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855B1 -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855B1
KR102423855B1 KR1020210049813A KR20210049813A KR102423855B1 KR 102423855 B1 KR102423855 B1 KR 102423855B1 KR 1020210049813 A KR1020210049813 A KR 1020210049813A KR 20210049813 A KR20210049813 A KR 20210049813A KR 102423855 B1 KR102423855 B1 KR 10242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mergency
monitoring module
integrated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용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및 컨트롤패널 등을 변경하지 않고,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설치한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제작 또는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해당 엘리베이터를 설치 및 관리하는 업체로부터 별도의 데이터를 제공받지 않더라고 해당 엘리베이터의 정확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들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발생시, 승객이 대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를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분야, 엘리베이터 안전 관리 분야 및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Elevat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dd on monitoring module}
본 발명은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및 컨트롤패널 등을 변경하지 않고,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설치한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제작 또는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해당 엘리베이터를 설치 및 관리하는 업체로부터 별도의 데이터를 제공받지 않더라고 해당 엘리베이터의 정확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들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층수 이상의 건축물에는 사람이나 화물을 고층으로 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승강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에 설치되어 이동되므로,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구성품 등의 노후화나 고장 등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의 관리자는 일정 기간마다 해당 엘리베이터를 점검하여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관리자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관리는 보통 일정 기간마다 해당 엘리베이터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해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방법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술 중 하나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887호 '통합 제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서로 다른 제조사의 승강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관리업체가 오프라인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것을 단순히 온라인으로 통합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비록 제조사가 다른 승강기(엘리베이터)를 관리한다고는 하였으나, 그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에서 말하는 승강기의 운행제어정보는 업체별로 상이한 것으로, 해당 업체에서 운행제어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승강기의 관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업체에서 제작된 승강기들을 통합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들로부터 운행제어정보를 일일이 제공받아야만 한다는 여려움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업체가 파산 등의 이유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승강기의 운행제어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선행기술로는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2887호 '통합 제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제작 또는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해당 엘리베이터를 설치 및 관리하는 업체로부터 별도의 데이터를 제공받지 않더라고 해당 엘리베이터의 정확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들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및 컨트롤패널 등을 변경하지 않고,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설치한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발생시, 승객이 대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를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은, 대상 엘리베이터에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비상라인을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용 컨트롤패널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추출하여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모듈로부터 수신된 비상상황을 확인하고, 기능별 우선순위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상상태를 알리거나 재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이상상태가 수신되면, 해당 이상상태에 대응하여 대상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후관리를 진행하는 업체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컨트롤패널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발생시, 승객이 대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우, 상기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위급상황 발생시, 해당 비상신호가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관련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과 무관한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위급상황 발생시,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최소필수구성요소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최소필수구성요소에 이상이 없는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제품수명 교체시기 점검시기를 포함하는 구성별 이력관리 및 안내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 중 교체가 필요한 구성이 있는 경우, 대상 구성품을 판매하는 홈페이지와 연동하여 최저가 동일제품을 검색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하거나, 대상 구성품에 비하여 신뢰도가 높은 대체품을 검색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에 통지하며, 설정시간내에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사후처리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우선순위가 차순위인 다른 업체관리서버에 해당 비상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공통기능과 추가기능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기능이 공통기능이면 차순위의 다른 업체관리서버에 해당 비상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기능이 추가기능이면, 해당 추가기능의 위험도에 따라 긴급알림 또는 일반알림 후 대상 엘리베이터의 임시가동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위험도에 따른 일반알림 후 임시가동의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 발생하면, 대상 엘리베이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긴급알림으로 재공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 및 컨트롤패널 등을 변경하지 않고,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설치한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비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새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물론,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간단히 설치하는 것만으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들에 대한 통합관리도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제작 또는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해당 엘리베이터를 설치 및 관리하는 업체로부터 별도의 데이터를 제공받지 않더라고 해당 엘리베이터의 정확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국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들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발생시, 승객이 대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를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엘리베이터 제조업체 및 관리업체 등을 연계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능별로 분류 및 통합관리하며, 이상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관리업체와 연락되지 않을 경우, 차순위 관리업체와 연락하여 복구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신속한 사후처리 및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분야, 엘리베이터 안전 관리 분야 및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행되는 통합관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모니터링모듈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행되는 통합관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모듈(100) 및 통합관리서버(200)를 포함하며, 모니터링모듈(100)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컨트롤패널(300)에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모듈(100)은 적어도 하나의 비상라인을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용 컨트롤패널(300)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추출하여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원격지로 전송한다(단계 S100).
