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049A - 지폐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지폐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049A
KR20070070049A KR1020060102724A KR20060102724A KR20070070049A KR 20070070049 A KR20070070049 A KR 20070070049A KR 1020060102724 A KR1020060102724 A KR 1020060102724A KR 20060102724 A KR20060102724 A KR 20060102724A KR 20070070049 A KR20070070049 A KR 2007007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elt
reject
deposi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7215B1 (ko
Inventor
겐타로 가마가타
하지메 도기야
요시유키 도사카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를 인식하고, 인식할 수 없는 지폐를 리젝트하여 반환하는 입출금 리젝트 기구를 갖는 매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송 벨트와 지폐간의 마찰력이 낮은 경우에도 지폐를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반출하여, 입금 리젝트부의 내부에 잔류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입금 리젝트부의 반송용 벨트의 일방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입금 리젝트부에 집적된 리젝트 지폐를 당해 돌기부에 의해 끌어내도록 하였다. 또는, 입금 리젝트부의 반송 상류측 케이스체와 돌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형성하고, 반송 가이드의 하류측 단부 연장선과 돌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지폐 입출금기{PAPER MONEY PAYING AND RECEIVING MACHINE}
도 1 은, 실시예 1 의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도 및 동작 설명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돌기 벨트의 개관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의 입출금부의 구성 및 동작 설명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의 입금 리젝트부의 동작 테이블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의 입금 리젝트부의 변형예이다.
도 7 은, 실시예 2 의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도 및 동작 설명도이다.
도 8 은, 지폐 입출금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도 및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도 및 동작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입출금부 2 인식부
3 입금 리젝트부 5 일시 집적부
21 풀부 22 지폐 분리부
24a 오픈 가이드 24b 하부 벨트부
25 평 벨트 26 돌기 벨트
27L, 27U 조인트 기어 29a, 29b 캠
30a, 30b 링크 32, 33 샤프트
34 벨트 풀리 (아이돌) 35 벨트 풀리 (고정)
37 돌기 위치 검지 기구 38 지폐 스톱퍼
39 반송로 에리어 50 돌기부
90 반송 가이드 100 지폐
φ 벨트 풀리 직경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26442호
본 발명은, 지폐를 인식하고, 인식할 수 없는 지폐를 리젝트하여 반환하는 입출금 리젝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지폐 입출금기에는, 고객이 투입한 지폐의 입금 동작 및 인식할 수 없는 지폐를 리젝트하여 반환하는 동작 등을 행하는 입출금부 (1) 와, 투입된 지폐의 인식을 행하는 인식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입출금부 (1) 에는, 입금된 지폐를 당기는 풀부 (21) 와, 입금된 지폐를 1 매씩 분리하는 지폐 분리부 (22) 와, 인식부 (2) 에 의해 정권으로 인식되지 않고 리젝트된 지폐를 집적하는 처리 및 집적된 리젝트 지폐를 고객에게 반환 처리하는 입금 리젝트부 (3)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입금 리젝트부 (3) 는, 도 9,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용의 벨트 및 롤러로 이루어지는 상부 벨트부 (6a) 와, 하부에 형성한 하부 벨트부 (6b) 와, 일시 집적부 (5) 의 방향 (도면 중 화살표 C 방향) 으로부터 반송되는 리젝트 지폐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폐 스톱퍼 (8) 와, 도시하지 않은 각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에 나타낸 구성의 입금 리젝트부 (3) 에서는, 입금 동작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낸 하부 벨트부 (6b') 및 반송 가이드 (90') 를 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선의 위치에 배치하여 열림 상태로 함과 함께, 지폐 스톱퍼 (8') 를 B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선의 위치에 배치하여 닫힘 상태로 하여, 반송된 지폐 (100) 가 입금 리젝트부 (3) 의 집적 에리어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 벨트부 (6b) 의 이동에 의해 생긴 스페이스 (9a) 에 리젝트된 지폐 (100) 를 집적하도록 하고 있다.
