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081A - 모터 구동식 미싱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식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081A
KR20070077081A KR1020070005103A KR20070005103A KR20070077081A KR 20070077081 A KR20070077081 A KR 20070077081A KR 1020070005103 A KR1020070005103 A KR 1020070005103A KR 20070005103 A KR20070005103 A KR 20070005103A KR 20070077081 A KR20070077081 A KR 20070077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ewing machine
main shaft
sew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하야시다
아키오 이야나가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7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제 1 나사 부재에 의해 고정·고정해제 가능한 모터 부착대의 내면측에 구동 모터를 부착하고, 이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는 주축에 측부 바깥쪽으로부터 끼워맞춤과 이탈 가능한 통 형상 어댑터를 모터 부착대에 회전 자유롭게 지탱하고, 이 통 형상 어댑터를 주축에 대해 고정·고정해방 가능한 제 2 나사 부재 및 상기 제 1 나사 부재의 고정해제에 의해, 구동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동 어셈블리를 1세트로 하여 미싱 프레임의 측부 바깥쪽으로 분리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동 모터를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에 근접배치하여 전체 구조의 심플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메인터넌스 시에 전동 어셈블리를 적은 조작 수고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게다가, 전동성능을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재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미싱, 구동 모터, 주축, 출력축, 타이밍벨트, 베어링

Description

모터 구동식 미싱{MOTOR-DRIVEN TYPE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식 미싱 전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주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주요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미싱의 주축을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는 모터 구동식 미싱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미싱 프레임으로부터 측부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주축과, 상기 미싱 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상기 주축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출력축을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모터 구동식 미싱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모터 구동식 미싱으로서, 종래, 중화민국(대만) 발명 공개 2005061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나사 부재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한 모터 부착대의 내면측에 구동 모터를 고정 지지시킴과 동시에, 그 출력축을 모터 부착대에 형성한 구멍을 통과시켜 이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돌출 출력축 부분에 전동측의 타이밍 풀리를 나사 부재 를 통하여 고정하는 한편, 상기 주축을 모터 부착대에 형성한 구멍을 통과시켜 이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에까지 돌출시키고, 그 돌출 주축 부분에 나사 부재를 통하여 수동측의 타이밍 풀리를 고정하고, 이들 양 타이밍 풀리 사이에 걸쳐서 타이밍벨트를 팽팽하게 감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터 구동식 미싱에서는, 상기 중화민국(대만) 발명 공개 200506129호 공보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서도 밝혀지는 바와 같이, 미싱 프레임의 측부 바깥쪽으로 구동 모터가 크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또, 미싱의 전후 길이도 가능한 한 짧아지도록, 구동 모터를 미싱 프레임의 직후부에서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에 극히 근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미싱 전체의 구조 심플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그런데, 미싱에서는, 미싱 프레임의 내부 기구를 정기적으로 점검이나 조정, 보수 등의 메인터넌스 하기 위해서,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나 측벽부에, 착탈 자유로운 또는 요동 개폐 자유로운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자측에서 이 커버를 착탈 또는 개폐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미싱 프레임의 후부나 측부에 넓은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미싱 프레임에 극히 근접배치 되어 있는 상기 구동 모터가 작업의 방해가 되므로, 이 구동 모터만을 단독으로 모터 부착대로부터 분리하거나, 혹은, 구동 모터, 모터 부착대, 양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와 같은 전동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분리하거나, 어느 하나의 수단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후자의 전동 어셈블리의 구성요소의 분해·분리 수단의 경우는, 메인터넌스 때마다 전동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1개씩 순서대로 분리(분해)하고, 또한, 메인터넌스 종료 후는 다시 1개씩 부착(조립)한다고 하는 대단히 복잡하고 또한 막대한 조작 수고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조립 후는, 미싱 출하 시의 품질보증을 위해 메이커측 등에서 미리 정밀하게 조정되어 있던 모터 출력축과 주축과의 축간 거리가 미묘하게 변동되고, 그 결과, 타이밍벨트에의 부하장력이 변화되어 소정의 전동성능을 안정적으로 재현시킬 수 없다. 특히, 벨트에의 부하장력이 과잉으로 된 경우, 그만큼 벨트에 작용하는 마찰열이 비정상적으로 증대하여 벨트 수명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전자의 구동 모터만을 모터 부착대로부터 단독으로 분리하는 수단의 경우에는, 후자의 수단의 경우보다 조작 수고는 적어지지만, 이 경우에도 모터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는 전동측의 타이밍 풀리를 나사 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이 출력축으로부터 고정 해제한 후, 구동 모터를 분리하고, 또, 메인터넌스 종료 후는 구동 모터를 모터 부착대의 소정 위치에 부착한 후, 그 출력축에 다시 나사 부재를 죄어서 타이밍 풀리를 고정하여 부착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전동측 타이밍 풀리의 분리에 따라 상기 축간 거리의 미묘한 변동은 피할 수 없고, 그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전동성능을 안정적으로 재현하여 벨트 수명에의 악영향을 없게 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 모터를 미싱 프레임의 직후부에서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에 극히 근접배치 하여 전체 구조의 심플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메인터넌스 시에 전동 어셈블리를, 적 은 조작 