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861A - 광전변환 소자 - Google Patents

광전변환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861A
KR20070067861A KR1020050129296A KR20050129296A KR20070067861A KR 20070067861 A KR20070067861 A KR 20070067861A KR 1020050129296 A KR1020050129296 A KR 1020050129296A KR 20050129296 A KR20050129296 A KR 20050129296A KR 20070067861 A KR20070067861 A KR 20070067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buffer layer
photoelectric conversion
electrode
semiconduct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865B1 (ko
Inventor
정병준
이문재
김대원
이창희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865B1/ko
Priority to US11/497,353 priority patent/US7834266B2/en
Publication of KR2007006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2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organic-organic junctions, e.g. donor-acceptor junctions
    • H10K30/211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organic-organic junctions, e.g. donor-acceptor junctions comprising multiple junctions, e.g. double heterojun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50Photovoltaic [PV]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10K85/1135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4Poly-phenylenevinyl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4Ladder-type 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H10K85/215Fullerenes, e.g. C60 comprising substituents, e.g. PCB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1Aromatic anhydride or imide compounds, e.g. peryl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or perylene tetracarboxylic di-im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버퍼층을 형성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전변환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변환 소자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광활성층과,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광전변환 소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은 방향족 유기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상기 버퍼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된다.
광전변환 소자, 유기, 광활성층

Description

광전변환 소자{PHOTOVOLTA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변환 소자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의 전압-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5,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의 전압-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5 내지 8,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의 전압-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광전변환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버퍼층을 형성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전변환 소자에 관한 것이다.
광전변환 소자는 빛의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는 소자로서, 센서 또는 태양 전지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광전변환 소자는 친환경적이고 에너지원이 무한하며 긴 수명을 가지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나, 광전변환 효율 향상에 한계가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광전변환 소자에 무기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시된 버퍼층은 광전변환 효율의 향상 정도가 크지 않거나, 광전변환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매우 엄격한 조건으로 버퍼층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유기 태양 전지에서 무기 화합물인 LiF(불화리튬)으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LiF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므로 두께가 두꺼우면 오히려 유기 태양 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을 가진다. 광전변환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버퍼층을 10Å 미만의 두께로 형성하여야 하며, 수 Å라도 이 조건을 벗어나게 되면 유기 태양 전지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이러한 두께의 버퍼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공정 조건을 매우 엄격하게 제어하여야 한다. 특히 넓은 면적으로 이러한 두께의 버퍼층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대면적의 유기 태양 전지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균일한 두께로 버퍼층을 형성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버퍼층의 형성으로 광전변환 소자의 효율이 불균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광전변환 효 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한 버퍼층을 가지는 광전변환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광활성층과,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광전변환 소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은 방향족 유기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상기 버퍼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버퍼층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은 상기 화합물에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은 상기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극은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은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10Å인 것이 바람직하며, 20Å 내지 100Å 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전변환 소자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변환 소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 기판(10) 위에 제1 전극(12), 유기물을 포함하는 광활성층(14), 제2 버퍼층(16) 및 제2 전극(1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광전변환 소자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사용하는 태양 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2)은 높은 일함수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인듐틴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르틴산화물(fluorine tin oxide, F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 물질로 이루어져 광이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18)은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18)은 Al(알루미늄), Ca(칼슘), Ag(은)으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들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 위에 형성되는 광활성층(14)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공여체(electron donor) 물질과 전자 수용체(electron accepter)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전극(12)과 광활성층(14) 사이에 별도의 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버퍼층(도시하지 않음)은 일례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oly(styrenesulfonate), PSS)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광활성층(14)은 전자 공여체 물질과 전자 수용체 물질이 이종 접합(heterojuction)되어 이루어지거나, 전자 공여체 물질이 이루는 층과 전자 수용체 물질이 이루는 층이 적층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공여체 물질로는 강한 광흡수도를 가지는 반도체 고분자 또는 유기 단분자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도체 고분자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 페닐렌비닐렌(poly phenylene vinlene, PPV),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T), 폴리(3-헥실티오펜)(poly(3-hexylthiophene, P3HT), 폴리(2-메톡시-5-(3',7'-디메틸옥틸옥시)-1,4-페닐렌비닐렌)(poly(2-methoxy-5-(3',7'-dimethyloctylo xe)-1,4-phenylene vinylene, MOMD-PPV) 등이 있으며, 유기 단분자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구리프탈로시아닌(copper pthalocyanine, CuPc), 아연프탈로시아닌(zinc pthalocyanine, ZnPc)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물질이 있다. 그리고, 전자 수용체 물질로는 전자 친화도가 큰 플러렌(C60), 이러한 플러렌의 유도체들, 페릴렌(per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러렌은 대체로 반도체 고분자와 복합되어 사용되거나 다층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활성층(14)은 스핀 캐스팅(spin casting), 잉크젯(ink-jet) 또는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활성층(14)과 제2 전극(18) 사이에 버퍼층(16)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퍼층(16)은 방향족 유기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유기 양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는 벤젠 고리의 유기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유기 양이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RcRd(여기에서 Rc 및 Rd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기임)이고, Ra는 H, 알킬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b는 H 또는 알킬기이다. 상기 아릴은 벤젠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치환기는 에스테르기, 카르복시기, 카르보닐기,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을 의미하고, 아릴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을 의미한다.
