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164B1 -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164B1
KR100938164B1 KR1020080070527A KR20080070527A KR100938164B1 KR 100938164 B1 KR100938164 B1 KR 100938164B1 KR 1020080070527 A KR1020080070527 A KR 1020080070527A KR 20080070527 A KR20080070527 A KR 20080070527A KR 100938164 B1 KR100938164 B1 KR 10093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active layer
conductive pattern
optical signal
optical sens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양
전강민
윤홍석
김성범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7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164B1/ko
Priority to US12/505,174 priority patent/US2010001410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일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타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기 반도체, 광기전 효과,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Description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DEVICE FOR SENSING OPTICAL SIGNAL, DISPLAY DEVICE INCLUDING DEVICE FOR SENSING OPTICAL SIGNAL, SYSTEM FOR REMOTE-INPUTTING BY USING OPTICAL SIGNAL}
본 발명은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텔레비전, 이동전화 등의 전자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자유도와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키보드나 마우스, 기존의 버튼을 발전시켜 터치스크린이나 리모컨(remote controller) 등의 입력 장치가 도입되어 왔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모니터 상의 아이콘이나 그림, 또는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객체를 손이나 펜 등으로 스크린을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신호를 입력받는다. 터칭(touching) 즉, 스크린과 물리적인 접촉을 수립하는 것은 손가락을 사용하거나 또는 스크린이 더럽게 되어 얼룩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펜을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스타일러스(stylus)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지고 일반적으 로 수행한다. 이를 통해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때보다 직감적이고 빠른 입력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크린을 직접 접촉해야 하므로 영상장치와 입력장치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영상장치와 입력장치의 내구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고, 원거리에서는 입력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 마우스는 비교적 긴 사용거리와 정보 입력의 다양성도 지니고 있지만, 임의의 바닥면과의 접촉을 요하므로 자유도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모컨은 전자장치를 원거리에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장치의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 원거리에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버튼에 있는 일부 정해진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 상의 아이콘이나 그림, 또는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객체를 선택하거나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해 사용자의 자유도가 떨어지고, 입력 정보의 양과 다양성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원거리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터치스크린과 리모컨의 장점을 결합시킨 새로운 입력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광센서장치를 장착하여줌으로써, 유연하고, 얇은 박막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력되는 광신호의 평면적인 움직임이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광신호의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입력된 다양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쪽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 쪽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광활성층에 포함된 유기 반도체 물질의 광기전효과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전자와 정공으로 분리하고, 이를 광활성층 상부 및 하부에 패터닝된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줌으로써,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입사되는 광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 반도체 물질을 사용하여 단단한 형태뿐만 아니라 유연한 형태의 광센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광활성층을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사이에 전면으로 형성하여줌으로써, 광센서장치의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하여 제조 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전자의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정공의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사이에 각각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을 위치하여줌으로써, 광활성층에서 분리된 전자와 정공의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투명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투명전극사이에 입사하거나 발생하는 광을 잘 투과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형성된 알루미늄(Al) 전극,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제1 전도성 패턴상에 알루미늄(Al) 전극을 형성하고, 제2 전도성 패턴상에 투명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알루미늄(Al)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전자를 수용하기에 적합하여 광센서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위치 검출수단은 제1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와 제2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를 각각 X 좌표값과 Y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X 좌표값과 Y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위치검출수단을 통하여 제1 전도성 패턴에 흐르는 전류와 제2 전도성 패턴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X, Y좌표값으로 변환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광활성층 은 광의 강도변화를 감지하고, 위치 검출 수단은 감지된 광의 강도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Z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광활성층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강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광의 강도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여줌으로써, Z좌표값을 검출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한 다양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각이다.
