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976A -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976A
KR20070058976A KR1020060121281A KR20060121281A KR20070058976A KR 20070058976 A KR20070058976 A KR 20070058976A KR 1020060121281 A KR1020060121281 A KR 1020060121281A KR 20060121281 A KR20060121281 A KR 20060121281A KR 20070058976 A KR20070058976 A KR 20070058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region
sub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493B1 (ko
Inventor
치요아키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7Planarisation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back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두께를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서브 화소(40) 내에, 컬러 필터의 색재층(22)이 존재하는 착색 영역 CL과, 색재층(22)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 NC가 마련되고, 비착색 영역 NC에는, 하부 기판의 높이 조정막(120)이 마련됨과 동시에, 조정막(120)의 표면에 반사막(21)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했다. 조정막(120)은 차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서브 화소간 영역(41)에도 배치되어 있다. 그 서브 화소간 영역(41)에 반사막(21)의 슬릿이 형성되고, 조정막(120)을 노출시켜 차광부(20y)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액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색재층의 단부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따른 액정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9는 휴대 전화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 장치 R : 반사 영역
T : 투과 영역 CL : 착색 영역
NC : 비착색 영역 2 : 하부 기판
3 : 상부 기판 9a : 표시 영역
9b : 비표시 영역 15 : 주변 차광부
20y : 차광부 21 : 반사막
22, 22R, 22G, 22B : 색재층 26 : 액정층
40 : 서브 화소 41 : 서브 화소간 영역
120 : 조정막 121 : 제 1 조정막
122 : 제 2 조정막 1300 : 휴대 전화(전자기기)
본 발명은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 장치의 분야에서, 밝은 장소에서는 외광을 이용하고, 어두운 장소에서는 백 라이트 등의 내부의 광원에 의해 표시를 시인 가능하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이 액정 장치는 반사형과 투과형을 겸비한 표기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 액정 장치를 「반투과 반사형 액정 장치」라고 한다.
도 10(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장치의 서브 화소의 평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과 반사형의 액정 장치에서는, 화상 표시 단위로 되는 서브 화소 내에, 반사막이 형성된 반사 영역 R과,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투과 영역 T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 휴대기기 등의 발전에 따라 반투과 반사형 액정 장치의 컬러화가 요구 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청색(B)의 컬러 필터의 색재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반투과 반사형 액정 장치의 경우, 반사 모드에서 패널에 입사된 외광은 컬러 필터의 색재층(22)을 투과한 후, 반사막(21)에서 반사되어, 재차 색재층(22)을 투과한다. 한편, 투과 모드에서는, 백 라이트 등의 조명 수단으로부터 입사된 조명광이 색재층(22)을 투과한다.
이와 같이, 반투과 반사형 컬러 액정 장치에 있어서는, 반사 모드 시에 2회, 투과 모드 시에는 1회, 입사광이 색재층(22)을 투과함으로써 컬러 표시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반사 모드 시의 색을 중시하여 엷은 색의 색재층(22)을 구비한 경우에는, 투과 모드 시에 발색이 좋은 표시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투과 모드 시의 색을 중시하여 짙은 색의 색재층(22)을 구비한 경우에는, 반사 모드의 표시가 어두워 지게 된다.
