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134A -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신규한용도 - Google Patents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신규한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134A
KR20070059134A KR1020077007693A KR20077007693A KR20070059134A KR 20070059134 A KR20070059134 A KR 20070059134A KR 1020077007693 A KR1020077007693 A KR 1020077007693A KR 20077007693 A KR20077007693 A KR 20077007693A KR 20070059134 A KR20070059134 A KR 20070059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idazoline structure
medicament
sympathetic
virus
imidaz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릿츠 자헤르
마리온 차이킨
슈테판 코엘쉬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2766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5913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59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4Arylalkylimidazoles, e.g. oxymetazolin, naphazoline, micon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신규한 용도{NOVEL USE OF α-SYMPATHOMIMETICS HAVING A 2-IMIDAZOLINE STRUCTURE}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리딘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α-sympathomimetic)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는 예를 들어 급성 비염 및 알러지성 비염으로 코 점막이 팽창하는 것을 국부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α-교감신경흥분제는 혈관(vessel) 내에서 α-수용체를 자극하고, 따라서 강한 혈관수축(vasoconstrictory) 작용을 갖는다. 코에 국부 투여시에 코 점막 내 혈관이 크게 수축하고, 이에 따라 점액 분비 감소 및 점막의 충혈제거(decongestion)가 일어난다. 이를 통해 공기의 통과가 향상되고 코 호흡(nasal breathing)에 대한 장애물이 제거된다.
일반적인 감기로도 알려진 급성 비염은 바이러스로 인한 코 점막의 급성 염증이다. 점막의 충혈제거를 위해 급성 비염에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를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이들의 상기된 혈관수축 작용에 근거한다.따라서, 급성 비염의 치료에서 이들을 사용하는 것은 급성 비염 질환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급성 비염에서도 발생하는 코 점막 팽창의 (비특이적인) 증상에 대한 완화 치료일 뿐이다.
놀랍게도,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는 항바이러스 작용을 가지며, 따라서 바이러스성 질환의 원인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는, 예를 들어 나파졸린(naphazoline), 트라마졸린(tramazoline), 테트리졸린(tetryzoline), 페녹사졸린(fenoxazoline), 자일로메타졸린(xylometazoline) 또는 옥시메타졸린과 같은 말단의 2-치환된 이미다졸린 고리를 포함하는 α-교감신경흥분 작용을 갖는 모든 활성 성분이다.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옥시메타졸린 및/또는 자일로메타졸린, 매우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옥시메타졸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바이러스성 질환은 예를 들어 포진(herpes)(단순 포진 바이러스), 폐렴(센다이 바이러스), 봉입 질환(inclusion disease)(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인플루엔자(인플루엔자 및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 바이러스), 감염성 단핵증(mononucleosis)/파이퍼 질환(엡스타인-바 바이러스), AIDS(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장염(로타바이러스, 노워크(Norwalk)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간염(간염 바이러스), 뇌막염(특히, 콕사키(Coxsackie) 바이러스, ECHO 바이러스) 뇌염(특히, 아르보 바이러스(arbovirus), ECHO 바이러스), 여포성 결막염(follicular conjunctivitis)(특히, 아데노바이러스, 포진 바이러스), 급성 비염, 중이염(medial otitis), 부비강염,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기관지염 등의 기도 감염(특히, 리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 세포융합(respiratory syncytial)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과 같은 바이러스에 기인하는 모든 질환이다.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 질환은 비염,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결막염, 중이염 및 부비강염이다.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를 포함하는 약제는 방지적으로, 즉 예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질환이 결코 발생하지 않도록 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감염 직후에 퇴치된다.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들)를 포함하는 약제는 질환 발병 후에, 즉 바이러스가 이미 질환이 되었을 때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해, 및 이에 따라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유사하게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용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들)를 포함하는 약제가 전신 또는 국부 투여될 수 있다. 전신 투여는 활성 성분(들)이 투여 후 신체에 의해 흡수되고 혈류를 통해 신체 전반에 분포되게 되는 모든 투여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경구 및 비경구 투여이지만, 예를 들어 경피 또는 폐 투여와 같은 다른 형태의 투여이기도 하다.
