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852A -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 Google Patents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852A
KR20070061852A KR1020077007476A KR20077007476A KR20070061852A KR 20070061852 A KR20070061852 A KR 20070061852A KR 1020077007476 A KR1020077007476 A KR 1020077007476A KR 20077007476 A KR20077007476 A KR 20077007476A KR 20070061852 A KR20070061852 A KR 2007006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ans
neck
sealing
annula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851B1 (ko
Inventor
로드니 드릿
Original Assignee
크레노바 유니버셜 클로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5/05155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097151A2/en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5/05157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024550A1/en
Application filed by 크레노바 유니버셜 클로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크레노바 유니버셜 클로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6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09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both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66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arton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특히 탄산 음료의 용기의 목부 (25) 의 밀봉을 위한 밀봉 수단 (2) 에 관한 것이다. 밀봉 수단은, 용기의 목부 (25) 의 외부 자유면 (17) 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한 외측 밀봉 수단 (20) 을 포함한다. 외측 밀봉 수단 (20) 은 연결부 (34) 에 의해 수직 상부면 (35) 내로 썩이는 환상 기부 (22), 및 환상 기부 (22) 의 자유 단부에 배치되는 1 이상의 환상 밀봉 링을 포함하며, 이 환상 밀봉 링은 상기 기부 (22) 의 내면 상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며, 상기 목부 (25) 와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외부 자유면 (17) 을 갖는 제 1 밀봉영역 (30) 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SEALING MEANS FOR A CLOSURE, CLOSURE AND PROCESS}
본 발명은 마개용 밀봉 수단, 특히 음료수와 같은 액체용 포장을 위한 마개용 밀봉 수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프트 드링크와 같은 탄산 액체를 위한 용기용 밀봉 수단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기압 이상 또는 이하에서의 내용물을 갖는, 또는 기체 성분을 갖는, 또는 기밀 밀봉을 필요로 하는 유리 또는 PET 용기와 같은 다른 용기를 밀봉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마개 및 각 마개의 밀봉 수단을 만들고 결합하는 동안에 관한 것이다.
마개의 밀봉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본문에서 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본문에서 PP) 과 같은 몇 종의 플라스틱, 또는 다렉스 (DarexTM) 라이너 재료와 같은 EVA계 재료로 제조된다. 다렉스는 주로 라이너 마개의 제조에 사용되며, 이 물질은 PE 보다 덜 경하며 내구성이 떨어진다. 저밀도 PE (LD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또는 폴리올레핀계 원료의 화합물과 같은 소프트한 재료는 종종 밀봉 재료로서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더 단단한 재료는 종종 마개의 쉘 재료로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부터 용기의 밀봉용 마개 및 캡에 관한 광대한 양의 문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선택된 범위가 설명된다.
EP0076778 (Albert Obrist Ag 에 의해 1982년에 출원) 은, 그 자유 단부에 대해 연속해서 감소되는 두께를 갖는 원형 외부 밀봉 립 (lip) 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마개 캡에 관한 것이다. 외부 밀봉 립은 외부 수직 스커트와 디스크형 상부 사이의 접촉 영역에 배치되며 비스듬하게 내부를 향한다. 외부 밀봉 립의 최소 직경에서, 외부 밀봉 립은 둥근 밀봉 부분을 갖는다. 밀봉 부분 아래에 밀봉 립이 깔때기 방식으로 용기 개구를 수용하기 위해 외부를 향해 펼쳐져 있다. 그러나, 밀봉 립의 비스듬한 배치 때문에, 밀봉 립은 결합시, 특히, 용기의 목부에 굽혀지는 결합시 종종 뒤틀리게 된다. 경사진 배치 때문에 이 밀봉은 비교적 강성이며, 따라서 측면 방향으로 조정이 불량한 단점들을 갖는다.
US4489845 (Albert Obrist Ag 소유) 는 1984 년에 출원되었다. US4489845 는 용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스크류 캡에 관한 것이다. 캡은 캡 상부에 부착된 밀봉 립을 갖는다. 외부 밀링 립의 내부 측벽은 용기 외부 벽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내부 시일로서 구성될 수 있는 클램핑 장치는 스크류 캡이 용기에 스크류결합되는 경우 마개의 변형 때문에 캡의 수축을 일으킨다 (즉, 밀봉립이 용기의 입구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립은 단지 스크류-온 (screwing-on) 공정의 순서 동안, 용기의 입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밀봉 립 재료의 과도한 늘어남 및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된 위치에서, 밀봉 립은 용기 개구의 목부의 상부 외부 림을 중심으 로 결합한다. 마개의 상기된 변형은 과도한 작동력에 관련하는 한 단점이 있다. 외부 쉘은 과도한 응력 및 변형 (응력 크랙) 으로 인해 부서져 마개 완성이 실패하고 생산 손실을 발생시키는 다른 단점들이 있다.
EP0114127 (콘티넨탈 화이트캡에 의해 1984년 출원) 및 EP0176205 (선 코스트 플라스틱에 의해 1985년에 출원) 모두에는 일반적으로 V형상으로 배치된 두 개의 밀봉 플랩을 갖는 시일이 기재되어 있다. 마개가 용기에서 아래로 빠져버리면, 용기 밀봉 영역과의 효과적인 밀봉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플랩이 밀봉 명의 단면에 따라 용기의 입구의 내측 하부 및 목부 마지막의 외측면 하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영역을 변형할 수 있다. 밀봉 플랩은 결합된 위치에서 측면방향으로 지지되며, 마개의 목부에 대해 가압된다.
EP0529383 (Jacob Berg GmbH 에 의해 1992년에 출원) 은 용기, 특히 가압된 음료수 용기용 플라스틱 스크류 캡에 관한 것이다. 마개는 마개의 쉘과 일체로 성형되는 환상 밀봉 스트립을 포함한다. 밀봉 스트립 부근에 비드가 배치되어 용기의 목부의 상부 외부 가장자리에 대해 밀봉 스트립을 가압한다. 한 단점은 측면 조정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EP770559 (Sacmi Cooperativa Meccanici 에 의해 1996년에 출원) 은 압축 성형에 의해 이루어진 라이너를 갖는 플라스틱 스크류 갭에 관한 것이다. 마개에는 라이너를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고, 원통형 외벽에 대해 동심으로 디스크형상으로 돌출한 환상 립이 구비된다. 환상 립은 밀봉 라이너의 숄더로서 작용하여, 캡이 용기에 결합시 라이너가 용기의 입구의 림에 결합되게 한다.
