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627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627A
KR20070058627A KR1020077008848A KR20077008848A KR20070058627A KR 20070058627 A KR20070058627 A KR 20070058627A KR 1020077008848 A KR1020077008848 A KR 1020077008848A KR 20077008848 A KR20077008848 A KR 20077008848A KR 20070058627 A KR20070058627 A KR 2007005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outle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964B1 (ko
Inventor
마사히토 히가시다
타카히로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2013/088Air-flow straighte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며,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이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칸막이 부재(24)에 의하여 송풍기실(S1)과 열교환기실(S2)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2)과, 송풍기실(S1) 내에 배치된 날개차(31a ~ 31d) 및 스크롤 케이싱(32a ~ 32d)과,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스크롤 취출구(35a ~ 35d)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S2) 내에 배치된 열교환기(4)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외측에는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으로 돌출하는 벽부(61a ~ 61d)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 유닛 케이싱, 열교환기실, 송풍기실, 벽부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특히,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와 열교환기가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천장 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가 있다. 이 천장 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는 주로, 천장에 거는 것이 가능한 유닛 케이싱과, 유닛 흡입구를 통하여 유닛 케이싱 내에 공기를 흡입하고 유닛 취출구로부터 공기를 불어내는 원심 송풍기와,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케이싱은 저면(底面)에 유닛 흡입구와 전면(前面)에 유닛 취출구가 형 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케이싱에는 측방(側方)으로 길고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유닛 흡입구에 연통되는 배면 측의 송풍기실과 유닛 취출구에 연통되는 전면 측의 열교환기실로 유닛 케이싱 내의 공간을 칸막이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부재는 유닛 케이싱의 전면 및 배면에 평행(즉, 유닛 케이싱의 측면에 직교)하는 평판부를 가지고 있다. 이 평판부에는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을 연통하는 연통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원심 송풍기는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로,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과 날개차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있다. 날개차는 그 회전축이 유닛 케이싱의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예를 들면, 양(兩)흡입형 시로코 팬(sirocco fan) 로터(rotor)이다. 스크롤 케이싱은 날개차의 회전축 방향을 향하여 개구한 스크롤 흡입구를 가지는 스크롤 본체부와, 스크롤 흡입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도록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 부재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스크롤 취출구를 가지는 통상(筒狀)의 스크롤 출구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이 회전축 방향 즉, 유닛 케이싱의 측방을 향하여 복수대 배열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이 경우에는 복수의 날개차가 한대의 모터에 의하여 일괄하여 회전 구동된다.
열교환기는 스크롤 취출구,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의 대략 전면(全面)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기실 내에서 원심 송풍기에 의하여 승압되어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를 냉각이나 가열하기 위한 기기이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원심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닛 흡입구를 통하여 유닛 케이싱의 송풍기실 내에 공기가 흡입되고, 송풍기실 내에 흡입된 공기가 스크롤 흡입구를 통하여 스크롤 케이싱 내로 흡입되고, 날개차의 내주측(內周側)으로부터 외주측(外周側)으로 불어내진다. 이 날개차의 외주측으로 불어내져 승압된 공기는 칸막이 부재의 연통 개구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는 열교환기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 유닛 취출구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지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열교환기가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고 있는데 대하여 평판부의 연통 개구 즉,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가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 뿐이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대부분 확산하는 일 없이,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偏流)가 생겨, 열교환기에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거나 송풍 능력 및 열교환 능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특히,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와 같이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을 복수대 배열하여 설치한 구성의 경우에는 각 스크롤 취출구에서 상기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스크롤 출구부의 날개차의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확대한 스크 롤 케이싱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0694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99444호 공보
상기 후자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스크롤 취출구의 크기를 크게 하게 되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편류한다는 문제는 개선되지만, 스크롤 출구부의 크기가 날개차의 크기보다도 상당히 큰 크기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스크롤 흡입구의 방해가 되거나 스크롤 출구부에 있어서의 동압(動壓)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되고, 결과적으로 송풍 능력을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스크롤 출구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만큼 송풍기실 내의 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 자체의 크기를 크게 하면 좋기 때문에 송풍기실 내의 공간에 여유가 없는 경우나 유닛 케이싱을 컴팩트하게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자의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유닛 케이싱과 칸막이 부재와 날개차와 스크롤 케이싱과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케이싱은 유닛 흡입구와 유닛 취출구를 가지고 있다. 칸막이 부재는 유닛 흡입구에 연통되는 송풍기실과, 유닛 취출구에 연통되는 열교환기실로 유닛 케이싱 내의 공간을 칸막이하는 부재이며,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을 연통하는 연통 개구가 형성된 평판부를 가지고 있다. 날개차는 송풍기실에 배치되어 있다. 스크롤 케이싱은 스크롤 흡입구를 가지고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본체부와, 연통 개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크롤 취출구를 가지는 통상의 스크롤 출구부를 가지고 있다. 