또, 리젝트 지폐 (100) 를 반환하는 동작시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하부 벨트부 (6b) 및 반송 가이드 (90) 를 반송로로서 구성시키기 위하여, 도면 중 A 방향과는 반대로 이동시켜서 닫힘 상태로 하고 리젝트 지폐 (100) 를 클램프함과 함께, 지폐 스톱퍼 (8) 를 도면 중 B 방향과는 반대로 이동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고, 리젝트 지폐 (100) 를 입출금부 (1) 에 반송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 에 나타낸 구성의 입금 리젝트부에서는, 입금 동작시에는, 롤러 (7) 를 지지점으로 하여 파선의 하부 벨트부 (6b') 및 반송 가이드 (90') 를 회 전시키고 D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선의 위치에 배치하여 열림 상태로 하고, 지폐 스톱퍼 (8') 를 B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실선의 위치에 배치하여 닫힘 상태로 하고, 반송된 리젝트 지폐 (100) 가 집적 스페이스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하부 벨트부 (6b) 의 이동에 의해 생긴 스페이스 (9b) 에 리젝트된 지폐 (100) 를 집적한다.
또, 리젝트 지폐 (100) 를 반환하는 동작시에는, 하부 벨트부 (6b) 및 반송 가이드 (90) 를 고속 반송로로서 구성하기 위하여, D 방향과는 반대로 이동시켜서 닫힘 상태로 하고 지폐 (100) 를 클램프함과 함께, 지폐 스톱퍼 (8) 를 B 방향과는 반대로 이동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며, 리젝트 지폐 (100) 를 입출금부 (1) 에 반송하여, 고객에게 반환한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때, 일반적으로, 리젝트되는 지폐는 찢어짐이나 접힘 등이 있고, 반송이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강제 배출 기구로서, 도시하지 않은 L 자형의 레버를 형성하고 이것을 왕복 운동하도록 하여, 반송 곤란한 상태로 집적된 지폐를 입출금부 (1) 로 밀어내, 입금 리젝트부 (3) 의 내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입금 리젝트부의 기구에서는, 상부 벨트부 (6a), 하부 벨트부 (6b) 와 지폐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없는 경우로, 강제 배출 기구가 없는 경우 등에는, 입출금부 (1) 에 지폐를 완전하게 반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강제 배출 기구로서 레버를 형성한 경우라도, 레버의 가동부 등에 지폐가 끼여 들어갔을 때 등에는, 레버가 왕복 운동을 하기 위하여, 밀어냄 위치까지 이동해도 풀부 (21) 로 지폐를 끝까지 밀어낼 수 없어, 지폐를 되돌려 입금 리젝트부 (3) 의 내부에 지폐를 잔류시켜 버리거나, 일부만 되돌려 반환되는 지폐를 파손시켜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지폐를 인식하고, 인식할 수 없는 지폐를 리젝트하여 반출하는 리젝트 기구를 갖는 매체 처리기에 있어서, 리젝트 매체 반송용 벨트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당해 리젝트 매체를 당해 돌기부에 의해 끌어내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형태의 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취급하는 매체를 지폐로서 설명하지만, 지엽(紙葉) 형상의 매체이면, 지폐가 아니라 채권이나 표 등이어도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 의 지폐 입출금기는, 입금 리젝트부 (3) 의 상부 벨트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입금 리젝트부에 집적된 지폐를 돌기부에 의해 밀어내도록 한 것이다.
