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683A -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683A
KR20070078683A KR1020060054991A KR20060054991A KR20070078683A KR 20070078683 A KR20070078683 A KR 20070078683A KR 1020060054991 A KR1020060054991 A KR 1020060054991A KR 20060054991 A KR20060054991 A KR 20060054991A KR 20070078683 A KR20070078683 A KR 20070078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at
radio
transmission power
channe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520B1 (ko
Inventor
다까요시 오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부호 선택에 제약을 받지 않고 PAPR을 낮게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를 저감한다.
무선 채널, 제어 채널, 데이터 채널, 주파수 방향, 무선 프레임 포맷, 피크 송신 전력, 유저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OFDMA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집중형의 OFDMA(Localized OFDMA)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송신 무선부의 구성예이며, 특히 OFDM 무선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기지국의 구성에 대응하는 단말기 측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해결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각 유저가 사용할 무선 채널의 무선 프레임 포맷이 고정인 경우와,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비교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OFDM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BTS의 구성예 블록도.
도 10은 도 9에서의 프레임 포맷 제어부의 구성예 블록도.
도 11은 기지국 BTS에 접속하는 단말기 MS의 구성예 블록도.
도 12는 실시예 1에 대응하는 처리 시퀀스 플로우도.
도 13은 무선 포맷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처리 시퀀스 플로우도.
도 15는 실시예 3에 따른 처리 시퀀스 플로우도.
도 16은 실시예 4를 적용하는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 블록도.
도 17은 실시예 4에 대응하는 처리 시퀀스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5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실시예 5의 처리 시퀀스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6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8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실시예 9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실시예 9의 처리 플로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실시예 9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실시예 9의 다른 처리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10에 대응하는 기지국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실시예 10의 처리 플로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실시예 10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실시예 12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실시예 12에 대응하는 처리 플로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실시예 13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실시예 13의 처리 플로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실시예 14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실시예 15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실시예 16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53 : 프레임 포맷 생성부
32, 54 : 부호화부
33, 55 : 변조부
34, 56 : 송신 무선부
35, 40 : 안테나
36, 50 : 프레임 포맷 제어부
37 : 제어 신호 생성부
41 : 수신 무선부
42 : 복조부
43 : 복호부
44 : 신호 분리부
45 : 수신 전력 측정부
46 : 채널 추정부
51 : 프레임 포맷 제어 신호 추출부
52 : 제어 신호 생성부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0-286818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11-154904호 공보
[특허 문헌3] 일본 특허 공개 2000-58610호 공보
[비특허 문헌1] 3GPP 기서(R1-050604) Sophia Antipolis, France, 20-21 June, 2005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하는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OFDM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주파수 방향으로 예를 들면, 20MHz의 대역을 5MHz의 복수의 연속하는 서브 캐리어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대하여 유저 혹은, 서비스를 할당함으로써, 유저 혹은, 서비스 다중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도 1에서는, 4개의 유저 1∼4에 대하여, 연속하는 서브 캐리어를 할당하고 있다. 이 다중화 방법에 대해서는, 연속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묶음으로 하여 복수 유저에게 할당하고 있는 점에서, 특히 집중형의 OFDMA(Localized OFDMA)라고 부르 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연속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일정한 주파수 간격으로 선택하고, 서브 캐리어 그룹을 작성하여, 유저에게 할당하는 집중형의 OFDMA(Localized OFDMA)도 제안되어 있다.
이 때, 각 유저가 사용할 무선 채널은, 데이터 채널(DPDCH)과 제어 채널(DPCCH)로 구성되며, 이들을 하나의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여 이용하고 있다. 또한, 무선 채널의 프레임 포맷은 고정이다.
여기서, OFDMA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제어 신호 생성부(30)에 의한 제어 채널(DPCCH)의 제어 신호와, 상위로부터의 데이터 채널(DPDCH)의 데이터 신호가 프레임 포맷 생성부(31)에서, 소정의 포맷으로 맵핑된다.
프레임 포맷 생성부(31)의 출력은, 부호화부(32)에 의해 부호화되고, 변조부(33)에서 QPSK 등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고 송신 무선부(34)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고 안테나(35)에 의해 방출된다.
또한, 도 4는, 송신 무선부(34)의 구성예이며, 특히 OFDM 무선부의 구성예이다. 변조부(33)의 출력이, S/P 변환기(340)에 의해 병렬 신호로 변환된다. 이어서, 병렬 신호는, 역 푸리에 변환(IFFT) 회로(341)에 의해 IFFT 처리되고, P/S 변환기(340)에서 다시 직렬 신호로 복귀된다. 이 직렬 신호에 가드 인터벌 GI가 부여되고, 주파수 변환기(345)에 의해 무선 주파수로 변환되고, 안테나(35)로부터 방출된다.
도 5는, 도 3의 기지국의 구성에 대응하는 단말기 측의 구성예이다. 즉, 수신 안테나(40)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는 무선부(41)에서, 베이스 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되고, 복조부(42)에 입력된다. 복조부(42)에서 기지국 측의 변조부(33)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를 받고, 신호 분리부(44)에서, 데이터와 제어 신호로 분리된다.
한편, 도 5에 있어서, 수신 전력이 파일럿 신호 레벨로부터 측정되고, 그 결과가 채널 추정부(46) 등에 보내진다. 채널 추정부(46)에서는, 측정된 수신 전력 레벨로부터 전파로의 추정 등을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는 파일럿 채널이나 파일럿 심볼과 같이, 그것을 받은 단말기 측에서 수신 전력의 측정, 채널 추정, 전력 제어나 적응 변조 제어 등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 일정 이상의 전송 품질(예를 들면 오류율 1.0E-2)을 확보하지 않으면, 목적인 제어를 정확하게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전송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어 채널(DPCCH)의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을 통상의 데이터 전송의 경우와 비교하여 큰 것으로 하고 있다.
즉, 도 6은, 이 본 발명이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6a는,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된 4 유저의 서브 캐리어의 시간 대 주파수 분포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무선 채널의 프레임 포맷은 고정이다. 또한, 제어 채널(DPCCH)은, 통신에 필요한 제어 정보라는 점에서, 데이터 채널(DPDCH)과 비교하여, 그 전송 품질을 높게 해야 한다.