따라서,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방향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서로 직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의 위치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유기반도체 물질은 PVCz, PCPDTBT, PFDTBT, PTBEHT, P3HT, MDMO-PPV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광활성층에 유기반도체 물질을 포함시켜줌으로써, 유기반도체 물질이 가지는 광기전효과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의 위치를 검출하게 하고, 또한, 유연한 형태의 광센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전자 수송층은 TiOx, PCB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TiOx 또는 PCBM를 포함하는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여줌으로써, 전자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은 PEDOT:PSS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PEDOT:PSS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여줌으로써, 정공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쪽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쪽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고, 광활성층은, 제1 전도성 패턴과 제2 전도성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광활성층에 포함된 유기 반도체 물질의 광기전효과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전자와 정공으로 분리하고, 이를 광활성층 상부 및 하부에 패터닝된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줌으로써,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입사되는 광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 반도체 물질을 사용하여 단단한 형태뿐만 아니라 유연한 형태의 광센서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광 활성층을 형성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의 감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전자의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정공의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는,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사이에 각각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을 위치하여줌으로써, 광활성층에서 분리된 전자와 정공의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광센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일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타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고,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전자를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정공을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광센서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상부 또는 내부에 부착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광 센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일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타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고,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전자를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정공을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며,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투명전극(ITO)을 더 포함하는 광센서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상부 또는 내부에 부착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광 세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인 디스플레이장치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일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타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하고,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전자를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정공을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며,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형성된 알루미늄(Al) 전극과, 제2 전도성 패턴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ITO)을 더 포함하는 광센서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면 상부 또는 내부에 부착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광신호가 발생하는 광신호 발생부, 발생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 또는 메뉴,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수신된 광신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광신호가 수신된 영역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센서부, 검출된 위치 좌표값에 상응하는 영상 또는 메뉴,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광센서부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일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중 타부에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유기반도체 물질을 포함한 광센서부를 포함하고, 광 발생 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광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입사하며, 입사된 광신호 및 광신호의 강도변화를 통하여 다양한 광신호에 대한 위치좌표값을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를 이동시키는 전자 수송층,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이동시키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광활성층과 제1 전도성 패턴 사이, 광활성층과 제2 전도성 패턴사이에 각각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을 위치하여줌으로써, 광활성층에서 분리된 전자와 정공의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 또는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패턴 의 상부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투명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투명전극사이에 입사하거나 발생하는 광을 잘 투과시킬 수 있다.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 또는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형성된 알루미늄(Al) 전극,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제1 전도성 패턴상에 알루미늄(Al) 전극을 형성하고, 제2 전도성 패턴상에 투명전극(ITO)을 위치시킴으로써, 알루미늄(Al)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전자를 수용하기에 적합하여 광센서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0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 또는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검출수단은 제1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와 제2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를 각각 X 좌표값과 Y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X 좌표값과 Y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20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위치검출수단을 통하여 제1 전도성 패턴에 흐르는 전류와 제2 전도성 패턴에 흐르는 전류를 각각 X, Y좌표값으로 변환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 또는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광신호 발생부는 강도가 다른 광을 발생시키고, 광활성층은 광의 강도변화를 감지하고, 위치 검출 수단은, 감지된 광의 강도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된 Z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21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광활성층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강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광의 강도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여줌으로써, Z좌표값을 검출하여 입사되는 광에 대한 다양한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각이다.
따라서, 청구항 22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제1 전도성 패턴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방향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서로 직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의 위치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유기반도체 물질은 PVCz, PCPDTBT, PFDTBT, PTBEHT, P3HT, MDMO-PPV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23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광활성층에 유기반도체 물질을 포함시켜줌으로써, 유기반도체 물질이 가지는 광기전효과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의 위치를 검출하게 하고, 또한, 유연한 형태의 광센서부를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24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광센서장치에 있어서, 전자 수송층은 TiOx, PCB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24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TiOx 또는 PCBM를 포함하는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여줌으로써, 전자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청구항 25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은 PEDOT:PSS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구항 25에 관한 발명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PEDOT:PSS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여줌으로써, 정공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기 반도체 물질 을 포함하는 광센서장치를 장착하여줌으로써, 유연하고, 얇은 박막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광신호의 평면적인 움직임이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광신호의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입력된 다양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활성층을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사이에 전면으로 형성하여줌으로써, 광센서장치의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하여 제조 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활성층을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형성하여줌으로써, 입사되는 광신호의 감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전도성 패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검출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130), 광활성층(130) 상부에 광활성층(130)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130)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140), 광활성층(130) 하부에 광활성층(130)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130)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120), 제1 전도성 패턴(140) 및 제2 전도성 패턴(120)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전도성 패턴(140)의 상부에 제1 투명기판(150)이 형성되고, 제2 전도성 패턴(120)의 하부에 제2 투명기판(110)이 형성된다. 제1 전도성 패턴(140) 과 제2 전도성 패턴(120)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다수의 광센서들이 위치하고, 이는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140, 120)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투명기판(150, 110)은 그 위에 ITO(Indium-Tin Oxide)를 적층하는데, ITO의 투명성과 그에 따른 고 투과율, 고 전도성 및 고 생산성 등의 특징을 활용하여 투명전극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투명전극의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은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투명전극의 재료로서 ITO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제1 및 제2 투명기판(150, 110)은 상기의 재료들 중 하나를 포함하여 이를 투명전극이라 한다.