US4489844 (Charles A. Breskin Assoc. Inc. 소유로 1982년에 출원)는 탄산 음료 용기 등을 폐쇄하는 재사용 캡에 관한 것이다. 마개는, 자유 단부에서 음료수 용기의 목부를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부속품을 갖는 내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다. 쉘 및 부속품은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며, 동일한 성형 캐비티의 다른 부분에서 사출 성형된다. 우선, 부속품이 형성되고, 그 후 부속품이 형성된 위치에서 부속품을 이동시키지 않고 쉘을 형성하여, 부속품의 실질적인 부분이 쉘에 파묻힌 단일 구성을 제조한다.
US5447674 (Frank Schellenbach 에 의해 1993년에 출원) 은 이성분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마개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몰드 코어에 관한 것이다. 이성분 사출 성형 방법에서 사용하는 몰드 코어는 용기의 플라스틱 마개의 사출 성형을 위한 것이다. 몰드 코어는 제 1 및 제 2 하부코어로 구성된다. 제 1 기재의 사출성형 후, 일 하부코어 또는 공구 요소는 제 1 성형에 대해 정해진 양으로 변위된다. 상기 공정의 한 단점은, 코어의 변위는 단지 제 1 스테이지의 재료가 충분히 응고된 경우 발생하여 상당한 지연을 가져오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마개 및 시일의 형상이 몰드 기능 때문에 상당히 한정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몰드의 코어의 변위가 더 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일이 몰드의 언더컷을 나타내는 반경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WO03011699 (베리캡에 의해 2002년에 출원) 는, 실질적으로 절두되고, 밀봉 스커트의 자유 단부를 향해 밀봉 스커트 기부로부터 수렴하는 내부 밀봉 스커트를 포함하는 마개 캡에 관한 것이다. 밀봉 스커트의 내측은 목부의 외측과 상호작 용하도록 구성된다. 그 자유 단부를 향한 밀봉 스커트의 내경은 목부의 외경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개는 목부의 림에 라이너의 부착성을 개선하거나, 라이너와 림 사이의 접촉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된 환상 v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발명자의 탄산 음료 용기용 마개 시리즈가 공지되어 있는데, 그 중 WO99/03746(1998), WO99/03747(1999), WO89/12584(1989), WO03/022701, WO00/56616, WO/56615 가 설명된다. 이러한 마개의 밀봉은 모두, 마개의 상부에 대해 하방으로 내부를 향해 돌출한 환상 밀봉 립이 용기의 목부에 결합시 뒤집혀서 회전되는 공통점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마개의 문제는, 이러한 마개의 밀봉이 종종 높은 내부 압력에서 실패하며, 내용물이 캡의 상부의 돔형 변형 또는 해제로 인해 누출되는 것이다. 특히, 용기의 목부의 내부 외주면 또는 환상 상부면에 우선적으로 밀봉하는 캡으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의 마개로 종종 일어나는 다른 문제는 용기의 높은 내부 압력 및 마개의 상부에 가해진 부가의 상부 압력, 예컨대 몇몇 용기의 적층으로 인해 밀봉이 누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개의 변형, 및 이와 관련된 시일의 변형이 발견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마개의 다른 문제는 용기의 목부에 마개의 굽혀지는 결합으로 인해 밀봉이 실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 특히 탄산 음료, 및 고온 또는 저온 액체를 위한 용기용 마개로서, 용기의 목부, 특히 어떤 결함 및 손상을 갖는 용기의 목부에 대한 개선된 적합성을 갖는 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 싸이클 기간 및 적은 재료의 소비와 같은 제조 장점을 제공하며, 높은 내부 압력 및 상부 하중에서도 압력이 새지 않는, 탄산 음료 및 다른 고온 또는 저온 액체에 적합한 밀봉 수단 및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수단을 갖는 마개는 표준화된 용기의 목부를 포함하는 용기와 결합하는데 적합하다. 표준화된 목부는 외부 나사를 갖는 외부면을 포함한다. 외주면은 가장자리면에 의해, 용기가 직립해 있을 때, 용기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환상 상부면에 연결된다. 환상 상부면 및 외부 나사 사이에는, 나사가 없고 밀봉에 적합한 외부 자유면은 목부의 약 1 ㎜ ~ 3 ㎜ 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용기의 목부는 환상 상부면에 인접한 원통형 내부 외주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수단 외에, 마개는 일반적으로 디스크형 상부를 갖는 기부와,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의 표준 목부의 외부 나사와 같은 대응 보유 수단에 결합하는데 적합한 외부 나사와 같은 보유 수단을 갖는 기부에 인접한 외부 스커트를 포함한다. 적합하다면, 마개는 마개의 기부에 상호연결되며 오리피스를 밀봉식으로 폐쇄하는데 적합한 힌지식 리드 (lid) 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개의 플라스틱 재료는 고 밀도 폴리에틸렌, 저 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그 조합물이다. 용기가 가스 액체에 사용되는 경우,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가스에 대해 아주 낮은 투과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밀봉 수단은 제 1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P형 단면을 포함한다. 밀봉 수단은 한정된 폭 및 깊이를 갖는 갭에 의해 마개의 외부 스커트에 반경방향으로 떨어진 내측에서, 일반적으로 마개의 디스크형 상부로부터 마개 내로 수직으로 신장하는 원통형 스커트를 포함한다. 내부 스커트는 일반적으로 그 단부에 대해 자유 직립하는 측부의 조정가능한 하방 레그 형태를 가지며, 그 기부에서 마개의 상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커트 반대 하단부의 영역에서 내부 스커트는, 원통형 스커트의 측면 위로 돌출한 1 이상의 도넛형 밀봉 링으로 변화된다. 폐쇄된 위치에서 도넛형 밀봉 링은 형성된 접촉면을 통해 용기의 목부의 외부 자유면과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호작용하며, 이 접촉면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발생할 수 있는 돔형 변형 (doming), 외측 림 상부에서 병 마무리 손상, 마개의 리프팅과 같은 공지된 문제의 영향을 가능한 줄이도록, 병의 목부의 자유면 상에서 아래로 멀리 배치된다. 