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959A -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959A
KR20070066959A KR1020060132060A KR20060132060A KR20070066959A KR 20070066959 A KR20070066959 A KR 20070066959A KR 1020060132060 A KR1020060132060 A KR 1020060132060A KR 20060132060 A KR20060132060 A KR 20060132060A KR 20070066959 A KR20070066959 A KR 20070066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riving
operation knob
drive
ce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283B1 (ko
Inventor
이용운
요시테루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11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substantially hemispherical bearing part forced into engagement, e.g. by a sp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44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66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providing feel, e.g. indexing means, means to create counter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도 방지할 수 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구동체(4) 사이를 탄성 아암부(11)로 연결하여 구동체 유닛을 구성하고, 각 구동체(4)의 축형상부(4a)를 대응하는 가이드구멍(9a)의 위쪽에서 케이싱(1) 내에 삽입함으로써, 구동체 유닛의 탄성 아암부(11)를 케이싱(1)의 천정판의 상면측에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EASY TO ASSEMBLE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WITH THE CAPACITY TO PREVENT THE RATTLING OF DRIV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조작 노브를 생략하고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조작 노브
2a : 슬릿 2b : 구동돌기
3 : 홀더 3a : 반구형상부
3b : 연결로드 4 : 구동체
4a : 축형상부 4b : 스커트부
5 : 스위치 유닛 5a : 액츄에이터
6 : 프린트 회로기판 8 : 기초대
8a : 관통구멍 8b : 오목홈
9 : 통형상체 9a : 가이드 구멍
10 : 규제돌기 11 : 탄성 아암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정 등에 사용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하여 요동 조작되는 조작 노브의 회전운동을 구동체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스위치소자에 전달하는 타입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린트 회로기판 위에 실장된 복수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스위치소자를 내포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천정판 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노브와, 이 조작 노브와 각 스위치소자와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체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요동 조작되는 조작 노브의 회전운동을 구동체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스위치소자에 전달하도록 한 다방향 스위치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스위치소자는 예를 들면 러버스위치라 불리우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프린트 회로기판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 세트의 고정 접점과,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의 내저면에 설치된 가동 접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동체는 케이싱의 천정판으로부터 밑으로 내려오는 복수의 통형상체에 설치되어 가이드 구멍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나, 구동체의 하단에 가이드 구멍보다 큰 지름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는 가이드 구멍에 대하여 위쪽으로의 탈락방지가 이루어져 있다. 또 각 구동체의 하단 은 스위치소자의 대응하는 돌출부의 상면에 각각 맞닿아 있고, 이들 구동체의 플랜지부 사이를 탄성 아암부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구동체를 일체품으로써 취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조작 노브가 요동 조작되고 있지 않는 비조작시에, 각 구동체는 스위치소자의 돌출부로부터의 가세력을 받아 가이드 구멍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조작 노브는 각 구동체로부터 균등한 힘을 받아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조작 노브를 임의방향으로 요동 조작하면, 상기 방향에 위치하는 구동체가 조작 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가이드 구멍 내를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좌굴 변형되어 스위치소자를 온 동작시킨다. 