그래서, 반사 영역 R 내의 일부에, 색재층(22)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 NC를 마련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 경우, 반사 모드에서는 광의 일부가 비착색 영역 NC를 투과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반사 모드 시에 색재층(22)을 투과한 광은 비착색 영역 NC를 투과한 비착색광과, 착색 영역 CL을 투과한 착색광이 중첩된 것으로 된다. 한편, 투과 모드 시에 투과 영역 T를 투과하는 광은 모두 착색 영역 CL을 투과하는 것으로 되어, 모두 착색광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에서 색의 농담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색재층(22)을 최적화하면, 쌍방 모드에서 발색이 좋고, 시인 성이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95296호
그러나, 상술한 액정 장치는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우선,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재층(22)이 존재하는 착색 영역 CL과, 색재층(22)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 NC 사이에, 단차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색재층(22)은 일반적으로 수지로 제작하기 때문에, 색 순도(colormetric purity)를 높이기 위해서는 색재층(22)의 두께를 0.5∼2.0㎛로 형성해야 한다. 그 때문에, 색재층(22)의 상층에 오버코팅막(평탄화막)(24)을 형성한 경우에도, 그 표면에 0.2∼0.7㎛ 정도의 큰 단차 G가 남는다. 이에 따라, 액정 장치에 있어서의 셀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어, 전기 광학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색 순도를 높이기 위해 색재층(22)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착색 영역 CL과 비착색 영역 NC 사이의 셀 두께의 차가 확대되고, STN 모드의 액정 장치에서는 도메인 발생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서브 화소 주변의 차광부(20)는 카본 등을 분산시킨 흑색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흑색 수지는 노광 감도가 나쁘기 때문에, 좁은 폭으로 형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차광부(20)가 필요 이상으로 넓은 폭으로 되고, 개구율이 저하하여 표시 화상이 어둡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셀 두께를 균일 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시 품질에 우수한 전자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소가 마련되어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유지된 액정층을 갖는 액정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일부에 마련된 색재층과, 상기 한쪽 기판의 상기 액정층 쪽의 표면이 상기 서브 화소 내에서 평탄하게 되도록,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상기 색재층이 존재하는 착색 영역과 상기 색재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의 단차를 조정하고, 상기 한쪽 기판의 상기 비착색 영역에 마련된 조정막과, 상기 조정막 상 및 상기 착색 영역에 마련된 반사막을 구비하고, 상기 색재층은, 상기 착색 영역에서의 상기 반사막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착색 영역에는 색재층이 배치되고, 비착색 영역에는 조정막이 배치되므로, 양 영역간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액정 장치의 셀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화소 내에, 상기 반사막이 존재하는 반사 영역과, 상기 반사막이 존재하지 않는 투과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색재층은, 상기 투과 영역 및 상기 반사 영역에서의 상기 반사막 상의 일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사 표시는 착색 영역에서 색재층을 2회 투과한 광과, 비착색 영역에서 색재층을 투과하지 않는 광에 의해 행해지고, 투과 표시는 착색 영역에서 색재층을 1회 투과한 광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에 따라, 반사 표시와 투과 표시의 색의 농담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표시 품질에 우수한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막은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막의 막 두께를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막은,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브 화소 내뿐 아니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중 인접하는 상기 서브 화소간의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화소간 영역에서의 차광부의 형성과 함께 조정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정막의 형성 공정을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화소간 영역에서의 상기 조정막 상에는, 상기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화소간 영역에만 정밀도 좋게 차광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액정 장치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가 마련된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조정막은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뿐 아니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셀 두께를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반사막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표시 영역에서는 광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배선에 의한 색 얼룩이나 교차점 등이 반사 표시 시에도 보이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정막의 두께는 상기 색재층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정 장치의 셀 두께를 고도로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비착색 영역은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화소간 영역으로부터 비착색 영역에 걸쳐 조정막을 연속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착색 영역의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밝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착색 영역은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화소간 영역에서의 배향 규제력 저하의 영향이, 비착색 영역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착색 영역에 의한 밝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막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고, 상기 경사면 상에 상기 반사막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사광에 산란 유사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넓은 시야각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술한 액정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셀 두께가 균일하고 개구율이 높은 액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표시 품질에 우수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 각 부재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도 1은 액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반투과 반사형 컬러 액정 장치로서, 액정층으로의 인가 전압이 OFF(비인가) 상태에서 흑 표시를 나타내는 노멀리 블랙 모드의 액정 장치이다.
(액정 장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 장치(1)는, 평면에서 보아 직 사각형 형상의 하부 기판(제 2 기판)(2) 및 상부 기판(제 1 기판)(3)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하부 기판(2) 및 상부 기판(3)은 밀봉재(4)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밀봉재(4)의 일부는 각 기판(2, 3)의 한 변(도 1에서의 상변) 쪽에서 개구하여 액정 주입구(5)로 되어 있고, 쌍방의 기판(2, 3)과 밀봉재(4)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이 주입 밀봉되고, 액정 주입구(5)가 봉지재(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기판(2)보다 상부 기판(3)의 외형 치수가 크고, 하부 기판(2)과 상부 기판(3)의 한 변(도 1에서의 상변, 우변, 좌변)에서는 가장자리가 같지만, 하부 기판(2)의 나머지의 한 변(도 1에서의 하변)으로부터는 상부 기판(3)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기판(3)의 하변 쪽의 단부에는, 하부 기판(2) 및 상부 기판(3)의 쌍방의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반도체 소자(7)가 실장되어 있다.
