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438A -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 Google Patents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1438A
KR20070061438A KR1020060124540A KR20060124540A KR20070061438A KR 20070061438 A KR20070061438 A KR 20070061438A KR 1020060124540 A KR1020060124540 A KR 1020060124540A KR 20060124540 A KR20060124540 A KR 20060124540A KR 20070061438 A KR20070061438 A KR 20070061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active compound
plants
insecticide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미 가모치
세이지 우카와
신자부로 소네
하루히코 사쿠마
다다시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케이. 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케이. 케이.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케이. 케이.
Publication of KR2007006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4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0Derivatives containing the group >N—CO—N aryl or >N—CS—N—ary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5/0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A harmful organism controlling agent for paddy field}
본 발명은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논에서 발생하는 병해충 및 잡초를 단일 약제로 방제할 수 있는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벼 경작시 식물 또는 동물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경우, 제초제, 살충제, 살진균제 등이 목적에 따라 적절히 사용된다. 병해충을 동시에 방제하는 경우, 그의 발생 상황으로부터 동시 적용이 가능한 경우 및 동시 적용으로 상승 효과가 기대되는 경우, 다수종의 방제제, 특히 살충제 및 살진균제가 혼합물로 사용된다. 소위 혼합제를 사용하게 되면, 개별 적용과 비교하여 볼 때 적용 횟수를 감소시킴으로 인해, 작업 노동을 감소시킴에 따라 노동력 절감이 크게 기대된다. 더우기, 상승 효과가 기대되는 경우, 약품 자체의 농도 감소가 기대된다. 즉, 혼합제는 비용면에서도 유리한 요인을 갖는다.
이러한 혼합제의 사용 조건하에서, 노동력을 추가로 절감할 목적으로 이식기 로 벼를 이식하면서 논에 사용되는 제초제 적용 장비에 의해 잡초 방제제 및 병해충 방제제를 동시 적용하기에 적합한 살진균, 살충 및 제초제 조성물이 제공되었다(JP-A-2002-114612).
유사하게, 특정 살진균, 살충제 및 제초제를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도 제공되었다(JP-A-2003-95832).
본 발명자들은 벼 경작시 작업 분담량 경감 및 효율 향상, 농업 자재 비용 감소 및 유해 생물 방제 시스템에서 약품의 효율적인 적용 방법을 확립할 목적으로 예의 연구하고, 모내기와 동시에 벼 마름병에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함께 적용하게 되면 이식후 잡초 방제 방제 효과, 벼 마름병 발생 예방 및 해충 방제가 모두 현저히 실현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약품 적용 장비와 이식기를 사용하여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배합하여 모내기와 동시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논에서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는 JP-A-2001-522840호에 개시된 농원예 질병에 대한 방제제로 공지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언급된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와 함께 사용되는 제초 활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아닐로포스, 벤티오카브, 부타클로르, 카펜스트롤, 쿠밀우론, 인다노판, 디메피페레이트, 펜트라자미드, 메페나세트, 옥사디아존, 옥사지클로메폰, 펜톡사존, 프레틸라클로르, 피리부티카브, 피리프탈리드, 테닐클로르, 옥사디아르길, 부타미포스, 에스프로카브, 디티오피르, 에토벤자니드, 피리메노박-메틸, HOK-201, 시할로포프-부틸, 메티미포프, 클로메프로프, 사이클로설파무론, 벤푸레세이트, 벤설푸론-메틸, 벤조비사이클론, 벤조페납, 브로모부타이드, 딤론, 디메타메트린, 에톡시설푸론, 이마조설푸론, 피라졸레이트, 피라조설푸론-에틸, 퀴노클라민, 피라족시펜, 할로설푸론, 피라클로닐, 피리미설판(KUH021), TH-547, 메소트리온, 페녹스설람, 오르토설파무론, 시메트린, 벤타존, 비스피리박, 피리벤족심, 클로마존, 프로파닐, 글루포시네이트, 글리포세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언급된 예외에, 논용 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제초 활성 화합물이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와 함께 사용되는 살충 활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네오니코티닐계 살충제, 페닐피라졸 계 살충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 등이 언급될 수 있으며, 이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네오니코티닐계 살충제의 좋은 예로서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아세트아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페닐피라졸계 살충제의 좋은 예로서 피프로닐, 에티프롤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좋은 예로서 프로폭수르, 페노부카브, 벤푸라카브, 카보설판 등이 언급될 수 있으며,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의 좋은 예로서 에토펜프록스, 사이클로살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합 방제제에서, 각 유효 성분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혼합될 제초 활성 화합물 및 살충 활성 화합물의 종류,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량, 유해 미생물 발생 예상 등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혼합비로는,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 1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제초 활성 화합물 1-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 및 살충 활성 화합물 0.5-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합 방제제는 벼 마름병, 논 잡초 및 벼 해충에 대해 강력한 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합 방제제를 실제 사용하는 경우, 논에서 유해 생물의 정확한 방제는, 예를 들어 제초제 적용 장비와 이식기를 사용하여 모내기를 하는 동시에 논에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 /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함께 적용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이식 작업 및 농약 산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노동력 절감면에서 유리한 방제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가 방제를 대상으로 하는 논 잡초, 병 병해충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예로서 언급될 수 있다.