수고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게다가, 전동성능을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재현할 수 있는 모터 구동식 미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식 미싱은, 미싱 프레임으로부터 측부 바깥쪽으로 돌출된 주축과, 상기 미싱 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상기 주축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출력축을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모터 구동식 미싱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제 1 나사 부재를 통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 가능한 모터 부착대의 내면측에 고정 지지되고, 이 모터 부착대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이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으로 돌출시킨 출력축에 구동 모터측의 전동용 타이밍 풀리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주축에 측부 바깥쪽으로부터 끼워맞춤과 이탈 가능한 통 형상 어댑터가 상기 모터 부착대에 회전 자유롭게 지탱되고, 이 통 형상 어댑터의 상기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으로의 돌출 부분에 상기 주축측의 수동용 타이밍 풀리가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통 형상 어댑터에는 상기 주축에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이 주축에 대해 고정 및 고정해방 가능한 제 2 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나사 부재를 주축에 대해 고정해방 하고, 또한, 상기 제 1 나사 부재를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대해 고정해제 함으로써, 구동 모터, 모터 부착대, 양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전동 어셈블리를 1세트로 하여 미싱 프레임의 측부 바깥쪽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시에 미싱 프 레임의 후부 또는 측부에 충분히 넓은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구동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동 어셈블리를 미싱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 우선 제 2 나사 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통 형상 어댑터를 주축으로부터 고정해방 하고, 이어서 제 1 나사 부재를 느슨하게 하여 모터 부착대를 미싱 프레임으로부터 고정해방 하는 것과 같은 극히 간단한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구동 모터, 모터 부착대, 양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전동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요소를 1세트로 하여 미싱 프레임의 측부 바깥쪽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 메인터넌스 종료 후는, 측부 바깥쪽에서 통 형상 어댑터를 주축의 돌출부분에 끼워맞추고 제 1 나사 부재를 죄어서 모터 부착대를 미싱 프레임에 고정하고, 이어서 제 2 나사 부재를 죄어서 통 형상 어댑터를 주축에 고정하는 것과 같은 극히 간단한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상기 전동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요소를 1세트인 채로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를 미싱 프레임의 직후부에서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에 극히 근접 배치하여 미싱 전체 구조의 심플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도, 메인터넌스 시에 전동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분해하고, 메인터넌스 후에 하나하나 조립한다는 막대한 조작 수고, 또는, 메인터넌스 시에 타이밍 풀리를 모터 출력축으로부터 고정해제 하여 분리한 뒤, 구동 모터를 모터 부착대로부터 떼어내고, 메인터넌스 후에 재차 그것들을 차례로 부착한다는 종래에는 필요했던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메인터넌스 시의 작업 스페이스 확보를 위한 전동 어셈블리의 착탈 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적은 조작 수고로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그 착탈 시에 구동 모터의 출력축과 주축의 축간 거리가 변동되는 것과 같은 작업은 전혀 없으므로, 미싱 출하 시에 메이커측 등에서 정밀하게 조정되어 있는 일정한 축간 거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 시의 전동 어셈블리의 착탈에 관계 없이, 적정하고, 양호한 전동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재현할 수 있다. 특히, 타이밍벨트에의 부하 장력이 과부족으로 됨으로 인한 전동성능이나 벨트 수명의 저하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가 배치되는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 또는 측벽부에 메인터넌스용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폐색하는 후방 커버가 미싱 프레임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후방 커버를 착탈함으로써 개구부를 크게 개방시켜 미싱 프레임의 내부 기구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대단히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식 미싱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어댑터를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모터 부착대에 형성된 베어링 압입구멍에 압입된 베어링 누름부에 의해 고정된 베어링을 통하여 모터 부착대에 회전 자유롭게 지탱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초기 조립 시에 모터 부착대에 대한 베어링의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구동 모터의 출력축과 주축의 축간 거리를 용이하고 또한 정밀하게 적정화 하여 출시 시의 전동 성능, 나아가서는 미싱의 품질을 양호하게 하여 그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식 미싱에서, 청구항 5와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양 타이밍 풀리, 타이밍벨트를 덮는 벨트 커버를 상기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는, 평상시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메인터넌스 시에는 그 벨트 커버를 포함한 전동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요소를 1세트로서 취급할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밝혀질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식 미싱 전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이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미싱 베드부(1A) 및 미싱 암부(1B)로 이루어지는 미싱 프레임이며, 이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의 전면 하부로부터 봉제 진행방향(a)과는 역방향(미싱 전방)을 향해서 실린더 베드부(2)가 뻗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의 후부에는, 미싱 프레임(1) 내에 편입되어 있는 내부기구(도시 생략)에 대하여 점검이나 조정, 보수 등의 각종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자유로운 후방 커버(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도면부호 22는 실 장력 조절기, 도면부호 23은 핸드 풀리이다.