이때, 요동방향과 180도 대향하는 쪽에 배치된 구동체의 상단은 조작 노브로부터 이반되나, 이 구동체의 플랜지부는 돌출부로부터의 가세력을 받아 통형상체의 하단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구동체가 외부 진동에 의하여 덜컥거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노브에 대한 상기 조작력이 제거되면, 좌굴 변형된 돌출부의 복귀력에 의하여 구동체가 상승하고, 그것에 따라 스위치소자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변환됨과 동시에 조작 노브가 원래의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322981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각 구동체를 스위치소자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 구멍의 위쪽에 가세 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노브의 요동 조작시에 임의의 구동체의 상단이 조작 노브로부터 이반되어도 상기 구동체는 그 플랜지부가 통형상체의 하단에 맞닿음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 규제되어, 외부 진동 등에 의하여 구동체가 덜컥거려 이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케이싱의 천정판에 조작 노브를 조립한 후에, 상기 케이싱의 천정과 바닥을 반대로 한 상태에서 각 통형상체의 가이드 구멍에 구동체를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케이싱에 대한 조작 노브와 구동체의 조립방향이 필연적으로 반대가 되고, 이것이 조립의 자동화를 방해하는 큰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 각 구동체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사이가 탄성 아암부를 거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구동체를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에 일괄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나, 조작 노브의 요동조작에 따라 임의의 구동체가 하강하였을 때, 그것 이외의 다른 구동체가 탄성 아암부의 영향을 받아 함께 하강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소자의 오동작이나 조작감촉의 악화 등의 문제를 초래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의 자동화에 적합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도 방지할 수 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린트 회로기판 위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스위치소자를 내포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천정판 위 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노브와, 이 조작 노브와 상기 스위치소자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구동체를 구비하고, 이들 구동체가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구멍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가이드 구멍이 상기 조작 노브의 요동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에 배열되어 있는 다방향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임의의 하나를 둘레방향의 적어도 한쪽측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체에 탄성 아암부를 거쳐 연결하고, 상기 구동체를 상기 가이드 구멍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탄성 아암부를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 노브의 케이싱에 대한 조립과 각 구동체의 가이드 구멍에 대한 삽입을 모두 케이싱의 천정판의 상면측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자동화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구동체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 노브를 요동 조작하여 임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기울어진 방향 이외에 배치된 구동체는 조작 노브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구동체끼리가 탄성 아암부를 거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중 가장 이동량이 적은 구동체만큼 밖에 이동하지 않고, 또는 연결되어 있는 각 구동체의 어느 것인가가 조작 노브와 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노브의 요동 조작시에 구동체가 외부 진동에 의해 덜컥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구동체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8개의 구동체를 사용하여 8방향 스위치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복수의 구동체를 탄성 아암부를 거쳐 둘레방향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전체를 일체화하여도 좋으나, 구동체의 수를 4개로 함과 동시에, 하나의 탄성 아암부의 양쪽 끝에 인접하는 2개의 구동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1세트의 구동체 유닛으로 하고, 4개의 구동체를 2세트의 구동체 유닛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 조작 노브의 요동 조작과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구동체를 배치한 경우, 조작 노브의 요동조작에 따라 임의의 구동체가 가압되어 가이드 구멍 내를 하강할 때, 그 요동방향과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구동체는 조작 노브로부터 이반되나, 이 구동체는 가이드 구멍 내를 하강하는 구동체와는 다른 세트의 구동체 유닛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구동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동시에 하강하는 구동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스위치소자의 오동작이나 조작감촉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케이싱의 천정판에 가이드 구멍이 설치된 통형상체를 세워 설치하고, 구동체의 상단면에 이 통형상체의 외벽면과 오버랩하는 스커트부를 늘어뜨려 설치하면, 먼지 등의 이물이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케이싱 내의 스위치소자에 침입하는 것을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다방향 스위치장치의 조작 노브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스위치장치 는, 하면을 개구한 중공구조의 케이싱(1)과, 사용자에 의하여 요동 조작되는 둥근 공기형상의 조작 노브(2)와, 조작 노브(2)를 케이싱(1)의 천정판 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3)와, 조작 노브(2)의 요동조작에 따르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4개의 구동체(4)과, 각 구동체(4)에 의하여 동작되는 스위치 유닛(5)과, 스위치 유닛(5)을 실장하는 프린트 회로기판(6)과, 케이싱(1)의 하면을 막는 바닥 덮개(7)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케이싱(1), 조작 노브(2), 홀더(3), 구동체(4), 바닥 덮개(7)는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성형되어 있다.