광활성층(130)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이 유기반도체 물질의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광활성층(130)에 광이 가해지면, 유기 반도체의 광기전 효과에 의해 전기가 발생된다. 즉, 광기전 효과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광활성층(130)에서 전자와 정공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전자와 정공이 제1 및 제2전도성 패턴(140, 120)으로 이동하여 전기가 발생한다.
제1 전도성 패턴(140)은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광센서장치의 외부로부터 광활성층(130)상에 닿는 광의 입사지점의 X좌표를 결정한다. 제2 전도성 패턴(120)은 제2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광센서장치의 외부로부터 광활성층(130)상에 닿는 광의 입사지점의 Y좌표를 결정한다. X축과 Y축이 광활성층(130)의 평면에 정의되도록, 제1 방향은, 선호적으로, 그러나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 제2 방향과 수직이다.
위치검출수단(미도시)은 제1 전도성 패턴(140) 및 제2 전도성 패턴(120)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한다. 제1 전도성 패턴(140)상에서 제1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와, 제2 전도성 패턴(110)상에서 제2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를 각각 X 좌표값과 Y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미도시), 변환된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위치좌표값을 산출한다. 이에 관하여는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입사되는 광신호에서 광의 강도나 펄스 등을 이용하여 X, Y 방향의 2차원적인 신호 외에 다른 신호가 가해지면 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에 강한 광신호 또는 깜빡거리는 광신호를 주어 강한 입력을 주거나, 화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광신호를 주는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이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3차원적인 좌표값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하, 3차원적인 신호를 가하고 이를 검출하는 방식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전도성 패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면도이다. 도 2a는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사이에 위치한 광활성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광활성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전도성 패턴은, 광활성층(130) 상부에 광활성층(130)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130)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140), 광활성층(130) 하부에 광활성층(130)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광활성층(130)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120)을 포함한다.
광활성층(130)은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140, 120)사이에 전면으로 형성된다.
광활성층(130)상에 광신호가 입력되면, 광활성층(130)에 포함된 유기 반도체 물질의 광기전 효과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된다. 여기서, 광기전효과에 대해 설명하자면, 우선 유기 고분자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광활성층(130)에 광이 입사하면, 유기 고분자 반도체 물질에 의하여 여기자(勵起子, exciton)가 형성된다. 여기자(勵起子)는 전자-정공 쌍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자가 임의 방향으로 확산하다가 억셉터(acceptor)물질과의 계면을 만나면 전자와 정공으로 분리된다. 즉, 전자는 전자친화도가 큰 억셉터 물질 쪽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도너(donor)물질 쪽에 남아 각각의 전하상태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들은 양쪽 전극의 일함수 차이로 형성된 내부 전기장과 쌓여진 전하의 농도차에 의하여 각각의 전극으로 이동하여 수집되고, 최종적으로 외부회로를 통하여 전류의 형태로 흐르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광활성층(130)상에 광신호가 입력되면, 유기 고분자 반도체 물질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분리된다. 이때, 전자는 제1 전도성 패턴(140)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제2 전도성 패턴(120)으로 이동하여 전류의 형태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140, 120)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광센서장 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되게 된다.
제1 전도성 패턴(140)은 제1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광센서장치의 외부로부터 광활성층(130)상에 닿는 광의 입사지점의 X좌표를 결정한다. 제2 전도성 패턴(120)은 제2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줌으로써, 광센서장치의 외부로부터 광활성층(130)상에 닿는 광의 입사지점의 Y좌표를 결정한다.