(구성)
(장치 전체의 구성)
실시예 1 의 지폐 입출금기의 전체 구성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객 이 투입한 지폐의 분리 동작 및 인식할 수 없는 지폐를 반환하는 동작 등을 행하는 입출금부 (1) 와, 분리된 투입 지폐를 인식하는 인식부 (2) 와, 인식부 (2) 에 의해 정권으로 간주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일시 집적부 (5) 와, 일시 집적부 (5) 의 지폐를 재인식하고 각종 지폐별로 집적하는 집적부 (10) 와, 지폐를 보충하는 보충부 (11) 와, 리젝트 지폐로서 회수된 지폐를 저장하는 리젝트부 (12)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입출금부 (1) 는, 입금된 지폐를 당기는 풀부 (21) 와, 입금된 지폐를 1 매씩 분리하는 지폐 분리부 (22) 와, 인식부 (2) 에 의해 정권으로 판정되지 않아 리젝트된 지폐를 장치 내에 받아들이지 않고 집적하는 처리 및 집적된 리젝트 지폐를 고객에게 반환하는 처리를 행하는 입금 리젝트부 (3) 로 구성된다.
풀부 (21)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 등에 의해, 고객이 지폐를 투입할 때 또는 리젝트된 지폐를 꺼내는 경우와 (도 3(a)), 입금된 지폐를 분리, 인식하는 경우 (도 3(b)) 로서,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
입금 리젝트부 (3) 의 구성을, 도 1 을 사용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하측의 횡면도 (도 1(b)) 를 사용하여 입금 리젝트부 (3) 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평 벨트 (25), 돌기 벨트 (26) 의 하측에 도 9, 도 10 에서 설명한 종래의 입금 리젝트부와 동일한 반송 가이드 (90) 를 형성하고 있지만 도시하는 선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생략한다.
입금 리젝트부 (3) 는, 리젝트 지폐를 집적하는 동작이나, 반환 및 출금하는 동작에 따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전환하는 하부 벨트부 (24a) 와 이것을 개폐하는 가이드로서의 오픈 가이드 (24b) 와, 하부 벨트부 (24a) 의 동작과 동기하여 동작하는 지폐 스톱퍼 (38) 와, 지폐를 입금부 1 측에 반송하기 위한 평 벨트 (25) 와, 집적된 지폐를 밀어내기 위해 돌기부 (50) 를 형성한 도 2 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돌기 벨트 (26) 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 (36) 와, 하부 벨트부 (24a) 및 평 벨트 (25) 에 구동을 전달하는 조인트 기어 L (27L) 와, 돌기 벨트 (26) 에 구동을 전달하는 조인트 기어 U (27U) 와, 오픈 가이드 (24b) 등의 위치를 각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전환하기 위한 캠 (29) 과, 캠 (29) 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지지점 (41) 을 가진 링크 A (30a), 링크 B (30b)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크 A (30a) 는, 지폐 스톱퍼 (38) 와 연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 캠 (29) 은, 2 개의 캠 (29a, 29b) 으로 구성되어 있고,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면도 (도 1(a)) 를 사용하여 입금 리젝트부 (3) 의 구성을 설명한다. 입금 리젝트부 (3) 에는, 또한, 돌기 벨트 (26) 의 돌기부 (50) 의 위치를 검출하는 돌기 위치 검지 기구 (3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위치 검지 기구 (37) 는, 돌기 벨트 (26) 가 화살표 K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것과 함께 돌기부 (50) 가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하고, 돌기 위치 검출 기구 (37) 에 닿으면, 지지점 (42) 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M 방향으로 회동(回動)한다. 그리고 돌기 위치 검출 기구 (37) 의 선단에 형성된 광학 센서 등에 의해 이 회동을 검출함으로 써 돌기부 (50) 가 소정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좌우에 배치된 2 개의 샤프트 (32, 33) 와 벨트 풀리의 관계는, 평 벨트 (25) 의 좌측의 2 개의 벨트 풀리 (34a, 34b) 및 돌기 벨트 (26) 우측의 벨트 풀리 (34c) 는 아이돌, 평 벨트 (25) 우측의 2 개의 벨트 풀리 (35a, 35b) 및 돌기 벨트 (26) 좌측의 벨트 풀리 (35c) 가 고정으로 되어 있다.
