 조정 버턴(regulating button)이 제안되어 있다. 이 버트는 해머 조립체의 부분으로서 해머와 일체로 형성되며 합성 수지로 몰딩된 물품으로 형성된다. 이 버트는 그 전면의 하단에 제공되는 버트 펠트(butt felt)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버트 벨트는 모직 펠트(woolen felt)로 형성되며 블록 형상(block shape)을 갖는다. 조정 버턴은 조정 레일의 하면에 고정 배치된다. 조정 버턴은 원통형 합성 수지 몰딩된 물품으로 형성되며 그 하면에 부착된 가죽을 가지고 있다.
건 해제 상태(key-released state)에서 잭은 해머 가압 부재에 의해 버트를 포함하는 해머 조립체를 지지하며 버트 펠트의 전면과 잭이 비스듬히 접촉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건 해제 상태에서 잭의 고정 위치가 한정된다. 건 해제 상태에서 조정 버턴은 베이스 부재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에 잭의 베이스 부재 위에 위치된다.
건이 눌려질 때, 연관된 위펀(whippen)은 건에 의해 가압되고 연관된 잭은 연관된 해머 조립체를 가압하도록 위펀과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 동 안, 잭의 베이스 부재는 연관된 조정 버턴의 가죽과 접하게 되며, 이에 의해 잭의 운동이 제한된다. 그 결과, 잭은 위펀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며 그 베이스 부재는 가죽의 표면 위에서 미끄러지며 해머 가압 부재는 연관된 버트로부터 전방으로 맞물림 해제된다(disengaged){즉, 이격된다(let off)}. 이격(let-off) 직후, 해머 조립체 해머는 연관된 현을 쳐서 피아노 음(piano tone)을 발생한다.
이후, 건이 해제될 때, 잭이 건의 누름으로 이동되었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연관된 잭 스프링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이동되며 위펀과 함께 잭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해머 가압 부재는 복귀 선회 운동을 수행한 버트의 버트 펠트와 접하게 되며, 이에 의해 잭의 선회 운동이 중지된다. 버트 펠트에 잭을 접하게 하여 유발된 충격은 버트 펠트로 흡수되며 이에 의해 잡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러나, 전술된 업라이트 피아노에서, 버트 펠트는 천연 섬유인 모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습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건 해제 상태에서 잭의 고정 위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버트 펠트에 의해 한정되며 이에 따라 버트 펠트의 두께 변화는 미리 결정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잭의 고정 위치를 변위시킨다. 이것은 건 터치 감과 이격(let-off)을 위한 타이밍 등의 변화를 야기하며, 이는 터치 제어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나아가, 건이 누를 때마다 잭이 버트 펠트에 강하게 접하기 때문에, 버트 펠트는 잭을 반복적으로 접하는 것으로 인해 그 탄성을 점차적으로 상실하며 최종적으로 압축 및 변형 상태로부터 복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잭의 고정 위치는 버트의 깊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는 또한 건 터치 감 등의 변화를 유발한 다. 나아가, 버트 펠트와 접한 후, 기본적으로 선회 운동을 수행하는 잭은 버트 펠트 위에서 미끄러지며 이에 따라 버트 펠트의 마모가 발생한다. 이 마모로 인해, 버트 펠트의 두께는 변하며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버트 펠트는 조정 버턴에 사용되는 가죽과 같은 더 단단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잡음은 버트 펠트에 잭을 접하게 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음악 연주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조정 버턴에 대해, 가죽이 그 하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건이 눌릴 때 특히 건이 강하게 칠 때, 이에 의해 조정 버턴에 잭을 강하게 접하게 하여, 잡음이 생성될 수 있는 우려가 또한 있다. 이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버트 펠트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종류의 펠트가 이 가죽 대신에 조정 버턴에 사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전술된 바와 같이, 펠트는 습도 변화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며 조정 버턴의 마모는 잭이 조정 버턴의 표면 위에서 미끄러질 때 발생하며 이에 의해 조정 버턴의 두께는 변화된다. 이것은 잭이 조정 버턴 상에 접하는 위치를 미리 결정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변위시킨다. 그 결과, 이격(let-off) 타이밍이 변하며 이는 터치 제어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잭 운동 제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잭에 요구되는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잭에 접하게 하여 건의 누름에 따라 동작하는 잭의 운동을 제한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잭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베이스 부재와,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고 이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베이스 층과, 내마모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고 이 베이스 층에 부착되며 잭이 접하기 위한 표면 층을 포함한다.