그 때문에, 도 6b에 송신 전력 분포를 도시한 바와 같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는 그 대책으로서, 데이터 채널(DPDCH)과 비교하여, 제어 채널(DPCCH)의 송신 전력을 높게 하는 것을 행하고 있다. 도 6b에 의해 제어 채널(DPCCH)의 주기로, 송신 전력이 높게 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는, 제어 채널(DPCCH)의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을 높게하고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MDA 기지국은, IFFT를 실시한다는 점에서 유저 사이의 데이터의 선두, 즉 무선 프레임의 선두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프레임의 선두를 일치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그 신호 처리가 복잡한 것으로 되어,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어도 복잡해진다. 따라서, 무선 프레임의 선두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 무선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복수 유저 대상으로 동시에 송신을 행하는 경우, 제어 채널(DPCCH)의 위치가 일치한다(도 6a 참조). 이에 의해, 특히 OFDMA에 있어서 각 유저의 송신 신호를 동상(同相) 가산한다는 점에서, 송신 전력이 높은 제어 채널(DPCCH)의 송신 시에 송신 전력의 피크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 6b에 있어서, 시각 T1에서의 피크 전력은 P1로 된다.
그 결과,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비(PAPR : Peak-to-Average Power Ratio)가 큰 값으로 되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PAPR이 큰 경우에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 무선 장치의 증폭기의 설계에 있어서, 설계의 여유를 크게 취하여야 한 다.
· 피크 출력 전력이 고출력으로 되기 때문에, 증폭기의 효율이 열화된다.
· 피크 출력 전력이 고출력으로 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
이들 문제점으로부터, PAPR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W-CDMA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채널의 위치가 일치한다는 점에서 송신 전력에 큰 피크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PAPR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불균일 오류 보호 방법의 하나인 최소 부호 거리가 서로 다른 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멀티 캐리어 변조 신호의 송신 피크 전력이 소정치 이하로 되도록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1).
또한, 송신 전력/PAPR 억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허 문헌3에 기재된 발명이 있다.
특허 문헌2에 기재된 발명은, 파일럿 신호에 데이터 신호를 시간적으로 다중화시켜 채널화함으로써, 피크 대 평균 전력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며, 이에 의해 채널화에 이용되는 직교 부호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있다. 또한, 특허 문헌3에 기재된 발명은, 생성된 확산 코드의 순서를 랜덤하게 재배열하여 복수의 유저 각각의 대응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비특허 문헌1에는, 공통 제어 채널로서 분산 배치된 포맷을 제안하고 있는데, 주파수 채널에 의존한 스케줄링에 있어서, 공통 제어 채널과 고속 유저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1에 기재되는 발명에서는, 최소 부호간 거리가 서로 다르게 부호를 선택해야 한다는 점에서, 그 부호 선택에 제한이 발생한다. 또한, 특허 문헌2, 3에는, 제어 채널의 파워의 누적에 의해 PAPR이 커지는 것에 관하여 언급이 없다. 따라서, 제어 채널에 주목하여, 분산 배치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특허 문헌1에서는, 고속 이동 시에 전송 특성이 개선되도록 분산 배치를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PAPR을 저감하도록 분산 배치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 선택에 제약을 받지 않고서 PAPR을 낮게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포맷의 생성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프레임 포맷 중,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회선 설정 시에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사전에 통지함으로써, 사용 무선 프레임 포맷을 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또한,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스케줄링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또한, 상기 스케줄링은, 송신 순위 및, 적어도 송신에 이용하는 변조 방식의 선택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사용 프레임 포맷마다 단말기를 그룹화하고, 그룹 대응으로 송신 순위의 스케줄링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PAPR)를 측정하는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PAPR)를 측정하는 송신 전력 산출부와,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개별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와 개별 송신 전력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또는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포맷 제어부는,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베이스 밴드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회선 설정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제어국으로부터 기지국에 회선 설정 요구를 보내고, 상기 회선 설정 요구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받은 복수의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미사용의 무선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무선 프레임 포맷을 대응하는 단말기에 통지하고, 상기 단말기는, 설정 완료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통지된 무선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 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스케줄링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은, 송신 순위 및, 적어도 송신에 이용하는 변조 방식의 선택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사용 프레임 포맷마다 단말기를 그룹화하고, 그룹 대응으로 송신 순위의 스케줄링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실시예의 구체적 설명에 앞서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결 원리를 설명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DPCCH)의 위치를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분산 배치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도 7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유저 1∼4마다 제어 신호(DPCCH)의 위치를 분산한 무선 프레임 포맷 a∼d를 사용한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송신 전력이 큰 제어 채널(DPCCH)의 신호 위치 가 중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다중한 결과에서의 피크 송신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시각 T1에서의 피크 송신 전력이 저감되어, P1로 된다.
이에 의해, 피크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로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유저 다중에서의 유저마다의 피크가 분산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종래의 각 유저가 사용할 무선 채널의 무선 프레임 포맷이 고정인 경우 Ⅰ과,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Ⅱ의 비교도에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후의 피크 전력이 저감된다. 그 결과, PAPR이 개선된다.
또한, 제어 채널(DPCCH)의 제어 신호의 위치 정보는, 무선 회선을 설정한 시점에 통신 상대에 대하여 통지하거나, 변경 전에 통신 상대에게 통지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 발명의 특징을 적용하는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무선 포맷을 무선 통신 회선의 제어를 행하고 있는 무선 제어국(RNC : Radio Network Controller)으로부터 기지국 BTS에 대하여, 무선 제어국 RNC의 제어하에 있는 해당 기지국 BTS에 접속하려고 하고 있는 단말기 MS가, 그 회선 설정 시에 사용할 무선 포맷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하에 그 처리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OFDM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BTS의 구성예 블록도이다. 도 11은, 해당 기지국 BTS에 접속하는 단말기 MS의 구성예 블록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에서의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의 구성예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대응하는 처리 시퀀스 플로우도이다.
여기서는, 4 유저 다중이 가능한 OFDMA 시스템을 예로서 생각한다. 또한, 이 때에 사용할 무선 포맷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 종류 F1∼F4로 가정한다.