논 잡초는 다음과 같다:
하기 속의 쌍떡잎 식물:
폴리고눔(Polygonum), 로리파(Rorippa), 로탈라(Rotala), 린데미아(Lindemia), 비덴스(Bidens), 도파트리움(Dopatrium), 에클립타(Eclipta), 엘라틴(Elatine), 그라티올라(Gratiola), 린데르니아(Lindernia), 루드위기아(Ludwigia), 오에난테(Oenanthe), 라눈쿨루스(Ranunculus), 데이노스테마(Deinostema) 등.
하기 속의 외떡잎 식물: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파니쿰(Panicum), 포아(Poa), 사이페루스(Cyperus), 모노코리아(Monochoria), 핌브리스틸리스(Fimbristylis), 사기타리아(Sagittaria),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쉬르푸스(Scirpus), 알리스마(Alisma), 아네일레마(Aneilema), 블릭사(Blyxa), 에리오카울론(Eriocaulon), 포타모게톤(Potamogeton) 등.
본 발명의 방제제는 보다 특히 예를 들어 하기 전형적인 논 잡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쌍떡잎 식물:
로탈라 인디카 코에네(Rotala indica Koehne)
린데르니아 프로쿰벤스 필콕스(Lindernia procumbens Philcox)
루드위기아 프로스트라타 록스버그(Ludwigia prostrata Roxburgh)
포타모게톤 디스틴투스 에이. 벤(Potamogeton distinctus A. Benn)
엘라틴 트리안드라 쉬크(Elatine triandra Schk)
오에난테 자바니카(Oenanthe javanica)
외떡잎 식물:
에키노클로아 오리자콜라 바싱(Echinochloa oryzicola Vasing)
모노코리아 바기날리스 프레슬(Monochoria vaginalis Presl)
모노코리아 코르사코울리(Monochoria korsakowli)
엘레오카리스 아시쿨라리스 엘.(Eleocharis acicularis L.)
엘레오카리스 쿠로구와이 오휘(Eleocharis Kuroguwai Ohwi)
사이페루스 디포르미스 엘.(Cyperus difformis L.)
사이페루스 세로티누스 로트보엘(Cyperus serotinus Rottboel)
사기타리아 피그마에아 미크(Sagittaria pygmaea Miq)
사기타리아 트리폴리아(Sagittaria trifolia)
알리스마 카날리쿨라툼 에이. 비알. 이트 보우케(Alisma canaliculatum A. Br. et Bouche)
쉬르푸스 준코이데스 록스버그(Scirpus juncoides Roxburgh)
벼 해충은 다음과 같다:
노린재류( Hemiptera ):
네포테틱스 신크티세프스(Nephotettix cincticeps), 닐라파르바타 루겐스(Nilaparvata lugens), 라오델팍스 스트리아텔루스(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소가텔라 푸르시페라(Sogatella furcifera)(Horvath) 등.
초시류( Coleoptera ):
오울레마 오리자에(Oulema oryzae(Kuwayama), 리소르호프투스 오리조필루스 쿠쉘(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 등.
벼질병으로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에(Pyricularia oryzae)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제제의 사용이 상기 잡초, 병해충에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논 잡초, 벼 병해충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논 잡초 및 벼 병해충를 방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에서 배합물의 우수한 식물 내약성으로 전체 식물(식물의 지상부 및 뿌리), 번식 줄기 및 종자 및 토양 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잎 적용용 또는 종자 드레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질병을 방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에서 배합물의 우수한 식물 내약성으로 종자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종자 드레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논 잡초, 벼 병해충에 의해 야기되는 작물 피해의 상당 부분은 종자가 저장동안 감염되는 경우 및 종자가 토양에 도입된 후 초기에, 및 식물 발아동안 및 발 아후 즉시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생장 식물의 뿌리 및 어린가지가 특히 민감하고 아주 작은 피해에도 식물이 전부 고사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적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보호하는 것이 특히 관건이다.