업라이트 피아노용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층과, 베이스 부재에 순차 부착된 표면 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이 베이스 층은 치수 안정성을 가지며 표면 층은 내 마모성과 신축성을 가진다. 잭은 건이 눌러질 때 표면 층과 접하게 되며, 이에 의해 잭의 운동이 제한된다.
잭 운동 제한 장치의 이러한 배열로 인해 베이스 층은 치수 안정성을 가지며, 표면 층에 잭이 반복적으로 접하는 것으로 인해 이 표면 층을 통해 베이스 층에 부하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주위 환경 조건이 변하는 경우에도, 베이스 층의 두께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나아가, 표면 층이 내마모성을 가지기 때문에, 잭이 미끄러져서 유발된 표면 층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이로부터, 베이스 층과 표면 층의 총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고 이로 인해 또한 베이스 층의 두께와 표면 층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잭 운동 제한 위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잭의 의도된 동작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이 표면 층이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표면 층에 잭이 접하여 유발된 충격을 저감하며 이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표면 층을 베이스 층에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구현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단일 물질이 사용되는 종래의 경우와는 다른 여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재는 화학 섬유로 형성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러한 배열에 따라, 베이스 부재는 화학 섬유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습도의 변화로 인해 베이스 층의 두께가 변하는 양을 상당히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전술된 유리한 효과를 신뢰성있게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 층은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로 형성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러한 배열에 따라, 표면 층은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신축성과 내마모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전술된 유리한 효과를 우수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플루오르중합체 섬유가 높은 윤활성(lubricity)을 가지기 때문에 표면 층에 접한 잭은 그 위에서 매끄럽게 미끄러질 수 있으며, 이는 잭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으로 인해 표면 층의 마모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플루오르 중합체가 비교적 비싸다 하더라도,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는 이 표면 층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건 해제에 따라 복귀 선회 운동을 수행하는 잭이 접하여 건 해제 상태에서 잭의 고정 위치를 한정하는 버트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러한 배열에 따라,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버트이며 이로 인해 종래의 버트 펠트에 대응하는 버트의 부분은 베이스 층과 표면 층에 의해 형성되며, 이에 의해 건 해제 상태에서 잭의 고정 위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정적인 건 터치 감과 이격 타이밍(let-off timing)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건의 누름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잭이 접하여 잭이 선회 운동을 수행하여 이격이 발생하게 하는 조정 버턴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러한 배열에 따라, 이 잭 운동 제한 장치는 조정 버턴이다. 이것은 건의 누름 동안 잭이 접하는 위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안정적인 이격 타이밍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건 해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잭 운동 제한 장치가 적용되는 업라이트 피아노의 액션(action)(1), 건반(keyboard)(2), 및 해머(hammer)(3)를 도시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업라이트 피아노의 연주자 측은 "전방(front)"이라고 언급하고 연주자에서 먼 반대 측은 "후방(rear)"이라고 언급할 것이다.
건반(2)은 업라이트 피아노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건(key)(2a)(이들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으로 구성된다. 건(2a) 각각은 전후방(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연장하며, 키베드(keybed)(미도시) 상에 키프레임(key frame)(5)으로부터 직립된 밸런스 핀(5a)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 부분을 가진다. 키프레임(5)의 후방 위치에서, 각 건(2a)의 후방 단부에 안착되는 백 레일(back rail)(6)이 배치된다.
