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960A - 타이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960A
KR20070066960A KR1020060132065A KR20060132065A KR20070066960A KR 20070066960 A KR20070066960 A KR 20070066960A KR 1020060132065 A KR1020060132065 A KR 1020060132065A KR 20060132065 A KR20060132065 A KR 20060132065A KR 20070066960 A KR20070066960 A KR 20070066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tire
tube
sto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아 반 엔구엔
퍼낸드 안토니 조셉 퍼건
앤-프랑스 가브리엘 쟝-마리 캄브론
Original Assignee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6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50Covering, e.g. by winding, the separate bead-rings or bead-cores with textile material, e.g. with flippe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60C11/0323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tread comprising channels under the tread surface, e.g. for drain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의 타이어 제조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강화 플라이(ply), 한쌍의 대향하는 측벽 및 한쌍의 대향하는 비드부를 포함하는 카커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카커스 상에 벨트 구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c) 트레드 스톡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벨트 구조체 상에 상기 트레드 스톡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e)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홈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주형 내에서 상기 타이어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어를 경화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트레드 스톡에 인접하여 또는 상기 트레드 스톡 내에 튜브가 위치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경화된 타이어 내의 은닉 홈을 생성한다. 타이어 트레드의 마모가 미리 설정된 수준에 달하면, 상기 튜브는 노출되고, 추가의 마모 동안 개방되어, 타이어가 일정 수준 타이어 마모를 거친 후에 트레드 내의 증가된 홈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 방법{METHOD OF FORMING A T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타이어,
도 2는 마모되지 않은 타이어 트레드,
도 3은 형성된 마모량에 따른 도 2의 트레드,
도 4는 하나의 트레드 스톡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다수의 트레드 스톡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9는 트레드 스톡의 변형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타이어 12: 카커스 구조체
14: 내부 라이너 16: 강화 플라이
18: 비드부 20: 측벽
22: 벨트 패키지 24: 플라이
26: 오버레이 플라이 28: 타이어 트레드
30: 트레드 요소 32: 홈
34: 은닉 홈 36: 트레드 표면
본 발명은 공기 타이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가 마모됨에 따라 상이한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레드를 갖는 공기 타이어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트레드 패턴에는 리브(rib) 및 블럭(block)과 같은 많은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요소는 원주 방향 및/또는 횡방향 홈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홈은 배수용 수단을 제공하고 트레드 요소의 바이팅 에지(biting edge)를 형성한다.
타이어가 새것인 경우에는, 트레드는 최대 트레드 높이를 갖는다. 이런 초기 높이는 타이어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겨울용 타이어는 사계절용 타이어에 비해 증가된 트레드 높이를 갖는다. 초기 트레드 높이와 무관하게, 타이어가 새것인 경우 트레드 요소는 초기 강성을 갖는다. 트레드 요소의 실제 강성은 블럭 크기, 형상, 시핑(siping) 여부 및 트레드 혼합물에 의해 결정된다. 타이어가 마모됨에 따라, 블럭 높이는 감소하는 반면 트레드 요소 강성은 증가한다. 트레드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습식 스키드(wet skid) 및 습식 조정력(wet handling)과 같은 요구되는 특성들이 증가한다. 또한, 하이드로플래닝(hydroplaning) 특성은 감소된 홈 체적으로 인해, 트레드 마모가 증가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타이어 마모와 같은 타이어의 성능 특성을 보다 좋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국 특허 제 6,408,910 호에서는, 요구되는 홈 체적을 유지하도록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에 따르면 타이어는 트레드가 마모된 경우 나타나는 내재된 홈(submerged groove)을 생성하는 주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타이어는 내재된 홈을 생성하는 주형을 제거해야하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난해하며, 이러한 방법의 사용은 트레드 에지와 접촉하거나 홈 내로 개방되는 내재된 홈을 형성하는 데에만 한정된다.
본원에는 공기 타이어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타이어는 마모에 따라 변경되는 다양한 트레드 패턴을 갖도록 설계되어, 새것일 때 및 마모가 진행된 경우 양자에 있어서의 타이어에 대해 유사한 트레드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패턴의 변경은 타이어의 습식 성능 특성(wet performance characteristic)을 유지하기 위해 마모된 타이어 성능을 최적화한다.