원통형 스커트는 도넛형 밀봉 링을 위한 기부로서 작용하며, 용기의 목부의 나사와 도넛형 밀봉 링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을 회피한다. 1 이상의 도넛형 밀봉 링은 바람직하게는 환상 장력으로 인해 우선적으로 밀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밀봉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목부에 결합시, 반경방향으로 변경된 위치에서도 독립적으로 직립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부 스커트와 외부 스커트 사이의 갭은 밀봉 수단과 외부 스커트가 언제라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넛형 밀봉 링은 용기의 목부를 향해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접촉 구역을 한정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뿌리부에서 주로 환상 압력과 굽힘력이 가해지는 종래 기술의 시일과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독립 직립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수단은 용기의 목부에 결합시, 도넛형 밀봉 링에서 발생하는 환상 장력으로 인해 주로 밀봉되는 것이다. 밀봉 수단은 용기의 목부의 측면 및/또는 반경 오프셋 또는 뒤틀림의 양을 조정/보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부로서 작용하는 원통형 스커트는 측면/반경 방향으로 특정한 가요성을 제공한다. 마개의 상부와 도넛형 밀봉 링 사이의 밀봉 수단의 기부의 반경 두께에 대한 수직 길이의 비가 적어도 1:1, 바람직하게는 4:1 인 경우에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적용 분야에 따라서, 밀봉 수단의 기부의 반경 두께 및 형상, 황상 밀봉 링의 반경 두께, 그리고 환상 밀봉 링의 반경 두께에 대한 수직 길이의 비율, 내부 스커트와 외부 스커트 사이의 갭과 같은 다른 양태의 비도 적합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일은 일반적으로 R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P형 단면은 내측으로 마개의 내 상면에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는, 가장자리면이 연결부상에 가압하는 경우, 기부의 제어된 변형으로 인해 용기의 목부의 외부 자유면으로 내부를 향해 환상 밀봉 링을 당겨지도록 하는, 용기의 목부의 가장자리면을 갖는 제 2 밀봉 영역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적용 분야에 따라서, 연결부는 반경을 갖는 오목형상에 의해, 또는 램프형상에 의해, 또는 외부를 향해 국부적으로 돌출한 볼록형상에 의해 기부와 상부면과 매끄럽게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환상 밀봉 링의 반경방향 두께와 기부의 사이의 종횡 비는 2:1 ~ 3:1이다 (적용 분야에 따라서 다른 종횡비도 적절할 수 있다). 환상 밀봉 링의 수직 자유 길이와 그 반경 두께 사이의 종횡비는 1:1 ~ 4:1이다. 적용 분야에 따라서, 다른 종횡비도 적합하다. 환상 밀봉 링의 단면의 형상과, 밀봉 수단의 기부에 대한 접촉면의 편심률은 적용 분야에 더 관계 있는데, 이는 이러한 파라미터가 환상 장력의 분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밀봉 수단의 기부의 형상 및 배치는 밀봉 수단의 성능 및 물리적 거동과 관계한다. 예컨대, 밀봉 수단의 기부가 마개의 상부에 대해 (원뿔형으로) 경사지는 경우, 불일치 때문에 용기의 오리피스 (개구) 상의 마개의 팝온 (pop on) 은 더 어렵게 되며, 실패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시일의 힘의 분배 및 초기 용접은 더 어려워 진다.
밀봉 수단 및 마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성분 몰드에서 사출 성형 공정 (각각 이성분 사출 성형 공정) 에 의해 만들어지며, 라이너를 형성하는 제 1 재료가 응고하는 몰드 캐비티의 코어 상에서 제 1 플라스틱 재료가 액체 형태로 제 1 캐비티 내로 분사되어 만들어진다. 그 후, 라이너는 제 1 코어와 제 2 캐비티 위치로 변위되며, 마개의 외부 쉘용 제 2 재료는 제 2 캐비티로 분사된다. 따라서, 밀봉 라이너의 재료와 외부 쉘의 재료는 서로 통합되도록 합쳐진다.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 1 코어와 접촉하지 않는 밀봉 라이너의 캐비티에서 영역은 바라직하게는 밀봉 라이너가 보유력 없이 제 1 캐비티 밖으로 꺼내질 수 있다. 따라서, 변위 방향에 대해 주로 수직으로 신장하는 방해 언더컷 또는 코어는 회피된다. 설명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단단한 결합이 라이너와 쉘 재료 사이에서 얻어진다. 압축 성형 공정에 의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은 이성분 마개와의 차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마개는 더 신뢰할만한 밀봉을 나타내는 것이다. 압축 성형에 의한 마개의 탈형시 통상 발생하는 문제는, 마개의 쉘이 제 1 및 제 2 밀봉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에 기재된 공정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외부 쉘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고 밀도 폴리에틸렌 (HDPE) 으로 이루어지며, 라이너는 EVA와 같은 연성 재료, 또는 폴리올레핀 원료기 화합물 재료로 이루어진다. 마개의 실시예는 나사 및 용기의 목부의 환상 상부면 사이에 배치된 외부 나사가 없는 외주 원통형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밀봉 수단을 더 포함한다.
용기의 목부의 밀봉을 위한 밀봉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목부의 외부 자유면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반경방향 변형가능한 외측 밀봉 수단을 포함하며, 외측 밀봉 수단은 환상 기부 및 환상 밀봉 링과 함께 일반적으로 P형 단면을 가지며, 환상 밀봉 링은 환상 기부의 자유 단부에 배치되고, 기부의 내면 위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며, 결합된 위치에서 목부와 외부 자유면을 갖는 제 1 밀봉 영역을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 수단은 일반적으로 R형 단면을 갖는 외측 밀봉 수단을 갖는다. 연결부는 기부에 배치되고, 마개의 수직 상부면과 기부를 상호작용시킨다. 연결부는 밀봉 수단 및 목부의 결합 위치에서, 목부의 가장자리면과 외측 밀봉 수단 사이의 제 2 밀봉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밀봉은 가장자리면과 연결부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외측 밀봉 수단이 제어식으로 변형되어 환상 밀봉 링이 목부의 외부 자유면에 대해 더 견고하게 가압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는 적용 분야에 따라서, 예컨대 램프형 단면, 볼록형 단면 또는 오목형 단면과 같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가 매끄러운 상호연결을 위해 구성되면,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목부의 가장자리면의 반경 보다 큰 반경 (R) 을 갖는다.