식물 발아후 피해를 주는 논 잡초 및 벼 병해충을 방제하는 것은 주로 작물 처리제로 식물의 지상부 및 토양을 처리함으로써 수행된다. 환경 및 인간과 동물 위생에 작물 보호제가 줄 수도 있는 영향때문에, 활성 화합물의 적용량을 감소시키는 일환이 있었다.
식물의 종자를 처리하여 식물 질병을 방제하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졌으며,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과제이다. 그러나, 종자 처리는 언제나 만족할만한 방식으로 해결되지는 않는 일련의 문제를 갖고 있다. 즉, 파종후 또는 식물 발아후 작물 보호제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거나, 추가의 적용을 적어도 감소시키면서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사용된 활성 화합물에 의해 식물 자체에는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논 잡초 및 벼 병해충의 침습으로부터 최적으로 보호하는 방식으로 활성 화합물의 사용량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또한 요망된다. 특히, 종자 처리방법은 또한 작물 보호제를 최소로 사용하면서 종자 및 발아 식물을 최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형질전환 식물의 고유 살진균, 제초 및 살충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또한 종자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여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논 잡초 및 벼 병해충의 침습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논 잡초 및 벼 병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종자를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논 잡초 및 벼 병해충으로부터 보호성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로 처리, 특히 코팅처리되는 종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이점은 전신적인 살진균제, 제초제 및 살충제가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로 종자를 처리하는 것이 해충으로부터 종자 자체뿐 아니라 발아후 식물도 식물병원성 진균 및 곤충으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파종시 또는 그 직후 작물을 즉시 처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이 특히 형질전환 종자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농업, 온실, 임업 또는 원예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 식물 품종의 종자를 보호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이는 벼 종자 형태를 취한다. 벼 종자 처리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적합한 제제로 종자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종자는 처리동안 피해를 방지하기에 충분히 안정한 상태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종자는 수확과 파종 사이 어느 시점에도 처리가 가능하다. 사용된 종자는 일반적으로 식물로부터 분리되며, 식물의 속, 대, 줄기, 외피, 털 또는 과육과 구분된다. 즉, 예를 들어, 종자를 수확하여 씻어 처리하고 수분 함량이 15 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자를 건조후, 예를 들어 물로 처리한 다음 다시 건조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종자 처리시, 종자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 및/또는 추가의 첨가제의 양이 종자 발아가 불리하게 영향을 받지 않거나, 발생된 식물이 피해를 입지 않게 선택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는 특히 특정 적용 비율에서 약해성 작용을 가질 수 있는 활성 화합물인 경우에 명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직접, 즉 추가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희석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적합한 제제 형태로 종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 처리에 적합한 제제 및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졌으며, 예를 특허 US 4,272,417 A, US 4,245,432 A, US 4,808,430 A, US 5,876,739 A, US 2003/0176428 A1, WO 2002/080675 A1, WO 2002/028186 A2에 기술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은 또한 작물 수확량을 증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저독성이며, 우수한 식물 상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식물의 일부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물이란 원하거나 원치않는 야생 식물 또는 작물(자연 발생 작물 포함)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물은 식물 육종권자의주권으로 보호될 수 있거나 보호될 수 없는 식물 재배종 및 형질전환(transgenic) 식물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식물 재배 및 최적화 방법에 의해, 생명공학 또는 유전자공학에 의해 또는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의 일부는 식물의 모든 지상 및 지하 부분 및 기관, 예를 들어 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의 예로 잎, 침엽(needles), 줄기(stem), 자루(stalk), 꽃, 과실체, 과일, 종자, 뿌리, 괴경 및 뿌리 줄기가 언급될 수 있 다. 식물의 일부는 또한 수확 물질,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어 묘목, 괴경, 뿌리 줄기, 삽목 및 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활성 화합물으로 식물 및 식물의 일부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증발, 분사, 살포, 뿌리기, 도포에 의해서 및, 전파 물질, 특히 종자의 경우에는 또한 일 또는 다중 코팅을 적용하여 직접, 또는 그의 환경, 서식지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이들 부분의 처리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야생 식물 종 및 식물 재배종, 또는 통상적인 생물학적 육종법, 예를 들어 교잡육종 또는 원형체 유합(protoplast fusion)에 의해 얻어진 것뿐만 아니라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 적합하다면 통상적인 방법과 함께 유전자공학적으로 얻어진 형질전환 식물 및 식물 재배종(유전자 변형 유가체)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용어 "부분",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부분"은 상기 설명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시판되거나 통상 사용되는 식물 재배종의 식물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다. 식물 재배종이라는 것은 통상적인 재배, 돌연변이형성 또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육종되는 새로운 성질("특성")을 갖는 식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은 재배종(cultivar), 품종(breed), 생리형(biotype) 또는 유전자형(genotype)일 수 있다.