참조 부호 8로 나타내는 파선은 표시 영역(9a)과 비표시 영역(9b)의 경계선이다. 여기서, 당해 경계선(8)보다 안쪽(중앙 쪽)은 화상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 영역(9a)이다. 표시 영역(9a)은 복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영역으로서, 실제로 표시에 기여하는 영역을 말한다. 한편, 경계선(8)의 바깥쪽(주변쪽)은 표시 영역(9a)의 외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9b)이며, 표시에는 기여하지 않는 영역이다. 또한, 비표시 영역(9b)에는, 주변 차단막으로서 기능하는 주변 차광부(1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기판(3) 상에, 도면 중 세로 방향의 띠형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전극(11)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기판(2) 상에는, 세그먼트 전극(11)과 직교하도록 도면 중 가로 방향의 띠형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공통 전극(10)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 전극(11)과 공통 전극(10)이 서로 교차함으로써, 평면적으로 보아 겹친 직사각형 형상의 영역이 형성되고, 당해 영역이 화상 표시 단위로 되는 「서브 화소(4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서브 화소(40) 사이에 끼인 영역을 「서브 화소간 영역」이라고 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표시 영역(9a)에서의 복수의 서브 화소(40)의 각각에는, 컬러 표시를 하도록, 컬러 필터의 R(적색), G(녹색), B(청색)의 각 색으로 이루어지는 색재층이 마련된다. 당해 색재층은 각 화소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착색하는 것이다. 그리고, R, G, B 3개의 서브 화소(40)로 화면상의 하나의 화소가 구성되어 있다.
(차광부, 조정막)
도 2는 도 1의 P부에서의 하부 기판의 평면도이다. 또 도 2에서는, 상부 기판에 형성된 세그먼트 전극(11)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서브 화소(40)의 짧은 방향(지면 가로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긴 방향(지면 세로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그먼트 전극(11)과 공통 전극(10)이 교차하는 영역에, 서브 화소(40)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의 X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색의 서브 화소(40)의 서브 화소간 영역(Y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브 화소간 영역)(41)에, 띠형의 차광부(20y)가 마련된다. 한편,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동색의 서브 화소(40)의 서브 화소간 영역(X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브 화소간 영역)에는, 차광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액정 장치 전체에서는, 표시 영역(9a) 내에, Y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띠형 차광부(20y)가, 서브 화소간 영역(41)에 대응하여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의 비표시 영역(9b)에는 주변 차광부(15)가 마련된다. 이 주변 차광부(15)의 표면에는,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주변 차광부(15)와 띠형의 차광부(20y)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표시 영역(9b)에 주변 차광부(15)를 형성하면, 표시 영역(9a)과 비표시 영역(9b)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9a)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셀 두께를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차광부(20y) 및 주변 차광부(15)에는, 광흡수성이 높은 흑색의 카본 등이 분산된 감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차광부에는, Cr 등의 흑색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층막과,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층막의 적층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각 차광부를,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광부의 막 두께를 자유 자재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감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 또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으로부터, 후술하는 조정막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조정막의 색은 흑색 이외에 청색 등의 다른 색이라도 좋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기판(2)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 본체(2A)를 구비하고 있다. 그 기판 본체(2A)의 표면에, 색재층(22)의 단차의 조정막(120)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막(120)의 막 두께는 후술하는 색재층(22)과 동등한 0.5∼2.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정막(120)은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 조정막(120)은 서브 화소간 영역(41)뿐 아니라, 인접하는 서브 화소(40)의 비착색 영역 NC에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정막(120)의 폭은 서브 화소간 영역(41)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반사막)
또한 서브 화소(40)의 중앙부로부터, 조정막(120)의 상면에 걸쳐, 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조정막(120)과 반사막(21) 사이에, 양자간의 밀착성 향상막(도시하지 않음)을, SiO2 등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반사막(21)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은 또는 그 합금 등의,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 화소간 영역(41)에서의 조정막(120)의 상면에는, 반사막(2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섬 형상의 반사막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고, 조정막(120)의 상면에 반사막(21)의 슬릿(21b)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슬릿(21b)을 통해, 흑색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정막(120)이 노출되어, 차광부(20y)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광성을 갖는 재 료를 포함하여 조정막(120)을 구성하면, 차광부(20y)의 형성 공정에서 조정막(12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정막(120) 형성 공정을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흑색 수지는 노광 감도가 나쁘기 때문에, 좁은 폭으로 패터닝할 수가 없다. 그러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반사막(21)은, 포토리소그래피 등을 이용하는 것에 따라 양호한 정밀도로 패터닝할 수 있다. 그래서, 서브 화소간 영역(41)에 있어서의 조정막(120)의 상면에, 반사막(21)의 슬릿(21b)을 형성함으로써, 서브 화소간 영역(41)에만 양호한 정밀도로 차광부(20y)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액정 장치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밝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화소(40)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여 반사막(21)의 개구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1a)(반사막(21)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투과 영역 T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개구부(21a) 이외의 영역(반사막(21)이 존재하는 영역)에 의해, 반사 영역 R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조정막(120)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고, 그 경사면의 표면에 반사막(21)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장치의 법선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은, 그 법선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에 따라, 반사광에 산란 유사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넓은 시야각의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반사막(21)의 표면에, 반사광을 산란시켜 밝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산란용 요철을 형성하여도 좋다.