키베드의 좌측과 우측 단부 각각에는 액션 브라켓(action bracket)(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액션(1)(이들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은 2개의 액션 브라켓 사이의 위치에서 건반(2)의 후방 단부 위에 배열된다. 각 액션(1)은 위펀(whippen)(11)과 잭(jack)(13)과 버트(butt)(15)(잭 운동 제한 장치)를 포함한다. 이 위펀(11), 잭(13) 및 버트(15)는 건 마다 제공된다(이들 각각에 대해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중심 레일(29)과 해머 레일(30)은 좌측과 우측 액션 브라켓 사이에 연장한다. 위펀 플랜지(11)와 버트 플랜지(17)는 각 건(2a)과 연관된 중심 레일(29)(이들 각각에 대해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에 나사 고정된다. 위펀(11)은 위펀 플랜지(12)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방 단부를 구비한다. 버트(15)는 해머(3)를 포함하는 다른 성분 부분과 일체형으로 되어 해머 조립체(4)를 형성한다. 이 버트(15)는 중심 핀(15d)을 통해 버트 플랜지(17)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단 부분을 가진다.
위펀(11)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를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위펀(11)은 그 전방 부분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는 뒷축 부분(heel part)(11a)을 가지며, 이 뒷축 부분(11a)을 통해 연관된 건(2a)의 후단 위에 제공되는 캡스턴 버턴(capstan button)(2b) 상에 안착한다. 잭 체크 와이어(back check wire)(18a)는 위펀(11)의 상부면의 전방 단부 상에 직립하며 백 체크(18)는 백 체크 와이어(18a)의 일단에 장착된다. 후술되는 댐퍼(25)를 구동하기 위한 스푼(spoon)(19)은 위펀(11)의 상부면의 후방 단부에 직립해 있다. 전술된 위펀 플랜지(12)는 스푼(19)의 바로 전방에 위치되며 중심 레일(29)에 고정되는 상부 부분을 가진다.
잭(13)은 예를 들어 ABS 수지로 형성되며 전방-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부재(13a)와 이 베이스 부재(13a)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해머 가압 부재(13b)를 포함한다. 잭(13)은 베이스 부재(13a)와 해머 가압 부재(13b)에 의해 형성된 중심 부분을 가지며 코너 부분을 통해 삽입되는 핀 같은 피봇(pivot)(13c)을 통해 백 체크 와이어(18a)의 후방 위치에서 위펀(1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잭 스프링(14)은 베이스 부재(13a)와 위펀(11) 사이에 제공된다.
중심 레일(29)은 전방으로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조정 브라켓(21)(이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을 갖게 형성되며 좌측-우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조정 레일(22)은 각 조정 브라켓(21)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다. 조정 나사(22a)(이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는 건 마다 위로부터 조정 레일(22) 내로 나사 고정된다. 조정 나사(22a) 각각은 조정 레일(22)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돌출하며 조정 버턴(20)(잭 운동 제한 장치)은 연관된 조정 나사(22a)의 하단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버턴(20)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20a), 베이스 층(20b) 및 표면 층(20c)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20a)는 ABS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의 몰딩 물품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20a)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조정 나사(22a)에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20b)는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어 레이온(rayon)과 같은 고밀도 화학 섬유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에 의해 베이스 부재(20a)의 하면에 부착된다. 표면 층(20c)은 신축성, 내마모성 및 윤활성을 가지는 물질, 예를 들어, 플루오르 중합체 섬유로 형성되며 베이스 층(20b)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진다. 2개의 층(20b, 20c)의 섬유는 니들 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서로 얽혀있으며, 이에 의해 표면 층(20c)은 베이스 층(20b)에 결합된다.
버트(15)는 버트 몸체(15a)(베이스 부재)와 버트 스킨(butt skin)(15b)과 이 버트 몸체(15a)에 부착되는 버트 펠트(16)를 포함한다. 버트 몸체(15a)는 예를 들어 ABS 수지를 미리결정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금속 판(15c)은 버트 몸체(15a)의 후방 표면의 하부에 나사 고정되며 버트 플랜지(17)의 상부 부분을 통해 삽입된 중심핀(15d)은 버트 몸체(15a)와 금속 판(15c) 사이에 끼워져있다. 이것은 해머 조립체(4)가 중심 핀(15d)에 대하여 선회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버트 몸체(15a)와 버트 플랜지(17) 사이에는 버트 스프링(15g)이 제공되며, 이 버트 스프링은 도 1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해머 조립체(4)를 압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트 펠트(16)는 버트 몸체(15a)의 전방 표면의 하부에 부착된다. 버트 펠트(16)는 일반적으로 블록 형상(block shape)을 가지며 베이스 층(16a)과 표면 층(16b)으로 구성된다. 조정 버턴(20)의 베이스 층(20b)과 유사하게, 베이스 층(16a)은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화학 섬유, 예를 들어 레이온과 같은 고밀도 섬유로 형성된다. 베이스 층(16a)은 미리 결정된 두께를 가지며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버트 몸체(15a)에 부착된다. 표면 층(16b)은, 조정 버턴(20)의 표면 층(20c)과 유사한, 신축성, 내마모성 및 윤활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로 형성되며 베이스 층(16a)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진다. 2개의 층(16a,16b)의 섬유는 바늘 펀칭에 의하여 서로 얽혀있으며, 이에 의해 표면 층(16b)은 베이스 층(16a)에 결합된다.