또한, 광활성층(130)은 광의 강도에 비례하거나, 일정한 함수에 의하여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하는 성질이 있다. 원거리에 위치한 광신호 발생수단(미도시)이 광의 강도나 펄스의 변화를 주게 되면, 이를 통하여 광활성층(130)의 출력전압이 변화한다. 이때, 출력전압이 변하는 광활성층(130)을 통하여, 광신호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3차원적인 광신호의 위치(예를 들면, Z 좌표값)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분석하여 입사되는 광신호의 위치 신호와 그 세기를 감지함으로써, 3차원적인 구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활성층(130)에 입사되는 광의 강도나 펄스 등의 제 3의 신호에 의하여 3차원 신호,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특정 아이콘에 강한 광신호 또는 깜빡거리는 광신호를 주어 강한 입력을 주거나, 화면에 수직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광신호를 주는 방식 등의 3차원 신호를 감지하여 3차원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전도성 패턴은, 도 2a와 동일하게 패터닝된 제1 전도성 패턴(140)과 제2 전도성 패턴(120)의 교차되는 영역상에만 광활성층(130)을 위치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광활성층(130)은 도 2a에 나타난 광활성층(130)과 다르게 제1 및 제 2 전도성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신호의 감도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활성층(130)에 광이 입사되면, 광활성층(130)에 의해 생성된 전자 및 정공이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전류의 형태로 이동하여 위치 검출수단에 의하여 입사된 광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성능 실험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한 환경은, 유리기판(G)상에 형성된 제2 투명전극층(110), 제2 투명전극층(110)상에 형성된 광센서층(130a~c), 광센서층(130a~c)상에 적층된 제1 투명전극층(150)을 포함한다.
한편, 실험에 사용되는 유리기판(G), 제2 투명전극층(110), 광센서층(130a~c), 제2 투명전극층(150)은 입사하는 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한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서, 광센서층(130a~c)은, 유기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광활성층(130b), 무기물을 포함하고, 광활성층(130b) 상부에 형성되어 전자의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130a), 유기 고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광활성층(130b) 하부에 위치하여 정공의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130c)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활성층(130a)에 포함된 유기 반도체 물질로는 PVCz(polyvinly carvazol), PCPDTBT [2,6-(4,4-bis(2-ethylhexyl)-4H-cyclopenta[2,1-b;3,4-b']-dithiophene)-alt-4,7-(2,1,3-benzothiadiazole)], PFDTBT[poly((2,7-(9,9- dioctyl)-fluorene)-alt-5,5-(4',7'-di-2-thienyl-2',1',3'-benzothiadiazole)], PTBEHT[poly(5,7-di-2-thienyl-2,3-bis(3,5-di(2-ethylhexyloxy)phenyl)-thieno[3,4-b]pyrazine], P3HT[poly(3-hexylthiophene)], MDMO-PPV[poly[2-methoxy-5-(3',7'-dimethyloctyloxy)-1,4-phenylene vinylen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전자 수송층(130b)에 포함된 재료로는 TiOx, PCBM[[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정공 수송층(130c)에 포함된 유기 고분자 전도성 물질로는 PEDOT:PSS가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질들의 하나의 예로서, 광활성층(130b)은 PVCz, 전자 수송층(130a)은 TiOx, 정공 수송층(130c)은 PEDOT:PSS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2 투명전극(110)이 형성된 기판 위에 PEDOT:PSS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층(130c, 즉 HTL(Hole Transfer Layer))이 적층된다. 그리고, 정공 수송층(130c)상에 PVCz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130b)이 적층된다. 또한, 광활성층(130b)상에 TiOx를 포함하는 전자 수송층(130a, 즉 ETL(Electron Transfer Layer))이 적층된다.
그리고, 전자 수송층(130a) 상부에 제1 투명전극층(150)이 적층되어 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투명전극층(150, 110)은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투명전극층(150)을 알루미늄이 포함된 알루미늄(Al)전극층으로 형성하여줌으로써, 광센서층(130a~c)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알루미늄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ITO보다 전자를 수용하기 적합하기 때문 이다. 이하, 제1 투명전극층(150)은 알루미늄 전극층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광활성층(130b)에서 실질적인 광기전반응이 일어나고, 정공 수송층(130c)과 전자 수송층(130a)은 광활성층(130b)에서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운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의 광센서 장치에 사용되는 유기반도체 물질(PVCz)과 유기 고전도성 물질(PEDOT:PSS), 무기물(TiOx)은 하나의 실험예로서, 이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물질들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유기반도체 물질과 유기 고전도성 물질, 무기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유기반도체 물질(PVCz), 유기 고전도성 물질(PEDOT:PSS), 무기물(TiOx)을 포함하여 제작된 투명한 광센서 장치는, 특정 파장(예를 들면, 약 405nm파장)을 가지는 입사광에 대한 반응성과 선택성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PVCz와 TiOx를 포함하여 광센서층을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시 소요되는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검출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는 광센서층에서 감지된 광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기 위하여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위치 검출수단(100)은, 제1 전도성 패턴의 제1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와 제2 전도성 패턴의 제2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를 각각 X 좌표값, Y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161), 변환된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 부(162)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검출수단(100)은, 변환부(161)를 통하여 광의 강도나 펄스의 변화로 인한 광센서층의 출력전압의 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검출부(162)를 통하여 변환된 Z 좌표값을 검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광센서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D)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D)에 부착된 광센서장치는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광센서장치를 통하여 감지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광신호가 선택하는 영상 또는 메뉴, 광신호가 선택하는 영상 또는 메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D)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광신호가 발생하는 광신호 발생 부(400), 발생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 또는 메뉴,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 수신된 광신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300) 상에 광신호가 수신된 영역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센서부(100), 검출된 위치 좌표값에 상응하는 영상 또는 메뉴,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되는 광신호에 의하여 선택되는 영상 또는 메뉴,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이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신호 발생부(400)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되는 원격입력 장치이다. 예를 들면, 원격입력 장치는 리모컨 또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한다.