(색재층)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 화소(40)에 대응하여, 컬러 필터의 색재층(22)(적색 색재층(22R), 녹색 색재층(22G), 청색 색재층(22B))이 마련된다. 각 색재층(22)은 감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색 순도를 높이기 위해 0.5∼2.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색재층(22)의 배열 패턴은, 이른바 종(縱) 스트라이프라고 불리는 것이다. 즉, 세로 방향으로 정렬되는 서브 화소(40)에 대하여 동색의 색재층(22)이 배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는 서브 화소에 대하여 다른 색의 색재층(22R, 22G, 22B)이 순서대로 반복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영역 T 내의 전역에는, 색재층(22)이 배치되어 있는 한편, 반사 영역 R 내에는, 색재층(22)이 배치된 착색 영역 CL과, 색재층(2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착색 영역 NC가 마련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사 표시는 착색 영역 CL에서 색재층(22)을 2회 투과한 광과, 비착색 영역 NC에서 색재층(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에 의해 행해지고, 투과 표시는 착색 영역 CL에서 색재층(22)을 1회 투과한 광에 의해 행해진다. 이에 따라, 반사 모드와 투과 모드에서 색의 농담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각 색재층(22)을 최적화하면, 쌍방의 모드에서 발색이 좋고, 시인성이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 서브 화소(40)의 짧은 방향(도 3에서의 가로 방향)의 양 단부에는, 상술한 조정막(12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색재층(22)은 서브 화소(40)의 중앙부로부터 조정막(120)의 측면에 배치된 반사막(21)의 표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조정막(120)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조정막과 색재층이 겹치는 영역(경사면 상)도 존재한다. 그리고, 조정막(120)의 상면에 배치된 반사막(21)의 표면에는, 색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조정막(120)의 상면에 배치된 반사막(21)에 의해, 비착색 영역 N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서브 화소를 종단하는 띠형의 비착색 영역이 형성되도록, 조정막과 색재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색재층(22)이 존재하는 착색 영역 CL은 각 서브 화소(40)의 중앙근처에 배치되고, 색재층(22)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 NC는 각 서브 화소(40)의 짧은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색의 서브 화소마다 비착색 영역 NC의 면적이 달라도 좋다. 이 경우, 녹색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에 있어서의 비착색 영역 NC의 면적은 적색 및 청색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에서의 비착색 영역 NC의 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기판(2)의 내면에는, 색재층(22) 등의 기능막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하는 동시에, 색재층(22)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아크릴 등의 수지나 실리콘 산화막 등의 무기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팅막(24)(평탄화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버코팅막(24) 상에,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공통 전극(10)과,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향막(25)이 순차 형성되어 있다. 또, 색재층 및 조정막과 기판 본체 사이에 하지막 등이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한편, 상부 기판(3)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 본체(3A)를 구비하고 있다. 그 기판 본체(3A)의 내면에는, ITO 등의 투명 도전막 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 전극(11),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향막(28)이 순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기판(3)의 내면에는, 주변 차광부(15)의 위쪽에 걸친 영역에 레이아웃 전극(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이아웃 전극(48)은 하부 기판(2) 상의 전극을 상부 기판(3) 쪽으로 상하 도통한 후에, 상부 기판(3) 상에서 단자까지 배선을 레이아웃하는 전극인 것이다. 또, 레이아웃 전극(48)과 공통 전극(10)간에도 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흑색의 주변 차광부(15) 상에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액정의 배향 상태가 변화되어 반사 표시 시에 광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비표시 영역에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구성으로 하면, 액정의 배향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도, 흑색의 주변 차광부(15)에 의해 광이 흡수되기 때문에, 광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 기판(3)과 하부 기판(2) 사이에, 액정층(26)이 유지되어 있다. 그 액정층(26)의 내부에 구상 스페이서(27a)를 개재시켜 셀 두께가 확보되어 있다.