국부 투여는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약제가 신체 표면에 직접적으로 또는 유강 장기(hollow organ) 내에 투여되거나 그 작용을 전개하게 되는 모든 투여 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귀 안으로와 같이 피부 라이닝 신체 구멍(orifice)을 포함하는 피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눈으로, 코로, 목구멍 영역으로 또는 직장 영역으로와 같이 점막에 대하여 투여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국부 투여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약제는 국부 사용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점막 상에서 국부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약제는 점막 상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들)를 포함하는 약제는 코/목구멍 영역, 기도, 귀, 피부 및/또는 눈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은 코/목구멍 영역, 기도, 귀, 피부 및/또는 눈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제는 바람직하게는 코/목구멍 영역, 귀 및/또는 눈의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급성 비염,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결막염, 중이염, 부비강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용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급성 비염 및/또는 인플루엔자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용도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약제의 형태는 각 경우에 투여 방법과 조화되어야 한다. 적합한 경구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정제, 캅셀, 당의정, 과립 또는 액제가 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액제, 에멀젼 또는 현탁액, 국부 투여 형태는, 예를 들어 겔, 연고, 로션, 크림, 액제, 에멀젼, 현탁액, 분말, 좌제 또는 에어로졸이 될 수 있다. 특별한 적용예에 적합한 투여 형태, 이의 조성물 및 제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해당 표준 작업서(standard works), 예를 들어 문헌(H. Sucker, P. Fuchs, P. Speiser, "Pharmazeutische Technologie" [Pharmaceutical Technology], Stuttgart 1978 또는 K.H. Bauer, K.H. Froemming, C. Fuehrer, "Pharmazeutische Techmologie"[Pharmaceutical Technology], Stuttgart 1986)을 참조한다.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 병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일부이다.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를 염기로서 또는, 예를 들어 황산, 아황산, 디티온산(dithionic acid), 질산, 염산 또는 브롬화수소산과 같은 할로겐화수소산, 예를 들어 오르도인산과 같은 인산, 또는 술팜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피발산, 말론산, 숙신산, 피멜산, 푸마르산, 말레산, 젖산, 타르타르산, 말산 또는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과 이의 산-부가 염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산-부가염 및 차례로 본 명세서에서 염화수소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용도가 수용액(이는 바람직하다)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특히 적용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아연 염을 포함하는 약제로 사용된다. 존재할 수 있는 아연 염은 원칙적으로 모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아연염, 바람직하게는 아연 클로라이드, 아연 락테이트, 아연 설페이트, 아연 시트레이트, 아연 아세테이트, 아연 히스티디네이트, 아연 오로테이트(orotate), 아연 아스파르테이트 및/또는 아연 글루코네이트이다. 약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연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α-교감신경흥분제(들)가 수성 용매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로 사용된다. 수용액은, 예를 들어 눈에, 코/목구멍 영역에, 또는 직장 영역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점막 상에서의 국부 사용에 특히 적합하며, 급성 비염의 치료를 위해 코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수용액은, 예를 들어 완충제(buffer) 및 방부제(preservative)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완충제는, 예를 들어 시트레이트 염, 아세테이트 염, 히스티딘 염 숙시네이트 염, 말레이트 염, 포스페이트 염 또는 락테이트 염, 및/또는 이의 각각의 유리 산 또는 염기와, 다양한 염 및/또는 이의 산 또는 염기의 혼합물과 같은 원하는 pH를 설정하기에 적합한 원칙적으로 모든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이다.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특히 옥시메타졸린 및/또는 자일로메타놀린이 활성 성분으로서 존재하면, 특히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들)를 포함하고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는 수용액의 형태이고 하나 이상의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포스페이트 완충제는 인산수소이나트륨(disodium hydrogenphosphate) 또는 인산이수소칼륨(potassium dihydrogenphosphate)과 같은 인산의 일- 및/또는 이나트륨 및 칼륨 염의 용액과, 예를 들어 인산수소이나트륨 및 인산이수소칼륨의 혼합물과 같은 나트륨 및 칼륨 염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시트레이트 완충제는 하나 이상의 시트레이트 염(들) 및/또는 이의 유리 산(예를 들어, 시트르산, 시트르산 일수화물, 시트르산삼나트륨 이수화물, 시트르산삼칼륨 일수화물)의 혼합물이다.