식물 종 또는 식물 재배종, 이들의 장소 및 성장 조건(토양, 기후, 생장기, 영양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또한 상가("상승")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물질 및 조성물의 적용비율의 감소 및/또는 활성 스펙트럼의 확대 및/또는 활성 증가, 식물 성장성 향상, 뿌리계 발달 촉진, 식물 품종 또는 식물 재배종의 내성 향상, 새가지 성장 증가, 식물 생명력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량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수확량 증가, 열매 크기 증가, 식물 크기 개선, 더 푸른 잎, 조기 개화, 수확 산물의 품질 향상 및/또는 영양가 증대, 열매의 고 당도, 및 수확 산물의 저장성 및/또는 처리성 향상과 같은 효과가 실제 기대되는 것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바람직한 형질전환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유전자공학적으로 얻어진 것)에는 재조합 변형으로 이들 식물에 특히 유리한 유용한 성질("특성")을 제공하는 유전자 물질을 함유하는 모든 식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성질의 예로는 식물 성장성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량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작화량 증가, 수확 산물의 품질 향상 및/또는 영양가 증대, 및 수확 산물의 저장성 및/또는 처리성 증대가 포함된다. 또 다른 특히 주목할만한 상기 특성의 예로 동물 및 미생물 해충, 예를 들어 곤충, 응애, 식물병원성 진균,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 및 또한 특정 제초 활성 화합물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 증가가 있다. 형질전환 식물의 예로 중요한 작물, 예를 들어 벼가 언급될 수 있다. 특히 강조되는 특성은 특히 식물에 형성된 독소, 특히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얻은 유전자 물질(예를 들어 유전자 CryIA(a), CryIA(b), CryIA(c), CryIIA, CryIIIA, CryIIIB2, Cry9c, Cry2Ab, Cry3Bb 및 CryIF 및 이들 조합)에 의해 식물(이후 "Bt 식물"로 언급)에 형성된 독소로 인한 곤충, 거미류, 선충, 달팽이 및 민달팽이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이다. 또한 특별히 강조되는 다른 특성은 전신적으로 획득한 내성(SAR), 시스테민, 피토알렉신, 엘리시터 및 내성 유전자 및 상응하게 발현된 단백질 및 독소로 인한 진균,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내성 증가다. 추가로 특별히 강조할 만한 특성은 또한 특정 제초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논, 설포닐우레아, 글리포세이트 또는 포스피노트리신(예를 들어 "PAT" 유전자)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 증가다. 목적하는 각 특성을 부여하는 유전자가 또한 상호 조합으로 형질전환 식물에 존재할 수 있다. "Bt 식물"의 예로 YIELD GARD®, KnockOut®, StarLink®(예: 벼), Bollgard®, Nucoton® 및 NewLeaf®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대두 품종 및 감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의 예로 Roundup Ready®(글리포세이트 내약성, 예: 벼), Liberty Link®(포스피노트리신 내약성, 예: 벼), IMI®(이미다졸리논 내약성) 및 STS®(설포닐우레아 내약성)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및 대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제초제 내약성을 위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육종된 식물)의 예로 Clearfield® 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품종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은 또한 미래에 개발되고/되거 나 시장화될 식물로, 상술된 유전적 특성을 지니거나 여전히 개발될 여지가 남아 있는 식물 재배종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논 잡초 및 벼 병해충 방제에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제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 형태의 예로 예컨대 용액제, 유제, 현탁제, 산제, 분제, 포움제, 페이스트, 가용성 산제, 수화성 산제, 유동제, 수분산성 입제, 입제, 에어졸, 현탁-유제 농축액, 부유성 입제(점보제), 활성 화합물이 함침된 천연 및 합성 물질, 중합물질중의 미소캅셀제, ULV 냉무제 및 온무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포움 형성제를 사용하여 상기 언급된 유효 성분을 증량제, 즉 액상 희석제, 가압 액화 가스 및/또는 고형 희석제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증량제로 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기 용매가 또한 보조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액상 희석제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예: 크실렌, 톨루엔, 알킬나프탈렌 등), 염소화 방향족 또는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예: 클로로벤젠, 에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에틸렌,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예: 광유 분획, 광유, 식물성 오일 등)], 알콜(예: 부탄올 또는 글리콜 등) 및 그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등), 강한 극성 용매(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등의 유기 용매 및 물이 언급될 수 있다.
액화가스 증량제 또는 담체란 표준 온도 및 대기압하에서 가스 상태인 액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할로겐화 탄화수소, 부탄, 프로판, 질소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에어로졸 추진제이다.