열교환기는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통과한 후에 유닛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도록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에는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하는 벽부(壁部)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에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하는 벽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의 압력보다 압력이 낮은 부분(이하, 부압부(負壓部)라고 한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로 인입(引入)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산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스크롤 출구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는, 날개차의 로터 폭의 0.5배 이하이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스크롤 출구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를 날개차의 로터 폭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端部)까지의 거리는, 0보다 크고, 날개차의 로터 지름의 0.3배 이하이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0보다 크게 하는 즉,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를 열교환기실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가 큰,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와 벽부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진 부압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날개차의 로터 지름의 0.3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와 열교환기의 사이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산하는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 이상이고, 날개차의 로터 지름의 0.5배 이하이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 이상 즉, 벽부의 단부를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보다도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와 벽부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의 압력과,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의 압력차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날개차의 로터 지름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부압부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을 향하여 확산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을 벽부에 의하여 힘을 다해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의 외측까지 한층 더 확산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벽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는, 30°보다 크고, 90° 이하이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벽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를 30°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벽부와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를 9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실하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에는 세레이션(serration)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에 세레이션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벽부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압력 변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벽부의 스크롤 출구부 측의 면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벽부의 스크롤 출구부 측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의 스크롤 출구부 측의 면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벽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벽부에 복수의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의 스크롤 출구부 측의 면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날개차는 평판부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는 송풍기실 내의 스크롤 케이싱의 회전축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날개차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스크롤 출구부는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전동기 측으로 경사하면서 연통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와 같이,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날개차가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날개차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가 송풍기실 내의 스크롤 케이싱의 회전축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주로, 열교환기 중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스크롤 케이싱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하여 버려, 열교환기 중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전동기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가 생겨, 열교환기에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거나 송풍 능력 및 열교환 능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스크롤 출구부가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전동기 측으로 경사하면서 연통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 중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전동기에 대향하는 부분도 통과하기 쉽게 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스크롤 출구부의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롤 출구부에 있어서의 동압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되는 등의 결함도 생기기 어려워,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날개차는 평판부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벽부는 스크롤 출구부의 회전축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날개차가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스크롤 출구부로부터 열교환기실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으로는 확산되기 어려운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이 회전축 방향의 외측에 벽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의 회전축 방향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의 회전축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은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벽부는 각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 측에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날개차가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을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로 나란히 있는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 사이에 간극(間隙)이 형성되게 되고, 스크롤 출구부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이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벽부가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 측에 부압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 측으로 확산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0 또는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실 내의 스크롤 케이싱의 회전축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날개차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벽부는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 