이제, 임의의 무선 제어국 RNC의 지배하에 있는 기지국 BTS에 있어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3개의 무선 회선에서 사용하고 있는 무선 포맷을 검색한다. 그 결과, 도 13에 도시하는 포맷 1(F1), 포맷 2(F2), 포맷 3(F3)이 사용되고 있고, 포맷 4(F4)가 미사용임을 알게된 것으로 한다.
상기의 무선 제어국 RNC는, 새로운 단말기 MS에 대한 회선 설정을 행할 때, 피크 송신 전력이 낮게 되도록 포맷을 선택한다. 즉, 상기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포맷 4(F4)가 미사용이고 또한 포맷 4(F4)를 사용한 경우, 피크 송신 전력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포맷 4(F4)를 선택한다.
이 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기지국 BTS에 대하여, 회선 설정 요구에 의해 선택한 포맷 4(F4)를 포맷 정보로서 통지한다(스텝 S1).
여기서, 기지국 BTS에서의 프레임 포맷 제어부(36)는, 그 상세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포맷 정보가 통지되면, 포맷 변환부(360)에서 포맷 정보를 포맷 번호로 변환하고, 그것을 포맷 선택/설정부(361)에 전달한다.
이어서, 포맷 선택/설정부(361)는, 후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송 신 무선부(34)의 출력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피크 송신 전력 등의 제어 정보를 받고, 또한, 포맷 사용 상황 관리부(362) 및 포맷 상세 정보 설정부(363)로부터의 포맷 사용 상황 및 포맷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포맷의 선택 및 변경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포맷 상세 정보 설정부(363)로부터의 포맷 상세 정보는, 예를 들면, 임의의 프레임 포맷에서의 전송 데이터 비트 수, 제어 정보 비트 수, 및 그 순서(맵핑 방법)이다.
또한, 포맷 사용 상황 관리부(362)는, 어느 쪽의 단말기 MS가 어느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기억, 관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포맷 선택/설정부(361)는, 상기에 의해 포맷 선택의 결과, 포맷 상세 정보를 프레임 생성부(31)에 전달하고, 선택한 프레임 포맷을 포맷 정보 변환부(364)에서, 프레임 포맷 번호로 변환하고 상세 정보를 제어 신호 생성부(37)에 보낸다.
제어 신호, 포맷 상세 정보, 변경 타이밍 정보를 받은 제어 신호 생성부(37)는, 제어 정보 길이(비트 수)와 포맷 번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포맷 상세 정보를 받은 프레임 포맷 생성부(31)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길이(비트 수)와 맵핑 방법에 따라서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와 데이터 채널의 (송신) 데이터를 무선 프레임으로 맵핑한다(도 12, 스텝 S2).
맵핑된 데이터를 부호화부(32)에서 부호화하고, 변조부(33)에서 변조하고, 송신 무선부(34)에서 무선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하고, 안테나(35)로부터 송신한다 (스텝 S3).
이것을 수신한 단말기 MS는, 도 11에 도시하는 단말기 MS의 구성에 있어서, 안테나(40)에 의한 수신 신호를 수신 무선부(41)에서 주파수 변환하고, 복조부(42)에서 복조한다.
그 결과를 복호부(43)에서 복호하고, 프레임 포맷 제어 신호 추출부(51)에서 프레임 포맷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이어서, 추출한 프레임 포맷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레임 포맷 제어부(50)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프레임 포맷을 설정한다.
그 결과를 신호 분리부(44), 수신 전력 측정부(45), 및 복호부(43)에 전달하고, 수신부의 설정을 행한다(스텝 S4).
단말기 MS에 있어서, 수신부에서의 사용 프레임 포맷의 설정이 완료된 경우, 프레임 포맷 제어부(50)가 제어 신호 생성부(52)에 설정 완료를 통지하고, 이것을 받은 제어 신호 생성부(52)에서는, 제어 신호에 설정 완료 신호를 실어, 프레임 포맷 생성부(53)에 전달한다.
프레임 포맷 생성부(53)에서는, 제어 신호와 송신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맵핑하고, 부호화부(54)에서 부호화하고, 변조부(55)에서 변조하고, 송신 무선부(56)에서 송신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하여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안테나(40)로부터 송신하고, 기지국 BTS 측에 설정 완료를 통지한다(스텝 S5).
또한, 기지국 BTS에 있어서 설정 완료를 무선 제어국 RNC에 더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한 기지국 BTS 또는 무선 제어국 RNC는, 설정된 무선 포맷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스텝 S6).
여기서는, 사용 프레임 포맷을 회선 설정 시에 결정하고, 통화 종료까지 그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피크 전력이 저감되어, PAPR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PAPR의 저감에 의해, 증폭기의 동작점의 설계에 있어서, 왜곡이 없는 출력으로 하기 위해서는, 동작점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없어진다. 바꿔 말하면 입력 신호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일없이, 동작에 대한 여유를 적게 할 수 있다. 즉, 동작점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통상은 출력이 왜곡되는 동작점에서, 증폭기의 전력 부가 효율이 높다. 그러나,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제어의 결과, 출력이 왜곡되는 일없이, 동작점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증폭기의 전력 부가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집중형의 OFDMA(Localized OFDMA)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분산형의 OFDMA(Distributed OFDMA)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Distributed OFDMA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OFDMA에 대해서만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회선 설정 시에 무선 제어국 RNC가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고, 기지국 BTS에 통지했지만, 본 실시예 2에서는 기지국 BTS가 선택을 실시한 다.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처리 시퀀스 플로우도이다.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임의의 단말기 MS에 대한 회선 설정 요구가 기지국 BTS에 통지된다(스텝 S1). 이 때, 기지국 BTS는, 도 13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 가능한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유저 다중 후의 피크 송신 전력이 낮게 되도록,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한다(스텝 S2a). 이 결과를 단말기 MS에 통지한다(스텝 S3).
이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고(스텝 S4, S5), 통신을 행한다(스텝 S6). 여기서, 선택된 프레임 포맷은, 통화 종료까지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여기서는 기지국 BTS가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했지만, 단말기 MS가 사용 프레임 포맷 선택하고, 결과를 기지국 BTS에 통지하는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회선 설정 시에 기지국 BTS에서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한다. 그 후, 다른 접속중인 단말기 MS가 사용하고 있는 프레임 포맷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도록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실시한다.