본원에는 타이어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타이어는 카커스(carcass), 벨트 구조체 및 트레드를 갖는다. 트레드는 트레드 구조가 트레드의 상이한 깊이에 따라 변경되는 진화식 트레드 구조체(evolving tread configuration)를 갖는다. 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a)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강화 플라이(ply), 한쌍의 마주보는 측벽 및 한쌍의 마주보는 비드부를 포함하는 카커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카커스의 반경 방향 외부면 상에 벨트 구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c) 트레드 스톡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레드 스톡의 길이에 평행하는 2개의 마주보는 면을 갖는 트레드 스톡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와, d) 상기 벨트 구조체의 반경 방향 외부 측면 상에 트레드 스톡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e) 주형 내에서 타이어를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주형은 타이어의 반경 방향 외부면 상에 홈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상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튜브는 타이어를 경화하기 전에, 트레드 스톡 내에 또는 트레드 스톡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이때 상기 튜브는 경화된 타이어 내에 매장된 홈을 생성한다. 미리 설정된 수준까지 타이어 트레드가 마모한 후에, 상기 튜브가 노출되고, 마모가 더 진행되는 동안 개방되어 타이어가 얼마간 마모된 후에 트레드 내의 증가된 홈을 생성하게 된다.
개시된 방법 중 하나의 측면에서, 트레드 스톡은 압출에 의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홈은 튜브가 위치되는 트레드 스톡 내에 형성된다. 형성된 홈은 스톡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또는 트레드 스톡의 종방향 길이와 교차될 수 있다. 형성된 홈은 연속적일 수 있으며, 또는 불연속적인 짧은 홈이거나, 일련의 불연속적인 짧은 홈일 수 있다. 이러한 홈형 압출식 트레드 스톡을 위해, 경화 공정 이전에 트레드 스톡 내에 형성되는 홈은 바람직하게는 경화된 타이어의 반경 방향 외부면 상에 형성되는 모든 홈과 일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트레드 내에 위치되거나 인접하여 위치되는 튜브는 타이어의 경화중에 파괴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다. 튜브는 타이어의 전체 원주로 연장하는 연속 고리 형상 튜브, 소정 길이의 작동식 개방-단부형 튜브, 또는 소정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실린더일 수 있다.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5mm의 두께를 갖는다. 튜브는 비닐 공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재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튜브에는 상기 튜브 재료가 트레드 마모 동안 닳아 없어질 때 방출되는 충진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튜브는 미리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미리 형성된 형상은 원형, 타원형, 2차원 곡선 구조,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정방구조, 오각형, 육각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측면에서, 타이어의 경화 동안, 튜브는 트레드 주형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바늘, 상기 트레드 주형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주형 리브, 또는 상기 트레드 주형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사이프 블레이드(sipe blade)에 의해 요구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제조 방법의 또 하나의 측면에서, 벨트 구조체의 반경 방향 외부면 상에 트레드 스톡을 위치시키기 전에 상기 벨트 구조체 상에 쿠션 고무를 위치시키는 추가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는 개시된 제조 방법 및 그 변형예에 의해 제조된 타이어가 개시된다.
개시된 타이어는 카커스, 벨트 구조체 및 트레드를 갖는다. 상기 트레드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원주 방향 홈 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축방향 홈 중 어느 하나와, 트레드의 상이한 깊이에 따라 변경되는 진화 트레드 구조체를 갖는다. 상기 트레드는 어떠한 표면 홈과도 연통되지 않는 매몰된 홈을 갖는다. 트레드는 타이 어의 나머지 부분과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주형에서 모두 경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정의
본 발명은 이하의 정의의 규제를 받는다.
"환형"이란 고리처럼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진화 트레드 구조체"란 타이어의 상이한 깊이 또는 마모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트레드 구조체를 의미한다.
"내부"란 타이어의 내측을 향하는 것을, 그리고 "외부"란 타이어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축방향"이란 축선 방향을 의미한다.
"넌 스키드(nonskid)"란 타이어 트레드 내의 홈의 깊이를 의미한다.