통합관리서버(200)는 모니터링모듈(100)로부터 수신된 비상상황을 확인하고, 기능별 우선순위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상상태를 알리거나 재가동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0).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컨트롤패널(300)에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모니터링모듈(100)을 설치하고, 통합관리서버(200)와 모니터링모듈(100)이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들을 쉽게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모듈(100)의 구성 및 기능과, 통합관리서버(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엘리베이터들을 관리하는 다수의 업체들이 운용하는 다수의 업체관리서버(400) 및 국가승강기 정보센터(500)와 연동될 수 있다.
업체관리서버(400)는 통합관리서버(200)로부터 이상상태가 수신되면, 해당 이상상태에 대응하여 대상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후관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업체관리서버(400)는 이상상태의 종류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전문관리자(구체적으로, 전문관리자가 사용하는 전용단말기나 스마느폰 등) 또는 해당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의 관리자(구체적으로, 관리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의 범용단말기)에게 이상상황을 알려주면서, 해당 이상상황을 복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엘리베이터에 구성된 컨트롤패널(300)에 에드온방식으로 구성된 각각의 모니터링모듈(100)은, 해당 엘리베이터의 모니터링 정보 및 이상정보 등을 국가승강기정보센터(500)로 전송함으로써, 전국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들을 국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모니터링모듈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에드온 방식의 엘리베이터용 모니터링모듈(100)은 비상신호추출부(110), 신호확인부(120) 및 비상상황알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신호추출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라인을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용 컨트롤패널(300)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추출하는 것으로, 비상라인에서 컨트롤패널(300)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비상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인 컨트롤패널의 경우 비상라인을 통해 수신된 비상신호를 처리하여 에러코드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에러의 종류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처리방식은 해당 컨트롤패널을 제조하는 업체에 따라 달라지므로, 구체적인 정보를 알지 못하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패널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컨트롤패널과 연결되는 비상라인을 이용하여, 비상신호를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컨트롤패널의 종류나 구성, 동작방식에 무관하게 비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신호확인부(120)는 비상신호추출부(110)에서 추출된 비상신호를 확인하여 해당 비상상황을 판단하는 것으로, 물리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비상상황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확인부(120)는 비상신호가 수신된 단자와 연결된 비상라인의 종류를 확인하여 해당 비상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비상상황알림부(130)는 신호확인부(200)에서 확인된 비상상황을 원격지의 통합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컨트롤패널(300)과 연결된 유선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300) 등 기존에 설치된 구성을 변경이나 교체하지 않고,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과 비상라인 사이에, 비상신호추출부(110)를 에드온방식으로 설치한 후, 해당 비상라인을 통해 컨트롤패널(300)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종류에 따라 비상라인으로부터 컨트롤패널(300)로 수신되는 비상신호의 종류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신호는 직류신호 또는 교류신호일 수 있으며, 교류신호의 경우에도 구형파(펄스파), 정현파, 삼각파, 톱니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나 형태의 비상신호로부터 일정한 형태의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링모듈(100)은 비상신호전처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신호전처리부(140)는 비상라인에서 추출된 비상신호를 신호확인부(200)에서 처리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변환된 신호를 비상신호추출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멈추게 되는데, 이때 해당 엘리베이터에 승객이 탑승한 경우, 해당 승객은 소방대원 등에 의해 구조되기 전까지 엘리베이터 내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때, 화재가 확산되는 등과 같이 위급상황이 해당 엘리베이터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들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급상황 발생시 해당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들은 최대한 신속하게 엘리베이터를 탈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모니터링모듈(100)은 컨트롤패널(300)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200)는, 비상라인을 통해 비상신호를 수신하게 되면(S211), 현재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12). 이때 천재지변이나 화재 등의 확인은 재난정보시스템 및 화재정보시스템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위급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승객이 대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우(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위한 층 버튼이 활성화된 경우)(S213), 통합관리서버(200)는 모니터링모듈(100)을 통해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4).
만약, 비상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S211) 위급상황이 발생하지 않거나(S213) 승객이 갇혀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업체관리서버(400)를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사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S215).
도 6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통합관리서버(200)는, 비상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위급상황 발생하면, 해당 비상신호가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관련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221).
그리고, 해당 비상신호가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과 무관한 경우(S222), 통합관리서버(200)는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23).