즉, 우측의 샤프트 (32) 에 회전 구동이 전달되면, 평 벨트 (25) 는 회전하지만 돌기 벨트 (26) 는 회전하지 않고, 샤프트 (33) 에 회전 구동이 전달되면, 돌기 벨트 (26) 는 회전하지만 평 벨트 (25) 는 회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평 벨트 (25) 와 돌기 벨트 (26) 를 동일한 샤프트 (32, 33) 에 걸고,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기구를 간소화하기 위해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 벨트 (25) 와 돌기 벨트 (26) 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평 벨트 (25) 와 돌기 벨트 (26) 의 벨트 풀리 직경 φ 을, 돌기 벨트 (26) 의 돌기부 (50) 이외에는 반송로 에리어 (39) 내에 나타나지 않는 풀리 직경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예금 지불 등의 출금 동작시에, 돌기부 (50) 만 반송로 밖으로 하면, 돌기 벨트 (26) 를 회전시키지 않고, 평 벨트 (25) 만을 회전시켜 지폐를 반송할 수 있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1 의 지폐 입출금기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장치 전체의 동작)
우선, 실시예 1 의 지폐 입출금기 전체의 개략 동작을, 도 8 을 사용하여 설 명한다. 고객이 지폐를 입출금부 (1) 의 풀부 (21) 에 투입하면, 입금 동작으로서, 지폐 분리부 (22) 에 의해 1 매씩 분리하고, 인식부 (2) 에 의해 인식하여, 정권으로 간주된 지폐는 일시 집적부 (5) 에 집적되고, 정권으로 판정되지 않고 리젝트된 지폐는 입금 리젝트 지폐 집적 동작으로서 입금 리젝트부 (3) 에 집적된다.
그리고, 입금 리젝트부 (3) 에 집적된 입금 리젝트 지폐는, 고객에게 반환해야 할 지폐이므로, 입금 리젝트 지폐 반출 동작으로서 입출금부 (1) 에 되돌려져 고객에게 반환한다. 이 때, 입금 매수가 규정 매수 이상인 경우에는, 당해 규정 매수 이상의 지폐는 분리ㆍ인식 처리하지 않고, 입출금부 (1) 로 남겨 두어, 고객에게 그대로 반환되도록 한다.
상기 정권으로 간주되어 일시 집적부 (5) 에 집적된 지폐는, 다시, 인식부 (2) 에 의해 지폐 종류를 인식하고 종류별로 집적부 (10) 에 저장한다. 이 때 인식 리젝트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리젝트부 (12) 에 당해 지폐를 저장한다. 또, 지폐 입출금기 내의 지폐의 액수가 소정액 이하가 되었을 때 등에는, 보충부 (11) 로부터 지폐를 보충한다.
(입금 리젝트부의 동작)
다음으로, 입금 리젝트부의 동작을 도 1 의 입금 리젝트부의 동작 설명도, 도 3 의 입출금부의 동작 설명도 및 도 5 의 입금 리젝트부 (3) 의 동작 테이블을 사용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고객이 지폐를 풀부 (21) 에 투입하면, 풀부 (21) 는, 지지점 (21b) 을 지지점으로 하여 분리부 (22) 측 (도면 중 화살표 CCW 방향) 으로 회전 운동하고, 도 3(a) 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3(b) 에 나 타낸 위치로 회전 운동한 후, 지폐를 1 매씩 분리한다.
지폐의 분리는, 입금된 지폐를 빌 프레스 (21a)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가압된 하측의 지폐를 지폐 분리부 (22) 의 분리 롤러 (22a) 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에 의해 행한다. 분리된 지폐는, 도면 중 화살표 N 방향의 인식부 (2) 에 반송된다.