상기 방향족 유기 양이온으로 피로닌(prironin) B(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C2H5)2이고, Ra 및 Rb는 H임), 피로닌 Y(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CH3)2이고, Ra 및 Rb는 H임), 로다민(rhodamine) 4G(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N(C2H5)2이고, X2는 NHC2H5이며, Ra는 C6H4COOC2H5이고, Rb는 H임), 로다민 6G(상기 화학식 1에서 X1및 X2는 NHC2H5이고, Ra는 C6H4COOC2H5이고, Rb는 H임), 로다민 3GO(상기 화학식 1에서 X1은 N(C2H5)2이고, X2는 NH2이며, Ra는 C6H4COOC2H5이고, Rb는 CH3임), 로다민 B(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C2H5)2이고, Ra는 C6H4COOH이고, Rb는 H임), 에틸 로다민(ethyl rhodamine) B(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C2H5)2이고, Ra는 C6H4COOC2H5이고, Rb는 H임), 부틸 로다민(butyl rhodamine) B(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C2H5)2이고, Ra는 C6H4COOC4H9이고, Rb는 H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합물의 음이온은 Cl- 또는 NO3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퍼층(16)에 사용되는 화합물이 방향족 유기 양이온과 음이온을 구비하므로, 광활성층(14)과 제2 전극(18) 사이에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를 형성함으로써 전하 진입 장벽을 낮추어 쉽게 전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광전변환 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효율 향상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은 버퍼층(16)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버퍼층(16)은 상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물질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6)에 포함되는 상기 별도의 물질로 유기 반도체 물질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유기 반도체 물질을 상기 화합물에 도핑되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유기 반도체 물질에 의해 태양광에 의해 형성된 정공과 전자 중 어느 하나의 이동만을 용이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광전변환 소자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유기 반도체 물질은 상기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로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은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이며, 이러한 n형 유기 반도체 물질로 플러렌, 및 하기 화학식 2 내지 3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7
[화학식 8]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05076012117-PA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0
[화학식 1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1
[화학식 12]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2
[화학식 13]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3
[화학식 14]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4
[화학식 15]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5
[화학식 16]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6
[화학식 17]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7
[화학식 18]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8
[화학식 19]
Figure 112005076012117-PAT00019
[화학식 20]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0
[화학식 2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1
[화학식 22]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2
[화학식 23]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3
[화학식 24]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4
[화학식 25]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5
[화학식 26]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6
[화학식 27]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7
[화학식 28]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8
[화학식 29]
Figure 112005076012117-PAT00029
[화학식 30]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0
[화학식 3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1
상기 화학식 2 내지 31에서 R1 내지 R4, 그리고 R23 및 R24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알킬기이고, R5 내지 R22, 그리고 R25 및 R26 은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이며, n, m, l, p, q, u, v 및 y는 각각 중합도를 나타내며 1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플루오르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플루오르 알킬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R1 내지 R4, R23 및 R24는 C6F13, R5 및 R6는 C4F9, R15 내지 R20은 C4H9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층(16)은 진공 증착, 스핀 코팅, 잉크젯, 스크린 프린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퍼층(16)의 두께가 10Å 미만인 경우에는 균일한 두께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버퍼층(16)은 10Å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전변환 소자의 효율 향상 측면에서 20 내지 100Å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버퍼층(16)이 종래의 LiF로 이루어진 버퍼층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때 우수한 광전변환 효율을 가지는 바, 버퍼층(16)의 두께에 의한 제약이 최소화된다. 따라서,엄격하지 않은 공정 조건에서 광전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께로 버퍼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고효율의 광전변환 소자의 제조를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두께에서는 균일한 두께로 버퍼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지 않으므로, 광전변환 소자의 효율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광전변환 소자가 유기 태양 전지로 이용된 것을 일례로 하여 광전변환 소자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태양광 등의 광이 투명 기판(10)과 제1 전극(12)을 통과하여 입사되면 전자 공여체에서 전자(electron)-정공(hole) 쌍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자가 전자 수용체로 이동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광여기 전하 이동현상(photo-induced charge transfer, TIPC)라 불리우는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 사이의 물질 사이의 매우 빠른 전하 이동 현상에 의해 전자와 정공의 분리가 일 어난다. 이렇게 분리된 전자 및 정공이 각 전극(12, 18)으로 주입되어 전기 에너지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유기 태양 전지는 유기 물질을 사용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플렉서블(flexible)한 박막 필름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종류의 태양 전지 및 센서 등에서 전극과 광활성층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이에 형성된다 함은 전극 및 광활성층과 접촉하여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경우 또한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유기 태양 전지를 일례로 이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인듐틴산화물로 이루어진 제1 전극에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가 혼합된 층을 형성한 후, 폴리(2-메톡시-5-(3',7'-디메틸옥틸옥시)-1,4-페닐렌비닐렌)과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광활성층을7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 때, 폴리(2-메톡시-5-(3',7'-디메틸옥틸옥시)-1,4-페닐렌비닐렌)과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물질의 중량비는 1:2였다.