"방사상" 및 "반경 방향"란 타이어의 회전 축선을 향하거나 멀어지는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는 본 발명을 실행함에 있어 현재로서는 최적의 형태이다. 본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한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져서는 않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공기 타이어(10)의 단면도이다. 타이어(10)는 한쌍의 대향하는 측벽(20)과 한쌍의 대향하는 비드부(18)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 플라이(16), 내부 라이너(14)를 포함하는 카커스 구조체(12)를 갖는다. 카커스(1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는 벨트 패키지(22)가 있다. 종래의 벨트 패키지(22)는 적어도 2개의 교차식 강화 코드의 플라이(24)를 갖는다. 교차식 코드 플라이(24)의 반경 방향 외측 및 벨트 패키지(22)의 일부에는, 타이어(10)의 원주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경사진 코드의 오버레이 플라이(26)가 있을 수 있다.
타이어(1)의 반경 방향 외부면 상에 위치되는 타이어 트레드(28)는 블럭 및/또는 리브의 형태로 다수의 트레드 요소(30)에 의해 특징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트레드 요소(30)는 원주 방향 및/또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홈(32)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은닉 홈(34)이 트레드 표면의 내부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은닉 홈(34)의 적어도 일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트레드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 은닉 홈(34)은 트레드 내의 어떠한 표면 홈(32)과도 연통하지 않는다. 즉, 이는 타이어 트레드(28)의 트레드 요소(30) 내에서 분리되며, 표면 홈은 타이어(10)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 트레드 표면(36)에 존재하는 홈으로서 정의된다.
도 2의 트레드에 있어서,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 트레드는 상기 트레드를 5열의 트레드 요소로 나누는 4개의 원주 방향 연장 홈에 의해 형성된다. 트레드 중심선(CL) 상에 위치되는 트레드 요소 열(40)은 원주 방향 홈(42, 44)에 의해 형 성되는 리브이다. 중심 트레드 요소 열(40)을 경계짓는 트레드 요소 열(46, 48)은 원주 방향 열(42, 44, 52, 54) 및 측방향 홈(56)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블럭(50)이다.
외부 원주 방향 열(52, 54)의 축선방향 외측으로는 축선방향 최외측 트레드 요소 열(58, 60)이 있다. 이러한 열(58, 60)은 다수의 유사 블럭(62)을 갖는다. 상기 블럭(62)은 원주 방향 홈(52, 54)과 경사진 측면 홈(64)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블럭(62)은 연결 요소(66)에 의해 축방향 내부 에지에서 연결된다. 또한, 블럭(50, 62) 및 연결 요소(66)에는 사이프(sipes; 68)가 제공되어 트레드 내의 바이팅 에지(biting edge)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도 3의 트레드는 대략 30%의 마모가 일어난 후의 도 2의 트레드이다. 마모된 트레드는 중심 트레드 요소 열(40)을 2개의 소폭 열(70, 72)로 나누는 추가의 원주 방향 홈(34)을 갖는다. 마모 기간 이후에 노출된 홈(34)의 존재는 타이어의 습식 성능 특성을 증가시킨다. 트레드는 상기 트레드의 상이한 깊이 또는 마모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진화 트레드 구조체를 갖는다. 이와 같이 후에 노출되는 홈을 갖는 트레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2-단계 타이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타이어 카커스(12)는 제 1 단계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서 조립된다. 그린 카커스(green carcass; 12)는 트레드(4) 및 벨트 패키지(22)를 제외한 타이어의 요소 모두를 포함한다. 벨트-트레드 패키지는 제 2 단계 타이어 제조 드럼 상에서 따로 형성된다. 벨트 패키지 재료의 플라이(24, 26)는 제 2 단계 드럼 상에 위치되며, 그 후에 트레드(4)를 형성할 그린 고 무(green rubber)의 연속 스트립이 트레드 스톡 재료로서 제공된다.