다시 말해,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이 아닌 내부의 조명등이나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등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대상 엘리베이터는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로 운행이 가능하므로, 승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대상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운행시킬 수 있다.
만약, 위급상황 발생시,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S222), 통합관리서버(200)는 대상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최소필수구성요소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최소필수구성요소에 이상이 없는 경우(S224),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23).
예를 들어, 특정 층에서의 도어개방이 불가능할 경우, 다른 층에서의 도어개방은 가능하므로, 내부에 위치한 승객들이 도어개방이 가능한 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대상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운행시킬 수 있다.
만약, 비상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이상이 발생하고(S222) 최소필수구성요소에도 이상이 발생한 경우(S224), 해당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업체관리서버(400)를 통해 해당 엘리베이터의 사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S225).
도 7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관리서버(200)는 평상시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합관리서버(200)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제품수명 교체시기 점검시기를 포함하는 구성별 이력관리 및 안내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231).
이러한 이력정보는 모니터링모듈(100)이 컨트롤패드(300)를 통해 해당 구성의 고유식별번호(코드)를 직접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후,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 중 특정 구성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S232), 통합관리서버(200)는 대상 구성품을 판매하는 홈페이지와 연동하여 최저가 동일제품을 검색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35).
이때, 해당 구성품이 빈번한 오류로 인해 신뢰도가 낮아진 상태인 경우, 다시 말해 통합관리서버(200)가 해당 구성품의 이력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구성품의 교체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S233), 해당 구성품의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S234), 대상 구성품에 비하여 신뢰도가 높은 대체품을 검색하여 제품정보와 가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36).
이에, 관리자는 해당 구성품에 따라 최저가의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체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구성품의 교체시기가 다가오면, 해당 구성품에 대한 이력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해당 구성품의 신뢰도에 따라 비용이나 안전성 면에서 보다 경쟁력 있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난 단계 'S2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통합관리서버(200)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면(S241) 해당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업체의 업체관리서버(400)에 해당 비상상황을 통지할 수 있으며(S242), 설정시간내에 해당 업체관리서버(400)로부터 사후처리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S243), 해당 업체관리서버의 관리자가 사후처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S244).
만약, 해당 업체관리서버(400)로부터 사후처리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S243), 통합관리서버(200)는 업체별 우선순위를 확인하고(S245), 우선순위가 차순위인 다른 업체관리서버에 해당 비상상황을 통지하여(S246) 다른 업체로 하여금 사후처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는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후처리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공통기능(예를 들어, 승하강 이동 및 도어 개방)과 추가기능(예를 들어, 내부모니터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 디스플레이 등)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통합관리서버(200)는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기능이 공통기능이면 차순위의 다른 업체관리서버에 해당 비상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기능에 대하여 다수의 업체에서 사후처리가 가능할 경우, 기능별 및 업체별 우선순위에 따라 사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기능이 추가기능이면, 해당 추가기능의 위험도에 따라 긴급알림 또는 일반알림 후 대상 엘리베이터의 임시가동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추가기능이 대상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관련된 기능인 경우)에는, 해당 비상상황을 긴급상황으로 알림으로써, 신속한 사후처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추가기능이 대상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경우(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성된 조명등이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부가기능인 경우)에는, 대상 엘리베이터 내부에 위치하는 승객들의 대피를 위하여 대상 엘리베이터의 임시가동을 진행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일반상황으로 알림으로써, 추후(승객들이 대피한 이후) 사후처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합관리서버(200)는 위험도에 따른 일반알림 후 임시가동의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 발생하면, 대상 엘리베이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긴급알림으로 재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엘리베이터의 도어개폐가 원활하지 못한 경우, 해당 상황이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되면 대상 엘리베이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긴급알림으로 업체관리서버(400)에 통보함으로써, 사후처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모니터링모듈
110 : 비상신호추출부 120 : 신호확인부
130 : 비상상황알림부 140 : 비상신호전처리부
200 : 통합관리서버
300 : 컨트롤패널
400 : 업체관리서버
500 : 국가승강기 정보센터

Claims (11)