임의의 단말기 MS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회선 설정 시에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고, 통신중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핸드 오버 등의 이유 로, 프레임 포맷 3을 사용중인 별도의 단말기 MS1의 회선 접속 요구가 통지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 때, 다른 단말기 MS2가 프레임 포맷 3을 사용하고 있고, 프레임 포맷 1은 미사용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지국 전체의 송신 전력의 피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MS1이 프레임 포맷 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단말기 MS1의 사용 프레임 포맷을 3으로부터 1로 변경한다.
또한, 실시예 3의 구체적 처리를, 도 15에 도시하는 처리 시퀀스 플로우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기지국 BTS의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 있어서,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b).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스텝 S2b, Y), 송신 전력의 피크가 낮게 되도록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한다(스텝 S2a). 이어서, 사용 프레임 포맷의 선택 결과를 단말기 MS에 통지한다(스텝 S3). 그리고, 이하의 처리 스텝 S4∼S6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또 다른 단말기 MS3이 통화 종료한 것으로 한다. 그 결과,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함으로써 송신 전력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처리를 실시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 이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타이밍에 앞서, 즉, 사전에 변경 및 변경 타이밍, 또한 변경 후의 사용 프레임 포맷을 송신처에도 통지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함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피크 송신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4]
도 16은, 실시예 4를 적용하는 기지국 장치의 구성예 블록도이다. 또한, 도 17은, 실시예 4에 대응하는 처리 시퀀스 플로우이다.
여기서는, 상위 장치로서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사용 프레임 포맷을 지시받은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기지국 BTS가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해도 된다(스텝 S2b).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사용 프레임 포맷을 지시받은 프레임 포맷 제어부(3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4개의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미사용의 프레임 포맷을 확인하고, 그 포맷 정보(예를 들면 포맷 번호)를 제어 신호 생성부(37)에 통지하고, 동시에 프레임 포맷 생성부(31)에 통지한다.
또한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사용 프레임 포맷의 통지를 받은 스케줄러부(38)는,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 CQI에 기초하여, 유저 송신의 우선 순위 부여를 실시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것부터, 유저마다의 송신 버퍼(29)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송신을 실시한다(스텝 S2c). 이 때에, 송신에 이용하는 변조 방식 등을 선택함과 함께, 사용 프레임 포맷을 고려하여 송신 데이터 사이즈를 결정한다. 또한, 부호화부(32)나 변조부(33) 등에, 선택한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율 등의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사용 포맷의 통지를 받은 제어 신호 생성부(37)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36)로부터 통지된 포맷 정보로부터 제어 신호를 작성한다. 또한, 스케줄러부(38)로부터 통지된 데이터 사이즈나 변조 방식 등을 이 용하여 제어 신호를 작성하여 전송한다(스텝 S3).
이하 실시예 1 과 마찬가지의 처리(스텝 S4∼S6)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사용 프레임 포맷은 고정으로 하고 있지만, 설정 후, 무선 제어국 RNC나 기지국 BTS의 판단에 의해서 프레임 포맷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의 처리를, 스케줄러에서 실시하는 구성예이며,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 18에 도시한다. 도 19는, 또한 실시예 5의 처리 시퀀스 플로우이다.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회선 설정 요구를 수신(스텝 S1)한 기지국 BTS는, 스케줄러부(38)에 있어서, 유저 또는 서비스 다중 후의 송신 전력의 피크가 작게 되도록, 예를 들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여(스텝 S2d), 단말기 MS에 대하여 통지한다(스텝 S3).
즉, 송신 가능한 단말기 MS에 대하여, 예를 들면 단말기 MS로부터 반송되는 채널 품질 정보(예를 들면 CQI나 SIR 등)에 기초하여, 송신의 우선 순위를 산출한다. 계속해서, 이 결과를 이용하여 어느 단말기에 송신할지를 선택하고, 또한 스케줄러부(38)에 의해, 그 QPSK 등의 변조 방법, 송신 데이터 사이즈, 사용 프레임 포맷, 부호화율 또는 부호화 방법(펑처나 레피티션의 방법 등))을 선택한다(스텝 S2d).
선택한 결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작성하여, 단말기 MS에 전송한다(스텝 S3).
이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스텝 S4∼6)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회선 접속중에 스케줄러부(38)에서, 송신 우선 순위를 산출하여, 스케줄링을 실시함과 동시에, 피크 송신 전력을 감시하여, 스케줄러부(38)에서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말기 MS에 대하여 변경 후의 사용 프레임 포맷을 아울러 통지한다.
이후 단말기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변경 없음인 경우에는, "변경 없음" 또는 "현상 유지(또는 유지)"를 송신하여도 된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는 회선 설정 시에 사용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고, 그 후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포맷 대응의 스케줄러부(38)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6은, 프레임 포맷마다, 단말기 MS를 그룹화하고, 그룹마다 스케줄링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6을 설명하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프레임 포맷마다 단말기를 그룹화한다. 그리고, 스케줄러부(38)를 각각의 그룹 대응의 복수의 스케줄러로 구성한다.
도 20에 있어서,
스케줄러 1(포맷 1을 사용) 단말기 MS100∼MS109
포맷 2(포맷 2를 사용) 단말기 MS110∼MS119
포맷 3(포맷 3을 사용) 단말기 MS120∼MS129
포맷 4(포맷 4를 사용) 단말기 MS130∼MS139
예를 들면, 스케줄러 1은 단말기 MS100∼MS109의 CQI에 기초하여 송신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기 MS101을 선택한다.
스케줄러 2는 단말기 MS110∼MS119의 CQI에 기초하여 송신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MS112를 선택한다.
스케줄러 3은 단말기 MS130∼MS139의 CQI에 기초하여 송신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MS122를 선택한다.
스케줄러 4는 단말기 MS130∼MS139의 CQI에 기초하여 송신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MS133을 선택한다.