상기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로부터는, 도 2 및 도 3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그 미싱 베드부(1A)의 측부 바깥쪽을 향하여 주축(4)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의 직후부에서 상기 후방 커버(3)에 극히 근접하는 위치에는 전동식 구동 모터(5)가 그 출력축(5a)을 상기 주축(4)과 평행하게 위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5)는 상기 미싱 프 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의 측부 외면에 복수개의 제 1 나사 부재(12)를 통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모터 부착대(11)의 내면측에 복수개의 비스(13)를 통하여 고정지지 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5)의 출력축(5a)은 상기 모터 부착대(11)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14)을 관통하여 이 모터 부착대(11)의 외면측에 돌출되고, 그 돌출 출력축(5a)부분에 비스(7)를 통하여 전동측의 타이밍 풀리(9)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모터 부착대(11)의 주축(4)에 대응 부분에는, 이 주축(4)에 측부 바깥쪽으로부터 끼워맞춤과 이탈 가능한 통 형상 어댑터(15)를 베어링(16) 및 베어링 누름부(17)를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탱하는 베어링 압입구멍(18)이 형성되고, 이 압입구멍(18)에 압입고정된 상기 베어링(16)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탱된 상기 통 형상 어댑터(15) 중 상기 모터 부착대(11)의 외면측으로의 돌출 부분(15a)에 비스(6)를 통하여 수동측의 타이밍 풀리(8)가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통 형상 어댑터(15)의 축선방향의 중간 대직경 부분(15b)에는, 상기 주축(4)에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이 주축(4)에 대해 통 형상 어댑터(15)를 고정 및 고정해제 가능한 제 2 나사 부재(19)가 나사결합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전동측의 타이밍 풀리(9)와 수동측의 타이밍 풀리(8)의 사이에는, 상기 주축(4)과 구동 모터(5)의 출력축(5a)을 연동 연결하기 위한 타이밍벨트(10)가 팽팽하게 감겨 설치되어 있다. 이 타이밍벨트(10)의 부하 장력은 미싱 출하 시에 메이커측에서, 상기 베어링(16)의 모터 부착대(11)에 대한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주축(4)과 구동 모터(5)의 출력축(5a)의 축간 거리(L)(도 3 참조)를 정밀하게 조정함으 로써 미리 최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모터 부착대(11)의 외면측에는, 상기 양 타이밍 풀리(8, 9) 및 타이밍벨트(10)를 덮는 벨트 커버(20)가 볼트(21)를 통하여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모터 구동식 미싱에 있어서, 통상의 봉제 사용 시는,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부착대(11)가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의 측부 외면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구동 모터(5)의 출력축(5a)과 주축(4)이 타이밍 풀리(9, 8) 및 타이밍벨트(10)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5)를 작동시킴으로써, 그 구동 회전력이 타이밍 풀리(9, 8) 및 타이밍벨트(10)를 거쳐 주축(4)에 전달되어 소정의 봉제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미싱 프레임(1)의 내부기구의 점검, 조정이나 보수 등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볼트(21)를 느슨하게 하여 벨트 커버(20)를 이탈한 후, 우선 제 2 나사 부재(19)를 느슨하게 하여 통 형상 어댑터(15)를 주축(4)으로부터 고정해방 하고, 이어서 제 1 나사 부재(12)를 느슨하게 하여 모터 부착대(11)를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로부터 고정해방 한다는 간단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3의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5), 모터 부착대(11), 통 형상 어댑터(15), 양 타이밍 풀리(8, 9) 및 타이밍벨트(10)를 포함하는 전동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요소를 1세트로 하여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시켜 미싱 베드부(1A)의 측부바깥쪽으로 분리하고, 이것에 의해,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 의 후부에는 구동 모터(5)가 제거된 넓은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이 상태에서 후방 커버(3)를 이탈함으로써 개구부를 열고 소정의 메인터넌스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메인터넌스 종료 후는, 상기 후방 커버(3)를 고정하여 개구부를 폐색한 후, 모터 부착대(11)를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시켜 통 형상 어댑터(15)를 주축(4)의 돌출부분에 측방 외부로부터 끼워맞추어지게 함과 동시에, 제 1 나사 부재(12)를 죄어서 모터 부착대(11)를 미싱 프레임(1)에서의 미싱 베드부(1A)의 측부 외면에 고정하고, 이어서 제 2 나사 부재(19)를 죄어서 통 형상 어댑터(15)를 