고형 희석제로는 예를 들어 암모늄 염 또는 분쇄된 천연 광물(예: 카올린, 점토, 활석, 백악, 석영, 아타펄기트, 몬모릴로나이트, 규조토 등), 분쇄된 합성 광물(예: 고분산 규산,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과립제용 고형 담체로는 예를 들어 분쇄 및 분류된 천연 암석(예: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백운석 등), 또는 무기 및 유기가루의 합성과립, 유기물질의 과립(예: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담배줄기 등)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이를테면 리그닌설포네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지방산염, 알킬설포네이트,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폰산-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설페이트, 디알킬설포숙시네이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설포숙시네이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이를테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아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알킬페닐 에테르 등;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를테면 지방족 알킬베타인, 알킬 암모늄 염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이를테면 알킬피리디늄 염, 폴리에틸렌 폴리아민 지방족산 아미드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고착제가 제제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산제, 입제, 유화성 농축액). 이러한 고착제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천연 및 합성 중합체(예: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등), 천연 인지질(예: 세팔린, 레시틴 등), 합성 인지질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또한 광유 및 식물유가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착색제로는, 무기안료(예: 산화철, 산화티탄,프루시안 블루 등), 알리자린 염료, 아조염료 또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 안료, 및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아연 등의 염과 같은 미량 영양소가 언급될 수 있다.
제제는 상기 언급된 유효 성분을 총 일반적으로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의 농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그 자체로 또는 그의 제제 형태로 논 잡초 및 벼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또한 사전 제조된 혼합 제제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별도로 제제화된 각 유효 성분들을 적용시에 탱크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제제에 논에 통상 사용되는 기타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사용된 것 이외의 다른 살진균제, 살충제 및/또는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식물 영양제, 토양개선제, 약해완화제 등이 적 절히 혼합될 수도 있다. 벼묘 이식시에 본 발명에 따른 각 유효 성분을 별도로 혹은 동시에 논에 직접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직접 그 자체로, 그의 제제 형태로, 또는 이를테면 즉시 사용형 용액, 유화성 농축액, 유제, 현탁액, 수화성 산제, 페이스트, 가용성 산제, 분제, 유동제, 점보제, 수분산성 입제 또는 입제와 같이 이들로부터 제조된 적용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적용형 약제는 예를 들어 손으로 원액 산포, 붓기, 적하, 투척, 입제 산포, 관수(살수), 관개, 분무, 분사, 살포, 더스팅, 포밍, 뿌리기 등의 방법으로 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활성 화합물을 극소 용적 방법에 의해 적용하거나, 활성 화합물 제제 또는 활성 화합물 자체를 토양에 주입할 수 있다. 식물의 종자가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예를 들어 이식기와 함께 약제 산포 장치를 사용하여 이식과 동시에 논에 적용될 수 있다. 적용될 방제제의 양은 실질적인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양은 예를 들어 각 유효 성분의 총 양으로 0.5-5 kg/ha, 바람직하게는 1-3 kg/ha의 범위일 수 있다.
배합제는 그 자체로, 농축물의 형태로 또는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제제, 예컨대 산제, 입제, 용액제, 현탁제, 유제 또는 페이스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제제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의 용매 또는 희석제, 유화제, 분산제 및/또는 결합제 또는 고정제, 방수제, 필요에 따라 건조제 및 UV 안정화제, 및 경우에 따라 착색제 및 안료와 기타 가공 보보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제제의 뛰어난 효과가 이하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어떠한 식으로든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생물학적 시험예 : 병해충 및 잡초의 방제 효과
시험 약제
M-1: 펜트라자미드 3% + 벤설푸론-메틸 0.51% + 브로모부타이드 9% + 딤론 4.5%의 입제
M-2: 펜트라자미드 2% + 벤설푸론-메틸 0.51% + 브로모부타이드 7.5% + 딤론 4.5%의 입제
F-1: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 3% 입제
I-1: 이미다클로프리드 1% 입제
H-1: 펜트라자미드 3% 입제
IF-1: 트리사이클라졸 4% + 이미다클로프리드 2%의 입제
병해충 및 잡초 발생 상황
벼 잎마름병: 소발생(자연 발생), 최초 발생이 2005년 7월 7일에 확인되었다.
해충: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Fallen)): 중발생(자연 발생), 벼물바구미(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 중발생(자연 발생),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소발생(자연 발생).
논 잡초: 논피(Echinochloa sp.)(다발생),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Presl)(소발생), 일년생 광엽(소발생), 쉬르푸스(Scirpus)(다발생), 쇠털골(Eleocharis acicularis L)(소발생)(이들 모두 자연 발생), 너도방동산이(Cyperus serotinus Rottboel)(중발생)(접종 및 자연 발생).