수용액의 pH는 4.0 내지 8.0의 범위이며, pH 5.5 내지 7.0이 바람직하다. 수용액이 포스페이트 완충제를 포함하는 경우, 5 내지 180 mmol/l,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45 mmol/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트레이트 완충제가 존재하는 경우, 1 내지 50 mmol/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mol/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적합한 방부제는, 예를 들어 페놀, m-크레졸,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티오메살(thiomersal) 또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이고, 특히 수용액이 점막 상에서의 국부 사용을 위한 경우 및 본 명세서에서 특히 코에서의 사용을 위한 경우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α-교감신경흥분제(들)를 포함하고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는 수용액의 형태이고, 하나 이상의 방부제, 바람직하게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용액이 또한 존재하는 활성 성분 및 보조제의 삼투 특성(osmotic property)으로 인해 이미 등장(isotonic)이 아닌 경우, 등장제, 바람직하게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륨 등,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올, 예를 들어 글루코스 또는 글리세롤 등이 등장(isotonicisation)에 필요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등장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이다.
존재하는 α-교감신경흥분제, 투여 형태 및 특정한 바이러스 질환에 따라, 약제를 매주 1회 이상 내지 매일 1회 이상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약제는 매일 2회, 3회 또는 그 이상 투여하도록 의도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항바이러스 활성
바이러스 균주 HRV 2 및 HRV 14(인간 비염) 및 인플루엔자 A에 대해 옥시메타졸린의 예를 사용하여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일련의 시험관-내(in-vitro) 실험으로 조사한다. 조사는 HRV 2 또는 HRV 14로 감염된 HeLa 세포 또는 인플루엔자 A로 감염된 MDCK 세포 상에서 실시한다. 이 때, 바이러스 복제(replication)/바이러스 재생산에 미치는 옥시메타졸린의 영향은 플라크 감소 분석(plaque reduction assay)(Cooper, P.D., 1955: A method for producing plaques in agar suspensions of animal cells. Virologiy1:397-409)에 의해 바이러스의 감염성(infectiousness)(바이러스 적정에 의한 잔류 감염성의 결정) 상에서 증명된다. 또한, 항바이러스 작용 특성은 소위 고도-스루풋 세포 변성 효과 저해 분석(high-throughput cytopathic effect inhibitory assay)(CPE)으로 측정하였다(Schmidtke M., Schnittler U., Jahn B., Dahse H.-M. and Stelzner A. 2001: A rapid assay for evaluation of antiviral activity against coxsackie virus B3, influenza virus A, and herpes simplex virus type 1. J Virol Methods 95: 133-143)
바이러스 균주 HRV 2 및 HRV 14
활성 성분으로 인한 세포독성 효과(cytotoxic effect)를 배제하기 위해, 먼저 시험관-내(in-vitro) 시험 조건 하에 존재하는 HeLa 세포 상에 어떤 영향도 없는 활성-성분 농도를 희석 일련(dilution series)의 활성-성분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결정한다(문헌(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Meth. 65:55-63) 참조). HeLa 세포의 대사를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로 인한 효과가 없는 활성 성분 농도는 0.005 내지 0.003125 %(W/V)이다.
HRV 14로의 HeLa 세포 감염은 0.0004의 평균 감염 투여량(dose)(M.O.I., 감염 다중도(multiplicity of infection))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HRV 2로 HeLa 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해, 미처리 바이러스 대조구 내에서 감염 72 시간 후에 완전한 CPE가 얻어지는 바이러스 투여량이 선택된다. 시험 물질은 감염된 세포에 0.003125%(W/V)의 결정된 비-세포독성 물질의 농도를 희석하여(1:2, 1:4, 1:8, 1:16, 1:32) 첨가한다. 항바이러스 활성은 플라크 감소 시험 및/또는 고도-스루풋 세포변성 효과 저해 분석(CPE)의 도움으로 측정된다. 잔류 감염성(TCID50/ml)은 바이러스 적정으로 결정된다. HRV 14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낸다.
HRV 14
희석(1/X) 플라크 감소 상대적(rel.) 저해 [%] 잔류 감염성 상대적 저해[%] 상대적 총 저해
2 44.26 33.33 38.79
4 32.98 20.83 26.91
8 25.74 18.75 22.25
16 17.66 18.75 18.20
32 14.26 12.50 13.38
상기 결과는 예를 들어 옥시메타졸린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바이러스 균주 HRV 14에 대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항바이러스 작용을 보여준다.