중 전동기 측에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날개차가 칸막이 부재의 평판부를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날개차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회전축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주로, 열교환기 중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스크롤 케이싱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해 버려, 열교환기 중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전동기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벽부가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 중 전동기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의 전동기 측에 부압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의 전동기 측으로 확산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제1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스크롤 출구부는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전동기 측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연통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본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스크롤 출구부가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전동기 측으로 경사하면서 연통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 중 평판부를 사이에 두고 전동기에 대향하는 부분도 통과하기 쉽게 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스크롤 출구부의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롤 출구부에 있어서의 동압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되는 등의 결함도 생기기 어려워,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의 천장 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의 천장 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며,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2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 3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2 실시예로서의 덕트(duct)형 공기 조화 장치의 측면도(도 11의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2 실시예로서의 덕트형 공 기 조화 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며,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스크롤 출구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 4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이며,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공기 조화 장치
2, 102 : 유닛 케이싱
2a, 102g, 102h : 유닛 흡입구
2b, 102i : 유닛 취출구
4, 104 : 열교환기
24, 124 : 칸막이 부재
25, 125 : 평판부
25a ~ 25d, 125a, 125b : 연통 개구
31a ~ 31d, 131a, 131b : 날개차
32a ~ 32d, 132a, 132b : 스크롤 케이싱
33, 133 : 모터(전동기)
34a ~ 34d, 134a, 134b : 스크롤 흡입구
35a ~ 35d, 135a, 135b : 스크롤 취출구
36a ~ 36d, 136a, 136b : 스크롤 본체부
37a ~ 37d, 137a, 137b : 스크롤 출구부
61a ~ 61d, 161a, 161b : 벽부
71, 171 : 세레이션
72, 172 : 오목부
73, 173 : 관통공
a, b, c : 거리
D : 로터 지름
O : 회전축
S1 : 송풍기실
S2 : 열교환기실
W : 로터 폭
θ : 각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1) 공기 조화 장치의 기본 구조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의 천장 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1)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1은 공기 조화 장치(1)의 측면 단면도(스크롤 케이싱(32b)의 단면을 도시)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의 평면 단면도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1)는 공조실의 천장에 걸려 설치되어 있고,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냉매 연락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주로, 유닛 케이싱(2)과 원심 송풍기(3)와 열교환기(4)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케이싱>
유닛 케이싱(2)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긴 박형(薄型) 상자형상이며, 배면 측으로부터 전면 측에 걸쳐 높이 방향의 길이가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닛 케이싱(2)의 저면의 배면 측의 부분에는 실내의 공기를 유닛 케이싱(2) 내로 흡입하는 유닛 흡입구(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닛 케이싱(2)의 전면에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유닛 케이싱(2) 내로부터 실내로 불어내는 유닛 취출구(2b)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닛 케이싱(2)은 주로, 천장에 거는 것이 가능한 천판부(21)와, 천판부(21)의 전면 측의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저판부(22)와, 천판부(21)의 배면 측의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흡입 그릴(23)을 가지고 있다. 천판부(21)는 한쌍의 측면과 배면이 판금 가공에 의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금속제의 판상 부재이다. 흡입 그릴(23)은 탈착 가능하게 천판부(21)에 장착되어 있고, 흡입구(2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유닛 케이싱(2)의 저판부(22)와 흡입 그릴(23)의 사이에는 측방으로 길고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24)는 유닛 흡입구(2a)에 연통되는 배면 측의 송풍기실(S1)과 유닛 취출구(2b)에 연통되는 전면 측의 열교환기실(S2)로, 유닛 케이싱(2) 내의 공간을 칸막이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부재(2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2)의 전면 및 배면에 평행(즉, 유닛 케이싱(2)의 측면에 직교)하는 평판부(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평판부(25)에는 원심 송풍기(3)를 구성하는 4개의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각 스크롤 취출구(35a ~ 35d, 후술)에 대응하고 있고, 송풍기실(S1)과 열교환기실(S2)을 연통하는 4개의 연통 개구(25a ~ 25d)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연통 개구(25a ~ 25d)는 평판부(25)의 긴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각공(角孔)이다.
유닛 케이싱(2)의 전면, 측면 및 저면은 합성 수지제의 화장(化粧) 부재(26) 에 의하여 덮여 있다. 천판부(21)의 유닛 취출구(2b)의 근방에는 예를 들면, 발포스티롤( 發砲styrol)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 부재(2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22)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발포스티롤 등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 팬(drain pan, 28)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유닛 케이싱(2)의 전면 측의 부분, 화장 부재(26), 단열 부재(27)의 전면 측의 부분 및 드레인 팬(28)의 전면 측의 부분에 의하여 대략 직사각형으로 측방(側方)으로 긴 유닛 취출구(2b)가 구성되어 있다.
유닛 취출구(2b)에는 상하로 요동하는 제1 플랩(29)과 좌우로 요동하는 복수의 제2 플랩(3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플랩(29)은 측방으로 긴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유닛 취출구(2b)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제1 축(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유닛 케이싱(2)에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제2 플랩(30)은 제1 축(X1)의 배면 측의 위치에서 제1 축(X1)과 어긋나는 제2 축(X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유닛 케이싱(2)에 지지되어 있다.