선택한 단말기 MS에 대하여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변조 방식, 데이터 사이즈, 부호화율 등을 선택하고, 각각 제어 신호를 작성하여, 대응하는 단말기 MS에 송신한다. 그 후, 각각의 단말기를 향한 데이터를 다중하여, 각각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각각의 포맷은, 다중 후의 송신 전력의 피크를 내리는 조합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4 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단말기를 선택하고 있지만, 다중 후의 송신 전력의 피크가 내려가는 것이면 어떠한 방식으로 단말기를 선택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회선 설정 시에, 선택한 프레임 포맷에 기초하여 그룹화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 프레임 포맷이 변경으로 된 경우, 변경 후의 프레임 포맷에 따라서, 그룹을 변경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단말기 MSi의 회선 설정 시의 사용 프레임 포맷이 포맷 1이며, 단말기 MSi는 스케줄러 1의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피크 송신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하고, 프레임 포맷 2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스케줄러 1의 그룹으로부터 스케줄러 2의 그룹으로 그룹을 이동하고, 이후 마찬가지의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발생하지 않으면, 그 그룹에 속한다.
이상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은, 사용 프레임 포맷 정보의 통지 방법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 있어서, 선택된 프레임 포맷 정보를 이하와 같이 기호화하여 전송한다.
프레임 포맷에 번호를 붙여,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bit의 신호로 하고, 사용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는 지표로 한다.
기지국 MTS로부터 단말기 MS에 또는 무선 제어국 RNC로부터 기지국 BTS 및 단말기 MS에의 제어 신호로서 이용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이하에 더 설명하는 실시예를 행함으로써 사용 프레임 포맷의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ll "0"으로 하고, 제어 신호를 송부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표 1의 예에서는 4 비트의 신호로 하고 있지만, 최저더라도 3 비트 있으면 된다.
포맷 제어 신호
변경 없음 0000
포맷 1 0001
포맷 2 0010
포맷 3 0011
포맷 4 0100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실시할 때에, 안테나단의 송신 전력을 피드백하여 송신 전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행한다.
도 21은, 실시예 8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이다. 송신 무선부(34)의 출력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39)에서 측정하고, 및/또는 산출한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 피크 송신 전력이 낮게 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피크 송신 전력을 내리기 위해서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생한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또한, 피크 송신 전력에 임계치 Ppth를 설정한다. 프레임 포맷 제어부에서, 측정한 피크 송신 전력 Pp와 비교하여, 피크 송신 전력 Pp가 임계치 Ppth보다 큰 경우,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실시한다.
도 22는, 실시예 9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이며, 도 23은, 실시예 9의 처리 플로우 예, 또는, 도 24, 도 25는, 처리 시퀀스이다.
기지국 BTS의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36a)를 설정한다(스텝 S10). 다음으로, 송신 무선부(34)의 출력 전력을 출력 전력 산출부(39)에서 산출한다. 피크 송신 전력 산출부(39)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시간 T부터 시간 T+t까지 출력 전력 산출부(39)의 측정 결과를 기억하고, 피크 송신 전력 Pp를 측정하고, 및 또는 산출한다(스텝 S11).
그 결과와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를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 있어서 비교하여(스텝 S12), 피크 송신 전력 Pp가 임계치 Pp_th를 초과한 경우(스텝 S12, 예),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피크 송신 전력이 낮게 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스텝 S13).
구체적으로는, 도 24의 시퀀스 플로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피크 송신 전력으로 되었을 때에 가장 높은 송신 전력으로 되어 있는 포맷을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스텝 S2b). 변경할 단말기가 결정되는 대로, 그 단말기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을 통지한다(스텝 S3). 통지를 받은 단말기는, 수신부의 설정을 변경하고(스텝 S4), 설정 완료 통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스텝 S5).
완료 통지를 수신한 기지국 BTS는, 이후 변경한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을 실시한다(스텝 S6).
이상에 의해, 피크 송신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MS로부터 기지국 BTS에 대하여, 설정 완료 통지(스텝 S5)를 반송하지 않는 것도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BTS로부터 단말기 MS로의 프레임 포맷 통지와 함께 변경의 타이밍을 통지한다. 변경 타이밍을 수신한 단말기는, 지시받은 변경 타이밍으로 변경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설정 완료 통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서는, 피크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의 제어를 실시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PAPR을 이용하여 제어를 실시한다.
도 26에, 실시예 10에 대응하는 기지국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27에, 그 처리 플로우예를 도시한다.
우선, 기지국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PAPR 임계치 Ppapr_th(36b)를 설정한다(스텝 S20).
다음으로, 송신 무선부(34)의 출력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39)에서 측정하여, 산출한다. PAPR 산출부(39b)에서, 예를 들면 시간 T부터 시간 T+t까지의 송신 전력 산출부(39)의 측정 결과를 기억하고, 피크 송신 전력 Pp를 산출하고(스텝 S21), 평균 송신 전력 Pave를 산출하고(스텝 S22), 양자로부터 Ppapr을 산출한다(스텝 S23).
이 산출 결과 Ppapr과 PAPR 임계치 Ppapr_th(26b)를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 비교한다(스텝 S24). 산출 Ppapr이 임계치 Ppapr_th를 초과한 경우,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스텝 S25).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PAPR이 낮게 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피크 송신 전력으로 되었을 때에 가장 높은 송신 전력으로 되어 있는 포맷을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MS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
변경할 단말기가 결정되는 대로, 그 단말기 MS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을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단말기는, 수신부의 설정을 변경하고, 설정 완료 통지를 기지국 BTS에 전송한다.
완료 통지를 수신한 기지국 BTS는, 이후 변경한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을 실시한다.
이상에 의해, 피크 송신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 PAPR이 낮아져,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에 있어서, 프레임 포맷 제어를 스케줄러부(38)에서 행한다.
여기서는 실시예 9의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실시예 10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기지국 BTS의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36a)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송신 무선부(34)의 출력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39)에서 측정하여, 산출한다. 피크 송신 전력 산출부(39b)에서, 예를 들면 시간 T부터 시간 T+t까지, 송신 전력 산출부(39)의 측정 결과를 기억하고, 피크 송신 전력 Pp를 산출한다. 이 결과와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36a)를 스케줄러부(38)에 있어서, 비교하여 피크 송신 전력 Pp가 임계치 Pp_th를 초과한 경우,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피크 송신 전력이 낮게 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피크 송신 전력으로 되었을 때에 가장 높은 송신 전력으로 되어 있는 포맷을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
변경할 단말기 MS가 결정되는 대로, 그 단말기 MS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을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단말기 MS는, 수신부의 설정을 변경하고, 설정 완료 통지를 기지국 BTS에 전송한다.
완료 통지를 수신한 기지국 BTS는, 이후 변경한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송신을 실시한다.