나아가, 하부 펠트(under felt)(15e)와 하부 피복(under cloth)(15f)은 버트 펠트(16)에 인접하게 이 위의 위치에서 전방-후방 방향으로 나란히 버트 몸체(15a)에 부착된다. 버트 스킨(15b)은 하부 펠트(15e)와 하부 피복(15f)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버트 펠트(16)에 부착된다.
나아가, 버트(15)는 캐쳐 생크(catcher shank)(23a)를 구비한다. 캐쳐 생크(23a)는 버트 몸체(15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캐쳐(23)는 캐쳐(23)의 전방에 위치된 백 체크(18)와 마주보는 위치에 캐쳐 생크(23a)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다.
해머(3)(이들 중 하나만이 도시됨)는 또한 건마다 제공된다. 각 해머(3)는 연관된 버트(15)의 상부 표면 위에 서 있으며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해머 생크(3a)와 이 해머 생크(3a)의 상단에 장착되는 해머 헤드(3b)로 구성된다. 해머 헤드(3b)는 그 후방 위치에서 확장되는 연관된 현(S)과 대향한다. 중심 레일(29)의 후방 위치에서 댐퍼(25)는 건마다 각 연관된 댐퍼 플랜지(28)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배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 해제 상태에서, 잭(13)의 해머 가압 부재(13b)의 상단은 버트(15)의 버트 스킨(15b)과 맞물리게 유지되며 이와 동시에 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버트 펠트(16)의 전방 표면과 접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잭(13)은 버트 펠트(16)에 의해 한정된 고정 위치에서 해머 조립체(4)를 지지한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13)의 베이스 부재(13a)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간격이 있게 조정 버턴(20) 아래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건을 누르기 시작하여 건을 누르는 것이 끝나기 까지 전술된 업라이트 피아노의 동작 순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연주자가 도 1에 도시된 건 해제 상태에서 건(2a)을 누르면, 건(2a)은 도 1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밸런스 핀(5a)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이동하며 이에 의해 건(2a)의 후방 단부에 놓여있는 위펀(11)이 건(2a)에 의해 가압되어 상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이동한다. 이 위펀(11)의 이러한 선회 운동으로, 이 위펀(11) 상에 제공된 잭(13)과 다른 연관된 성분 부분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해머 조립체(4)는 잭(13)의 해머 가압 부재(13b)에 의해 가압되며 이로 해머 조립체(4)의 후방에 위치된 현(S) 쪽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 이동한다.
건(2a)이 더 선회 이동하면, 잭(13)의 베이스 부재(13a)의 전방 단부는 아래에서부터 조정 버턴(20)과 접하게 된다. 그 결과, 잭(13)의 상방향 이동이 이 조정 버턴(20)에 의해 정지되며,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13a)는 표면 층(20c)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시계 방향으로 위펀(11)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이동된다.
이후, 건(2a)이 더 선회 이동하면, 해머 가압 부재(13b)는 버트(15)로부터 전방으로 맞물림 해제되며, 이에 의해 잭(13)은 해머 조립체(4)에서 떨어지게 된다(let off)(이격된다). 이때 해머 조립체(4)의 무게(weight)는 건(2a)의 터치 무게에서 감해진다. 터치 무게의 이 신속한 감소는 연주자에게 이격 감(let-off feeling)을 느끼게 한다.