경작 개요(품종, 시비, 일반 관리)
벼 품종: KOSHIHIKARI, 기계로 벼 묘종 이식(이식일: 2005년 5월 23일).
이식시 벼 잎단계: 2.5.
시비 및 기타 일반 관리는 현지 관행에 준한다.
필드 조건 토질: 충적, 양토.
수심 감소: 약 0.5 cm/일 미만
시험 규모: 5 ㎡ 1 구제
구제/면적
1 구 15 ㎡ (2 × 2.5 m) × 3 (각 진균, 곤충, 잡초 조사구) 반복 없음.
처리 년월일, 양, 방법, 처리시 작물 단계 및 처리 전후 강우 영향
5월 23일(이식일), 이식직후 시험구를 플라스틱 시트로 둘러싸고 시험 약제를 수심 2 cm 조건하에 산포하여 고정된 시험구 전면에 균일하게 산포 처리하였다. 시험 기간동안 시험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환경에 큰 변화는 없었다.
조사 일 및 방법
벼 마름병: 처리 50일후(7월 12일), 59일후(7월 21일) 및 67일후(7월 29일)의 총 3회로 1 구당 28 주의 발병 주수 및 주당 병변수를 조사하였다. 잎의 약해성은 하기 기준에 따라 종종 육안 관찰 조사하였다.
-: 없음
±: 경미(실용상 문제 없음)
+: 약
++: 중
+++: 심함.
벼해충: 조사일; 약제 처리 39일후(7월 1일), 벼물바구미 성충으로 갉은 피해, 기생성 멸구수를 조사하고, 약제 처리 60일후(7월 22일), 기생성 멸구수를 조사하였다.
방법: 멸구; 점착판으로 흔들어 30 주에 기생하는 멸구수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벼물바구미: 30 주에 대한 성충 피해를 0-5의 6 등급으로 판정하고, 하기 등급에 따라 피해도 및 방제가를 산출하였다.
피해 판정(지수)
0: 피해 없음
1: 주당 1-2 mm 길이의 피해 흔적이 수개 발견
2: 주당 1-2 mm 길이의 피해 흔적이 약 10개 발견
3: 상기 2와 함께, 5 mm의 피해 흔적이 약간 발견
4: 수개의 피해 흔적이 연속하여 전체 주가 흰색으로 보임
5: 주가 흰색으로 보이면서 성장이 좋지 않음.
Figure 112006091076553-PAT00001
N0: 피해주수 0,
N1: 피해주수 1,
N2: 피해주수 2,
N3: 피해주수 3,
N4: 피해주수 4,
N5: 피해주수 5.
방제가 = (비처리구의 피해도 - 처리구의 피해도)/비처리구의 피해도 × 100
방제가 = (비처리구의 곤충수 - 처리구의 곤충수)/비처리구의 곤충수 × 100
논 잡초: 약효 및 약해를 육안 관찰하여 0-100의 하기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효과: 0 = 효과없음, 90 이상 = 실용적으로 유효, 100 = 완전 고사.
약해성: 0 = 약해성 없음, 10 미만 = 실용상 문제없이 경미한 약해성, 100 = 완전 고사.
약효는 처리 51일후(7월 13일)에, 약해성은 처리 15일후(6월 7일), 20일(6월 12일), 29일후(6월 21일), 44일(7월 6일) 및 62일후(7월 24일)에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벼 잎마름병에 대한 활성 및 약해성
시험 약제 7월 12일(50일)* 7월 21일(59일) 7월 29일(67일) 식물 독성
발병 주율 (%) 주당 병변수 방제가 발병 주율 (%) 주당 병변수 방제가 발병 주율 (%) 주당 병변수 방제가
비처리 76.9 1.88 92.9 5.43 100 5.36
F-1 +F-1 +M-1 1kg/10a 3kg/10a 1kg/10a 3.6 0.04 97.9 17.9 0.18 96.7 35.7 0.5 90.7 ±
F-1 +I-1 +H-1 1kg/10a 3kg/10a 1kg/10a 0.0 0 100 67.9 1.29 76.2 67.9 1.61 70.0 ±
(참조) F-1 1kg/10a 1.5 0.02 98.3 14.8 0.17 96.1 18.5 0.19 92.8 ±
(주)
*: 괄호안의 숫자는 처리후 일수이다.
(참조): 벼 마름병에 대한 시험 기준으로서, 본 시험에 인접하는 동일 필드내 다른 구획에서 F-1의 수면 처리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처리 시기는 대략 1 개월후인 6월 23일이다.