이상에 의해, 피크 송신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에서는 가장 높은 송신 전력으로 된 포맷을 선택했지만, 송신 전력이 높은 것부터 소정의 m번째까지를 변경의 대상으로 하여 선택하여도 된다. 또는, 가장 높은 송신 전력을 선택하여 송신을 실시하고, 이 때의 피크 송신 전력이 피크 전력 송신 전력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피크 송신 전력이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를 하회할 때까지 처리를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2]
여기서는,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피크 송신 전력의 저감을 실시한다.
도 29에 실시예 12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 30에 그 처리 플로우예를 도시한다.
기지국 BTS의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36a)를 설정한다(스텝 S30). 기지국 송신 무선부(34)의 출력을, 유저 또는 서비스마다, 예를 들면 필터(도 29에서는, 도시 생략)에서 주파수 분리하고, 각각의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41)에서 측정 또는 산출한다. 이것을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피크 송신 전력 산출부(41a)에서, 예를 들면 시간 T부터 시간 T+t까지 유저(단말기) 수 분(=k), 송신 전력 산출부(41)의 측정 결과를 기억하고(스텝 S31∼S33), 피크 송신 전력 Pp를 산출한다(스텝 S34).
이하 유저마다 피크 전력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 산출된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Pue_k를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와 비교하여(스텝 S35), 피크 송신 전력 Pue_k가 높은 경우에(스텝 S35, 예)는, 그 단말기 MSk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통지한다(스텝 S36). 이상을 통신중의 각각의 단말기(MS1∼MSk)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상에 의해,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에 가하여,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프레임 포맷 제어를 행한다.
도 31에 실시예 12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의 구성예를, 도 32에 그 처리 플로우예를 도시한다.
기지국 BTS의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기지국 BTS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36a)와,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36b)를 설정한다(스텝 S40, S41). 또한, 동일 유저라도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양자에게는 의존 관계는 없는 것으로 한다.
이하 유저마다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송신 무선부(34)의 출력 전력을, 출력 전력 산출부(39)에서 측정하고, 기지국 BTS 전체의 송신 전력을 측정하여, 산출한다. 이것을 일정 기간 반복하여, 기지국 BTS의 피크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이들에 병행하여, 기지국 송신 무선부(34)의 출력을, 유저마다로 되도록, 예를 들면 필터(도 32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주파수 분리하고, 각각의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39)에서 측정하여 산출한다. 이것을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 실시하고, 피크 송신 전력 Pp를 피크 송신 전력 산출부(39a)에서 산출한다(스텝 S42).
이들 정보를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 전달한다.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는, 우선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Pp와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를 비교하여(스텝 S43), 피크 송신 전력 Pp가 높은 경우에(스텝 S43, 예)는, 사용 프레임 포맷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스텝 S49).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Pue_k와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를 비교하여(스텝 S44∼S48), 피크 송신 전력 Pue_k가 큰 경우(스텝 S48, 예), 그 단말기 MSk의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스텝 S49). 이것을 각 단말기(MS1∼MSk)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 때, 기지국 BTS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하로 되도록 낮게 억제되는 것이면, 하나의 유저가 사용하는 프레임 포맷만 변경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에 의해,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Pp와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의 비교와,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Pue_k와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의 비교를 동시에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 내지 13에서는, 송신 무선부(34)의 출력으로부터 피크 송신 전력을 산출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변조부(33)의 출력과 같은 베이스 밴드 신호에 기초하여 피크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도 33에 실시예 14에 대응하는 기지국 구성예를 도시하며, 그 처리 플로우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다.
현 상황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는, 그 제어의 용이성으로부터, 통상 베이스 밴드 신호의 진폭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래서, 실시예 14는, 베이스 밴드 신호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의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 BTS의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bb_th(36e)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변조부(33)의 출력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39)에서 측정하여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밴드 신호인 변조부(33) 출력으로부터 베이스 밴드 신호 전력을 산출하고, 이 때의 송신 무선부(34)의 이득으로부터,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임의의 일정 기간에 이들 결과로 피크 송신 전력 Pbb를 산출한다.
이 피크 송신 전력 Pbb와 임계치 Pbb_th를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 비교하여 피크 송신 전력이 큰 경우에는,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할 단말기를 선택하고, 변경 후의 프레임 포맷을 통지한다. 또한, 단말기 MS의 선택에는, 예를 들면 송신 전력이 피크로 되었을 때에 가장 송신 전력이 높았던 단말기 MS를 선택하는 등의 방법이 생각된다.
이하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상에 의해,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송신 전력을 추정하고 있지만,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전력 그대로 제어하여도 된다. 또한, 변조부 출력을 이용하고 있지만, 중간 주파수(IF)여도 되고, 변조 전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5]
실시예 12에 대하여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한 사용 프레임 포맷 제어를 실시한다.
도 34에 실시예 15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 구성예를 도시한다. 기지국 BTS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36b)를 설정한다.
기지국 변조부(33)의 출력을, 유저 또는 서비스마다로 되도록, 예를 들면 필터(도 34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주파수 분리하고, 각각의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41)에서 산출한다. 이것을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 실시하여, 피크 송신 전력을 피크 송신 전력 산출부(41a)에서 산출한다.
이하 유저마다 피크 전력을 산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산출된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Pue_k를,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와 비교한다. 피크 송신 전력 Pue_k가 높은 경우에는, 그 단말기 MSk에 대하여 사용 프레임 포맷의 변경을 통지한다. 이상을 통신중의 각각의 단말기 MS1∼MSk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상에 의해, 기지국 BTS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변조기(33) 출력 전력과 송신 무선부(34)의 이득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측정하여 산출해도 되고,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전력 그대로 제어하여도 된다.
[실시예 16]
실시예 13에 대하여 실시예 14 및 15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밴드 신호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다.
도 35에 실시예 16에 대응하는 기지국 BTS 구성예를 도시한다. 그 처리 플로우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이다.
기지국 BTS 기동 시 또는 회선 설정 시에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 및,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를 설정한다. 또한, 동일 유저라도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양자에게는 의존 관계는 없는 것으로 한다.