(입금 리젝트 지폐 집적 동작: 도 5 의 모드 번호 1)
그리고, 입금 리젝트 지폐 집적 동작 (도 5 의 모드 번호 1) 으로서, 분리한 각 지폐를 인식부 (2) 에 반송하여 인식하고, 정권인 경우에는 일시 집적부 (5) 에 집적되고, 정권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지폐는 리젝트 지폐로서 입금 리젝트부 (3) 에 집적된다. 이 때, 캠 (29) 의 회전 위치를 도 1(b) 횡면도에 나타낸 위치로 하면, 링크 A (30a), 링크 B (30b) 에 의해 각부 위치는 도시된 위치가 된다. 즉, 오픈 가이드 (24b) 가 화살표 J 와는 역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하부 벨트부 (24a) 가 열림 상태가 되고, 지폐 스톱퍼 (38) 가 도면 중 화살표 I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폐쇄된 상태가 되고, 조인트 기어 U (27U) 가 H 방향으로 회동하여 조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고, 오픈 가이드 (24b) 의 하강에 의해 조인트 기어 L (27L) 도 조인트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고, 샤프트 (32, 33) 모두 구동하지 않고, 따라서, 평 벨트 (25) 도 돌기 벨트 (26) 도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상의 상태로서, 입금된 모든 지폐 또는 규정 수의 분리, 인식을 행하고, 정권인 경우에는 일시 집적부 (5) 에 집적되고, 정권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는 하부 벨트부 (24a) 를 열림 상태로 한 스페이스에 축적된다.
(입금 리젝트 지폐 반환 동작: 도 5 의 모드 번호 2)
그리고, 입금된 모든 지폐 또는 규정 수의 분리, 인식을 종료하면, 입금 리젝트 지폐 반출 동작 (도 5 의 모드 번호 2) 으로 하고, 도 3(b) 상태에 있어서, 빌 프레스 (21a) 의 지폐 인출측 선단을 입금 리젝트부 (3) 의 상부 근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다시 도 1 로 되돌아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 등에 의해 캠 (29) 을 도시한 위치로부터 CCW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29a, 29b) 의 접점 위치가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점 (41) 에 의해 링크 A (30a), 링크 B (30b) 도 F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오픈 가이드 (24b) 를 상승시키고 하부 벨트부 (24a) 를 닫힘 상태로 함과 함께, 지폐 스톱퍼 (38) 를 I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열림 상태로 하고, 또, 조인트 기어 U 및 조인트 기어 L (27U, 27L) 을 조인트하여 평 벨트 (25) 와 돌기 벨트 (26) 를 구동시켜 입금 리젝트 지폐를 입출금부 (1) 에 반송한다.
그리고, 입금 리젝트 지폐의 입출금부 (1) 로의 반송을 종료하면, 풀부 (21) 의 빌 프레스 (21a) 를 하강시켜서 입금 리젝트 지폐를 상부로부터 가압한 후, 지지점 (21b) 을 지지점으로 하여, 풀부 (21) 를 분리부 (22) 와 반대측 (CW 방향) 으로 회전하고, 도 3(b) 의 위치로부터 도 3(a) 의 위치로 하고, 빌 프레스 (21a) 를 개방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라고 하는 메세지나 표시 등을 행한다.
(출금 동작: 도 5 의 모드 번호 3)
예금의 인출 등의 출금 동작 (도 5 의 모드 번호 3) 으로서, 정권으로서 집 적부 (10) 에 집적된 지폐를 고객에게 지불하는 동작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 등에 의해 캠 (29) 을 도시한 위치로부터 CW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29a) 의 접점 위치가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 (29b) 의 접점 위치는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링크 A (30a) 가 F 방향으로 이동하고 링크 B (30b) 의 위치는 그대로의 위치가 되기 때문에, 오픈 가이드 (24b) 는 도 1 의 화살표 J 방향으로 상승하여 하부 벨트부 (24a) 를 닫힘 상태로 하고, 지폐 스톱퍼 (38) 를 도면 중의 화살표 I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 상태로 하여, 조인트 기어 L (27L) 만을 조인트시키고, 우측의 샤프트 (32) 만 구동시켜 평 벨트 (25) 만을 구동한다.