연속 스트립은 절단된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어 벨트 페키지를 덮는 폐쇄형 원을 형성하도록, 필요한 길이 및 바람직하게는 일정 각도로 절단된다. 조립된 벨트-트레드 패키지는 제 1 단계 타이어 제조 기계 상에서 이미 조립된 그린 타이어 카커스에 적용된다. 그 후, 타이어 카커스는 벨트-트레드 패키지 내에서 환상으로 "부풀림(blown up)" 되며, 주형으로 보내지는데, 여기서 전체 조립체가 완성 타이어 내에서 경화된다. 이러한 공정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141,587 호, 제 5,354,404 호, 제 5,554,242 호 및 제 6,139,66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유용한 도 2 및 도 3의 트레드 구조체용 트레드 스톡(7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트레드 스톡(74)은 그 단부가 도시된 것보다 더 테이퍼질 수는 있지만, 주로 직사각형 구조체를 갖는다. 트레드 스톡(74)은 형성된 외부 측면(76) 및 형성된 내부 측면(78)을 갖는다. 외부 측면(76)은 그린 타이어 상의 타이어 카커스(12) 및 벨트 패키지(22)의 외측에 위치될 것이며, 경화된 타이어의 트레드 구조체를 형성할 것이다. 내부 측면(78)은 벨트 패키지(22) 또는 트레드 베이스 스톡 재료(80) 상에 직접 위치될 트레드 스톡(74)의 측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진화 트레드 구조체의 마모-노출식 홈(34)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홈(82)이 트레드 스톡(74)의 하나의 측면(76, 78)에 형성된다. 도 4의 트레드 스톡(74)에서, 홈(82)은 스톡 내부 측면(78) 상에 형성된다.
트레드 스톡(74)의 홈(82)은 스톡 재료의 압출 또는 제거에 의해 형성되어 홈(82)을 형성한다. 홈(82)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홈(82)은 최종적으로 경화된 은닉 홈(34)에 요구되는 것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넓은 폭 또는 보다 깊은 깊이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홈(82)을 형성하는 것은, 경화 동안 트레드 스톡(74)의 흐름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최종적으로 경화된 은닉 홈(34)을 형성하는 것을 보상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홈(82)은 경화된 은닉 홈(34)과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이와 달리, 만약 트레드 합성물(74)이 트레드 합성물 또는 선택된 트레드 구조체로 인해, 타이어의 경화동안 고 유동(high flow)에 종속된다면, 홈(82)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중에 파괴되지 않고, 경화 완료동안 그 완전성(integrity)을 유지하는 상기 홈(82) 내로 요소(84)를 삽입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82)은 트레드 스톡 재료(74)의 내부 측면(78) 또는 외부 측면(7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홈(82)이 도시된 것처럼, 내부 측면(78)에 형성되고, 홈 형상이 타이어의 성형동안 튜브와 같은 삽입 요소(84)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때, 트레드 스톡 재료는 상기 삽입 요소(84) 주위로 흐르고, 삽입 요소(84)의 상대적 위치는 성형 동안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만약, 경화중에 고무 유동이 경화된 타이어 내의 바람직한 최종 위치로부터 삽입 요소(84)를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다면, 바람직한 위치에 삽입 요소(84)를 유지하도록 주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형 수단은 트레드 주형으로부터 연장하는 바늘, 또는 상기 주형으로부터 연장하는 홈 리브나 사이프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바늘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바늘은 삽입 요소(84)의 필요한 유지를 제공하도록 치수화되지만, 최종 트레드 구조체를 변경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다. 삽입 요소(84)를 유지하기 위해 바늘만 사용되는 경우라면, 바람직하게는 바늘 세트가 사용되며, 삽입 요소(84)의 각 측면에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삽입 요소(84)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는 다수의 세트의 바늘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지 수단은 상부 및/또는 측면으로부터 삽입 요소(84)를 위치시킬 것이며, 경화중에 타이어의 팽창은 상기 삽입 요소(84)를 하부로부터 유지한다.
