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097A -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097A
KR20070059097A KR1020077005823A KR20077005823A KR20070059097A KR 20070059097 A KR20070059097 A KR 20070059097A KR 1020077005823 A KR1020077005823 A KR 1020077005823A KR 20077005823 A KR20077005823 A KR 20077005823A KR 20070059097 A KR20070059097 A KR 20070059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zone
fire
rescu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868B1 (ko
Inventor
시로 히키타
키요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8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가능하게 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취역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불가라고 판단하여 가장 가까운 층 정지 후의 운전을 정지하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1B)과,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한 엘리베이터에 대해 화재가 발생한 층계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1C)과, 해당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구출층과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1D)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FIRE EVACUATION OPERATION SYSTEM FOR GROUP CONTROLLED ELEVATORS}
본 발명은 고층 빌딩에 있어서의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피난을 실시할 수 있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는 가장 가까운 층으로 주행한 후, 이후의 운전을 정지하는 일이 많다. 이것은 주로 엘리베이터에 의한 2차 재해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은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에, 이미 올라 타 있는 승객을 신속하게 피난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피난층으로 직행하여 착상시키는 동시에, 승객이 갇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 열림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고, 이 후 화재시의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금지하여 2차 재해를 막고 있다.
또한, 통상 엘리베이터와는 별도로 화재 발생시에 소방 대원 등이 이용하는 특수 구조의 비상 엘리베이터도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의 빌딩에서는 방화 구획 외의 기술이 향상하고, 화재 발생층이나 그 위 근방층을 제외한 층계에서는 영향을 받는 일이 적고, 엘리베이터도 통상 운전을 계속해도 지장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을 고려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고층 빌딩에서의 화재시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zone)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화재 관제 운전(가장 가까운 층으로 주행하여 정지)을 실시시키고, 이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각 존에 차례로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화재에 영향이 적은 층에서 통상의 운전을 계속하는 시간을 연장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예를 들면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화재 발생층을 피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층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5-895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5-147849호 공보
그러나, 전자의 종래 기술에서는 안전한 층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도 통상 운전을 실시하는 시간을 약간 연장하고 있을 뿐, 통상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이용 또는 제공하는 구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동일하게, 후자의 종래 기술에서도 화재 발생층에 따라 피난층을 변경하고 있을 뿐, 통상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이용 또는 제공하는 구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빌딩의 방화 구획 외의 기술 향상 등으로 화재 발생층이나 그 위 근방층을 제외한 층계에서는 영향을 받는 일이 적은 점에 주목하여, 화재 발생층의 위치에 따라 안전한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는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불가라고 판단하여 가장 가까운 층 정지 후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可否) 판정 수단과,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에 의해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한 엘리베이터에 대해 화재가 발생한 층계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과, 해당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구출층과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transit)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을 공유하는 존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이다.
또,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의 위쪽 근방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는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킨 후,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의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자기가 서비스하는 존의 위쪽 트랜짓층 또는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과,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과, 각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구출층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으로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인 경우에는 최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최상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이 아닌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이 그 층을 포함하는 존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는 해당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해당 존의 위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그 외는 해당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는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또,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이의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되었을 때,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 빌딩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화재 발생층의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빌딩 재관자는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병용하여 피난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빌딩 재관자의 계단 이동 거리를 공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각 엘리베이터는 피난층과 구출층에만 정지하게 되므로 사이클(cycle) 시간을 앞당길 수 있고,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을 공유하는 존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안전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이 실시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의 위쪽 근방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각 엘리베이터는 안전한 층과의 왕복 운전에 의해 구출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인 경우에는 최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최상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이 아닌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이 그 층을 포함하는 존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는 해당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해당 존의 위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그 이외는 해당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화재에 의해 가장 위험도가 높은 존의 재관자가 승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수가 증가하고, 신속하게 피난이 실시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는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함으로써, 안전한 피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되었을 때,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운전 가능한 모든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 운전이 행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
1A 통신 수단
1B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
1C 구출층 설정 수단
1D 피난 운전 지령 수단
1E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
1F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
2 방재 관리 장치
3 화재 감지기
4 비상 방송 장치
5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피난 계획안을 작성하고, 지령을 실시하는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 2는 빌딩 전체의 방재 기기를 관리 통괄하는 방재 관리 장치, 3은 각 층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 4는 동일하게 각 층에 설치된 비상 방송 장치이며, 비상시에 피난 유도에 관한 아나운스 등을 실시한다. 또, 5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이다.