여기서, 조인트 기어 U (27U) 를 조인트시키지 않고 좌측의 샤프트 (33) 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돌기 벨트 (26) 를 구동시키지 않는 이유는, 출금 동작 중에 돌기 벨트 (26) 의 돌기부 (50) 가 반송로 내를 통과하여 지폐에 충돌하고 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돌기부 (50) 를 반송로 밖의 위치에 정지시켜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돌기부 (50) 의 정지 위치는, 상기 돌기 위치 검지 기구 (37) 에 의해 검지하고, 반송로 밖의 소정 위치에 정지해 두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도 1(a) 상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 벨트 (25) 를 2 개, 돌기 벨트 (26) 를 1 개 구비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 벨트 (25) 를 3 개, 돌기 벨트 (26) 를 2 개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잔류 지폐가 복수회 접힌 경우 등과 같이 작은 지폐도 확실하게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다.
물론, 평 벨트 (25), 돌기 벨트 (26) 의 수를, 더욱 많게 또는 적게 하도록 해도 되고, 또는 평 벨트 (25), 돌기 벨트 (26) 를, 샤프트 (32, 33) 방향으로 벨트의 회전에 관련시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1 의 효과)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실시예 1 의 지폐 입출금기에 의하면, 리젝트 매체 반송용 벨트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당해 리젝트 매체를 당해 돌기부에 의해 끌어내도록 하였기 때문에, 입금 리젝트부에 집적된 리젝트 지폐를 되돌리지 않고 몇 번이라도 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접힘이나 찢어짐이 발생한 지폐도 확실하게 그대로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다.
또, 독립한 캠면을 2 개 갖는 캠을 구비하여 회전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입
금 리젝트 지폐 집적 동작, 입금 리젝트 지폐 반출 동작, 출금 동작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액츄에이터의 수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지폐 입출금기는, 입금 리젝트부의 반송 상류측 케이스체와 돌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형성하고, 반송 가이드의 반송 하류측 단부 연장선과 돌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7 은 실시예 2 의 지폐 입출금기의 구성 및 그 동작 설명도이다. 각 구성은 실시예 1 의 입금 리젝트부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간략화를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 의 입금 리젝트부는, 그 배치에 특징이 있고, 실시예 1 의 입금 리젝트부와 상이하다.
도 7(a) 는, 입금시, 리젝트 지폐를 입금 리젝트부 (3) 에 집적할 때의 각부
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하부 벨트부 (24a) 가 리젝트 지폐를 집적하는 스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열림 상태로 되어 있다. 동일 도면 파선부 (101) 는, 돌기 벨트 (26) 의 돌기부 (50) 선단이 벨트의 회전에 의해 그리는 선단의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동일 도면의 좌측에는,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입금 리젝트부 (3) 의 케이스체 (40) 가 설치되어 있고, 일시 집적부 (5) 방향으로부터 반송된 지폐는, 이 케이스체 (40) 에 의해 하부 벨트부 (24a) 까지 낙하되어 집적된다. 잼 지폐 (100z) 는, 일시 집적부 (5) 방향으로부터 반송된 지폐가 잼 등에 의해 구깃구깃해진 상태에서 집적시키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평 벨트 (25) 나 지폐 스톱퍼 (38) 는, 도면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7(b) 는, 하부 벨트부 (24a) 를 닫힘 상태로 하고, 집적된 리젝트 지폐를 풀부 (21) 에 반송할 때의 각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도, 파선부 (101) 는, 돌기 벨트 (26) 의 돌기의 선단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 중 Lx 는, 반송 상류측의 입금 리젝트부 케이스체 (40) 와 돌기 선단 궤적 (101) 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한편, Ly 는, 반송 가이드 (90) 의 반송 하류측인 우단의 연장선 (102) 과 돌기 선단 궤적 (101) 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의 입금 리젝트부는,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Lx, Ly 가 모두 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동작)
Lx 가 0 보다 작은 경우, 즉 반송 상류측의 입금 리젝트부 케이스체 (40) 와 돌기 선단 궤적 (101) 의 오버랩이 없는 경우에는, 도 7(c)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리젝트부 케이스체 (40) 상에 잔류한 잼 지폐 (100x) 가 있는 경우, 돌기부 (50) 에 의해 끌어내지 못하고, 그대로 잔류되어 버린다.