케이싱(1)의 천정판 위에는 원통형상의 기초대(8)가 세워 설치됨과 동시에 이 기초대(8)의 주위에 4개의 통형상체(9)와 4개의 규제돌기(10)가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기초대(8)에는 관통구멍(8a)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관통구멍(8a)의 주위에 4개의 오목홈(8b)이 90도의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체(9)는 각 오목홈(8b)의 연장선 위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통형상체(9)에는 가이드 구멍(9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규제돌기(10)는 평면으로 보아 T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규제돌기(10)는 인접하는 2개의 통형상체(9)를 연결하는 직선의 바깥쪽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8a)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X-Y 직교 좌표축을 설정하였을 때, 각 오목홈(8b)의 연장 돌출방향에 위치하는 X1, Y1, X2, Y2축 위에 각각 통형상체(9)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X-Y 직교 좌표축에 대하여 45도 회전하는 좌표축 위에 각각 규제돌기(10)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의 관통구멍(8a)의 하단에는 홀더(3)의 반구형상부(3a)가 맞닿아 있고, 이 홀더(3)에는 반구형상부(3a)에서 관통구멍(8a)을 삽입하여 케이싱(1)의 외부로 돌출하는 연결로드(3b)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노브(2)의 내저면 중앙은 이 연결로드(3b)의 상단에 스냅결합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조작 노브(2)는 케이싱(1)의 천정판 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단, 반구형상부(3a)의 주위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3c)이 케이싱(1) 내부의 규제돌기(도시 생략)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홀더(3)가 케이싱(1)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노브(2)는 각 오목홈(8b)의 연장 돌출방향(도 3의 X1, Y1, X2, Y2 방향)으로만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조작 노브(2)의 바깥 둘레벽 하단에는 4개의 슬릿(2a)이 90도의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슬릿(2a)은 케이싱(1)의 천정판 위에 세워 설치된 4개의 규제돌기(10)에 대향하고 있다. 또 조작 노브(2)의 안 둘레벽에는 4개의 구동돌기(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구동돌기(2b)는 케이싱(1)의 천정판위에 세워 설치된 4개의 통형상체(9)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즉, 조작 노브(2)에는 4개의 슬릿(2a)과 4개의 구동돌기(2b)가 둘레방향으로 45도의 등간격을 유지하여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체(4)는 통형상체(9)의 가이드 구멍(9a)에 삽입되는 축형상부(4a)를 가지고 있고, 이 축형상부(4a)의 상단에는 통형상체(9)의 바깥쪽을 상하 이동하는 통형상의 스커트부(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구멍(9a)에 대응하는 4개의 구동체(4) 중,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구동체(4)의 스커트부(4a)는 강성이 높은 탄성 아암부(1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들 탄성 아암부(11)와 2개의 구동체(4)에 의하여 1세트의 구동체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즉, 4개 구동체(4)는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2세트의 구동체 유닛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세트의 구동체 유닛은 탄성 아암부(11)의 양쪽 끝에 구동체(4)를 가지고 있다. 이들 축형상부(4a)의 상단면은 조작 노브(2)의 구동돌기(2b)에 맞닿아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2)가 비조작상태에서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각 구동체(4)의 스커트부(4b)는 통형상체(9)의 상단부와 오버랩되어 있다.
스위치 유닛(5)은 박스체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서 2개의 액츄에이터(5a)를 돌출하고 있고, 그 박스체 내에는 각 액츄에이터(5a)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소자가 2세트 수납되어 있다. 프린트 회로기판(6) 위에는 이와 같은 스위치 유닛(5)이 2개 실장되어 있고, 양 스위치 유닛(5)의 박스체로부터 돌출하는 4개의 액츄에이터(5a)는 각 구동체(4)의 축형상부(4a)의 하단에 맞닿아 있다. 또 바닥 덮개(7)는 스냅결합과 나사(12)를 병용하여 케이싱(1)에 고정되어 있고, 케이싱(1) 내에 수납된 프린트 회로기판(6)의 하면은 바닥 덮개(7)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내장한 2연형의 스위치 유닛(5)을 2개 사용하고 있으나, 택트스위치 등이라 불리우는 단품의 스위치소자를 4개 사용하거나, 가동 접점을 가지는 4개의 돌출부를 탄성체에 일체로 형성한 러버스위치 등이라 불리우는 4연형의 스위치 유닛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노브(2)가 요동 조작되고 있지 않은 비조작상태에서 각 구동체(4)의 상단면은 조작 노브(2)의 구동돌기(2b)에 맞닿아 있으나, 이들 구동체(4)는 스위치유 닛(5)의 액츄에이터(5a)에 대하여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을 정도의 약간의 가세력을 주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조작 노브(2)는 4개의 구동체(4)로부터 균등한 힘을 받아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조작 노브(2)를 임의방향, 예를 들면 도 3의 X1 방향으로 요동 조작하면, 조작 노브(2)는 Y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X1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X1 방향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동체(4)가 대응하는 구동돌기(2b)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이 구동체(4)가 가이드 구멍(9a) 내를 하강하여 액츄에이터(5a)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스위치 유닛(5)의 하나의 스위치소자가 선택적으로 온 동작하고, 이 온 신호에 의거하여 조작 노브(2)의 조작방향이 검출된다. 