또, 도 1의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에는 이하의 1A ~ 1D의 각 수단이 포함되어 있고, 이것들 1A ~ 1D의 각 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1A는 각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5) 등과의 정보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 수단, 1B는 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가부를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 1C는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 1D는 각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5)에 대해 피난 운전 지령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도 2 ~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도 1의 화재 감지기(3)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후 화재 발생이 확정하면, 도 2에 있어서의 단계 S100에서 화재 발생의 확정 정보가 도 1의 방재 관리 장치(2)로부터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에 입력된다. 이 후 단계 S101에서 각 엘리베이터는 화재 관제 운전으로 불리는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화재 관제 운전은 주행중의 엘리베이터가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고, 문을 열어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것이다.
이 후, 단계 S102에서 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 피난 운 전 가부 판정 수단(1B)에 의해 피난 운전의 실시 가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층(11)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서는 안전하기 때문에 피난 운전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시키고,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또 서비스하는 층계에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하고,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단계 S103에서는 상기 단계 S102에서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된 각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한다. 이하도 3, 도 4를 이용하여 이 구출층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저층 존ㆍ중층 존ㆍ고층 존인 3 개의 존을 각각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취역하는 빌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고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3의 우측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고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3의 중앙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중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3의 좌측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저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현관층은 화재 발생시에는 피난층(10)이 된다.
여기서 도 3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층 존에 포함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우선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는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단계 S102의 판정에서 운전 정지로 판정된다.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한다. 또 하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중층/하층 존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3)으로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인 구출층(12)까지 계단으로 이동하고, 이 후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승차하여 피난층(10)인 현관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 중층 존 재관자는 중층/하층 존의 트랜짓층인 구출층(13)까지 계단으로 이동하고, 이 후 하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승차하고, 피난층(10)인 현관층까지 이동한다. 또한, 하층 존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층(11)보다 위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한다. 또 화재 발생층(11)보다 아래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3)으로서 설정한다.
일반적인 인간의 심리로서, 화재와 같은 재해 발생시에 빌딩의 재관자는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랜짓층을 설정하면, 최하층을 제외한 모든 재관자는 자기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하면 엘리베이터에 승차할 수 있고, 각 존 재관자의 계단 이동 거리는 거의 공평하고, 특정층의 사람만이 장거리를 계단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또 전원이 계단만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피난을 완료할 수 있다.
다음에, 트랜짓층 또는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구출층 설정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중층/하층 존의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 중층/하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의 서비스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으므로, 단계 S102의 판정에서 모두 피난 운전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 한다. 따라서 중층/하층 존의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또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2)이 설정되고, 이 구출층(12)으로부터 상층 존의 재관자는 엘리베이터로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현관층과 같이 각 엘리베이터가 공통으로 서비스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단계 S102에서 모든 엘리베이터는 운전 정지로 판정되게 된다.
또, 도 4(b)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의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가 서비스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으므로, 단계 S102의 판정에서 피난 운전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한다.
또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단계 S102에서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된다. 그러나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진전에 따라서는 트랜짓층에도 불이 번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안전상의 여유를 고려하여, 상층 존용의 구출층(12)을 트랜짓층보다 위쪽의 층으로 시프트한다. 이 시프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이 생각된다.
화재 발생층(11)이 트랜짓층 -1 층인 경우 구출층을 트랜짓층 +2 층으로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이 트랜짓층 -2 층인 경우 구출층을 트랜짓층 +1 층으로 설정한다.
즉, 안전 파라미터로서 X(층)을 설정하고, 화재가 트랜짓층 -1 층 ~ 트랜짓 층 -X 층에 발생했을 경우에, 구출층을 화재 발생층 +X+1 층으로 설정한다. 상기예는 X=2 로 했을 경우이다. 이 X의 값은 빌딩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103에서 구출층이 설정되면, 단계 S104으로 진행되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이 실시되게 된다.
피난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는 설정된 구출층(12, 13)과 피난층(10)(통상 현관층)과의 왕복 운전을 실시하고, 재관자의 피난 구조에 임한다. 또, 각 층에 설치된 비상 방송 장치(4)로부터 재관자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피난의 유효ㆍ무효 및 어느 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에 승차 가능한가의 안내 유도가 실시된다.