잭(13)이 해머 조립체(4)에서 이격된 후에도, 해머 조립체(4)는 관성에 의해 선회 운동을 지속하며 이에 의해 해머(3)는 현(S)을 가격하여 이를 진동시키며 이에 의해 피아노 음을 발생시킨다. 이후 해머 조립체(4)는 현(S)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복귀하는 선회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건(2a)이 건의 누름이 완료된 후에 해제되면, 건(2a), 액션(1) 및 다른 연관된 성분 부재는 건의 누름 동안 이동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각각 다시 선회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위펀(11)의 복귀 선회 운동으로 잭(13)은 위펀(11)과 함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잭(13)은 잭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 선회 운동을 수행하게 되며, 잭(13)의 복귀 선회 운동으로, 베이스 부재(13a)는 조정 버턴(20)의 표면 층(20c) 상에서 미끄러진다.
한편, 해머 조립체(4)는 버트 스프링(15g)의 가압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복귀하는 선회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해머 조립체(4)의 이 복귀 운동 동안, 잭(13)의 해머 가압 부재(13b)는 버트(15) 아래로 이동되며 버트 펠트(16)의 표면층(16b)과 접하게 되며, 이에 의해 잭(13)의 복귀 운동이 정지된다. 이 접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은 신축성을 갖는 버트 펠트(16)의 표면 층(16b)에 의해 흡수되며 따라서 충격 잡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건의 해제가 더 진행됨에 따라, 잭(13)은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그 결과, 해머 가압 부재(13b)는 복귀 선회 운동을 수행하는 해머 조립체(4)의 버트 펠트(16)의 표면 층(16b) 상에서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며 베이스 부재(13a)는 조정 버턴(2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며 이에 의해 잭(13)은 고정 위치로 최종적으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해머 조립체(4)는 잭(1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복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버트 펠트(16)의 베이스 층(16a)은 고밀도 레이온 섬유로 형성되며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그리하여 건의 누름으로 표면 층(16b)을 통해 잭(13)으로부터 베이스층(16a)에 반복적인 부하가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베이스 층(16a)의 두께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나아가,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로 형성된 표면 층(16b)이 내마모성과 윤활성을 가지기 때문에, 잭(13)의 해머 가압 부재(13b)의 미끄러짐으로 야기된 표면 층(16b)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층(16a)과 표면 층(16b)은 모두 화학 섬유로 형성되어, 주변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두 층의 두께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것은 잭(13)으로부터 반복적인 부하가 있는 경우와 주위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버트 펠트(16)의 총 두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게 해주며 이에 의해 잭(13)의 고정 위치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안정적인 건 터치 감과 이격 타이밍(let-off timing)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표면 층(16b)이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로 형성되고 그리하여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건의 해제 동안 잭(13)이 접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하고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우기, 조정 버턴(20)은 기본적으로 버트 펠트(1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그리하여 버트 펠트(16)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 버턴(20)의 베이스 층(20b)은 또한 고밀도 레이온 섬유로 형성되기 때문에, 건을 누르는 것으로 잭(13)으로부터 표면 층(20c)을 통해 베이스 층(20b)에 반복적인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도, 베이스 층(20b)의 두께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표면 층(20c)은 또한 플루오르 중합체 섬유로 형성되며, 이로 잭(13)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유발된 표면 층(20c)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층(20b)과 표면 층(20c)은 모두 화학 섬유로 형성되며 그리하여 두 층의 두께는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잭(13)으로부터 반복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나 주위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조정 버턴(20)의 총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건의 누름 상태에서 잭(13)이 접하는 위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안정적인 이격 타이밍을 얻을 수 있게 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표면 층(16b,20c)을 각 베이스 층(16a,20b)에 간단히 부착하여 실현되는 간단한 구성은 버트(15)와 조정 버턴(20)이 버트 펠트와 조정 버턴이 각 단일 물질로 형성되는 종래의 경우와는 다른 여러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이로 잭(13)에 요구되는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 나아가, 플루오르중합체가 상대적으로 고가이긴 하지만, 플루오르중합체 섬유가 표면층(16b, 20c)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고밀도 레이온 섬유가 버트 펠트(16)의 베이스 층(16a)과 조정 버턴(20)의 베이스 층(20b)에 대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습도 변화와 반복적인 부하에 대하여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화학 섬유, 화학 섬유와 모직(wool)을 채워(fulling) 형성된 펠트 또는 인공 스킨이 조정 버턴(20)의 베이스 층(20b)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상대적으로 단단하여, 조정 버턴(20)에 대해 잭(13)이 접하는 것에 의해 유발된 베이스 층(20b)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이격 타이밍을 더 안정화시킬 수 있다.