만약, 홈(82) 및 삽입 요소(84)가 은닉 홈(34)을 형성하기 위해 트레드 스톡(74)의 외부 측면(76) 상에 위치된다면, 트레드 고무는 삽입 요소(84) 주위로 흘러서 삽입 요소(82)를 완전히 둘러싸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최종적으로 경화된 타이어에서, 은닉 홈(34)은 트레드 표면(36)에 상대적으로 근접 위치되어 20% 내지 25% 트레드 마모와 같은 트레드 마모의 초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증거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요소(84)는 타이어 트레드(28)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짧거나 또는 보다 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튜브이다. 상기 튜브는 연속 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한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튜브의 단면 구조체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은닉 홈의 요구되는 단면 구조체에 의해 가능한 추종된다. 튜브에 대한 가능한 단면 구조체는 원형, 타원형, 또는 그 외 다른 2차원 곡선 구조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그 외 다른 다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그 외 다른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튜브는 트레드 스톡(74)의 압출 후 상기 홈(82)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트레 드 스톡(74)은 튜브 위로 압출되어 결과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레드 스톡(74)을 이룰 수 있다. 이와 달리, 튜브는 도 5b에 참고하여 보면, 재료의 한쌍의 압출된 층(74, 8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내부 트레드 스톡(80)은 타이어(10)의 성형 동안, 상기 튜브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큐션 고무일 수 있다. 이러한 2중 트레드 스톡 구조체에 대해, 쿠션 고무(80)는 타이어 제조 동안 벨트 패키지(22) 상에 먼저 위치되고, 튜브 및 그 밖의 다른 트레드 스톡(74)의 배치가 이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튜브는 그린 타이어의 경화동안 파괴되지 않고, 또한 경화된 타이어 성능에 손상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다. 튜브 재료의 두께는 상기 2개의 목적의 균형을 맞추도록 선택되고, 채택된 재료의 유형에 기초한다. 가능한 대안으로는 전분의 경직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튜브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미리 경화된 탄성 중합체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튜브를 형성하는 고무 폴리머 매트릭스는 인접하는 트레드 복합체와 동일한 고무 폴리머 매트릭스일 수 있지만, 인접한 고무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튜브를 생산하기 위해 강화 재료(예를 들어, 카본 블랙, 실리카)의 더 큰 고무 백분율(parts per hundred rubber)을 갖는다. 예를 들어, 튜브는 강화 재료 적재가 80phr 내지 130phr, 바람직하게는 100phr 내지 120phr 범위 내인 재료로 형성된다.
튜브의 두께는, 예비 경화(precuring)와 무관하게, 0.10mm 내지 5.0mm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튜브의 두께는 0.50mm 내지 3mm의 범위에 있다. 보다 큰 튜브 두께는 레이디얼 미디움 트럭 또는 오프-로드 타이어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대형 트레드의 형성에 보다 적합하다. 승객용 차량을 위해서는, 상기 튜브 두께는 0.5mm 내지 2mm 범위에 있다.
전술한 변형예에 있어서, 구조체를 유지하기 위해 홈(82) 내에 삽입되는 구성요소(84)는 짧은 길이의 폐쇄형 실린더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타이어 트레드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대안예는 하부의 트레드 스톡 상의 불연속 홈을 형성할 때 가장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용성 링크를 갖는 무공해 재료 또는 생물 분해성 재료(예를 들어, 가용성 접착제가 첨가된 모래 복합물)로 은닉 홈(34)을 충전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생물 분해성 재료의 예는, "공기 타이어"라는 명칭으로 2005년 10월 5일 출원된 공동 권리의 미국 특허 출원 제 60/723,75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충전 재료는 튜브가 부분적으로 경화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생물 분해성 재료는 튜브 또는 실린더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나, 튜브 재료가 타이어(10)의 경화중에 은닉 홈(34) 내로 흘러 상기 은닉 홈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충전 재료는 상기 충전된 튜브 바로 위의 트레드 고무가 조금 마모되기는 했으나, 아직 완전히 마모되어 트레드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에 강성을 제공한다고 하는 추가의 이익을 갖는다.
트레드 스톡 상에 형성된 홈(82)은 도 3의 트레드 실시예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연속적일 수 있다. 그러나, 홈(82)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소정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다중 홈(82)은 트레드 스톡(74)의 종방향(L)으로 형성될 수 있고(도 6), 홈(86)은 트레드 스톡(74)의 종방향(L)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7), 또는 상기 홈은 종방향 홈(82)과 횡방향 홈(86) 양자의 결합일 수도 있다(도 8). 또한, 홈은 트레드 스톡(74)의 내부 측면(78)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9).
타이어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제 2 단계 타이어 제조 기계에 제공되는 트레드 스톡(74)은 그 내부에 형성된 홈(82, 86, 88)이 제공되지 않는다. 조립식 벨트-트레드 패키지가 그린 타이어 카커스 상에서 조립된 후에, 고리 형상의 튜브는 그린 조립체의 외부 표면(76)에 적용된다. 튜브 고리의 직경으로 인해, 그 위치는 그린 타이어 상에 유지된다. 타이어의 성형동안, 트레드 스톡(74)의 내부 측면(78) 상에 위치되는 삽입 요소 및 홈과 유사하게, 고무는 경화된 타이어의 은닉 홈(34)을 생성하도록 튜브 고리 주위로 유동할 것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종래의 그린 타이어의 요소의 어떠한 변경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된 튜브와 관련한 모든 특징은 이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튜브 고리와 관련되고, 유용하다.