또, Ly 가 0 보다 작은 경우, 즉, 반송 가이드 (90) 의 반송 하류측인 우단의 연장선 (102) 과 돌기 선단 궤적 (101) 의 오버랩이 없는 경우에는, 돌기 벨트 (26) 하측에 잔류한 잼 지폐 (100z) 는 돌기부 (50) 에 의해 가압되고 도 7(c)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돌기부 (50) 에 의해 끌어낼 수가 없기 때문에, 반송 가이드 (90) 상에 그대로 잔류되어 버린다.
그래서, Lx 를 0 이상으로 함으로써, 입금 리젝트부 케이스체 (40) 상에 잔류된 잼 지폐 (100x) 라도 이것을 확실하게 입금 리젝트부 케이스체 (40) 의 하측으로 끌어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Ly 를 0 이상으로 함으로써, 동일 도면 우측에 나타낸 반송 가이드 (90) 위에 잔류된 잼 지폐 (100y) 도 돌기부 (50) 에 의해 끌어낼 수 있고, 풀부 (21) 에 반송할 수 있어 고객에게 확실하게 반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잼 지폐라도 입금 리젝트부 (3) 에 잔류되는 경우가 없다.
(실시예 2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2 의 지폐 입출금기에 의하면, 입금 리젝트부의 반송 상류측 케이스체와 돌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형성하고, 반송 가이드의 반송 하류측 단부 연장선과 돌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는 범위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잼 지폐가 입금 리젝트부에 잔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부 벨트를 하부 벨트보다 연장한 구성으로 하고 상부 벨트에 돌기부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하부 벨트를 연장하여 길게 한 구성이어도 되며, 또, 하부 벨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돌기부 (50) 를 1 개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돌기부를 반송로 에리어 (39) 밖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는 위치라면, 2 개 또는 추가로 다수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돌기부 (50) 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잼 지폐를 끌어내는 형상이면, L 자 상이나 X 자 등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를 인식하고, 인식할 수 없는 지폐를 리젝트하여 반환하는 입출금 리젝트 기구를 갖는 매체 처리 장치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 입출금기에 의하면, 리젝트 매체 반송용 벨트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당해 리젝트 매체를 당해 돌기부에 의해 끌어내도록 하였기 때문에, 입금 리젝트부에 집적된 리젝트 지폐를 되돌리지 않고 몇 번이라도 끌어낼 수가 있기 때문에, 접힘이나 찢어짐이 발생한 지폐라도 확실하게 그대로 고객에게 반환할 수 있 다.