바이러스 균주 HRV 14를 사용한 제 2의 일련의 시험의 결과(CPE 분석으로 측정)
희석(1/X) CPE 저해[%]
2 50.5
4 53.6
8 37.5
16 5.9
HRV 2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HRV2
희석(1/X) CPE 저해[%]
2 40.5
4 23.2
상기 결과는 예를 들어 옥시메타졸린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서 바이러스 균주 HRV 2에 대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항바이러스 작용을 보여준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두 리노바이러스(HRV 2, HRV 14)에 대해 기재된 방법과 유사하게, 먼저 시험관-내(in-vitro) 시험 조건 하에 사용된 MDCK 세포 상에 어떤 영향도 없는 활성-성분 농도를 희석 일련의 활성-성분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결정한다. MDCK 세포의 대사를 감소시키는 시험 물질로 인한 효과가 없는 활성 성분 농도는 0.005 %(W/V)이다. 시험 물질은 감염된 세포에 0.005%(W/V)의 결정된 비-세포독성 물질의 농도를 희석하여(1:2, 1:4, 1:8, 1:16, 1:32) 첨가한다. 항바이러스 활성은 고도-스루풋 세포변성 효과 저해 분석(CPE)의 도움으로 정량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희석(1/X) CPE 저해[%]
2 52.8
4 35.5
8 23.1
16 9.1
상기 결과는 예를 들어 옥시메타졸린에 대하여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균주에 대한 α-교감신경흥분제의 항바이러스 작용을 보여준다(CPE 분석).
본 발명에 의하면,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들)는 옥시메타졸린 및/또는 자일로메타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국부 사용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점막 상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코/목구멍 영역, 기도, 귀, 피부 및/또는 눈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은 코/목구멍 영역, 귀 및/또는 눈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은 급성 비염,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결막염, 중이염, 부비강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α-교감신경흥분제(들)은 수성 용매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완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하나 이상의 방부제, 바람직하게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용도.
KR1020077007693A 2004-10-05 2005-09-16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신규한용도 KR20070059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9008A DE102004049008A1 (de) 2004-10-05 2004-10-05 Neue Verwendung für α-Sympathomimetika mit 2-Imidazolinstruktur
DE102004049008.2 2004-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134A true KR20070059134A (ko) 2007-06-11

Family

ID=3527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693A KR20070059134A (ko) 2004-10-05 2005-09-16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신규한용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20080108685A1 (ko)
EP (1) EP1802302B1 (ko)
JP (1) JP5311825B2 (ko)
KR (1) KR20070059134A (ko)
CN (1) CN101022797B (ko)
AU (1) AU2005291603B2 (ko)
BR (1) BRPI0516832A (ko)
CA (1) CA2582984C (ko)
CY (1) CY1118581T1 (ko)
DE (1) DE102004049008A1 (ko)
DK (1) DK1802302T3 (ko)
ES (1) ES2612544T3 (ko)
HU (1) HUE031515T2 (ko)
LT (1) LT1802302T (ko)
MX (1) MX2007004040A (ko)
PL (1) PL1802302T3 (ko)
PT (1) PT1802302T (ko)
RU (1) RU2397764C2 (ko)
WO (1) WO2006037452A1 (ko)
ZA (1) ZA200703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9008A1 (de) 2004-10-05 2006-04-06 Merck Patent Gmbh Neue Verwendung für α-Sympathomimetika mit 2-Imidazolin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9764A1 (en) 1991-11-19 1993-05-27 Center For Innovative Technology Combined virustatic antimediator (covam) treatment of common colds
JPH06211659A (ja) * 1993-01-19 1994-08-02 Kowa Co 点鼻薬組成物
US5576437A (en) 1993-12-17 1996-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7-(2-imidazolnylamino) quinoline compounds useful as alpha-2 adrenoceptor agonists
DE4438589A1 (de) 1994-10-28 1995-03-23 Reingard Dr Muenster Nasentherapeutikum
WO1996025163A1 (en) * 1995-02-14 1996-08-22 Board Of Supervisors Or Louisiana State Universityof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Through Itsmedical Center Treatment of herpes simplex viruses
US5916900A (en) 1995-06-29 1999-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7-(2-imidazolinylamino)quinoline compounds useful as alpha-2 adrenoceptor agonists