광신호 발생부(400)는 광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신호 발생 수단(미도시), 광신호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 광신호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광신호 발생부(400)가 발생하는 광신호는 레이저와 같은 점광원으로서, 이 점광원을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광신호는 광센서부(100)를 투과하고, 광신호에 대한 반응성 및 선택성을 가지는 특정 파장을 가지는 광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신호는 사용자의 눈에는 보여지지 않는 비가시광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신호 발생부(400)로부터 발생되는 광신호는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광신호 발생부(400)에 의해 발생된 광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 상에 포인트가 형성되면, 형성된 포인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화면상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수단은 광신호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광신호를 깜빡거리게 하는 식의 다양한 신호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 또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리모컨 또는 포인터와 같은 광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광신호 발생부(400)에 의해 발생된 메뉴에 대한 광신호를 수신하여 서브메뉴 또는 그에 상응하는 내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y: LC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뉴는 OSD(On Screen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 설정변경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시간 설정 등 일반적인 환경설정에 관한 내용 등도 포함되는 개념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되는 모든 것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뉴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기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에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광센서부(10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수신된 광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광신호가 입력되는 영역에 대한 좌표값을 산출한다. 즉, 광센서부(10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광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센서층(도 3참조)과, 광센서층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300)상에서 광신호가 입력된 정확한 위치정보를 좌표값으로 산 출하는 위치검출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광센서부(100)는 격자형 구조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사이에 형성된 광센서층을 배치하거나,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교차영역마다 하나의 센서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단위영역에 입력되는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광센서층은, 도 3에 나타난 광센서층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위치검출수단(160)은 광센서부로부터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300)상에서 광신호가 입력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1 및 제2 전도성 패턴의 행 및 열 번호, 광신호의 강도세기를 이용한 X, Y 및 Z 좌표값 형태로 출력한다.
메모리(미도시)에는 출력된 X, Y 및 Z좌표값에 상응하는 영상 또는 메뉴,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이 저장되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위치검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좌표값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되는 내용을 이용하여, 광신호에 의하여 선택될 영상 또는 메뉴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선택된 영상 또는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제공한다. 또한, 선택된 영상 또는 메뉴에 서브메뉴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서브메뉴들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하는 광신호가 입력되면 서브메뉴들에 해당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제공하여준다. 선택된 영상 또는 메뉴에 해당하는 내용, 서브메뉴들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달받은 디스플레이부(300)는 이를 표시하여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 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광센서장치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유연하고, 얇은 박막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정 내에서의 TV나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의 원거리 사용뿐만 아니라, 대규모 세미나에서의 발표 등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의 전도성 패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검출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Claims (25)

  1.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상기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상기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쪽에 상기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상기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
    을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의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정공의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형성된 알루미늄(Al) 전극과,
    상기 제2 전도성 패턴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제1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와 상기 제2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를 각각 X 좌표값과 Y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광의 강도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감지된 광의 강도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Z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각인, 광센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반도체 물질은 PVCz, PCPDTBT, PFDTBT, PTBEHT, P3HT, MDMO-PPV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TiOx, PCB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PEDOT:PSS를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11.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상기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상기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쪽에 상기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상기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제1 전도성 패턴과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광센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의 이동을 도와주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정공의 이동을 도와주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광센서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센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3항에 기재된 광센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4항에 기재된 광센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광신호가 발생하는 광신호 발생부;
    상기 발생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 또는 메뉴, 상기 영상 또는 상기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수신된 광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광신호가 수신된 영역의 위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센서부; 및