이때, Y1, X2, Y2 방향에 위치하는 나머지 3개의 구동체(4) 중, Y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구동체(4)는, 그것들에 대응하는 양 구동돌기(2b)의 선단을 연결하는 직선 위에 조작 노브(2)의 회동축을 위치시키고 있고, 또 동시에 스위치 유닛(5)을 동작하는 작동력을 넘지 않도록 탄성 아암부(11)의 탄성이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조작상태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조작 노브(2)의 요동방향(X1방향)과 180도 대향하는 X2방향에 위치하는 나머지 하나의 구동체(4)는, 대응하는 구동돌기(2b)가 위쪽으로 크게 회전 이동함으로써 중립위치에서 스위치 유닛(5)에 주어져 있는 가세력의 분만큼 상승하고, 구동돌기(2b)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진동을 받은 경우에 상하방향으로 덜컥거리려고 하나, Y1방향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지 않는 구동체(4)에 탄성 아암부(11)를 거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탄성 아암부(11)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덜컥거림)이 억제되어 있다. 또 이 X2방향에 위치하는 구 동체(4)는 X1방향에 위치하는 구동체(4)와는 다른 세트의 구동체 유닛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X1방향에 위치하는 구동체(4)의 요동동작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따라서 구동체(4)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아암부(11)의 강성을 높이고, 그것에 의하여 쌍이 되는 구동체(4)와 일체적인 결합을 하였다 하여도, 스위치 유닛(5)의 오동작이나 조작 노브(2)의 조작감촉의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노브(2)에 대한 상기 조작력이 제거되면, 스위치 유닛(5)에 내장된 도시 생략한 리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액츄에이터(5a)가 회동 복귀하기 때문에, 가압된 구동체(4)가 가이드 구멍(9a) 내를 원래의 위치까지 상승하고, 그것에 따라 스위치 유닛(5)의 스위치소자가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변환됨과 동시에, 조작 노브(2)가 도 1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또한 조작 노브(2)를 상기와 다른방향으로 요동 조작한 경우도 마찬가지이고, 예를 들면 도 3의 Y1방향으로 조작 노브(2)를 요동 조작하면, 조작 노브(2)는 X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Y1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Y1 방향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동체(4)가 가이드 구멍(9a) 내를 하강하여 스위치 유닛(5)의 대응하는 액츄에이터(5a)를 회동시킨다. 이 경우는, 조작 노브(2)의 요동방향(Y1 방향)과 180도 대향하는 Y2 방향의 구동체(4)가 대응하는 구동돌기(2b)로부터 이반되나, 이 구동체(4)는 Y1 방향에 위치하는 구동체(4)와는 다른 세트의 구동체 유닛에 설치되어 있고, X1 방향에 위치하여 상하 이동하지 않는 구동체(4)에 탄성 아암부(11)를 거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탄성 아암부(11)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덜컥거림)이 억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스위치장치는, 스위치 유닛(5)을 내포하는 케이싱(1)의 천정판 위에 4개의 통형상체(9)를 둘레방향으로 90도의 등간격을 유지하여 세워 설치하고, 이들 통형상체(9)의 가이드 구멍(9a)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4개의 구동체(4) 중,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구동체(4) 사이를 탄성 아암부(11)에 의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각 구동체(4)의 축형상부(4a)를 대응하는 가이드 구멍(9a)의 위쪽으로부터 케이싱(1) 내에 삽입함으로써 탄성 아암부(11)를 케이싱(1)의 천정판의 상면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케이싱(1)을 기준으로 하여 각 부품을 모두 일 방향으로부터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의 자동화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조립라인에서 도시 생략한 지그 위에 얹어 놓은 홀더(3)에 케이싱(1)을 씌워 연결로드(3b)를 관통구멍(8a)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싱(1)의 위쪽으로부터 각 구동체(4)의 축형상부(4a)를 가이드 구멍(9a) 내에 삽입한 후, 관통구멍(8a)으로부터 돌출하는 연결로드(3b)의 상단에 조작 노브(2)의 내저면 중앙을 스냅 결합하면, 케이싱(1)의 천정판 위에 각 구동체(4)와 조작 노브(2)의 조립을 행할 수 있고, 그후, 이 상태 그대로 케이싱(1)을 컨베이어 등으로 다음 스테이지까지 반송하여 스위치 유닛(5)이 실장된 프린트 회로기판(6)과 바닥 덮개(7)의 위쪽으로부터 케이싱(1)을 씌우면 케이싱(1)에 바닥 덮개(7)가 스냅인되어 양자를 일체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구동체(4)를 