그리고, 상기 피로닌 B(상기 화학식 1에서 X1 및 X2는 N(CH2CH3)2이고, Ra 및 Rb는 H임)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50Å 두께로 형성하고 Al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을 1000Å 두께로 형성하여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유기 태양 전지는 가로 1.4 cm, 세로 1.4 cm 크기를 가진다.
(실시예 2)
피로닌 B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물질(이하 "NTCDA"라 한다)이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버퍼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피로닌 B와 NTCDA가 2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버퍼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피로닌 B와 NTCDA가 4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버퍼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버퍼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LiF로 이루어지는 버퍼층을 5Å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피로닌 B와 NTCDA가 1:3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버퍼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피로닌 B와 NTCDA가 1: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버퍼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피로닌 B와 NTCDA가 1:4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버퍼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에 7.42 mW/cm2의 광원을 조사하면서 전압(V)-전류(I) 특성을 측정하여,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유기 태양 전지는 버퍼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유기 태양 전지보다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 밀도(JSC) 등의 값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태양 전지의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는 직선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유기 태양 전지의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는 비교예 1보다 넓은 내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에 비교예 1의 경우보다 더 큰 효율(η)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를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와 비교하는 경우에도 실시예 1 내지 4의 효율(η)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비교예 2에서는 효율(η)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실제로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5Å의 두께로 버퍼층을 형성한 것이므로, 이보다 두꺼운 두께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 반면,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50Å의 두께로 버퍼층을 형성하였음에도 효율(η)의 향상 효과가 우수한 것이므로, 엄격하지 않은 공정에서 균일하게 형성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를 비교예 3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와 비교하는 경우에도, 실시예 1 내지 4에서의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JSC) 및 효율(η) 특성이 훨씬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보다 실시예 3 및 4에 따라 제조되어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NTCDA가 20 중량부 이하일 때 좀더 높은 효율(η)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버퍼층을 20Å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 태양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5,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에 112 mW/cm2의 백색광을 조사하여 전압-전류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에서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 밀도(JSC), 충밀도 (FF), 백색광에서의 효율(ηW) 및 외부양자효율(IPCE)를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5, 비교예 1 및 2의 유기 태양 전지에 480nm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여 효율(η480nm)을 측정하고, 이를 표 1에 함께 기재하였다.