본원 발명에 의한 타이어 형성 방법에 의하면, 마모에 따라 변경되는 다양한 트레드 패턴을 갖도록 타이어가 설계되어, 새것일 때뿐만 아니라, 마모가 진행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사한 트레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카커스(carcass), 벨트 구조체 및 트레드를 구비하며, 상기 트레드가 상기 트레드의 상이한 깊이에 따라 변경되는 진화 트레드 구조체를 갖는, 타이어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카커스 강화 플라이(ply), 한쌍의 대향하는 측벽 및 한쌍의 대향하는 비드부를 포함하는 카커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카커스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벨트 구조체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c) 트레드 스톡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레드 스톡의 길이에 평행하는 2개의 대향면을 갖는, 상기 트레드 스톡 형성 단계와,
    d) 상기 벨트 구조체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상기 트레드 스톡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e) 상기 타이어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 상에 홈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를 갖는 주형 내에서 상기 타이어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를 경화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트레드 스톡에 인접하여 또는 상기 트레드 스톡 내부에 튜브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튜브가 상기 경화된 타이어 내에 은닉 홈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스톡은 압출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튜브가 위치되는 트레드 스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고리 형상 튜브, 미리 형성된 개방 단부형 튜브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비닐 공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재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를 경화하는 단계 동안, 상기 튜브는 트레드 주형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바늘, 상기 트레드 주형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주형 리브 또는 상기 트레드 주형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사이프 블레이드(sipe blade)에 의해 요구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0060132065A 2005-12-22 2006-12-21 타이어 제조 방법 KR20070066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15,568 US20070144641A1 (en) 2005-12-22 2005-12-22 Method of forming a tire
US11/315,568 2005-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960A true KR20070066960A (ko) 2007-06-27

Family

ID=3781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065A KR20070066960A (ko) 2005-12-22 2006-12-21 타이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44641A1 (ko)
EP (1) EP1800843B1 (ko)
JP (1) JP2007168438A (ko)
KR (1) KR20070066960A (ko)
CN (1) CN1986203B (ko)
AT (1) ATE468215T1 (ko)
BR (1) BRPI0605202A (ko)
CA (1) CA2571238A1 (ko)
DE (1) DE60200601435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264B1 (ko) * 2009-12-18 2011-07-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이드의 패턴 성능 예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3293B1 (pt) * 2008-09-11 2020-10-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ático tendo uma banda de rodagem de pneu
EP2390113B1 (en) * 2009-01-26 2014-07-16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CN102458810B (zh) * 2009-06-09 2015-05-06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在生轮胎的硫化和模制处理期间控制流体排放的方法和用于车辆车轮的轮胎
US8651152B2 (en) 2009-06-30 2014-02-18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read band for retreaded tire
JP2012531346A (ja) 2009-06-30 2012-12-10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リトレッドタイヤ
WO2011002454A1 (en) 2009-06-30 2011-01-06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Reduced weight precured tread band for retreaded tire
WO2011002448A1 (en) 2009-06-30 2011-01-06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Retread tire having tread band matched to base tread
BRPI1005653A2 (pt) * 2009-12-17 2012-03-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olde de pneu e pneu com ranhuras internas em banda de rodagem do pneu
FR2964344B1 (fr) * 2010-09-02 2012-08-31 Michelin Soc Tech Bandage pneumatique avec une bande de roulement comportant un materiau de remplissage degradable
JP5513687B2 (ja) 2010-10-27 2014-06-04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サイプ付きタイヤトレッド、及び、サイプ付きタイヤトレッドを作製する方法
US9555591B2 (en) 2010-10-27 2017-01-31 Compagnie Generale Des Establissements Michelin Tire tread with apertures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tire tread with apertures
US9370971B2 (en) 2010-12-29 2016-06-2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Methods for retreading a tire
FR2975406B1 (fr) * 2011-05-18 2014-10-17 Michelin Soc Tech Cordon composite caoutchouteux pour bande de roulement de bandage pneumatique
FR2975407B1 (fr) * 2011-05-18 2014-11-28 Michelin Soc Tech Cordon composite pour bande de roulement de bandage pneumatique