탄성 아암부(11)에 의하여 연결하여 1세트의 구동체 유닛을 구성하고, 이와 같은 구동체 유닛을 2세트 사용함으로써 4개의 구동체(4)를 동일형상으로 형성 된 2세트의 구동체 유닛으로 2개씩 나누었기 때문에, 조작 노브(2)의 요동조작에 따라 임의의구동체(4)가 선택적으로 가압 구동되었을 때, 그 요동방향과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구동체(4)의 덜컥거림을 가압 구동되는 구동체(4)와는 다른 세트의 구동체 유닛에 설치된 탄성 아암부(11)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체(4)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아암부(11)의 강성을 높였다 하여도, 원래 구동되어야 할 구동체(4)의 가압동작이 탄성 아암부(11)의 강성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스위치 유닛(5)의 오동작이나 조작 노브(2)의 조작감촉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구동체(4)의 축형상부(4a)의 상단에 스커트부(4b)를 형성하고, 이 스커트부(4b)의 내면이 통형상체(9)의 바깥쪽을 상하 이동하도록 양자를 오버랩시켰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이 가이드 구멍(9a)을 통하여 케이싱(1)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한 방진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4개의 구동체를 사용한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8개의 구동체를 조작 노브의 요동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45도 간격마다 설치하고, 그 중에 2개 또는 4개의 구동체를 탄성 아암부로 연결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조작 노브의 요동방향의 선상에 스위치 유닛의 액츄에이터를 배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조작 노브를 스위치 유닛의 각 액츄에이터의 중간방향(도 3의 X-Y 좌표축에 대하여 45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고, 이 방향으로 조작 노브를 요동 조작하였을 때에 요동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거쳐 대향하는 2개의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스위치 유닛의 양 스위치소자를 온동작시키고, 이들 온신호에 의거하여 조작 노브의 조작방향을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소자를 내포하는 케이싱의 천정판 위에 조작 노브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복수의 구동체에 의하여 조작 노브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스위치소자에 전달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동체의 임의의 하나를 둘레방향의 적어도 한쪽측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체에 탄성 아암부를 거쳐 연결함과 동시에, 각 구동체를 가이드 구멍의 위쪽으로부터 케이싱 내에 삽입함으로써 탄성 아암부를 케이싱의 천정판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작 노브의 케이싱에 대한 조립과 각 구동체의 가이드 구멍에 대한 삽입을 어느 것이나 케이싱의 천정판의 상면측에서 행할 수 있어, 조립의 자동화에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 노브의 요동 조작시에 구동체가 외부 진동에 의해 덜컥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프린트 회로기판 위에 실장된 복수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스위치소자를 내포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 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스위치소자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구동체를 구비하고, 이들 구동체가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에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구멍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가이드 구멍이 상기 조작 노브의 요동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주위에 배열되어 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임의의 하나를 둘레 방향의 적어도 한쪽측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체에 탄성 아암부를 거쳐 연결하고, 상기 구동체를 상기 가이드 구멍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탄성 아암부를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의 상면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수가 4개임과 동시에, 하나의 상기 탄성 아암부의 양쪽 끝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구동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1세트의 구동체 유닛으로 이루고, 4개의 상기 구동체를 2세트의 상기 구동체 유닛으로 나누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천정판에 상기 가이드 구멍이 설치된 통형상체를 세워 설치하고, 상기 구동체의 상단면에 상기 통형상체의 외벽면과 오버랩하는 스커트부를 늘어뜨려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KR1020060132060A 2005-12-22 2006-12-21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KR100786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0471 2005-12-22