[표 1]
VOC [V] JSC [mA/cm2] FF [%] ηW [%] η480nm [%] IPCE [%]
실시예 5 0.847 3.03 40.5 0.930 5.05 36.16
비교예 1 0.751 2.67 33.8 0.605 3.70 33.90
비교예 2 0.849 2.59 42.2 0.830 5.22 37.84
도 3 및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5의 경우 비교예 1 경우보다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 밀도(JSC), 충밀도(fill factor, FF), 백색광에서의 효율(ηW), 480nm 파장을 가지는 광에서의 효율(η480nm) 및 외부양자효율(IPCE)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5의 경우에는 개방 전압(VOC) 등의 특성이 비교예 2의 경우와 유사한 값을 가지면서, 일반적인 효율로 생각되는 백색광에서의 효율(ηW)이 0.930으로 비교예 2의 경우보다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버퍼층이 5Å의 두께로 형성된 것으로 실제로 이러한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실시예 5에에서의 효율(ηW) 향상 효과는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실시예 6)
버퍼층을 30Å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 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버퍼층을 50Å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버퍼층을 100Å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에 112 mW/cm2의 백색광을 조사하여 전압-전류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하여 도 3의 실시예 5 및 비교예 2의 전압-전류 특성 그래프를 도 4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에서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 밀도(JSC), 충밀도(FF), 백색광에서의 효율(ηW) 및 외부양자효율(IPCE)를 평가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에 480nm 파장을 가지는 광을 조사하여 효율(η480nm)을 측정하여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 및 비교예 2의 값들도 함께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VOC [V] JSC [mA/cm2] FF [%] ηW [%] η480nm [%] IPCE [%]
실시예 5 0.847 3.03 40.5 0.930 5.05 36.16
실시예 6 0.846 3.17 38.5 0.920 4.85 37.32
실시예 7 0.859 3.37 37.9 0.978 5.79 45.08
실시예 8 0.844 3.04 39.4 0.903 5.26 38.73
비교예 2 0.849 2.59 42.2 0.830 5.22 37.84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 전지에서는 버퍼층의 두께와 거의 무관하게 개방 전압(VOC), 단락 전류 밀도(JSC), 충밀도(FF), 백색광에서의 효율(ηW) 등의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6 및 실시예 7과 같이 버퍼층을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7은 비교예 2보다 훨씬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광전변환 소자의 일례인 유기 태양 전지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광전변환 소자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변환 소자는 방향족 유기 양이온과 음이온을 함유하여 쌍극자 모멘트를 형성함으로써 광전변환 소자의 개방 전압, 단락 전류 밀도, 충밀도, 효율, 변환 효율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퍼층에 유기 반도체 물질이 도핑됨으로써 정공 및 전자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쉽게 하여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전변환 소자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가지므로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광전변환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두께에 의한 광전변환 소자 특성 불균일 을 방지하여 광전변화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엄격하지 않은 공정 조건에서 버퍼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어려움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대면적 광전변환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에 더 발휘될 수 있다.

Claims (11)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광활성층; 및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
    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방향족 유기 양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상기 버퍼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되는 광전변환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더 포함하는 광전변환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에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이 도핑되는 광전변환 소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은 상기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광전변환 소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양이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전변환 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2
    상기 식에서 X1 및 X2는 NRcRd(여기에서 Rc 및 Rd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기임)이고,
    Ra는 H, 알킬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b는 H 또는 알킬기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의 음이온은 Cl- 또는 NO3 - 인 광전변환 소자.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이 n형 유기 반도체 물질인 광전변환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반도체 물질이 플러렌(C60), 및 하기 화학식 2 내지 3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광전변환 소자.
    [화학식 2]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3
    [화학식 3]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4
    [화학식 4]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5
    [화학식 5]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6
    [화학식 6]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7
    [화학식 7]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8
    [화학식 8]
    Figure 112005076012117-PAT00039
    [화학식 9]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0
    [화학식 10]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1
    [화학식 1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2
    [화학식 12]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3
    [화학식 13]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4
    [화학식 14]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5
    [화학식 15]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6
    [화학식 16]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7
    [화학식 17]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8
    [화학식 18]
    Figure 112005076012117-PAT00049
    [화학식 19]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0
    [화학식 20]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1
    [화학식 2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2
    [화학식 22]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3
    [화학식 23]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4
    [화학식 24]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5
    [화학식 25]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6
    [화학식 26]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7
    [화학식 27]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8
    [화학식 28]
    Figure 112005076012117-PAT00059
    [화학식 29]
    Figure 112005076012117-PAT00060
    [화학식 30]
    Figure 112005076012117-PAT00061
    [화학식 31]
    Figure 112005076012117-PAT00062
    상기 식 2 내지 31에서 R1 내지 R4, R23 및 R24는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플루오르알킬기이고,
    R5 내지 R22, R25 및 R26 은 동일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기이며,
    n, m, l, p, q, u,v 및 y는 각각 중합도를 나타냄.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가 10Å 이상인 광전변환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가 20Å 내지 100Å의 범위인 광전변환 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은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광전변환 소자.