FR2983779A1 (fr) * 2011-12-09 2013-06-14 Michelin Soc Tech Combinaison d'une structure de pneu poids lourd avec une sculpture de bande de roulement
US9616716B2 (en) 2011-12-14 2017-04-1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hree dimensional sipe
US9434211B2 (en) 2012-04-30 2016-09-0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Layered tire tread design for improved coast by noise and traction performance
US9783004B2 (en) 2012-04-30 2017-10-10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Layered tire tread design with bridged circumferential and transverse grooves
FR3035821A1 (fr) * 2015-05-07 2016-11-11 Michelin & Cie Bande de roulement comportant un bloc presentant une pluralite de decoupures
JP2021172289A (ja) * 2020-04-28 2021-11-01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343A (en) * 1939-02-21 Nonskidtibe
BE399026A (ko) *
US1762723A (en) * 1923-08-30 1930-06-10 Overman Cushion Tire Company I Process and means for making tires
GB290462A (en) * 1927-07-01 1928-05-17 John Gilbert Oliver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vehicle tyres
DE533651C (de) * 1930-09-23 1931-09-17 Paul Klein Dr Mantel fuer Luftreifen von Fahrzeugraedern
US1876016A (en) * 1932-04-21 1932-09-06 Christian H Pederson Auto tire
US2960138A (en) * 1957-02-19 1960-11-15 Robert E Burns Tires
IT1240295B (it) * 1990-04-13 1993-12-07 Pirelli Stampo e metodo per la vulcanizzazione di pneumatici e metodo per fabbricare stampi
US6045745A (en) * 1997-01-15 2000-04-04 Reno; Kurtis Pierre Water soluble cores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binders and related methods
FR2763892A1 (fr) * 1997-05-30 1998-12-04 Michelin & Cie Sculpture et moule pour bande de roulement de pneumatique
JP4721504B2 (ja) * 2000-02-29 2011-07-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2248907A (ja) * 2001-02-23 2002-09-03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4454936B2 (ja) * 2001-05-03 2010-04-21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再溝付け可能トレッドおよび再溝付け方法
US6591881B2 (en) * 2001-08-20 2003-07-15 Jerry Artrip Automobile tire with removable tread fillers and tread cavities beneath the rolling surface
CN100551960C (zh) * 2001-09-28 2009-10-21 株式会社普利司通 橡胶组成物、充气轮胎及其制造方法
US7249620B2 (en) * 2004-07-12 2007-07-3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US7252728B2 (en) * 2004-07-12 2007-08-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pneumatic tire
US7468153B2 (en) * 2004-12-30 2008-12-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 Degradable blading for tire curing molds
US7581575B2 (en) * 2005-10-05 2009-09-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degradable tread fi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264B1 (ko) * 2009-12-18 2011-07-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이드의 패턴 성능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0843B1 (en) 2010-05-19
US20070144641A1 (en) 2007-06-28
BRPI0605202A (pt) 2007-10-09
ATE468215T1 (de) 2010-06-15
JP2007168438A (ja) 2007-07-05
CA2571238A1 (en) 2007-06-22
EP1800843A3 (en) 2008-02-06
DE602006014353D1 (de) 2010-07-01
CN1986203B (zh) 2010-10-20
CN1986203A (zh) 2007-06-27
EP1800843A2 (en)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6960A (ko) 타이어 제조 방법
JP556422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100020B1 (ko) 타이어
JPH1129171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509576A (ja) 少なくとも1つの波形溝を有するトレ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94212A1 (en) Tire tread discharge grooves with textured bases
GB2061837A (en) Tyre treads
KR20070038424A (ko) 공기압 타이어
EP3532315B1 (en) Motorcycle tyre
KR101757933B1 (ko) 자가-팽창 타이어 구성 방법
KR20130109054A (ko) 공기압 타이어용 비드 구조물
US20090194211A1 (en) Tire tread grooves with textured bases
JP6905917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加硫金型
JP2010012666A (ja)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これにより成形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
US6796349B2 (en) Pneumatic tire including protrusion dividing groove space of main groove having groove width narrowed during inflation
JP4780796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692825B2 (ja) 空気入りタイヤ
AU2012201599A1 (en) Traction tyre tread for off-road vehicle
CN113993721B (zh) 车辆充气轮胎
JP2002347413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2572066A (zh) 充气轮胎
KR20050060016A (ko) 래디얼 플라이 공기 타이어
JP493334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69190B2 (ja) ラジアルプライ空気入りリキャップタイヤ
US20230058858A1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