  1. 대상 엘리베이터에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비상라인을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용 컨트롤패널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추출하여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모듈로부터 수신된 비상상황을 확인하고, 기능별 우선순위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상상태를 알리거나 재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에 대한 제품수명 교체시기 점검시기를 포함하는 구성별 이력관리 및 안내관리를 수행하되,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성들 중 교체가 필요한 구성이 있는 경우, 대상 구성품을 판매하는 홈페이지와 연동하여 최저가 동일제품을 검색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하거나, 대상 구성품에 비하여 신뢰도가 높은 대체품을 검색하여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이상상태가 수신되면, 해당 이상상태에 대응하여 대상 엘리베이터에 대한 사후관리를 진행하는 업체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3. 제 1항 및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상기 컨트롤패널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천재지변 및 화재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발생시, 승객이 대상 엘리베이터에 갇힌 경우, 상기 모니터링모듈을 통해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위급상황 발생시, 해당 비상신호가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관련된 것인지를 확인하고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과 무관한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위급상황 발생시, 대상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최소필수구성요소의 이상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최소필수구성요소에 이상이 없는 경우, 대상 엘리베이터가 임시운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대상 엘리베이터에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비상라인을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용 컨트롤패널로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추출하여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모듈로부터 수신된 비상상황을 확인하고, 기능별 우선순위 및 위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상상태를 알리거나 재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대상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공통기능과 추가기능으로 분류하여 모니터링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에 통지하며, 설정시간내에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사후처리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기능이 공통기능이면 우선순위가 차순위인 다른 업체관리서버에 해당 비상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업체관리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기능이 추가기능이면, 해당 추가기능의 위험도에 따라 긴급알림 또는 일반알림 후 대상 엘리베이터의 임시가동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위험도에 따른 일반알림 후 임시가동의 횟수가 설정횟수 이상 발생하면, 대상 엘리베이터의 가동을 중지하고, 해당 비상상황을 긴급알림으로 재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10049813A 2021-04-16 2021-04-16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2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813A KR102423855B1 (ko) 2021-04-16 2021-04-16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813A KR102423855B1 (ko) 2021-04-16 2021-04-16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855B1 true KR102423855B1 (ko) 2022-07-22

Family

ID=8260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813A KR102423855B1 (ko) 2021-04-16 2021-04-16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8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0067A (ja) * 2003-08-18 2005-03-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遠隔故障監視システム
KR20070059097A (ko) * 2007-03-13 2007-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KR100948360B1 (ko) * 2009-08-19 2010-03-22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방법
KR101256345B1 (ko) * 2012-07-11 2013-04-18 서준호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KR20150142887A (ko) 2014-06-12 2015-12-23 농업회사법인 에이앤피테크놀로지주식회사 통합 제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0067A (ja) * 2003-08-18 2005-03-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遠隔故障監視システム
KR20070059097A (ko) * 2007-03-13 2007-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KR100948360B1 (ko) * 2009-08-19 2010-03-22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방법
KR101256345B1 (ko) * 2012-07-11 2013-04-18 서준호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 시스템
KR20150142887A (ko) 2014-06-12 2015-12-23 농업회사법인 에이앤피테크놀로지주식회사 통합 제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6400C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logic control units for railroad station-based vital computer apparatuses
JP4334346B2 (ja) エレベータドア用安全回路
KR20170048219A (ko)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시스템, cctv 자동선별 모니터링 관리서버 및 관리방법
EP294621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faults in a lighting system
US20210110356A1 (en) Inquiry processing device and inquiry processing method
EP3499380A1 (en) Providing bots for industrial processes
US20230368642A1 (en) Event device operation
KR102423855B1 (ko) 에드온 방식의 모니터링모듈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JP2006199469A (ja) エレベータの点検報告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10795328B2 (en) Method of confirming remote programming of device by monitoring station
KR20170123324A (ko) 중계 장치 및 프로그램
US20200394730A1 (en) Facility management local server and proxy management center server
KR20120072106A (ko) 빌딩 설비 유지 및 장애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7472026A (zh) 一种自动驾驶车辆的故障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023533B1 (ko) 고속철도 에이티시의 실시간 원격복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0035160A (ja) アラート通知システム、アラート通知方法
KR102318916B1 (ko) 도로 안전 시설물의 통합 플랫폼 및 플랫폼의 빅데이터 제공방법
Correa-Jullian et al. Modeling fleet operations of autonomous driving systems in mobility as a service for safety risk analysis
JP6482734B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30008895A (ko)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281482A (zh) 一种电梯困人停梯事件的检测及预测方法
US20200310949A1 (en) Control Device
KR102423846B1 (ko) 에드온 방식의 엘리베이터 모니터링 장치
CN116853137B (zh) 一种多媒体智能调度机及其方法
KR10046234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방재장치의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