그 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기판(2)의 외면 쪽에 위상차판(λ/4판)(30), 편광판(31)이 기판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고, 또한, 편광판(31)의 외면 쪽에는 백 라이트(조명 수단)(38)가 마련된다. 백 라이트(38)는 냉음극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광원과 반사판과 도광판을 갖고 있다. 또한, 상부 기판(3)의 외면 쪽에는, 전방 산란판(35), 제 1 위상차판(32a), 제 2 위상차판(32b), 편광판(33)이 기판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마련된다. 이 전방 산란판(35)에 의해, 화상광을 확산하여 출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전방 산란판 대신, 상부 기판(3)의 외면 쪽에 전방 산란층을 마련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본체(2A)의 표면에 조정막(12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기판 본체(2A)의 표면 전체에 흑색 수지의 액상체를 도포하여, 조정막(120)의 패턴이 패터닝된 포토 마스크를 통해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조정막(120)을 형성한다.
다음에, 반사막(2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본체(2A) 및 조정막(120)의 전체를 덮도록 금속막을 형성한다. 금속막의 형성은 스퍼터법이나 증착법, CVD 법 등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금속막을 패터닝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금속막에서의 반사막(21)의 형성 영역에, 레지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형성한다. 그 마스크를 통해 금속막을 에칭하고, 최후에 마스크를 제거함으로써, 반사막(21)을 형성한다.
그런데, 조정막(120)을 구성하는 흑색 수지는 노광 감도가 낮기 때문에, 조정막 자체를 좁은 폭으로 패터닝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막(120)을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그 표면의 반사막(21)을 좁은 폭으로 개구시킨다. 이 반사막(21)의 패터닝은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서브 화소간 영역(41)의 차광부(20y)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밝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색재층(2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색재층(22R, 22G, 22B) 중 어느 하나의 색재층(제 1 색재층)의 재료액을 하부 기판(2)의 표면 전체에 도포한다. 다음에, 그 제 1 색재층의 패턴이 패터닝된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제 1 색재층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색재층을 순차 형성한다. 다음에, 하부 기판(2)의 전체를 덮도록, 오버코팅막(24)을 형성한다.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팅막(24)은 스핀 코팅법이나 스프레이 코팅법, 디핑법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팅막은 CVD 법이나 졸겔법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색재층의 단부 형상의 변형예이다. 도 4(a)에서는, 색재층(22)의 단 부가 조정막(120)의 측면에 배치된 반사막(21)의 일부만을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색재층(22)과 반사막(21) 사이에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서는 색재층(22)의 단부가 조정막(120)의 측면에 배치된 반사막(21)의 전체를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색재층(22)의 표면 전체가 대략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c)에서는, 색재층(22)의 단부가, 조정막(120)의 측면에 배치된 반사막(21)의 전체를 덮음과 동시에, 조정막(120)의 상면에 배치된 반사막(21)의 표면으로 솟아올라, 볼록부(2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느 쪽의 경우도, 하부 기판(2)의 전체를 덮도록, 오버코팅막(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a)와 같이 오목부(29a)가 얕은 경우나, 도 4(c)와 같이 볼록부(29b)가 낮은 경우에는, 오버코팅막(24)의 표면은 거의 평탄하게 형성 된다. 그래서, 도 4(b)를 표준 형상으로 하여 색재층(22)을 형성하면, 포토 마스크 정렬의 편차 등에 의해, 도 4(a) 또는 도 4(c)과 같이 색재층(22)이 형성되어도, 오버코팅막(24)의 표면을 거의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4(d)와 같이, 오목부(29a)가 깊게 된 경우에도, 오버코팅막(24)은 2∼4㎛의 두께가 있기 때문에, 오목부(29a)의 폭을 충분히 좁게 하는 것(5㎛ 이하)으로, 오버코팅막(24)의 표면을 거의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단, 오목부(29a)의 폭이 넓게 된 경우에도, 종래예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착색 영역 전체가 오목한 것은 아니므로, 종래예와 비교하여 평탄화의 효과는 크다.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액정 장치는, 서브 화소 내에, 컬러 필터의 색재층이 존재하는 착색 영역과, 색재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이 마련되고, 그 비착색 영역에는, 색재층의 단차의 조정막이 마련됨과 동시에, 그 조정막의 표면에 반사막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착색 영역에는 색재층이 배치되고, 비착색 영역에는 조정막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 영역간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액정 장치의 셀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이것에 따라, STN 모드의 액정 장치에서는 도메인 발생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메인 발생의 불량이란, STN 모드의 액정이 기판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240°)만큼 비틀어졌다거나, 기판 수평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불량이다.