주축(4)에 고정한다는 간단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전동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요소를 1세트인 채로 미싱 프레임(1)의 측부 외면에 부착할 수 있고, 그 후, 볼트(21)를 죄어 벨트 커버(20)를 모터 부착대(11)에 고정함으로써, 통상의 봉제 사용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5)를 미싱 프레임(1)의 직후부에서 미싱 베드부(1A)의 후벽부에 극히 근접 배치하여 미싱 전체 구조의 심플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도, 메인터넌스 시에 전동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분해하고, 메인터넌스 후에 하나하나 조립한다는 막대한 조작 수고, 또는, 메인터넌스 시에 전동측의 타이밍 풀리(9)를 모터 출력축(5a)으로부터 고정해제 하여 분리한 뒤, 구동 모터(5)를 모터 부착대(11)로부터 분리하고, 메인터넌스 후에 다시 그것들을 차례로 부착한다는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동 어셈블리의 착탈 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적은 조작 수고로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착탈 시에 구동 모터(5)의 출력축(5a)과 주축(4)과의 축간 거리(L)는 미싱 출하 시에 메이커측 등에서 정밀하게 조정되어 있는 일정한 축간 거리로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메인터넌스 때마다 미싱 프레임(1)으로부터 착탈됨에도 불구하고, 적정하고 양호한 전동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재현할 수 있다. 특히, 타이밍벨트(10)에의 부하장력을 과부족 없이 초기 조정 시의 값으로 유지하여 전동성능의 저하나 벨트 수명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미싱 프레임(1)에 있어서의 미싱 베드부(1A)의 후부에, 미싱 프레임(1) 내에 편입되어 있는 내부기구(도시 생략)에 대해 점검이나 조정, 보수 등의 각종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착탈 자유로운 후방 커버(3)를 설치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메인터넌스용의 개구부 및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미싱 베드부(1A)의 측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와 동일한 전동 어셈블리 착탈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모터를 미싱 프레임의 직후부에서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에 극히 근접 배치하여 미싱 전체 구조의 심플화 및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도, 메인터넌스 시에 전동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분해하고, 메인터넌스 후에 하나하나 조립한다는 막대한 조작 수고, 또는, 메인터넌스 시에 타이밍 풀리를 모터 출력축으로부터 고정해제 하여 분리한 뒤, 구동 모터를 모터 부착대로부터 떼어내고, 메인터넌스 후에 재차 그것들을 차례로 부착한다는 종래에는 필요했던 번거 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메인터넌스 시의 작업 스페이스 확보를 위한 전동 어셈블리의 착탈 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적은 조작 수고로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착탈 시에 구동 모터의 출력축과 주축의 축간 거리가 변동되는 것과 같은 작업은 전혀 없으므로, 미싱 출하 시에 메이커측 등에서 정밀하게 조정되어 있는 일정한 축간 거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 시의 전동 어셈블리의 착탈에 관계 없이, 적정하고, 양호한 전동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재현할 수 있다. 특히, 타이밍벨트에의 부하 장력이 과부족으로 됨으로 인한 전동성능이나 벨트 수명의 저하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미싱 프레임으로부터 측부 바깥쪽으로 돌출된 주축과, 상기 미싱 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상기 주축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출력축을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통하여 연동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모터 구동식 미싱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제 1 나사 부재를 통하여 고정 및 고정해제 가능한 모터 부착대의 내면측에 고정지지 되고, 이 모터 부착대에 형성한 구멍을 관통하여 이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에 돌출시킨 출력축에 구동 모터측의 전동용 타이밍 풀리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기 주축에 측부 바깥쪽으로부터 끼워맞춤과 이탈 가능한 통 형상 어댑터가 상기 모터 부착대에 회전 자유롭게 지탱되고, 이 통 형상 어댑터의 상기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으로의 돌출 부분에 상기 주축측의 수동용 타이밍 풀리가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통 형상 어댑터에는 상기 주축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이 주축에 대해 고정 및 고정해방 가능한 제 2 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나사 부재를 주축에 