<원심 송풍기>
원심 송풍기(3)는 송풍기실(S1) 내에 배치되어 있고, 유닛 흡입구(2a)로부터 송풍기실(S1) 내로 공기를 흡입하여 승압하고, 칸막이 부재(24)의 연통 개구(25a ~ 25d)를 통하여 열교환기실(S2)로 불어내기 위한 기기이다. 그리고 원심 송풍기(3)는 주로, 4개의 날개차(31a ~ 31d)와, 각 날개차(31a ~ 31d)를 수용하는 4개의 스크롤 케이싱(32a ~ 32d)과, 날개차(31a ~ 31d)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33)를 가지고 있다.
우선, 날개차(31a ~ 31d)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날 개차(31a ~ 31d)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흡입형 시로코 팬 로터이며, 그 회전축(O)이 유닛 케이싱(2)의 측방을 향하도록(즉,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를 따르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날개차(31a ~ 31d)는 모두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날개차(31b)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날개차(31a, 31c, 31d)의 구성에 관해서는 날개차(31b)의 각부를 도시하는 부호 b 대신에 부호 a, c, d를 붙여서 각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날개차(31b)는 주로,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판상의 주판(主板, 41b)과, 주판(41b)의 외주부의 양면에 회전축(O)을 중심으로 환상(環狀)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일단(一端)이 주판(41b)에 고정된 다수매의 날개(42b)와, 주판(41b)의 회전축(O)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다수매의 날개(42b)의 타단(他端)을 연결하는 한쌍의 측판(43b)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스크롤 케이싱(32a ~ 32d)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은 모두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스크롤 케이싱(32b)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스크롤 케이싱(32a, 32c, 32d)의 구성에 관해서는 스크롤 케이싱(32b)의 각부를 도시하는 부호 b 대신에 부호 a, c, d를 붙여서 각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스크롤 케이싱(32b)은 양흡입형 원심 송풍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형성된 2개의 스크롤 흡입구(34b)와, 스크롤 흡입구(34b)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도록 형성된 스크롤 취출구(35b)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스크롤 흡입구(34b)는 날개차(31b)의 회전축(O)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 닛 흡입구(2a)는 스크롤 흡입구(34b)의 개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게 된다. 또한, 스크롤 취출구(35b)는 칸막이 부재(24)의 연통 개구(25b)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케이싱(32b)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제의 부재이며, 날개차(31b)를 하방(下方)으로부터 덮는 스크롤 하(下) 부재(45b)와 날개차(31b)를 상방(上方)으로부터 덮는 스크롤 상(上) 부재(44b)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부재(44b, 45b)를 맞붙이는 것에 의하여 2개의 스크롤 흡입구(34b)를 가지고 날개차(31b)를 수용하는 스크롤 본체부(36b)와, 스크롤 취출구(35b)를 가지고 스크롤 본체부(36b)에 연통하는 스크롤 출구부(37b)가 구성되어 있다. 스크롤 본체부(36b)에는 각 스크롤 흡입구(34b)의 주위를 둘러싸는 2개의 벨 마우스부(38b)가 형성되어 있다. 벨 마우스부(38b)는 그 내주 측의 단부가 날개차(31b) 측을 향하여 벨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스크롤 출구부(37b)는 스크롤 본체부(36b)의 칸막이 부재(24) 측의 부분에 연통하는 각기둥형상의 부분이고, 그 선단부가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에 형성된 연통 개구(25b)에 삽입되어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보다 열교환기(4)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크롤 출구부(37b)는 유닛 케이싱(2)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평판부(25)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 즉, 회전축(O)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유닛 케이싱(2)의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약간 하방(下方)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내도록 약간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덧붙여,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 있지만, 이것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개나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날개차 및 스크롤 케이싱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양흡입형이지만, 편흡입형이어도 무방하다.