또 색 순도를 높이기 위해 색재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도, 조정막의 두께를 색재층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함으로써, 액정 장치의 셀 두께를 고도로 균일화할 수 있다. 또 조정막은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두께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의 발명자는 색재층 및 조정막의 막 두께를 0.8㎛, 1.0㎛ 및 1.2㎛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를 시작(試作)했다. 어느 쪽의 막 두께에서도, 오버코팅막의 표면이 평탄화되어, 셀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반사 시와 투과 시의 최대 컨트라스트로 되는 전압의 차가 작아졌었다. 또한, 반사 시의 컨트라스트 및 NTSC비(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XY 색도 영역에 대한 색 재현 범위를 면적비로 나타낸 것)의 개선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장치에서는, 차광성 재료에 의해 조정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부의 형성 공정에서 조정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정막의 형성 공정을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색재층의 단차의 조정막을 이용하여 비표시 영역에 주변 차광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부에서의 전기 광학 특성의 어지러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액정 장치에서는, 비착색 영역이 서브 화소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화소간 영역으로부터 비착색 영역에 걸쳐 조정막을 연속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비착색 영역의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밝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따른 액정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의 P부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하부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서는, X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색의 서브 화소(40)의 서브 화소간 영역(Y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브 화소간 영역)에, 띠형의 차광부(20y)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화소 내에서의 X 방향의 주변부에, 비착색 영역 NC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더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Y 방향으로 인접하는 같은 색의 서브 화소(40)의 서브 화소간 영역(X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브 화소간 영역)에도, 띠형의 차광부(20x)가 마련된다. 즉, 차광부(20x, 20y)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화소 내에서의 Y 방향의 주변부에도, 비착색 영역 NC가 마련된다. 즉, 비착색 영역 NC가 서브 화소의 전체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착색 영역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밝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서브 화소간 영역이 차광되므로, 배향 제어되지 않은 서브 화소간 영역으로부터의 광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표시 화상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조정막에 프레임 형상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색재층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색의 대응하는 서브 화소에 대하여 색재층의 재료액이 밀려나오기 어렵게 되므로, 대응하는 서브 화소 내에 확실히 색재층의 재료액을 도포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P부에 상당하는 부분에서의 하부 기판의 평면도이다. 또 도 6에서는, 서브 화소(40)의 짧은 방향(지면가로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긴 방향(지면 세로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장치는 비착색 영역 NC가 서브 화소(4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서브 화소(40)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 1과는 다르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색의 서브 화소(40)의 서브 화소간 영역(Y 방향으로 연장하는 서브 화소간 영역)에, 띠형의 차광부(20y)가 마련된다. 또한 서브 화소 내에서의 X 방향의 중앙부에, 투과 영역 T와, 반사 영역 R 내의 비착색 영역 NC가, 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기판(3)의 내면에 주상(柱狀)의 포토 스페이서(27b)가 마련되고, 그 선단이 하부 기판(2)의 표면에 접촉되어, 액정층(26)의 셀 두께가 확보되어 있다.