대해 고정해방 하고, 또한, 상기 제 1 나사 부재를 미싱 프레임의 측부 외면에 대해 고정해제 함으로써, 구동 모터, 모터 부착대, 통 형상 어댑터, 양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전동 어셈블리를 1세트로 하여 미싱 프레임의 측부 바깥쪽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미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가 배치되는 미싱 프레임의 후벽부 또는 측벽부에는, 메인터넌스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폐색하는 후방 커버가 상기 미싱 프레임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미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 어댑터는, 상기 모터 부착대에 형성된 베어링 압입구멍에 압입되고 베어링 누름부에 의해 고정된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모터 부착대에 회전 자유롭게 지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미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모터 부착대에 대한 고정위치가 조절가능하고, 그 조절에 의해 상기 주축과 구동 모터의 출력축의 축간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미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타이밍 풀리, 타이밍벨트를 덮는 벨트 커버가 상기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미싱.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타이밍 풀리, 타이밍벨트를 덮는 벨트 커버가 상기 모터 부착대의 외면측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식 미싱.
KR1020070005103A 2006-01-19 2007-01-17 모터 구동식 미싱 KR20070077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9951 2006-01-19
JP2006039951A JP2007190343A (ja) 2006-01-19 2006-01-19 モータ駆動式ミシ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081A true KR20070077081A (ko) 2007-07-25

Family

ID=3844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03A KR20070077081A (ko) 2006-01-19 2007-01-17 모터 구동식 미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190343A (ko)
KR (1) KR20070077081A (ko)
CN (1) CN101003931A (ko)
TW (1) TW2007364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2181B2 (ja) 2006-03-10 2011-11-2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モータ駆動式ミシン
CN101514519B (zh) * 2008-02-19 2012-10-03 曾贤长 缝纫机马达调整定位限位结构
JP5212938B2 (ja) * 2008-05-12 2013-06-19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工業用ミシンの駆動装置
JP2011036403A (ja) * 2009-08-11 2011-02-24 Brother Industries Ltd ミシン
CN101736539B (zh) * 2009-12-03 2013-05-01 顾飞龙 缝纫机换装直驱式马达的组配方法
CN105908400B (zh) * 2016-06-29 2019-04-12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缝纫机功能驱动装置及缝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6440A (en) 2007-10-01
CN101003931A (zh) 2007-07-25
JP2007190343A (ja)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7081A (ko) 모터 구동식 미싱
KR101295620B1 (ko) 모터구동식 미싱
CA2603741A1 (en) Bolt-tightening tool
CN1275696C (zh) 可轻易替换碾子的破碎碾压机
JP2010223325A (ja) 移動農機
JP2007051666A (ja) エンジン補機駆動装置
US6196182B1 (en) Engine cover structure
KR100602203B1 (ko) 장력조절 로울러의 착탈이 용이한 벨트컨베이어
TWI411296B (zh)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rive motor
JPH0826443A (ja) チェーンの張力設定装置
CN214291868U (zh) 一种并条机底盘偏心在线调节机构
CN218000306U (zh) 一种轨道皮带张紧装置及轨道
CN217852802U (zh) 一种清洁机器人
CN217143457U (zh) 一种打磨设备的砂带快拆机构
CN215433492U (zh) 盲孔轴承快速拆装专用工具
KR20200079538A (ko) 베어링을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 및 베어링을 교체하기 위한 방법
JP2722774B2 (ja) ミシンの駆動力伝達構造
JP3544364B2 (ja) ベルト伝動装置
JP2003106413A (ja) スラスト荷重を受ける減速機
JP4998926B2 (ja) ベルト駆動型作業機
CN112676825A (zh) 一种并条机底盘偏心在线调节机构
CN220993542U (zh) 一种农机配件切割装置
JPH0610221U (ja) 金属検出機用ベルト簡易着脱型コンベヤー
KR960006291Y1 (ko) 펀 와인다의 스핀들 구동밸트 장력조절구조
JP4831821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及びベルトテンショナ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