모터(33)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2)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스크롤 케이싱(32b)과 스크롤 케이싱(32c)의 사이(즉, 스크롤 케이싱(32b) 및 스크롤 케이싱(32c)의 회전축(O)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지지 부재(33a)를 통하여 칸막이 부재(24)나 유닛 케이싱(2)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크롤 케이싱(32b)과 스크롤 케이싱(32c)의 간격만이 다른 스크롤 케이싱 사이의 간격(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케이싱(32a)과 스크롤 케이싱(32b)의 간격이나 스크롤 케이싱(32c)과 스크롤 케이싱(32d)의 간격)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33)에는 4개의 날개차(31a ~ 31d)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 일괄하여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3)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닛 흡입구(2a)를 통하여 유닛 케이싱(2)의 송풍기실(S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송풍기실(S1) 내로 흡입된 공기가 스크롤 흡입구(34a ~ 34d)를 통하여 각 스크롤 케이싱(32a ~ 32d) 내로 흡입되고, 각 날개차(31a ~ 31d)의 내주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불어내진다. 이 날개차(31a ~ 31d)의 외주 측으로 불어내져 승압된 공기는 칸막이 부재(24)의 각 연통 개구(25a ~ 25d)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각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게 된다.
<열교환기>
열교환기(4)는 열교환기실(S2)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송풍기실(S1) 내에서 원심 송풍기(3)에 의하여 승압되어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진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을 행하기 위한 기기이다. 열교환기(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 핀 튜브(cross fin tube)형 열교환기이며,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고, 또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4)는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스크롤 취출구(35a ~ 35d)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열교환기(4)는 그 상부가 유닛 취출구(2b) 측으로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4)의 하측에는 드레인 팬(28)이 배치되어 있어, 열교환기(4)에서 발생한 결로수(結露水)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진 공기는 열교환기(4)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 유닛 취출구(2b)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벽부(61a ~ 61d)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들 벽부(61a ~ 61d)에 관하여 도 1 ~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며, 날개차(31b) 및 스크롤 케이싱(32b)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확대도이며, 날개차(31b) 및 스크롤 케이싱(32b)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벽부>
벽부(61a ~ 61d)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외측에 설치된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다. 덧붙여, 벽부(61a ~ 61d)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두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벽부(61b)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벽부(61a, 61c, 61d)의 구성에 관해서는 벽부(61b)의 각부를 도시하는 부호 b 대신에 부호 a, c, d를 붙여서 각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벽부(61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스크롤 출구부(37b)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통상의 부분이며, 스크롤 출구부(37b)의 양 측면부(46, 47)의 측방에 각각 배치된 측방 벽부(62, 63)와, 스크롤 출구부(37b)의 상면부(48)의 상방에 배치된 상방 벽부(64)와, 스크롤 출구부(37b)의 하면부(49)의 하방에 배치된 하방 벽부(6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벽부(61b, 구체적으로는, 측방 벽부(62, 63), 상방 벽부(64) 및 하방 벽부(66))는 그 송풍기실(S1) 측의 단부가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의 연통 개구(25b)의 외측의 위치에 접촉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열교환기(4)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이와 같은 벽부(61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b)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취출구(35b)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보다도 압력이 낮은 부분(이하, 부압부(S3)라고 한다)이 형성된다. 덧붙여, 벽부(61b)는 본 실시예와 같이, 스크롤 취출구(35b)의 외측의 전체 둘레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스크롤 취출구(35b)의 외측 근방 중 부압부(S3)를 형성하려고 하는 부분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스크롤 취출구(35b)의 측방에만 부압부(S3)를 형성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방 벽부(64) 및 하방 벽부(66)를 설치하지 않고, 측방 벽부(62, 63)만을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롤 출구부(37b)와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61b)와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는 날개차(31b)의 로터 폭(W)의 0.5배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출구부(37b)의 측면부(46)의 외면(즉, 벽부(61b)의 측방 벽부(62)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61b)의 측방 벽부(62)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측면부(46)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 스크롤 출구부(37b)의 측면부(47)의 외면(즉, 벽부(61b)의 측방 벽부(63)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61b)의 측방 벽부(63)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측면부(47)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 스크롤 출구부(37b)의 상면부(48)의 외면(즉, 벽부(61b)의 상방 벽부(64)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61b)의 상방 벽부(64)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상면부(48)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 및 스크롤 출구부(37b)의 하면부(49)의 외면(즉, 벽부(61b)의 하방 벽부(65)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61b)의 하방 벽부(65)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하면부(49)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는, 날개차(31b)의 로터 폭(W)의 0.5배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c)를 로터 폭(W)의 0.5 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b)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덧붙여, 벽부(61b)가 평판부(25)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벽부(61b)의 평판부(25) 측의 단부를 연장하였을 때에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이 벽부(61b)와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해당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37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는, 0보다 크고, 날개차(31b)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37b)의 양 측면부(46, 47)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37b)의 상면부(48)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 