    상기 검출된 위치 좌표값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또는 상기 메뉴, 상기 영상 또는 상기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센서부는,
    유기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고,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광활성층;
    상기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부에 상기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인 제1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가 이동되는 제1 전도성 패턴;
    상기 광활성층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부에 상기 광활성층의 면과 평행이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이 이동되는 제2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으로 이동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상기 광이 입사되는 위치의 좌표값을 검출하는 광 위치검출수단
    을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전자를 이동시키는 전자 수송층; 및
    상기 광활성층과 상기 제2 전도성 패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이동시키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 및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상부에 형성된 알루미늄(Al) 전극과,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하부에 위치하는 투명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AZO(Aluminum-doped Zinc Oxide), 산화아연(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제1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와 상기 제2 방향에 흐르는 전류의 발생위치를 각각 X 좌표값과 Y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X 좌표값과 Y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발생부는 강도가 다른 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광활성층은 상기 광의 강도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감지된 광의 강도변화를 Z 좌표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Z 좌표값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직각인,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반도체 물질은 PVCz, PCPDTBT, PFDTBT, PTBEHT, P3HT, MDMO-PPV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TiOx, PCBM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PEDOT:PSS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KR1020080070527A 2008-07-21 2008-07-21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KR10093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27A KR100938164B1 (ko) 2008-07-21 2008-07-21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US12/505,174 US20100014100A1 (en) 2008-07-21 2009-07-17 Apparatus for sensing optical signal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optical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27A KR100938164B1 (ko) 2008-07-21 2008-07-21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164B1 true KR100938164B1 (ko) 2010-01-21

Family

ID=4181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527A KR100938164B1 (ko) 2008-07-21 2008-07-21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326B1 (ko) 2009-05-22 2011-11-09 한국과학기술원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KR101089068B1 (ko) * 2010-02-26 2011-12-06 한국과학기술원 스캐너
CN111316157A (zh) * 2017-08-17 2020-06-19 斯特拉斯堡大学 液晶空间光调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001A (ja) 1999-11-25 2001-06-08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4735A (ko) * 2001-06-13 2002-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20070144579A1 (en) 2005-12-26 2007-06-28 Byung-Jun Jung Photovolta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001A (ja) 1999-11-25 2001-06-08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94735A (ko) * 2001-06-13 2002-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20070144579A1 (en) 2005-12-26 2007-06-28 Byung-Jun Jung Photovoltaic device
KR20070067861A (ko) * 2005-12-26 2007-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 소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326B1 (ko) 2009-05-22 2011-11-09 한국과학기술원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KR101089068B1 (ko) * 2010-02-26 2011-12-06 한국과학기술원 스캐너
CN111316157A (zh) * 2017-08-17 2020-06-19 斯特拉斯堡大学 液晶空间光调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84586U (zh) 智能手机
US10459560B2 (en)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ouch pressure and comprising display module
US9417731B2 (en) Contactless user interface having organic semiconductor components
US20170123593A1 (en) Detect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object
KR101820307B1 (ko) 압력 검출 정밀도 보정을 수행하는 압력 검출기 및 터치 입력 장치
US20130076695A1 (en) Interactive printed surface
KR101908463B1 (ko) 터치 입력 장치
US10168845B2 (en)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formed with pressure sensing electrode and pressure sensing electrode forming method
US20100014100A1 (en) Apparatus for sensing optical signal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using optical signals
JP2017049995A (ja) 圧力感度調節が可能な圧力検出器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入力装置
KR20160096156A (ko) 압력 감지형의 디스플레이 터치 컨트롤 유닛, 터치스크린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339481A (zh) 电阻阵列触摸屏
US20140362051A1 (en) Contactless user interface
KR100938164B1 (ko)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입력시스템
KR20190095006A (ko) 터치 입력 장치
US20190114022A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capturing imag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180284925A1 (en)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apacitance of the same
US20230280857A1 (en) Touch sensing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piezoelectric film
JP2018085090A (ja) タッチ入力装置
KR101081326B1 (ko) 광센서장치, 광센서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광신호를 이용한 원격제어시스템
KR101935810B1 (ko)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Tsuji et al. A proximity touch screen using mutual capacitance measurement
CN201247462Y (zh) 电阻阵列触摸屏
KR102245679B1 (ko) 압력 전극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압력 전극 형성 방법
KR20180113958A (ko) 터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