이하 유저마다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변조부(33)의 출력 전력을, 출력 전력 산출부(41)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와 송신 무선부(34)의 이득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 전체의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이것을 일정 기간 반복하여, 기지국의 피크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이들에 병행하여, 기지국 변조부의 출력을, 유저마다로 되도록, 예를 들면 필터(도 35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주파수 분리하고, 각각의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산출부(41)에서 측정하여 산출한다. 그 결과와 송신 무선부(34)의 이득 등을 이용하여 유저마다의 송신 전력을 산출한다. 이것을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 실시하여, 피크 송신 전력을 피크 송신 전력 산출부(41a)에서 산출한다.
이들 정보를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 전달한다.
프레임 포맷 제어부(36)에서는, 우선 기지국 BTS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Pp와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p_th와 비교하여, 피크 송신 전력이 높은 경우에는, 사용 프레임 포맷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Pue_k와 유저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 임계치 Pue_th를 비교하여, 피크 송신 전력 Pue_k가 큰 경우, 그 단말기 MSk의 사용 프레임 포맷을 변경한다. 이것을 각 단말기에 대하여 실시한다.
이 때,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이, 임계치 이하로 되도록 낮게 억제되는 것이면, 하나의 유저가 사용하는 프레임 포맷만 변경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에 의해, 기지국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변조기(33) 출력 전력과 송신 무선부(34)의 이득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산출해도 되고, 베이스 밴드 신호의 전력 그대로 제어해도 된다.
(부기 1)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2)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프레임 포맷 중,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회선 설정 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3)
부기 1에 있어서,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사전에 통지함으로써, 사용 무선 프레임 포맷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4)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5)
부기 4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은, 송신 순위 및, 적어도 송신에 이용하는 변조 방식의 선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6)
부기 4에 있어서,
사용 프레임 포맷마다 단말기를 그룹화하고, 그룹 대응으로 송신 순위의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부기 7)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PAPR)를 측정하는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부기 8)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장치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PAPR)를 측정하는 송신 전력 산출부와,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개별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와 개별 송신 전력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부기 9)
부기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포맷 제어부는,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부기 10)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밴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베이스 밴드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부기 11)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회선 설정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제어국으로부터 기지국에 회선 설정 요구를 보내고,
상기 회선 설정 요구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받은 복수의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미사용의 무선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무선 프레임 포맷을 대응하는 단말기에 통지하고,
상기 단말기는, 설정 완료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통지된 무선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설정 방법.
(부기 12)
부기 1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설정 방법.
(부기 13)
부기 12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은, 송신 순위 및, 적어도 송신에 이용하는 변조 방식의 선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설정 방법.
(부기 14)
부기 13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사용 프레임 포맷마다 단말기를 그룹화하고, 그룹 대응으로 송신 순위의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설정 방법.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송신 전력의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PAPR을 저감할 수 있다. 이들 본 발명의 효과에 의해, 증폭기의 출력이 왜곡되는 일없이, 동작점을 높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증폭기의 전력 부가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프레임 포맷 중,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회선 설정 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사전에 통지함으로써, 사용 무선 프레임 포맷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로서,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PAPR)를 측정하는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포맷 제어부는,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무선 프레임 포맷에서의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로서,
    장치 전체의 피크 송신 전력 또는 피크 전력 대 평균 송신 전력비(PAPR)를 측정하는 송신 전력 산출부와,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의 피크 송신 전력을 측정하는 개별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와 개별 송신 전력 산출부에 의한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로서,
    베이스 밴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베이스 밴드 송신 전력 산출부와,
    상기 송신 전력 산출부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할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프레임 포맷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각각의 무선 채널을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로 구성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 맵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회선 설정 방법으로서,
    무선 제어국으로부터 기지국에 회선 설정 요구를 보내고,
    상기 회선 설정 요구에 기초하여 기지국이 유저마다 또는 서비스마다 제어 채널의 제어 신호 위치를 제어받은 복수의 무선 프레임 포맷으로부터 미사용의 무선 프레임 포맷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무선 프레임 포맷을 대응하는 단말기에 통지하고,
    상기 단말기는, 설정 완료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함으로써 상기 통지된 무선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설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프레임 포맷을 제어하는 스케줄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설정 방법.
KR1020060054991A 2006-01-27 2006-06-19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793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18521 2006-01-27
JP2006018521A JP4704222B2 (ja) 2006-01-27 2006-01-27 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683A true KR20070078683A (ko) 2007-08-01
KR100793520B1 KR100793520B1 (ko) 2008-01-14

Family

ID=3796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991A KR100793520B1 (ko) 2006-01-27 2006-06-19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7949307B2 (ko)
EP (3) EP2323328A1 (ko)
JP (1) JP4704222B2 (ko)
KR (1) KR100793520B1 (ko)
CN (2) CN101009675B (ko)
DE (1) DE602006014497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624A (ko) * 2009-05-08 2012-02-24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4222B2 (ja) * 2006-01-27 2011-06-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5242025B2 (ja) 2006-06-19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および送信方法
JP4957212B2 (ja) * 2006-11-29 2012-06-2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フレーム可変制御による最適な無線通信方法及び,これを適用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WO2009017374A2 (en) * 2007-07-31 200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mensioning scheduling assignm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9025005A1 (ja) * 2007-08-17 2009-02-26 Fujitsu Limited 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リソース割当て方法、及び無線基地局装置
US9668265B2 (en) 2008-03-28 2017-05-30 Qualcomm Inc. Technique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cellla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k
US8761824B2 (en) * 2008-06-27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196259B1 (ko) * 2008-12-19 2012-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포맷을 판별하는 장치 및 방법
JP5066536B2 (ja) * 2009-01-07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アクセス方法
US8213361B1 (en) * 2009-06-05 2012-07-03 Sprint Spectrum L.P. Using load under one air interface protocol as a basis to activate a control channel under another air interface protocol
JP5429298B2 (ja) 2009-10-06 2014-02-26 富士通株式会社 PAPR(Peak−to−AveragePowerRatio)決定装置及び通信装置
ES2564527T3 (es) * 2009-11-12 2016-03-23 Zte Corporation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indicación de modos de representación de bloques
US8874030B2 (en) * 2011-08-23 2014-10-28 Wilson Electronics, Llc Oscillation detection and oscillation mitigation in amplifiers
JP5571740B2 (ja) * 2012-06-19 2014-08-13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無線通信機、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機の送信出力制御方法