밀봉 수단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마개는 라이너 재료로 이루어진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는 외부 하방 레그를 따라 수직으로 신장하는 내부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 재료로 이루어진 환상 밀봉 링은 내부 스커트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밀봉 수단은 보어 시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어 시일은 라이너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쉘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수단 및 마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밀봉 수단을 갖는 마개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마개의 위로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은 밀봉 수단의 제 1 실시예를 갖는 마개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AA 선에 따른 도 3 의 마개의 단면 절삭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B 의 상세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밀봉 수단을 갖는 마개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CC 선에 따른 도 6 의 마개의 단면 절삭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D 의 상세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예의 밀봉 수단을 갖는 마개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EE 선에 따른 도 9 의 마개의 단면 절삭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F 의 상세도이다.
도 1 은 아래에서 본 같은 크기의,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수단 (2) 을 포함하는 마개 (1) 를 나타내며, 도 2 는 동일한 마개 (1) 의 위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마개 (1) 는 디스크형 상부 (4) 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신장하는 외부 스커트 (3) 를 포함한다. 외부 스커트 (3) 는 마개의 작동시 더 나은 그립을 제공하는, 그 외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너얼 (5) 을 갖는다. 내면에서 외부 스커트 (3) 는 나사부 (7) 로 이루어진 나사 (6) 를 포함한다. 외부 스커트는 그의 하단부에서 탬퍼 밴드 (8) 와 상호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탬퍼 밴드 (8) 는 일반적으로 마개의 외부 스커트 (3) 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내면에서 탬퍼 밴드 (8) 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한 언더컷부 (9) 를 포함하며, 이 언더컷부는 일반적으로 구형 하부 (10) 를 갖는다. 용기 (도시되지 않음) 의 목부에 마개를 결합할 때, 구형 언더컷부는 용기의 목부에 대한 밀봉 수단의 중심맞춤과 정렬을 지지한다. 따라서, 기울어진 결합으로 인한 실패 가능성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언더컷부 (9) 위에는, 탬퍼 밴드 (8) 의 내면 (15) 위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중심맞춤 요소 (11) 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요소는 마개 축선 (z) 에 정렬되며, 용기의 목부의 잠금 비드에 대해 마개 (1) 를 중심맞추는 것을 돕는다. 마개 (1) 의 개봉시 탬퍼 밴드의 기울어짐이 감소된다.
탬퍼 밴드 (8) 은, 마개 (1) 의 최초 개봉시 파괴되는 부서지기 쉬운 브릿지 (12) 에 의해 마개 (1) 의 외부 스커트 (3) 에 상호연결된다. 탬퍼 밴드 (8) 는 갭 (13) 에 의해 마개 스커트 (3) 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릿지 (12) 는 리세스 (14) 에 배치되는데, 이 리세스는 브릿지 (12) 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서 마개 (1) 의 결합시 원하지 않는 브릿지 (12) 의 분열을 회피하는 것을 돕게 된다.
도 3 은 마개 (1)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마개 (1) 는 일반적으로 마개 (1) 의 스커트 (3) 보다 일반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는 탬퍼 밴드 (8) 를 포함한다. 이 탬퍼 밴드 (8) 는 마개 (1) 의 개방시 접촉점으로서 적합한 숄더 (16) 를 포함한다. 브릿지 (12) 는 리세스 (14) 에 배치된 도 1 및 도 2 의 마개와 유사하다. 선 AA 에 따른 단면절단도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도 3 의 AA 선에 따른 마개 (1) 및 밀봉 수단 (2) 의 단면절단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 는 도 3 의 밀봉 수단 (2) 의 상세부 (B) 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5 에서, 용기의 목부 (25; 파선) 는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밀봉 수단 (2) 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있으며, 그리고 외측 시일 (20) 및 일반적으로 V 형상의 상부 시일 (21) 을 포함하며, 이 상부 시일은 마개 (1) 내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마개 (1) 의 디스크형 상부 (4) 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폐쇄 위치에서 목부 (25) 의 환상 끝면 (27) 과 상호작용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측 시일 (20) 은 일반적으로 P형 단면을 가지며, 기부 (22) 및 이 기부 (22) 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옆으로 돌출한 환상 밀봉 링 (23) 을 포함하며, 이 환상 밀봉링은 나사 (26) 위의 무나사 영역에 있는 목부 (25) 의 외주면 (17) 에서 밀봉하기에 적합하다. 외측 시일 (20) 은 외부 스커트 (3) 와 반경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평행한 측벽을 갖는 환상 갭 (24) 이 마개 (1) 의 외부 스커트 (3) 와 시일 (20)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외측 시일 (20) 의 외부 자유 길이 (L) 를 규정하게 된다. 환상 갭 (24) 의 두께는, 마개가 목부 (25) 상에 결합될 때, 환상 밀봉 링 (23) 및 기부 (22) 가 반경 방향 (r+) 으로 자유롭게 신장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외측 시일 (20) 의 기부 (22) 의 수직 길이 (L) 는 환상 밀봉 링 (23) 이 목부 (25) 의 외부 수직면 (17) 의 자유 길이를 따라 가능한 아래에 배치되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의 외측 나사 (26) 의 시작지점 바로 윗 쪽에) 선택된다. PET 용기 상의 접촉 영역은 나사 시작지점에 따라, 통상 목부의 환상 끝면으로부터 약 0.5㎜ ~ 2㎜ 아래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마개 (1) 의 돔형 변형 또는 다른 변형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시일 (2) 은 더욱 신뢰성을 갖게 된다. 외측 시일 (20) 의 기부 (22) 가 옆으로 휨가능하게 조정가능하며 또한 수직방향 강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반경 방향으로 편심인 용기의 목부에 외측 시일 (20) 이 끼워질 때에도 환상 시일 링 (23) 이 측방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 기부 (22) 에서 환상 밀봉 링 (23) 의 반경방향 돌출량 (p) 은 목부 (25) 와의 간섭에 관련된다. 반경방향 밀봉력을 얻기 위해, 환상 밀봉 링 (23) 의 내경 (D) 은 용기의 목부의 외경 (Da) 보다 작다. 적합하다면, 목부 (25) 에 대한 밀봉 수단 (2) 의 수직방향 위치는 추가적인 정지 요소에 의해 한정된다.