실시예 2에서는, 하부 기판(2)의 표면에서의 서브 화소(40)의 중앙부에, 색재층(22)의 단차의 제 1 조정막(1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조정막(121)의 폭은 비착색 영역 NC의 폭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서브 화소(40)의 중앙부의 제 1 조정막(121)에 더하여, 서브 화소간 영역(41)에도 제 2 조정막(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조정막(122)의 폭은 서브 화소간 영역(41)의 폭과 동등하든지, 서브 화소간 영역(41)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조정막(121)의 표면으로부터 제 2 조정막(122)의 표면에 걸쳐, 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조정막(122)의 표면에 배치된 반사막(21)에는, 서 브 화소간 영역(41)과 동일 폭의 슬릿(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화소간 영역(41)에 차광부(20y)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조정막(121)과 제 2 조정막(122) 사이에서의 반사막(21)의 표면에, 색재층(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색재층(22)이 배치된 착색 영역 CL과, 색재층(2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착색 영역 NC가 마련된다. 그리고 양 영역을 덮도록, 오버코팅막(평탄화막)(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서브 화소(40)의 가장자리부는, 전압 인가 시에 액정 배향이 흐트러지기 쉽다. 그 때문에 흑 표시 시에 어둡게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서브 화소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비착색의 반사 영역이 마련되었기 때문에, 흑 표시 시에 밝아져 컨트라스트가 저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서브 화소(40)의 중앙부에 비착색 영역 NC를 배치하고, 서브 화소(40)의 가장자리부에는 착색 영역이 있으므로, 비착색 영역인 경우와 비교하여, 흑 표시 시의 어두움을 유지할 수 있어, 컨트라스트가 좋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10(b)에 나타내는 종래의 액정 장치에서는, 착색 영역 CL에 반사막(21) 및 색재층(22)이 배치되어 있는 데 대하여, 비착색 영역 NC에는 반사막(21)만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착색 영역 CL과 비착색 영역 NC 사이에, 색재층의 두께에 상당하는 0.5∼2.0㎛ 정도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오버코팅막(24)의 표면에서의 양 영역간의 단차 G도 커지게 된다.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장치에서는, 착색 영역 CL에 반사막(21) 및 색재층(22)이 배치되고, 비착색 영역 NC에는 반사막(21)에 더하여 제 1 조정막(12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조정막(121)의 두께는 색재층(22)의 두께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착색 영역 CL과 비착색 영역 NC 사이에는 거의 단차가 발생하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오버코팅막(24)의 표면에서의 양 영역간의 단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액정층의 셀 두께를 균일화할 수 있다. 또 제 1 조정막(121)의 두께 및 색재층(22)의 두께를 동등하게 설정한 후에, 각각의 격차가 ±0.2㎛로 되도록 관리하면, 양자간의 막 두께차는 최대 0.4㎛로 되고, 착색 영역 CL과 비착색 영역 NC간의 단차는 0.4㎛ 이하로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색재층의 두께에 상당하는 0.5㎛ 이상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막 두께의 관리를 하는 것에 의해, 그 단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전자기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1300)는 본 발명의 액정 장치를 작은 크기의 표시부(1301)로서 구비하고, 복수의 조작 버튼(1302), 수화구(1303) 및 송화구(13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에 한하지 않고, 전자책, 퍼스널 컴퓨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호출기,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 스테이션, 화상 전화, POS 단말,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 등의 화상 표시 수단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어느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셀 두께가 균일하고 개구율이 높은 액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밝고, 높은 컨트라스트의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각 실시예에서 취한 구체적인 재료나 구성 등은 단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다이오드(Thin Film Diode; TFD)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반투과 반사형의 액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착색 영역 및 비착색 영역을 구비한 전반사형 액정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사막을 표시 영역의 거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반사형 표시 장치로 하여도 좋다. 또한, 어떤 소정의 색에 대응한 서브 화소에는 비착색 영역을 마련하지 않고, 착색 영역으로만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조정막은 서브 화소간 영역에 마련하면 좋다. 또한, 반사막은 단순한 반사 기능만 가질 뿐만이 아니라, 반사축과 그것에 직교한 투과축을 갖는 반사 편광 기능을 갖는 막도 포함된다. 그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λ/4판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서브 화소간 영역에 형성된 모든 조정막의 상면에 반사막의 슬릿을 형성하여, 차광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대하여, 일부의 조정막의 상면에는 반사막의 슬릿을 형성하지 않고서, 차광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청색 색재층이 형성된 서브 화소에 인접하는 서브 화소간 영역에는, 조정막의 상면에 반사막의 슬릿을 형성하지 않아, 차광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 두께를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표시 품질에 우수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서브 화소가 마련되어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유지된 액정층을 갖는 액정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일부에 마련된 색재층과,
    상기 한쪽 기판의 상기 액정층 쪽의 표면이 상기 서브 화소 내에서 평탄하게 되고,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상기 색재층이 존재하는 착색 영역과 상기 색재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의 단차를 조정하도록, 상기 한쪽 기판의 상기 비착색 영역에 마련된 조정막과,
    상기 조정막 위 및 상기 착색 영역에 마련된 반사막
    을 구비하고,
    상기 색재층은, 상기 착색 영역에서 상기 반사막 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 내에, 상기 반사막이 존재하는 반사 영역과, 상기 반사막이 존재하지 않는 투과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색재층은, 상기 투과 영역 및 상기 반사 영역에서의 상기 반사막 위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막은,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막은,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브 화소 내뿐 아니라,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 중 인접하는 상기 서브 화소간의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소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조정막 위에는, 상기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가 마련된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조정막은,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 영역 내뿐 아니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상기 반사막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막의 두께는, 상기 색재층의 두께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착색 영역은,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착색 영역은, 상기 서브 화소 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막의 측면은 경사면으로 되고, 상기 경사면 위에 상기 반사막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액정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121281A 2005-12-05 2006-12-04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805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0223A JP4337807B2 (ja) 2005-12-05 2005-12-05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350223 2005-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976A true KR20070058976A (ko) 2007-06-11