CN104735675B (zh) * 2013-12-19 2019-01-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无线局域网通信方法和无线局域网通信设备
CN104735674B (zh) * 2013-12-19 2018-08-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无线局域网通信方法和无线局域网通信设备
CN105025587A (zh) * 2014-07-29 2015-11-04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络接入方法、设备以及系统
US9807767B2 (en) * 2014-09-10 2017-10-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tones between us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7404372B (zh) * 2016-05-20 2019-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06455081B (zh) * 2016-10-31 2022-12-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及资源配置装置
US10673518B2 (en) 2017-06-27 2020-06-02 Wilson Electronics, Llc Crossover isolation reduction in a signal booster
CN112640546A (zh) * 2018-08-10 2021-04-09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无线通信中具有改进的关键通信通知的用户设备和方法
EP3609252A1 (en) * 2018-08-10 2020-02-12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 User equipment and method with improved critical communication no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904A (en) 1987-08-26 1989-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axial-microstrip line converter
US5867478A (en) * 1997-06-20 1999-02-02 Motorola, Inc. Synchronous coheren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KR19990016606A (ko) 1997-08-18 1999-03-15 윤종용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의 의사직교부호를 이용한 대역확산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369794B1 (ko) 1997-08-18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송신장치의대역확산신호발생장치및방법
US6393010B1 (en) 1998-08-19 2002-05-21 Qualcomm Incorporated Time offset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CDMA system
JP3410379B2 (ja) 1999-02-26 2003-05-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3728578B2 (ja) 1999-03-31 2005-12-21 富士通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における不均一誤り保護方法並びにその符号器及び復号器
US7042905B1 (en) * 1999-05-04 2006-05-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67383B1 (ko) 1999-06-23 2007-01-10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무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상응하는 무선 시스템
JP3522619B2 (ja) * 2000-01-05 2004-04-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リアcdma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
JP3526254B2 (ja) 2000-02-25 2004-05-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リア/ds−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チャネルの構成
SG135968A1 (en) 2000-02-02 2007-10-29 Ntt Docomo Inc A single carrier/ds-cdma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 uplink packet transmission method in a multi-carrier/ds-cdm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a structure of a downlink channel in a multi-carrier/ds-cdm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4005365B2 (ja) * 2000-03-23 2007-11-07 シーメンス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チャンネルのスケジューリング
DE10119449A1 (de) * 2001-04-20 2002-10-2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tragen der Daten eines teilnehmerspezifischen Steuerkanals in einem Funksystem
JP3564459B2 (ja) * 2002-03-11 2004-09-08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スペクトラム拡散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の送信方法
JP2003309533A (ja) * 2002-04-17 2003-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922246B1 (ko) * 2002-11-07 2009-10-15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apr 감소
KR100507519B1 (ko) 2002-12-13 2005-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기반 셀룰러 시스템의 하향링크를 위한 신호구성 방법 및 장치
JP2005020076A (ja) 2003-06-23 2005-01-20 Toshiba Corp 通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2005057610A (ja) 2003-08-06 200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
KR101009861B1 (ko) * 2003-08-19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전송률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346996B2 (ja) * 2003-08-29 2009-10-21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移動通信システム
KR101015736B1 (ko) * 2003-11-19 201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선택적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176012A (ja) 2003-12-12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方法
BRPI0509327A (pt) 2004-03-30 2007-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arelho de estação de base, aparelho de estação móvel, e método de programação de canal de dados
JP2005294996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信号送信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マルチキャリア信号送信方法
JP4359191B2 (ja) * 2004-06-01 2009-11-0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信号生成装置
US8452316B2 (en)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KR100742127B1 (ko) * 2004-06-25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랜덤 접속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018521A (ja) 2004-06-30 2006-01-19 Ricoh Co Ltd 画像回転装置
JP5049463B2 (ja) * 2004-12-14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及び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9209956B2 (en) *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8213367B2 (en) * 2005-11-02 2012-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dimensioning the control channel for transmission efficiency in communication systems
JP2007174337A (ja) * 2005-12-22 2007-07-05 Toshiba Corp セルラ通信システム、管理局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4704222B2 (ja) * 2006-01-27 2011-06-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4790544B2 (ja) * 2006-08-31 2011-10-12 富士通株式会社 リレー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再送制御方法及びリレー局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624A (ko) * 2009-05-08 2012-02-24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US9712336B2 (en) 2009-05-08 2017-07-1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US9847826B2 (en) 2009-05-08 2017-12-19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153822B2 (en) 2009-05-08 2018-12-11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516466B2 (en) 2009-05-08 2019-12-24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903891B2 (en) 2009-05-08 2021-01-26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4275B1 (en) 2010-05-26
US20110124298A1 (en) 2011-05-26
KR100793520B1 (ko) 2008-01-14
CN101895508B (zh) 2016-05-18
CN101895508A (zh) 2010-11-24
CN101009675B (zh) 2010-09-29
EP1814275A2 (en) 2007-08-01
EP2323328A1 (en) 2011-05-18
EP2209275A2 (en) 2010-07-21
EP2209275B1 (en) 2011-09-28
JP4704222B2 (ja) 2011-06-15
US7949307B2 (en) 2011-05-24
US20170142727A1 (en) 2017-05-18
EP2209275A3 (en) 2010-08-04
US20070178928A1 (en) 2007-08-02
US20130022002A1 (en) 2013-01-24
EP1814275A3 (en) 2008-10-15
US8588706B2 (en) 2013-11-19
US20100329377A1 (en) 2010-12-30
JP2007201854A (ja) 2007-08-09
CN101009675A (zh) 2007-08-01
DE602006014497D1 (de) 2010-07-08
US8311565B2 (en)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5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US8625504B2 (en) Radio transmission device, control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582506B2 (en) Adaptation of subcarrier frequency spacing based on energy efficiency indicator
US91134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PDSCH power setting
KR101909043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 방법 및 장치
US8411770B2 (en) 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7061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010072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10011883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1507222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包括dc子载波的资源分配
CN101610104B (zh) 用户专属参考符号的功率分配方法及设备
US802735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JP5196318B2 (ja) 送信装置及び基地局並びに送信方法
JP54947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設定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JP52124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WO201014698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機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2085084A (ja) Ofdm信号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