도 6 은 마개 (1) 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CC 선에 따라 도 6 에 따른 마개의 단면절단도를 나타내며, 도 8 은 도 7 의 상세부 (D) 의 확대도이다. 마개 (1) 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 에 따라 설명된 마개에 대응한다. 외부 스커트, 탬퍼 밴드 및 나사 등의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되풀이하지 않으며,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수단 (2) 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측 시일 (20) 은 일반적으로 R형 단면을 가지며, 외부 스커트 (3) 와 반경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된다.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평행 측 벽을 갖는 환상 갭 (24) 이 외측 시일 (20) 과 마개 (1) 의 외부 스커트 (3)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상 갭 (24) 은, 시일이 목부 (25)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 에 가해질 때, 환상 밀봉 링 (23) 및 기부 (22) 가 적어도 초기에는 반경방향 (r) 으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외측 시일 (20) 의 기부 (22) 의 수직방향 길이 (L) 는, 환상 밀봉 링 (23) 이 목부 (25) 의 외부 수직면의 자유 길이 (17) 를 따라 최대한 아래에 배치되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사 (26) 의 시작지점 바로 위쪽에) 조정된다. 결합 위치에서, 제 1 밀봉 영역 (30) 이 밀봉 수단 (2) 과 목부 (25) 사이에 위치되며, 측방향 신장 때문에 환상 밀봉 링 (23) 은 목부 (25) 의 외부 자유면 (17) 에 가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 (22) 는 내측에서 반경 (R) 을 갖는 연결부 (34) 에 의해 마개 (1) 의 수직 상부면 (35) 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34) 는 제 2 밀봉 영역/접촉 영역 (31) 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영역 (31) 은 목부 (25) 의 외부 자유 면 (17) 과 환상 상부면 (27) 을 상호연결하는 가장자리면 (28) 에 밀착된다. 반경 (R) 은 일반적으로 가장자리면 (28) 의 반경 보다 더 커, 정확한 상호작용 구역이 결정된다. 밀봉 수단 (2) 을 목부 (25) 에 결합하는 동안에, 외측 시일 (20) 의 환상 밀봉 링 (23) 은 목부 (25) 의 환상 상부면 (27) 및/또는 가장자리면 (28) 과 접촉한다. 계속 결합하면, 환상 밀봉 링 (23) 은 목부 (25) 의 외부 자유면 (17) 상에서 미끄러져 제 1 접촉 구역 (30) 을 형성할 때까지, 원주방향으로 신장한다. 계속해서 더 결합하면, 환상 밀봉 링 (23) 및 제 1 접촉 구역 (30) 은 연결부 (34) 가 목부 (25) 의 외측 가장자리면 (28) 과 접촉하여, 제 2 접촉 구역 (31) 을 형성할 때까지 목부 (25) 의 외측 자유면 (17) 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진다. 상기 가장자리면이 외측 시일 (20) 의 내부 뿌리부 (연결부 (34)) 에 가압되기 때문에 (개략적으로 화살표 (F) 로 나타냄), 기하학적 구조상 환상 밀봉 링 (23) 은 마개의 제어된 변형 때문에 안쪽방향으로 당겨지고 (개략적으로 화살표 (rp) 로 나타냄), 따라서 외부 자유면 (17) 에 더욱 견고하게 가압되어, 밀봉 성능이 개선된다. 제 1 및 제 2 접촉 구역 사이의 이러한 기능적 상호연결은 화살표 (a) 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 2 접촉 구역 (31) 이 형성되기 전에, 외측 시일 (20) 의 기부 (22) 는 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제 2 접촉 구역 (31) 이 형성되면, 최종 위치에서 기능적 상호연결에 의해 잠긴다. 따라서, 밀봉 장치 (2) 의 결합시, 제 2 접촉 구역 (31) 이 형성되기 전에, 도 3 내지 도 5 를 따라 설명된 실시예의 모든 이점이 유지되며, 최종 위치에서 제 2 접촉 구역이 형성되고, 외측 시일 (20) 이 잠금 되면, 밀봉 성능은 전체적으로 더욱 개선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 밀봉 링 (23) 은 기부 (22) 의 내측면 위로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 (33) 는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며, 환상 밀봉 링 (23) 과 외부 자유면 (17) 사이에서 적합한 제 1 접촉 구역을 형성하고, 언더컷의 탈형 (demoulding) 을 가능하게 한다. 환상 밀봉 링 (23) 은 표면 (29) 에서 깔때기 형의 제 1 리드를 더 포함하며, 이 제 1 리드는 외측 시일 (20) 과 목부 (25) 사이의 제 1 접촉을 형성하는데 적합하고, 환상 밀봉 링 (23) 을 위한 램프로서 작용하여, 환상 밀봉 링이 외부 자유면 (17) 상에서 더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도시된 밀봉 수단 (2) 에는 더욱이, 폐쇄 위치에서 목부 (25) 의 오리피스 내로 도달하는 보어 시일 (36) 이 제공되어 있다. 보어 시일 (36) 은 원뿔 형상을 가지며, 단부마개 (1) 의 디스크형 상부 (4) 에 상호연결된 뿌리부에서 자유단부까지 각 (α)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신장해있다. 보어 시일 (36) 의 기부 (37) 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각 (β) 을 가지면서 자유 단부의 영역에서 정점을 갖는 V형상이다. 보어 시일 (36) 은 더욱이 표면 (38) 에서 깔때기 형상의 제 2 리드를 가지며, 이 제 2 리드는 목부 (25) 의 오리피스 내로 보어 시일 (36) 의 끼워넣기를 쉽게 한다. 표면 (38) 의 제 2 리드 부근에서 보어 시일에는 도넛형 접촉면 (39) 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접촉면은 폐쇄 위치에서 밀봉 수단 (2) 과 목부 (25) 의 내측면 (41) 사이의 제 3 접촉 구역 (32) 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수단 (2) 은 변형되지 않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때문에 목부 (25) 의 형상과 중첩하고 있다. 그러나, 마개 (1) 는 동작시 마개 재료의 탄성 변형 때문에 목부 (25) 에 맞게 된다. 보어 시일 (36) 의 뿌리부 직경 (Dr) 은 보어 시일 (36) 이 그 기부의 영역에서 마개의 목부와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목부 (25) 상에 도넛형 밀봉 수단 (20) 을 결합할 때, 보어 시일 (36) 은 방향 (r-) 으로 아래를 향해 굽혀져, 목부 (25) 의 오리피스의 내경 (Di) 에 맞게 된다.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폐쇄 위치에서 제 3 접촉 구역 (32) 은 외측 시일 (20) 의 제 1 접촉 구역 (30) 과 거의 동일한 수직방향 높이 (z 방향으로) 에 배치된다. 이러한 동일한 높이에서 목부 (25) 는 견고하게 유지되어 기밀성 및 밀봉성이 증가된다. 마개의 벤트 (vent) 각은, 제 3 접촉 구역 (32) 과 보어 시일 (36) 의 뿌리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작용 길이 (Lb) 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더 큰 벤트 각을 얻기 위해, 보어 시일 (36) 의 작용 길이 (Lb) 는 증가하며, 더 작은 벤트 각 (벤트 각은 벤팅이 일어날 때까지 마개를 돌려야 하는 각에 대응한다) 을 줄이기 위해서는 감소한다. 적용 분야에 따라 보어 시일은 업을 수 있다.