조정 버턴(20)이 변형하는 것과는 달리, 잭(13)이 접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버트 펠트(16)의 순간적인 변형은 문제되지 않으며 그리하여 잭(13)이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버트 펠트(16)의 두께가 충분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버트 펠트(16)의 베이스 층(16a)은 고밀도 레이온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보다 신축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잭(13)이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 충격을 더 감소시키고 잡음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버트 펠트(16)의 베이스 층(16a)과 조정 버턴(20)의 베이스 층(20b) 및 버트 펠트(16)의 표면 층(16b)과 조정 버턴(20)의 표면 층(20c)이 각각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층들(16a, 20b)이 각 층의 특성에 적합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층(16b, 20c)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전술된 바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여러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 층에 잭이 반복적으로 접하는 것으로 인해 이 표면 층을 통해 베이스 층에 부하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또는 습도를 포함하는 주위 환경 조건이 변하는 경우에도, 베이스 층의 두께는 거의 변하지 않아 잭에 의도된 동작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잭에 접하게 하여 건의 누름에 따라 동작하는 잭의 운동을 제한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로서,
    상기 잭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는 베이스 부재와;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베이스 층과;
    내마모성과 신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층에 부착되며 잭이 접하기 위한 표면 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화학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층은 플루오르중합체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 운동 제한 장치는, 건 해제에 따라 복귀 선회 운동을 수행하는 잭이 접하며 건 해제 상태에서 잭의 고정 위치를 한정하는 버트(but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잭 운동 제한 장치는, 건의 누름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잭이 접하여 이에 의해 잭이 선회 운동을 수행하여 이격(let-off)이 발생하게 하는 조정 버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KR1020070012136A 2006-02-09 2007-02-06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KR20070081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2901A JP5281734B2 (ja) 2006-02-09 2006-02-09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ジャック動作規制装置
JPJP-P-2006-00032901 2006-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092A true KR20070081092A (ko) 2007-08-14

Family

ID=3805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36A KR20070081092A (ko) 2006-02-09 2007-02-06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8102B2 (ko)
EP (1) EP1818908B1 (ko)
JP (1) JP5281734B2 (ko)
KR (1) KR20070081092A (ko)
CN (1) CN1010176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1734B2 (ja) * 2006-02-09 2013-09-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ジャック動作規制装置
IT1404973B1 (it) * 2010-06-11 2013-12-09 Pancino Pianoforte verticale, ed in particolare la meccanica di tale pianoforte
US8735699B2 (en) * 2012-01-19 2014-05-27 Kirk Burgett Main action rail for upright piano with front-accessible whippen flange screw
WO2015172219A1 (pt) * 2015-04-13 2015-11-19 Pacheco De Carvalho Júnior Djalm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mecanismo para pianos verticais com ação gravitacional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652C (ko)
DE69758C (de) B. OBLADEN in Köln, Mauritiussteinweg Nr. 100 Fangvorrichtung an Pianinomechaniken
US2542306A (en) * 1947-09-30 1951-02-20 Alexander P Brown Piano action
US3012459A (en) * 1957-09-11 1961-12-12 Pratt Read & Co Inc Drop action
US3228277A (en) * 1959-01-16 1966-01-11 Aurora Corp Drop type piano action
US3280686A (en) * 1959-07-20 1966-10-25 Wurlitzer Co Piano action
US3139781A (en) * 1959-07-20 1964-07-07 Wurlitzer Co Piano action
US3171320A (en) * 1961-03-15 1965-03-02 Pratt Read & Co Inc Piano action
US3147659A (en) * 1961-06-16 1964-09-08 Wurlitzer Co Piano action
US3435720A (en) * 1966-03-30 1969-04-01 Ben E Eaton Means for assuring return movement of the keys of a piano action to their normal positions