JP2005370471A JP2007173098A (ja) 2005-12-22 2005-12-22 多方向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959A true KR20070066959A (ko) 2007-06-27
KR100786283B1 KR100786283B1 (ko) 2007-12-18

Family

ID=3819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060A KR100786283B1 (ko) 2005-12-22 2006-12-21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72509B2 (ko)
JP (1) JP2007173098A (ko)
KR (1) KR100786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0803A1 (en) * 2008-09-03 2010-03-04 Caterpillar Inc. Manual control device
KR20180092042A (ko) * 2017-02-08 2018-08-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오작동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4방향 스위치
CN112602161A (zh) * 2018-08-08 2021-04-02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操作装置以及操作部
DE102022115774A1 (de) * 2022-06-24 2024-01-04 Signata GmbH Bedienanordnung mit einem in einem Gehäuse gelagerten Bedienknau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830U (ko) * 1988-06-29 1990-01-18
JPH0511244U (ja) * 1991-07-24 1993-02-12 日本圧電気株式会社 プツシユノブの防滴構造
JP3790384B2 (ja) 1999-05-17 2006-06-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3880756B2 (ja) 1999-10-19 2007-0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3968944B2 (ja) * 2000-03-15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操作ユニット
JP3994664B2 (ja) * 2000-12-28 2007-10-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JP3964731B2 (ja) 2002-05-14 2007-08-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TWM241742U (en) * 2002-07-17 2004-08-21 Lite On Technology Corp PDA and button apparatus of PDA
TW570281U (en) 2002-08-06 2004-01-01 Excel Cell Elect Co Ltd Multi-directional trigger switch
JP3988584B2 (ja) * 2002-08-27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KR200319349Y1 (ko) 2003-04-24 2003-07-07 금승호 다방향 택트 스위치
US20050061639A1 (en) * 2003-09-22 2005-03-24 Stringwell Roderick W. Switch stabilizer
JP4279648B2 (ja) 2003-10-20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7310084B2 (en) * 2004-06-29 2007-1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way operation switch, input device and input unit
KR101083850B1 (ko) * 2004-12-10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방향 버튼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283B1 (ko) 2007-12-18
US20070144290A1 (en) 2007-06-28
US7772509B2 (en) 2010-08-10
JP2007173098A (ja)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0504B2 (en) Multi-operational electronic device
US7463241B2 (en) Joystick input device
US7507919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0786283B1 (ko)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고, 구동체의 덜컥거림을 방지할 수있는 다방향 스위치장치
US7492353B2 (en) Joystick switching device
JPH08167348A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4031345A (en) Miniature electrical switch
JP4317741B2 (ja) 4方向スイッチ装置
US6567074B2 (en) Operation apparatus using operating unit having plural push-buttons formed integrally therewith
KR100368717B1 (ko) 요동조작형 스위치장치
US6965084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06286334A (ja) 多方向入力装置
CN1233007C (zh) 多方向输入装置
KR100382031B1 (ko) 스위치장치
KR100489998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2008041317A (ja) 揺動操作型入力装置
JPH0741917U (ja) 回転式パルススイッチユニット
JPH10134677A (ja) シーソー・スライド複合動作スイッチ
JP7356589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組立方法
JP3965766B2 (ja) 多方向操作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操作入力機器
JP200628633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3151409A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719931U (ja) 多方向スイッチにおけるジョイスティック支持構造
JP2011082124A (ja) 揺動スイッチ
KR20010110318A (ko)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