상기 단계 S104의 피난 운전은 단계 S105에서 종료로 판정될 때까지 실시된다. 이 종료 판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가 생각된다.
(i) 방재원, 소방대 등 인간의 판단에 의해 운전 종료로 판정하고, 운전 종료로 입력되었을 경우.
(ii) 화재의 진전 또는 소화 활동의 침수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운전의 안전이 위협되었을 경우.
(iii) 구출층에서의 승차가 없어지고 피난 완료로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i)는 메뉴얼 입력, (ii), (iii)는 승강차 센서 등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의 센서에 의해 자동 판정 가능하다. 또한, 종료 판정은 상기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어떤 조건에서 안전 확보가 곤란하게 되었을 경우, 및 피난이 완료했다고 판정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을 종료해도 된다.
이상 단계 S102 ~ S104는 각 존을 담당하는 엘리베이터 그룹마다 실시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에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여 차이점만 설명한다. 1E는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 1F는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도 6 ~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도 5의 화재 감지기(3)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후 화재 발생이 확정되면, 도 6에 있어서의 단계 S200에서 화재 발생의 확정 정보가 도 5의 방재 관리 장치(2)로부터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에 입력된다. 이 후 단계 S201에서 각 엘리 베이터는 화재 관제 운전으로 불리는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화재 관제 운전은 주행중의 엘리베이터가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고, 문을 열어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것이다.
이 후, 단계 S202에서 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 구출층 설정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후술하는 단계 S20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각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지만,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있는 경우에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하지만, 그 외에 트랜짓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존의 구출층 설정 불가로 판정하고,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한다.
또한, 피난층(통상 현관층)과 같이 각 엘리베이터가 공통으로 승객을 하차 시켜야 할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단계 S202에서 모든 엘리베이터는 운전 불가로 판정하고,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한다.
또 상기 이외의 케이스에서 구출층을 설정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단계 S203에서는 상기 단계 S202에서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된 각 엘리베이베터 그룹에 대해,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한다. 이하 도 7, 도 8을 이용하여 그 구출층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저층 존ㆍ중층 존ㆍ고층 존의 3 개의 존을 각각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취역하는 빌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고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7의 우측 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고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7의 중앙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중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7의 좌측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저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현관층은 화재 발생시에는 피난층(10)으로 된다.
우선, 도 7(a)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층 존내에서 약간 아래쪽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도 7(a)의 예에서는 화재 발생에서 가장 위험하다고 간주되는 것은 중층 존의 각 층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중층 존 재관자의 피난을 우선해야 한다. 그 때문에,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3)을 설정한다. 또 중층 존보다 아래에 있는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해당 존의 위쪽에 있는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그 결과,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게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3)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중층 존 재관자은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한 후,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피난층(현관층)까지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존의 아래쪽에 있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한다.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하고, 이 후,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서 피난층(현관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저층 존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다음에, 도 7(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중층 존의 약간 위쪽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이며,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이 경우, 불이 번지는 것을 고려하면 중층 존보다 상층 존의 쪽이 위험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그 때문에 중층 존보다 상층 존 재관자의 피난을 우선하여,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2)을 설정한다. 한편,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도 7(a)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과 중층/저층 존 트랜짓층에 구출층(12, 13)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한 후,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중층 존 재관자는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로 피난을 실시하고, 저층 존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는 존에 대해서는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구출층을 상하 트랜짓층의 어느 하나에 구출층(12, 13)을 설정한다. 또 화재 발생층(11)보다 위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11)보다 아래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3)으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재에 의해서 가장 피난을 우선해야 할 존의 재관자가 보다 많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는 존의 엘리베이터를 상하 중 어느 한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할지에 대해서는 파라미터 로 하여 X(층)를 설정하고, 화재가 상부 트랜짓층 -2 층 ~ 트랜짓층 -X 층에 발생했을 경우에, 구출층을 상부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이 X의 값은 빌딩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다음에, 트랜짓층 또는 트랜짓층의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구출층 설정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가 서비스하는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그 외에 구출층을 설정해야 할 트랜짓층이 없기 때문에, 단계 S202의 판정으로 구출층 설정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한다. 따라서, 중층/저층 존의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또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 설정이 불가이므로, 대신에 구출층(12)을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2)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인 구출층(12)으로부터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도 8(b)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가 서비스하는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그 외에 구출층을 설정해야 할 트랜짓층이 없기 때문에, 단계 S202의 판정으로 구출층 설정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 한다. 또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 설정이 불가이므로, 대신에 구출층(13)을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층/중층 존의 재관자는 계단으로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이동하고,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피난층(현관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단계 S202에서 모든 엘리베이터는 운전 정지로 판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203에서 구출층이 설정되면, 단계 S204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이 실시되게 된다.