US3583271A (en) * 1969-01-13 1971-06-08 Baldwin Co D H Plastic piano action
US4119008A (en) * 1977-02-09 1978-10-10 D. H. Baldwin Company Means for improving the repetition characteristics of an upright piano action
JPS58108495U (ja) * 1982-01-19 1983-07-23 東レ株式会社 ピアノアクシヨンスキン
US4879939A (en) * 1986-09-04 1989-11-14 Wall Paul G Action for upright piano
JPS6370896A (ja) * 1986-09-12 1988-03-31 斉藤 司郎 アツプライトピアノ
US5042354A (en) * 1987-10-02 1991-08-27 Fandrich Design, Inc. Action for upright piano
US4896577A (en) * 1987-10-02 1990-01-30 Trivelas Chris A Action for upright piano
WO1989005503A1 (en) * 1987-12-01 1989-06-15 Anthony Gerald Caught Improved upright piano
CN1025386C (zh) * 1989-05-31 1994-07-06 安东尼·杰拉尔德·考特 钢琴
DK166471B1 (da) * 1989-11-17 1993-05-24 Erik Ingvor Petersen Anslagsmekanisme
JPH04226497A (ja) * 1990-06-26 1992-08-17 Yamaha Corp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弱音装置
JPH05323953A (ja) 1992-05-22 1993-12-07 Yamaha Corp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JPH0683326A (ja) * 1992-08-31 1994-03-25 Yamaha Corp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JP3360390B2 (ja) * 1993-12-27 2002-12-2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におけるハンマーの接近調整方法
US5511454A (en) * 1994-11-17 1996-04-30 Steinway Musical Properties, Inc. Piano escapement action
US5679914A (en) * 1995-10-25 1997-10-21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device for an electronic instrument and an electronic piano
JP3604052B2 (ja) * 1996-03-22 2004-12-2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楽器の鍵盤
JPH10149154A (ja) * 1996-09-18 1998-06-02 Yamaha Corp 鍵盤楽器の消音装置
DE19703422A1 (de) 1997-01-30 1998-08-13 Helmut Karl Repetitionseinrichtung für Klaviere
JP3900706B2 (ja) * 1998-09-07 2007-04-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3643247B2 (ja) * 1998-10-19 2005-04-2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4318289B2 (ja) * 2003-07-10 2009-08-19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バックチェック
JP4511139B2 (ja) * 2003-08-04 2010-07-2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鍵盤
JP4599042B2 (ja) * 2003-08-28 2010-12-1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ピアノのシャンクフレンジ
JP5281734B2 (ja) * 2006-02-09 2013-09-04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ジャック動作規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7662A (zh) 2007-08-15
JP5281734B2 (ja) 2013-09-04
US7408102B2 (en) 2008-08-05
JP2007212785A (ja) 2007-08-23
EP1818908A2 (en) 2007-08-15
EP1818908B1 (en) 2014-03-12
EP1818908A3 (en) 2010-06-02
CN101017662B (zh) 2011-12-14
US20070180974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7907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ction unit incorporated therein
JP4655849B2 (ja) 鍵盤装置
US8716588B2 (en) Key press switch for electronic piano
US7217877B2 (en) Keyboard apparatus
US7985907B2 (en) Upright piano and action unit incorporated therein
KR20070081092A (ko) 업라이트 피아노용 잭 운동 제한 장치
US11562718B2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US8895822B2 (en) Action for upright piano
KR100611605B1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JP4489140B1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の作動方法及び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JP5276767B2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レバー
JP2007108661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ョン
JP3188197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014235349A (ja) 鍵盤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鍵盤楽器の練習具又は電子鍵盤楽器
JP5020522B2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ジャック静止装置
JP7280548B2 (ja) 鍵盤楽器
EP3142104B1 (en) Upright piano action mechanism
WO2013108382A1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装置
JP2008051973A (ja) 鍵盤楽器の回動体支持構造
JP2007139881A (ja) 鍵盤楽器のレットオフ付与装置
JP2008129309A (ja) グランドピアノのハンマ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01

Effective date: 2014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