벼 해충에 대한 살충 활성; 흔들어 떨어진 멸구/30 주
시험 약제 애멸구(Fallen) 끝동매미충
39일후 60일후 39일후 60일후
성충 유충* 성충 유충* 성충 유충* 성충 유충*
F-1 +I-1 +M-1 1kg/10a 3kg/10a 1kg/10a 1 5 91.4 3 5 72.2 0 0 100 0 1
참조) F-1 50g/박스 0 0 100 1 0 100 0 1 92.3 0 0
비처리 0 58 0 9 18 0 0 13 0 0 4
벼 물바구미/30 주 관찰
시험 약제 39일후 피해도
피해 판정(지수) 피해도 방제가
0 1 2 3 4 5
F-1 +I-1 +M-1 1kg/10a 3kg/10a 1kg/10a 11 13 6 10.4 70.6
(참조) F-1 50g/박스 27 3 1.25 96.5
비처리 1 16 13 35.4 0
(주)
*: 유충란에서, 곤충수는 상단에, 방제가는 하단에 나타내었다.
(참조): 이식전에 묘판당 50 g의 약제를 산포한 결과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제초 효과 및 약해성
시험 약제 제초 효과
논피 물달개비 광엽 올챙이 고랭이 쇠털골 너도방동산이
비처리 10% 1% 3% 15% 3% 6%
M-1+F-1 +I-1 1kg/10a+ 1kg/10a+ 3kg/10a+ 95 100 100 100 100 90
M-1 1kg/10a 95 100 100 100 100 95
M-2 1kg/10a 95 100 100 100 100 100
시험 약제 약해/처리일수
15 20 29 44 62
비처리 4% 4% 5% 10% 10%
M-1+F-1 +I-1 1kg/10a+ 1kg/10a+ 3kg/10a+ 10 10 10 15 10
M-1 1kg/10a 10 5 7 13 9
M-2 1kg/10a 5 7 7 13 7
제제예
펜트라자미드 3 중량부, 벤설푸론-메틸 0.51 중량부, 브로모부타이드 9 중량부, 딤론 4.5 중량부,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 3 중량부, 이미다클로프리드 3 중량부, 벤토나이트(몬모릴로나이트) 25 중량부, 활석 48.99 중량부 및 리그닌설포네이트염 3 중량부의 혼합물에 물 25 중량부를 첨가하고, 잘 혼화하여 압출 제립기로 10-40 메쉬의 과립으로 만든 후, 40-50 ℃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수득하였다.

Claims (8)

  1.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초 활성 화합물이 아닐로포스, 벤티오카브, 부타클로르, 카펜스트롤, 쿠밀우론, 인다노판, 디메피페레이트, 펜트라자미드, 메페나세트, 옥사디아존, 옥사지클로메폰, 펜톡사존, 프레틸라클로르, 피리부티카브, 피리프탈리드, 테닐클로르, 옥사디아르길, 부타미포스, 에스프로카브, 디티오피르, 에토벤자니드, 피리메노박-메틸, HOK-201, 시할로포프-부틸, 메티미포프, 클로메프로프, 사이클로설파무론, 벤푸레세이트, 벤설푸론-메틸, 벤조비사이클론, 벤조페납, 브로모부타이드, 딤론, 디메타메트린, 에톡시설푸론, 이마조설푸론, 피라졸레이트, 피라조설푸론-에틸, 퀴노클라민, 피라족시펜, 할로설푸론, 피라클로닐, 피리미설판(KUH021), TH-547, 메소트리온, 페녹스설람, 오르토설파무론, 시메트린, 벤타존, 비스피리박, 피리벤족심, 클로마존, 프로파닐, 글루포시네이트 및 글리포세이트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살충 활성 화합물이 네오니코티닐계 살충제, 페닐피라졸계 살충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및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4. 제 3 항에 있어서, 네오니코티닐계 살충제가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아세트아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 또는 디노테푸란인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5. 제 3 항에 있어서, 페닐피라졸계 살충제가 피프로닐 또는 에티프롤인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가 프로폭수르, 페노부카브, 벤푸라카브 또는 카보설판인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7. 제 3 항에 있어서,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가 에토펜프록스 또는 사이클로살인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8. 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카복실산-2-시아노아닐리드를 제초 활성 화합물 및/또는 살충 활성 화합물과 배합하여 모내기와 동시에 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논에서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방법.