밀봉 수단은 중간 상부면 (35) 의 영역 또는 그에 인접한 곳에서 일반적으로 V형 돌출부 (도시되지 않음) 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상부 시일 (제 4 접촉 구역/밀봉 영역) 을 형성하고 폐쇄 위치에서 목부 (25) 의 환상 상부면 (27) 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 이성분 사출 성형으로 만들어진 밀봉 장치를 포함하는 마개 (1) 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 은 EE 선을 따르는 도 9 에 따른 마개의 단면절단도를 나타내며, 도 11 은 도 10 의 상세부 (F) 의 확 대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수단이 어떻게 가장 잘 만들어질 수 있는 지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과 동일한 발명자의 국제 특허 출원 PCT/EP2005/051559 에서 아주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 출원의 모든 실시예는 본 특허 출원에 참조된다.
이제 도 1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봉 수단 (2) 의 단면 및 기능은 단지 밀봉 수단 (2) 이 두 가지 재료 (쉘 재료 및 라이너 재료) 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 에 도시된 밀봉 수단에 대응한다. 따라서, 기능에 대해서는 도 8 및 그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상기된 도 1 내지 도 8 에 따라 설명된 마개와의 차이는, 도 9 내지 도 11 에 따른 마개의 밀봉 수단 (2) 은 두 가지 재료, 바람직하게는 이성분 사출 성형에 의해 쉘 재료로 형성된 외부 쉘 (45) (디스크형 상부 (4) 및 외부 스커트 (3)) 및 라이너 재료로 형성된 밀봉 라이너 (46) (밀봉되는 용기 내에 저장된 내용물에 노출되는 모든 면을 덮게 된다) 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마개 (1) 의 외부 쉘 (2) 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으로 형성되며, 밀봉 라이너 (46) 는 바람직하게는 다렉스 (DarexTM) 와 같은 연질 라이너 재료로 형성된다. 외부 쉘 (45) 및 밀봉 라이너 (46) 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계면 (49, 50) 을 따라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밀봉 수단 (2) 의 저장 용도 및 위치맞춤이 가능해 진다.
밀봉 수단 (20) 의 기부 (22) 는, 라이너 재료로 형성된 내부 스커트 (48) 를 지지하는 쉘 재료로 형성된 외부 하방 레그 (47) 를 포함한다. 하방 레그 (47) 는, 부분적으로 라이너 재료로 형성되고 측면 수직 방향으로 기부 (22) 의 단부에 배치된 내부 스커트 (48) 및 도넛형 밀봉 링 (23) 을 지지하고 안정화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 (46) 는 마개 (1) 의 내부 상부면 (35) 을 따라 xy 방향으로, 또한 외부 하방 레그 (47) 를 따라 아래로 (z 방향) 신장하도록 형성된다. 내부 스커트 (48) 는 연결부 (34) 에 의해 수직 상부면 (35) 에 연결된다. 내부 스커트 (48) 및 내부 기부 (22) 모두는 변형되지 않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마개의 목부 상에 결합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신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밀봉 라이너 (46) 의 외부 하방 레그 (47) 와 내부 스커트 (46) 사이의 수직 경계면 (49) 은 일반적으로 직선이며 조금 테이퍼져 있어, 라이너 (46) 는 제 1 단계에서 성형 후, 몰드 밖으로 쉽게 꺼내질 수 있다. 결합 본야에 따라서, 경계면은 선 (S)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외측 시일 (20) 의 하단부는 완전히 쉘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에서만 외부 하방 레그 (47) 에 의해 지지된다.
도 8 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밀봉 수단은 중간 상부면 (35) 의 영역 또는 그에 인접한 곳에서, 일반적으로 v형 돌출부 (도시되지 않음) 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상부 시일 (제 4 접촉 구역) 을 형성하며, 폐쇄 위치에서 목부 (25) 의 환상 상부면 (27) (도 8 에 도시) 과 상호작용한다.
밀봉 수단 (2) 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른 일반적으로 올리브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어 시일 (36) 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 시일 (36) 은 라이너 디스크 (46) 와 일체로 되어 있다. 적절하다면, 보어 시일 (36) 은 증가된 측면 지지부를 얻기 위해 쉘 재료로 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보어 시일은 측면 리브 (도시되지 않음) 로 지지될 수 있다.