KR1020050129296A 2005-12-26 2005-12-26 광전변환 소자 KR10078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296A KR100786865B1 (ko) 2005-12-26 2005-12-26 광전변환 소자
US11/497,353 US7834266B2 (en) 2005-12-26 2006-08-02 Photovolta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296A KR100786865B1 (ko) 2005-12-26 2005-12-26 광전변환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861A true KR20070067861A (ko) 2007-06-29
KR100786865B1 KR100786865B1 (ko) 2007-12-20

Family

ID=3819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296A KR100786865B1 (ko) 2005-12-26 2005-12-26 광전변환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34266B2 (ko)
KR (1) KR1007868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64B1 (ko) * 2008-07-21 2010-01-21 한국과학기술원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KR20110003221A (ko) * 2009-07-03 2011-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반도체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KR101038469B1 (ko) * 2009-04-13 2011-06-01 광주과학기술원 고분자 전해질층을 이용한 적층형 유기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96520B1 (ko) * 2012-11-20 2015-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6521B1 (ko) * 2012-11-20 2015-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1383B (zh) * 2008-03-12 2013-01-09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机光电转换元件
US20100147386A1 (en) * 2008-11-21 2010-06-17 Plextronics, Inc. Doped interfacial modification layers for stability enhancement for bulk heterojunction organic solar cells
KR101081326B1 (ko) 2009-05-22 2011-11-09 한국과학기술원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JP5332934B2 (ja) * 2009-06-18 2013-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光電変換素子
KR101107069B1 (ko) * 2009-07-10 2012-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 감응 태양 전지용 염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염료 감응 태양 전지
WO2011052721A1 (ja) * 2009-10-29 2011-05-05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有機半導体材料、有機半導体薄膜および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WO2011074411A1 (ja) 2009-12-14 2011-06-2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光電変換素子
JP2013115084A (ja) * 2011-11-25 2013-06-10 Rohm Co Ltd 有機薄膜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548395B (zh) * 2015-03-31 2021-05-04 索尼公司 用于有机光电二极管中的有机光电转换层的特定n和p活性材料
JP6995596B2 (ja) * 2017-12-08 2022-01-1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7147A (en) * 1998-09-14 2000-08-01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electroluminescent device
US6300559B1 (en) * 1999-03-25 2001-10-09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Dye-sensitization-typ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100759879B1 (ko) * 2000-01-13 2007-09-1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체, 그것을 갖춘 박막el소자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박막el소자를 갖춘 표시장치 및 조명장치
US6580027B2 (en) * 2001-06-11 2003-06-17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olar cells using fullerenes
KR100480769B1 (ko) * 2001-06-13 2005-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20050025993A1 (en) * 2003-07-25 2005-02-03 Thompson Mark E. Materials and structure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4243237B2 (ja) * 2003-11-10 2009-03-25 淳二 城戸 有機素子、有機el素子、有機太陽電池、及び、有機fet構造、並びに、有機素子の製造方法
US7061011B2 (en) * 2003-11-26 2006-06-1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Bipolar organic devices
US7919010B2 (en) * 2005-12-22 2011-04-05 Novaled Ag Doped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64B1 (ko) * 2008-07-21 2010-01-21 한국과학기술원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KR101038469B1 (ko) * 2009-04-13 2011-06-01 광주과학기술원 고분자 전해질층을 이용한 적층형 유기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3221A (ko) * 2009-07-03 2011-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반도체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KR101496520B1 (ko) * 2012-11-20 2015-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6521B1 (ko) * 2012-11-20 2015-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865B1 (ko) 2007-12-20
US7834266B2 (en) 2010-11-16
US20070144579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865B1 (ko) 광전변환 소자
Günes et al. Conjugated polymer-based organic solar cells
TWI709249B (zh) 具有激子障蔽性電荷載體濾波器之有機光敏性裝置
EP2926387B1 (en) Organic photovoltaic device with hybrid heterojunction between a planar and a graded layer
US20120118368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Organic Photovoltaic Cells
US9431621B2 (en) Metal oxide charge transport material doped with organic molecules
KR20090092114A (ko) 초강산의 염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층, 이를 포함하는광전변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EP2333861A1 (en) Tandem solar cell
EP2348556A1 (en) Organic thin-film solar cell
KR20110133717A (ko) 유기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7721B1 (ko) 광전변환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EP3726579B1 (en) Organic photosensitive devices with exciton-blocking charge carrier filters
US20130061928A1 (en) Organic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71113B1 (ko) 소자 면적분할을 통해 광전변환효율이 향상된 유기광전변환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유기 광전변환소자
KR20170092471A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KR101033304B1 (ko) 발광특성을 가지는 유기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54101A1 (en) Organic photosensitive devices with exciton-blocking charge carrier filters
TWI660532B (zh) 具有激子障蔽性電荷載體濾波器之有機光敏性裝置
KR102309628B1 (ko) 보호층을 가지는 광소자
KR102366225B1 (ko) 산염기 부산물로 도핑된 유기 정공 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광소자
KR102670528B1 (ko) SnO2 전자수송층 및 이를 이용한 광소자
KR20220170311A (ko) 후열처리를 이용한 광소자 제조 방법
KR20230049507A (ko) Ptaa 및 pif8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광소자
KR20220157797A (ko) 보호층을 가지는 광소자
KR101535000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적층형 태양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