피난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는 설정된 구출층과 피난층(통상 현관층)과의 왕복 운전을 실시하고, 재관자의 피난 구조에 임한다. 또, 각 층에 설치된 비상 방송 장치(4)로부터 재관자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피난의 유효ㆍ무효 및 어느 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에 승차 가능한가의 안내 유도가 실시된다.
상기 단계 S204의 피난 운전은 단계 S205에서 종료로 판정될 때까지 계속하여 실시된다. 이 종료 판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가 생각된다.
(i) 방재원, 소방대 등 인간의 판단에 의해 운전 종료로 판정하고, 운전 종료로 입력되었을 경우.
(ii) 화재의 진전 또는 소화 활동의 침수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운전의 안전이 위협되었을 경우.
(iii) 구출층에서의 승차가 없게 되고, 피난 완료로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i)는 메뉴얼 입력, (ii), (iii)는 승강차 센서 등 엘리베이터 관련 설 비의 센서에 의해 자동 판정 가능하다. 또한, 종료 판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조건으로 안전 확보가 곤란하게 되었을 경우, 및 피난이 완료했다고 판정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을 종료한다.
이상 단계 S201 ~ S206는 각 존을 담당하는 엘리베이터 그룹마다 실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는 빌딩의 방화 구획 외의 기술의 향상 등으로 화재 발생층이나 그 위 근방층을 제외한 층계에서는 영향을 받는 일이 적은 것에 주목하여, 화재 발생층의 위치에 따라 안전한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zone)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불가라고 판단하여 가장 가까운 층 정지 후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可否) 판정 수단과,
    상기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에 의해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한 엘리베이터에 대해 화재가 발생한 층계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과,
    해당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상기 현관층과 상기 구출층과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transit)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을 공유하는 존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의 위쪽 근방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5.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킨 후,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의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자기가 서비스하는 존의 위쪽 트랜짓층 또는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과,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과,
    각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상기 구출층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인 경우에는 최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최상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이 아닌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이 그 층을 포함하는 존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는 해당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해당 존의 위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그 이외는 해당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는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되었을 때,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KR1020077005823A 2007-03-13 2005-09-05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KR10089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823A KR100896868B1 (ko) 2007-03-13 2005-09-05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823A KR100896868B1 (ko) 2007-03-13 2005-09-05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097A true KR20070059097A (ko) 2007-06-11
KR100896868B1 KR100896868B1 (ko) 2009-05-12

Family

ID=3835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823A KR100896868B1 (ko) 2007-03-13 2005-09-05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855B1 (ko) * 2021-04-16 2022-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72A (en) 1979-06-19 1981-01-14 Kajima Corp Sheltering rescuing apparatus for superrhigh rise building
JPS6413387A (en) * 1987-07-08 1989-01-18 Toshiba Corp Driving device at time of fire of group control elevator
JP4391226B2 (ja) * 2003-12-25 2009-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用エレベーター運行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855B1 (ko) * 2021-04-16 2022-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868B1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8662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火災時避難運転装置
FI125122B (fi) Hissijärjestelmä
EP2343262B1 (en) Elevator evacuation support system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US7594564B2 (en) Elevator system
KR100968311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시 관리 장치
KR100973883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1828005B1 (ko) 피난용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전략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7096969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MXPA03011688A (es) Metodo y sistema para la evacuacion de emergencia de ocupantes de un edificio y metodo para la modernizacion de un edificio existente con dicho sistema.
KR20130043673A (ko) 엘리베이터의 모니터 제어 장치
US20110108365A1 (en) Evacuation supporting system
KR20090086966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WO2011125164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7360569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08156017A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
JP201114859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896868B1 (ko)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Kuligowski et al. Design of occupant egress systems for tall buildings
JP4842163B2 (ja) エレベータ利用避難システム
JP548567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0467994B1 (ko) 비상 탈출 구조
JP201115301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