Claims (21)

  1. 용기의 목부 (25) 의 밀봉을 위한 밀봉 수단 (2) 으로서, 상기 밀봉 수단 (2) 은
    a) 상기 목부 (25) 의 외부 자유면 (17) 과 결합하며 반경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외측 밀봉 수단 (20) 을 포함하며,
    b) 상기 밀봉 수단 (20) 은 일반적으로 P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c) 환상 기부 (22), 및
    d) 상기 환상 기부 (22) 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환상 밀봉 링 (23) 을 구비하고,
    상기 환상 밀봉 링은 기부 (22) 의 내면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여 있으며, 상기 목부 (25) 와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외부 자유면 (17) 과 제 1 밀봉영역 (30) 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밀봉 수단 (20) 은 일반적으로 R형 단면을 가지며, 연결부 (34) 가 상기 기부 (22) 에 배치되어 수직 상부면 (35) 과 상기 기부 (22) 를 상호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34) 는 상기 밀봉 수단 (2) 과 상기 목부 (25) 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목부 (25) 의 가장자리면 (28) 과 상기 외측 밀봉 수 단 (20) 사이에서 제 2 밀봉 영역 (31)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면 (28) 과 상기 연결부 (34)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외측 밀봉 수단 (20) 이 제어가능하게 변형되어, 상기 환상 밀봉 링 (23) 이 상기 목부 (25) 의 상기 외부 자유면 (17) 에 더욱 견고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34) 는 램프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34) 는 볼록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34) 는 오목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34) 는 상기 가장자리면 (28) 의 반경 보다 큰 반경 (R)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 (20) 은 라이너 재료로 이루어진 라이너 (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밀봉 수단 (20) 은 외부 하방 레그 (47) 를 따라 수직 (z) 으로 신장된 내부 스커트 (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1. 제 10 항에 있어서, 라이너 재료로 만들어진 환상 밀봉 링 (23) 이 상기 내부 스커트 (48) 의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 (2) 은 보어 시일 (3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시일은 라이너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시일 (36) 은 쉘 재료로 만들어진 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시일 (36) 은 일반적으로 각 (α) 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 기부, 및 일반적으로 깔때기형 안내면을 가지며, 이들 기부와 안내면은 상기 보어 시일 (36) 의 최대 직경 영역에 배치된 도넛형 접촉면 (39) 에 의해 상호연결되며, 상기 기부는 그 하부 자유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 시일 (36) 은 일반적으로 올립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수단 (2).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봉 수단 (2) 을 포함하는 마개 (1)
  18. 제 17 항에 있어서, 마개 (1) 는 이성분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쉘 재료로 만들어진 마개 쉘 (45) 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라이너 재료로 만들어진 라이너 (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1).
  1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밀봉 수단 (2) 을 포함하는 마개 (1) 를 용기의 목부 (25) 상에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목부 (25) 위에 마개 (21) 를 정렬시키는 단계,
    b) 외측 밀봉 수단 (20) 과 상기 목부 (25) 의 가장자리면 (27)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마개 (1) 를 상기 목부 (25)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목부 (25) 의 외부 자유면 (17) 상에서 환상 밀봉 링 (23) 이 미끄러지고, 제 1 밀봉 영역 (30) 이 형성될 때까지, 상기 환상 밀봉 링이 원주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상기 목부 (25) 에 대해 상대적으로 마개 (1) 를 더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면 (27) 과 연결부 (34) 사이에 제 2 밀봉 영역이 형성될 때까지 상기 마개 (1) 를 상기 목부 (25)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면 (27) 은 연결부 (34) 에 가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외측 밀봉 수단 (20) 이 제어가능하게 변형되어, 상기 환상 밀봉 링 (23) 이 상기 외부 자유면 (17) 에 더욱 견고하게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07476A 2004-09-01 2005-08-02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KR101233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624004P 2004-09-01 2004-09-01
US60/606,240 2004-09-01
US66198305P 2005-03-14 2005-03-14
US60/661,983 2005-03-14
PCT/EP2005/051559 WO2006097151A2 (en) 2005-03-14 2005-04-07 Closure
WOPCT/EP2005/051559 2005-04-07
PCT/EP2005/051575 WO2006024550A1 (en) 2004-09-01 2005-04-08 Closure
WOPCT/EP2005/051575 2005-04-08
PCT/EP2005/053777 WO2006117024A1 (en) 2004-09-01 2005-08-02 Sealing means for a closure, closure and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852A true KR20070061852A (ko) 2007-06-14
KR101233851B1 KR101233851B1 (ko) 2013-02-15

Family

ID=3730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476A KR101233851B1 (ko) 2004-09-01 2005-08-02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2) EP1789336B1 (ko)
JP (1) JP4949250B2 (ko)
KR (1) KR101233851B1 (ko)
AT (1) ATE405498T1 (ko)
AU (1) AU2005331483B2 (ko)
BR (1) BRPI0514822B1 (ko)
CA (1) CA2580467C (ko)
DE (1) DE602005009213D1 (ko)
DK (1) DK1789336T3 (ko)
EA (1) EA009267B1 (ko)
ES (1) ES2313457T3 (ko)
HK (1) HK1099893A1 (ko)
MX (1) MX2007002498A (ko)
PL (1) PL1789336T3 (ko)
PT (1) PT1789336E (ko)
WO (1) WO2006117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5790B2 (ja) * 2007-06-13 2013-01-09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密閉キャップ付き容器
US8231020B2 (en) 2010-05-27 2012-07-31 Silgan White Cap LLC Impact resistant closure
USD634199S1 (en) 2010-05-27 2011-03-15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USD633386S1 (en) 2010-05-27 2011-03-01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USD634200S1 (en) 2010-05-27 2011-03-15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KR101594711B1 (ko) 2014-12-19 2016-02-16 강성탁 밀봉 마개의 결합구조
KR101660932B1 (ko) 2015-04-07 2016-09-28 (주) 이레머티리얼스 중대형 용량의 밀폐용 용기
BR112019002454A2 (pt) 2016-09-29 2019-05-14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td. fechamento
US10532858B2 (en) 2017-09-06 2020-01-14 Creanova Universal Closures Ltd. Closure for container neck finishes
JP7370290B2 (ja) * 2020-03-30 2023-10-27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樹脂製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10655A (de) * 1963-11-28 1966-03-31 George Brown Lawrence Verschlussvorrichtung an Behälter
JPS5543062Y2 (ko) * 1975-04-17 1980-10-09