KR1020060124540A 2005-12-09 2006-12-08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KR20070061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6542 2005-12-09
JP2005356542A JP2007161603A (ja) 2005-12-09 2005-12-09 水田用有害生物防除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438A true KR20070061438A (ko) 2007-06-13

Family

ID=3824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540A KR20070061438A (ko) 2005-12-09 2006-12-08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161603A (ko)
KR (1) KR200700614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544A (ko) * 2007-12-11 2010-08-26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동물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활성 성분 배합물의 용도
KR101459548B1 (ko) * 2012-10-11 2014-11-12 대한민국 글로포시네이트 암모니움을 포함하는 흰잎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CN104982443A (zh) * 2015-06-25 2015-10-21 陕西上格之路生物科学有限公司 一种含噁嗪草酮和苯噻酰草胺的除草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946A (ja) * 2006-10-19 2008-05-01 Bayer Cropscience Ag 殺菌殺虫組成物
EP2018806A1 (en) * 2007-07-27 2009-01-28 Bayer CropScience AG Ternary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EP2018807A1 (en) * 2007-07-27 2009-01-28 Bayer CropScience AG Quartary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N101765372B (zh) * 2007-07-27 2013-09-04 拜尔农作物科学股份公司 三元活性化合物结合物
JP2009073820A (ja) * 2007-08-31 2009-04-09 Sumitomo Chemical Co Ltd 農薬粒剤組成物
EP2070414A1 (en) * 2007-12-11 2009-06-17 Bayer CropScience AG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EP2070413A1 (en) * 2007-12-11 2009-06-17 Bayer CropScience AG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EP2070415A1 (en) * 2007-12-11 2009-06-17 Bayer CropScience AG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N111184003A (zh) * 2020-03-09 2020-05-22 安徽喜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苯噻酰草胺、双唑草腈和莎稗磷的除草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0012A1 (de) * 1997-11-12 1999-05-20 Bayer Ag Isothiazolcarbonsäureamide
JP2004346030A (ja) * 2003-05-23 2004-12-09 Bayer Cropscience Ag 薬害軽減剤及びその利用
DE10333373A1 (de) * 2003-07-23 2005-02-10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DE10333371A1 (de) * 2003-07-23 2005-02-10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JP2007016023A (ja) * 2005-06-09 2007-01-25 Nippon Nohyaku Co Ltd 水田用殺菌除草組成物及び防除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544A (ko) * 2007-12-11 2010-08-26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동물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활성 성분 배합물의 용도
KR101459548B1 (ko) * 2012-10-11 2014-11-12 대한민국 글로포시네이트 암모니움을 포함하는 흰잎마름병 방제용 조성물
CN104982443A (zh) * 2015-06-25 2015-10-21 陕西上格之路生物科学有限公司 一种含噁嗪草酮和苯噻酰草胺的除草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61603A (ja)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1438A (ko) 논용 유해 생물 방제제
JP3986085B2 (ja) 新規な5―アミノ―3―シアノ―4―エチルスルフィニル―1―フェニル―ピラ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農薬としての使用
ES2528715T3 (es) Combinaciones sinérgicas de principios activos fungicidas
ES2636737T3 (es) Combinaciones de principios activos fungicidas que contienen fluoxastrobina y metalaxil M
ES2424335T3 (es) Combinaciones sinérgicas de principios activos fungicidas
HU230477B1 (hu) Trifloxistrobint tartalmazó fungicid hatású hatóanyag-kombinációk
TR201807764T4 (tr) İnsektisit bileşimleri.
BRPI0712958A2 (pt) combinações pesticidas
KR20040028983A (ko) 살진균 활성 물질의 배합물
US20080207446A1 (en) Use of Phenylsemicarbazones for Seed Treatment
RU2265331C2 (ru) Фунг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20020093063A (ko) 살진균성 활성제 배합물
KR20120099396A (ko) 식물병원성 박테리아를 구제하기 위한 사이클릭 케토에놀의 용도
CN113453552A (zh) 脱芬瑞和吡唑醚菌酯的组合物
WO2016197457A1 (en) A synergistic composition comprising insecticides and fungicides
EA019535B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тлей на растениях
JP2884425B2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S6368505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EP2486796A1 (de)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Pyrazol-Insektizide als Safener bei Oxadiazolon-Herbiziden
JPS63150204A (ja) 農業用の殺虫殺菌組成物
KR100478401B1 (ko) 살진균및살충조성물
WO2020173218A1 (en) A synergistic composition comprising insecticides and fungicides
EP2486795A1 (de) Verwendung von Saatgutbehandlungs-Wirkstoffen aus der Gruppe der Nicotinoid-Insektizide als Safener bei Oxadiazolon-Herbiziden
JPH0558401B2 (ko)
KR20110022546A (ko) 멸구류 방제 조성물 및 멸구류 방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