KR100805493B1 KR100805493B1 (ko) 2008-02-20

Family

ID=3811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281A KR100805493B1 (ko) 2005-12-05 2006-12-04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39326B2 (ko)
JP (1) JP4337807B2 (ko)
KR (1) KR100805493B1 (ko)
CN (1) CN1979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236B1 (ko) * 2007-12-26 2014-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CN103185981B (zh) * 2013-03-15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EP3507651B1 (en) 2016-08-30 2021-12-1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204137B (zh) * 2021-07-05 2021-09-14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直下式背光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471A (en) * 1986-08-30 1990-04-1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evice
JP3738549B2 (ja) 1997-12-22 2006-01-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3941481B2 (ja) 2000-12-22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341333A (ja) 2001-05-15 2002-11-27 Sharp Corp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43467A (ja) 2001-07-31 2003-02-13 Optrex Corp 半透過型液晶表示素子
JP4045878B2 (ja) 2001-08-07 2008-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644442B2 (ja) 2001-08-07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0829735B1 (ko) * 2001-12-15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액정 표시장치
KR100790357B1 (ko) * 2002-02-26 2008-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용 컬러필터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3255323A (ja) 2002-03-04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270430A (ja) 2002-03-19 2003-09-25 Mitsumura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
JP4145581B2 (ja) 2002-06-28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018008A (ja) 2002-09-30 2005-01-20 Optrex Corp 半透過型カラー液晶表示素子および反射型カラー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3228056A (ja) 2002-11-07 2003-08-1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パネル並びに電子機器
JP4507497B2 (ja) 2003-02-27 2010-07-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258231B2 (ja) 2003-02-28 2009-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049638A (ja) 2003-07-29 2005-02-2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電気光学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露光マスク
JP2005099636A (ja) 2003-09-26 2005-04-14 Kyocera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4511B2 (ja) 2004-02-26 2011-01-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600036B2 (ja) 2004-12-27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612861B2 (en) * 2005-06-13 2009-11-03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apable of minimizing a defect rate caused by bright point and repairing method thereof
KR101030529B1 (ko) * 2005-06-20 2011-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6954A1 (en) 2007-06-07
KR100805493B1 (ko) 2008-02-20
US7639326B2 (en) 2009-12-29
JP4337807B2 (ja) 2009-09-30
CN1979295A (zh) 2007-06-13
JP2007156052A (ja)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0298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having greater height in reflective region
US733964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ub pixels with transmissive regions extending entirely across the sub pixel
US6624860B1 (en) Color filter layer providing transmitted light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US8031303B2 (en) Liquid cyr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electric projections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US621553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both color filter and non-color filter regions for increasing brightness
JP4900072B2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418275B1 (ko) 반사형 및 반투과 반사형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JP3941548B2 (ja)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パネル用基板および電子機器
KR100748805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805493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6343615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255324A (ja)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パネル用基板および電子機器
KR100482476B1 (ko) 액정 패널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액정 표시 패널 및전자 기기
US2011001913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00073B2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511248B2 (ja) 液晶表示装置
JP4254092B2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KR20020072348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컬러필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004231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075903B2 (ja)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パネル用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200714796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