US4143785A (en) * 1978-03-16 1979-03-13 Sun Coast Plastic Closures, Inc. Plastic vacuum sealing cap
US4322012A (en) * 1980-05-09 1982-03-30 Dairy Cap Corporation Threaded plastic bottle cap
EP0076778A1 (de) 1981-10-05 1983-04-13 Crown Obrist AG Verschlusskappe aus Kunststoffmaterial
EP0093690A1 (de) 1982-05-04 1983-11-09 Crown Obrist AG Verschlusskappe für Behälter
US4489844A (en) 1982-12-14 1984-12-25 Charles A. Breskin Assoc. Inc. Crew-type all plastic closure
US4442947A (en) 1983-01-18 1984-04-17 Continental White Cap, Inc. Plastic closure with sealing flaps
WO1985000153A1 (en) * 1983-06-23 1985-01-17 Bev-Cap Plastics Pty. Ltd. Compounded closure
US4519514A (en) * 1984-03-20 1985-05-28 Robert Linkletter Associates, Inc. Tamper resistant and tamper evident closures
DE3421820A1 (de) * 1984-06-13 1985-12-19 Zeller Plastik Koehn, Gräbner & Co, 5583 Zell Originalitaetsverschluss
WO1993012983A1 (en) * 1984-06-19 1993-07-08 Seikuro Yasada Combination of container and cap
US4566603A (en) * 1984-07-12 1986-01-28 Phoenix Closures, Inc. Linerless closure
US4560077A (en) 1984-09-25 1985-12-24 Sun Coast Plastics, Inc. Plastic closure cap
US4667838A (en) * 1986-04-14 1987-05-26 Sun Coast Plastics, Inc. Tamper-evident closure with ribbed skirt
JPH0643001Y2 (ja) * 1986-10-02 1994-11-09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周側密閉キャップ
US5447674A (en) 1987-06-04 1995-09-05 Schellenbach; Frank Method for producing a gas-tight plastic closure for containers
EP0481981B2 (en) 1988-06-17 1999-11-17 Closures and Packaging Services Limited Linerless closure for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SE468364B (sv) * 1990-04-30 1992-12-21 Abb Stal Ab Saett foer kylning av stoft som avskiljts fraan roekgaserna fraan en pfbc-anlaeggning
DE4128474A1 (de) 1991-08-28 1993-03-04 Berg Jacob Gmbh Co Kg Kunststoffschraubverschluss fuer unter druck stehende flaschen
US5320232A (en) * 1992-10-15 1994-06-14 Maguire Paul R Positive-sealing bottle cap
DE4314923C2 (de) * 1993-05-06 1998-08-27 West Company Deutschland Gmbh Verschlußkappe zum Verschließen einer Flasche
US6126027A (en) * 1995-02-21 2000-10-03 Mcg Closures Limited Self-centering container closure
JP3602195B2 (ja) * 1995-05-31 2004-12-15 株式会社アルコア・クロージャー・システムズ 合成樹脂製キャップ
IT239014Y1 (it) 1995-10-24 2001-02-19 Sacmi Capsula a vite in materiale plastico per la chiusura di contenitori
DE29623290U1 (de) * 1995-10-31 1998-02-19 Safety Cap System Ag Verschluß für eine Flasche o.dgl.
JP3872546B2 (ja) * 1996-07-29 2007-01-2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ワンピース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H10147359A (ja) * 1996-11-18 1998-06-02 Nippon Sentou Kk パッキング
DE19705717A1 (de) * 1997-02-14 1998-08-20 Bericap Gmbh & Co Kg Kunststoffschraubverschluß
US5875907A (en) * 1997-06-17 1999-03-02 Aptargroup, Inc. Tamper-evident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AUPO788597A0 (en) 1997-07-14 1997-08-07 Closures And Packaging Services Limited Closure
AUPO788697A0 (en) 1997-07-14 1997-08-07 Closures And Packaging Services Limited Push-on closure
JP3973279B2 (ja) * 1997-12-18 2007-09-12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無菌充填に適したキャップ
JP4392873B2 (ja) * 1998-09-03 2010-01-06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00109105A (ja) * 1998-10-01 2000-04-18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GB9906194D0 (en) 1999-03-18 1999-05-12 Closures & Packaging Serv Ltd Closure with seal member
AUPP935299A0 (en) 1999-03-19 1999-04-15 Closures And Packaging Services Limited Container closure
US6170683B1 (en) * 1999-11-16 2001-01-09 Rexam Medical Packaging Inc. Two stage dispensing cap for pressurized containers
KR20010096600A (ko) * 2000-03-13 2001-11-07 도케 케이시 합성수지제 용기뚜껑
JP2001328653A (ja) * 2000-05-18 2001-11-27 Shibazaki Seisakush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4714332B2 (ja) * 2000-11-07 2011-06-29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US6695161B2 (en) * 2001-02-08 2004-02-24 Japan Crown Cork Co., Ltd. Plastic container closure
FR2828173B1 (fr) 2001-08-01 2003-10-31 Rical Sa Bouchon comprenant une jupe interieure d'etancheite cooperant avec la face exterieure d'un col de recipient
WO2003022701A1 (en) 2001-09-10 2003-03-20 Closures And Packaging Services Limited Linerless bore seal closure
CN101142126A (zh) 2005-03-14 2008-03-12 克雷诺瓦通用密封有限公司 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5549A1 (en) 2008-10-29
JP2008511505A (ja) 2008-04-17
WO2006117024A1 (en) 2006-11-09
AU2005331483A1 (en) 2006-11-09
EA009267B1 (ru) 2007-12-28
ES2313457T3 (es) 2009-03-01
ATE405498T1 (de) 2008-09-15
HK1099893A1 (en) 2007-08-24
EA200700511A1 (ru) 2007-08-31
PL1789336T3 (pl) 2009-02-27
CA2580467C (en) 2014-02-11
EP1789336B1 (en) 2008-08-20
DK1789336T3 (da) 2009-01-05
KR101233851B1 (ko) 2013-02-15
BRPI0514822A (pt) 2008-06-24
AU2005331483B2 (en) 2012-02-16
JP4949250B2 (ja) 2012-06-06
EP1789336A1 (en) 2007-05-30
DE602005009213D1 (de) 2008-10-02
CA2580467A1 (en) 2006-11-09
PT1789336E (pt) 2008-11-28
MX2007002498A (es) 2007-10-10
BRPI0514822B1 (pt)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483B2 (en) Sealing means for closure with multiple sealing areas
KR101233851B1 (ko) 마개용 밀봉 수단, 마개 및 공정
CA2579783C (en) Closure
CA2058047C (en) Plastic bottle having a linerless closure with collapsible flange and method
KR20080046272A (ko) 힌지식 마개
JPS58112960A (ja) 液体容器首部に係合する密閉素子
CN102015473A (zh) 用于适于自动嵌件模制的塑料容器的封闭件
CA1286629C (en) Linerless plastic closure with integral sealing ring
US20200354119A1 (en) Closure with Liner
JP7347938B2 (ja) 樹脂製容器口部と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との組み合わせ
RU2264959C2 (ru) Пробка для сосудов с жидкими веществами
US8646635B2 (en) Scallop cap closures
NZ553850A (en) Sealing means for a closure, closure and process
US20060151423A1 (en) Closure having tapered sealing plug
CN116552984A (zh) 一种瓶盖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