DE19541919C2 (de) 1995-11-10 1997-11-20 Klosterfrau Mcm Vetrieb Gmbh Pharmazeutische Zubereitung zur Behandlung akuter Rhinitiden
EP0903151A1 (en) * 1997-09-22 1999-03-24 ASTA Medica Aktiengesellschaft Use of combinations comprising non-sedating antihistamines and alpha-adrenergic drugs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rhinitis/conjunctivitis and cold, cold-like and/or flu symptoms
JP2004509920A (ja) 2000-09-29 2004-04-02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ペレーティング ミシガン ステート ユニヴァーシティ カテコールアミン医薬組成物および方法
EP1661570A3 (en) * 2001-09-18 2012-10-24 Nycomed Danmark ApS Compositions comprising ipatropium and xylometazoline for treatment of the common cold
DE10250944B9 (de) 2002-10-31 2004-09-16 Cell Center Cologne Gmbh Verwendung eines Stifts zur Applikation von Pflege- oder Wirkstoffen in die Nase
DE102004049008A1 (de) 2004-10-05 2006-04-06 Merck Patent Gmbh Neue Verwendung für α-Sympathomimetika mit 2-Imidazolinstruk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Y1118581T1 (el) 2017-07-12
JP2008515824A (ja) 2008-05-15
EP1802302A1 (de) 2007-07-04
AU2005291603B2 (en) 2010-10-14
CN101022797A (zh) 2007-08-22
DK1802302T3 (en) 2017-02-06
JP5311825B2 (ja) 2013-10-09
RU2397764C2 (ru) 2010-08-27
US20080108685A1 (en) 2008-05-08
PL1802302T3 (pl) 2017-08-31
HUE031515T2 (en) 2017-07-28
CA2582984C (en) 2012-06-05
EP1802302B1 (de) 2016-10-26
WO2006037452A1 (de) 2006-04-13
MX2007004040A (es) 2007-05-24
ES2612544T3 (es) 2017-05-17
RU2007116719A (ru) 2008-11-20
ZA200703622B (en) 2008-08-27
CA2582984A1 (en) 2006-04-13
CN101022797B (zh) 2010-12-15
PT1802302T (pt) 2017-02-07
BRPI0516832A (pt) 2008-09-23
DE102004049008A1 (de) 2006-04-06
AU2005291603A1 (en) 2006-04-13
LT1802302T (lt)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3379B2 (ja) 性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鼻内用製剤
US11903953B2 (en) Remdesivir treatment methods
US20220125767A1 (en) Thiazolide compounds for treating viral infections
RU2417083C2 (ru) Применение активаторов растворимой гуанилатциклазы для лечения острых и хронических лего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CN115485027A (zh) 冠状病毒感染引起的化学感觉功能障碍的治疗
CN112386595A (zh) 一种治疗呼吸系统病毒性感染的药物组合物
KR20070059134A (ko) 2-이미다졸린 구조를 갖는 α-교감신경흥분제의 신규한용도
US20030045577A1 (en) Method for preventing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s
JP2002348240A (ja) 医薬組成物
US11395819B1 (en) Antiviral and virucidal lung nebulizer compositions and related treatment methods
KR20190009294A (ko) 비강 울혈을 치료/예방하기 위한 카르복실산
JP2023521150A (ja) コロナウイルス感染の阻害および処置に使用するための銀ナノ粒子
RU2737086C2 (ru) Жидк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гриппа и орви
EP3888629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a virus infection
RU2770521C2 (ru) Жидк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гриппа и орви
RU2770518C2 (ru) Жидк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гриппа и орви
Nicholson Antiviral therapy: Respiratory infections, genital herpes, and herpetic keratitis
RU2744854C1 (ru) Жидк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гриппа и орви
WO2023040990A1 (zh) 治疗冠状病毒感染的新联用药物、药物组合物及其用途
US20220273594A1 (en) Compositions and Use of N-Chlorotaurine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s
WO1993023056A1 (en)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infectious diseases containing mizoribine as active ingredient
WO2022031537A1 (en)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sv and coronavirus infection
US2024016519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transmissivity of illnesses using an oral delivery system
JPWO2021207178A5 (ko)
EA045870B1 (ru)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лечения гриппа и орв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