Claims (9)

  1. 매체의 인식을 행하고, 인식할 수 없는 매체를 리젝트하여 반출하는 리젝트 기구를 갖는 매체 처리기에 있어서,
    리젝트 매체 반송용 벨트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당해 리젝트 매체를 당해 돌기부에 의해 끌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리젝트 매체를 집적하는 반송 상류측 케이스체와 상기 돌기부의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젝트 매체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의 반송 하류측 단부 연장선과 상기 선단 궤적이 오버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를, 지폐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구동하는 제 1 벨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구동하고 돌기부를 갖는 제 2 벨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회전과 함께 구동하고, 닫힘 상태로 지폐를 반송하고, 열림 상태에서 지폐를 집적하는 제 3 벨트를 형성하고,
    지폐를 집적하는 제 1 모드시에는, 상기 제 3 벨트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벨트의 회전을 정지하고,
    상기 집적된 지폐를 반출하는 제 2 모드시에는, 상기 제 3 벨트를 닫힘 상태
    로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벨트를 회전 구동하고,
    지폐를 출금하는 제 3 모드시에는, 상기 제 3 벨트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 1 벨트만을 회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벨트의 풀리 직경을, 지폐 반송로를 방해하지 않는 크기로 하고, 또한 제 1 벨트의 풀리 직경을 지폐 반송로까지의 크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1 조인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2 조인트와,
    상기 제 1 조인트와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조인트와 연결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를 제어하는 캠부를 형성하고,
    상기 캠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를,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를 각각 회전 제어하는 2 개의 캠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9.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지폐의 튀어나옴을 억제하는 지폐 스톱퍼와 상기 제 1 링크를 연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입출금기.
KR1020060102724A 2005-12-28 2006-10-23 지폐 입출금기 KR101227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6757 2005-12-28
JP2005376757A JP4925662B2 (ja) 2005-12-28 2005-12-28 媒体処理機及び紙幣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049A true KR20070070049A (ko) 2007-07-03
KR101227215B1 KR101227215B1 (ko) 2013-01-28

Family

ID=3821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724A KR101227215B1 (ko) 2005-12-28 2006-10-23 지폐 입출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25662B2 (ko)
KR (1) KR101227215B1 (ko)
CN (1) CN19919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60B1 (ko) * 2008-10-03 2012-01-18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반송장치 및 자동 거래장치
KR20160091693A (ko) * 2015-01-26 2016-08-03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WO2016122176A1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4289B2 (ja) * 2013-03-15 2017-03-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冷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082A (en) * 1976-04-07 1977-10-15 Fuji Electric Co Ltd Device for conveying sheets or like
JPH08147530A (ja) * 1994-11-24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紙幣一括払出装置
JPH09301593A (ja) * 1996-05-08 1997-11-25 Omron Corp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入出金装置
JP4278799B2 (ja) * 1999-10-25 2009-06-17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用紙揃え送り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綴じ機
CN1252654C (zh) * 2000-02-18 2006-04-19 富士电机株式会社 纸币处理装置
CN1525405A (zh) * 2000-02-18 2004-09-01 富士电机株式会社 纸币处理装置
JP3984064B2 (ja) * 2002-02-06 2007-09-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60B1 (ko) * 2008-10-03 2012-01-18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반송장치 및 자동 거래장치
KR20160091693A (ko) * 2015-01-26 2016-08-03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WO2016122176A1 (ko) * 2015-01-26 2016-08-04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5662B2 (ja) 2012-05-09
JP2007179292A (ja) 2007-07-12
CN1991920B (zh) 2013-10-16
CN1991920A (zh) 2007-07-04
KR101227215B1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26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US8960402B2 (en) Financi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KR101435248B1 (ko) 매체 처리 장치
JP2009526298A (ja) 銀行券及び/又は紙幣などを整然と収納するための設備
KR102425145B1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US8596444B2 (en) Paper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KR101227215B1 (ko) 지폐 입출금기
CN101925933A (zh) 硬币传送装置和硬币处理机
EP2400469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20070101114A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20090065438A (ko) 지엽류 분리 집적 장치
CN101542508A (zh) 纸张计数装置
KR102359905B1 (ko)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JP5010168B2 (ja) 硬貨搬送装置
US11989994B2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JP2010033488A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及び紙幣自動入出金機
KR101155230B1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와 집적공간 조절가이드의 구동장치
KR101261060B1 (ko) 지폐 입출금기
KR101607339B1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20130116640A (ko) 집적 품질을 향상시킨 지폐 집적 장치
KR100596310B1 (ko)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US10294050B2 (en) Two stage media separator
KR100339739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US11807492B2 (en) Align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KR101341302B1 (ko)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