및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37b)의 하면부(49)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는, 0보다 크고, 날개차(31b)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a)를 0보다 크게 하는 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를 열교환기실(S2)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b)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출구부(37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와 벽부(61b)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61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는, 거리(a) 이상이고, 날개 차(31b)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61b)의 측방 벽부(62, 63)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61b)의 상방 벽부(64)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 및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61b)의 하방 벽부(64)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는, 거리(a) 이상이고, 날개차(31b)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b)를 거리(a) 이상 즉, 벽부(61b)의 단부를 스크롤 출구부(37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보다도 열교환기(4)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37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와 벽부(61b)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3)의 압력과, 스크롤 취출구(35b)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의 압력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부(61b)와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θ)는 30°보다 크고, 90°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부(61b)의 측방 벽부(62, 63)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측면부(46, 47)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에 있어서 벽부(61b)의 측방 벽부(62, 63)의 외측의 부분이 이루는 각도(θ), 벽부(61b)의 상방 벽부(64)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상면부(48)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에 있어서 벽부(61b)의 상방 벽부(64)의 외측의 부분이 이루는 각도(θ) 및 벽부(61b)의 하방 벽부(65)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37b)의 하면부(49) 측의 면)과,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에 있어서 벽부(61b)의 하방 벽부(65)의 외측의 부분 이 이루는 각도(θ)는, 30°보다 크고, 90°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벽부(61b)와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를 30°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b)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2)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도 1 ~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모터(33)를 기동하여 원심 송풍기(3)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닛 흡입구(2a)를 통하여 유닛 케이싱(2)의 송풍기실(S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송풍기실(S1) 내로 흡입된 공기가 스크롤 흡입구(34a ~ 34d)를 통하여 각 스크롤 케이싱(32a ~ 32d) 내로 흡입되고, 날개차(31a ~ 31d)의 내주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불어내진다. 이 날개차(31a ~ 31d)의 외주 측으로 불어내져 승압된 공기는 칸막이 부재(24)의 연통 개구(25a ~ 25d)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진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진 공기는 열교환기(4)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 유닛 취출구(2b)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외측에 평판부(25)의 열교환기(4) 측으로 돌출하는 벽부(61a ~ 61d)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 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보다 압력이 낮은 부압부(S3)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도 3 및 도 4의 화살표 F 참조)는 이 부압부(S3)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출구부에 벽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크롤 출구부에 벽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화살표 f 참조)에 비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산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c)를 날개차(31a ~ 31d)의 로터 폭(W)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a)를 0보다 크게 하는 즉,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를 열교환기실(S2)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가 큰,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와 벽부(61a ~ 61d)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3)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거리(a)를 날개차(31a ~ 31d)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와 열교환기(4)의 사이에,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 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산하는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b)를 거리(a) 이상 즉, 벽부(61a ~ 61d)의 단부를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보다도 열교환기(4)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와 벽부(61a ~ 61d)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3)의 압력과,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의 압력차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거리(b)를 날개차(31a ~ 31d)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부압부(S3)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을 향하여 확산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을 벽부(61a ~ 61d)에 의하여 힘을 다해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61a ~ 61d)의 외측까지 한층 더 확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각도(θ)를 30°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각도(θ)를 9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실하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열교환기(4)가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고 있는데 대하여 평판부(25)의 연통 개구(25a ~ 25d) 즉,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스크롤 취출구(35a ~ 35d)가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 뿐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벽부(61a ~ 61d)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37a ~ 37d)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산시켜 열교환기(4)를 통과시킬 수 있어,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를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벽부(61a ~ 61d)는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의 열교환기실(S2)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흡입구(34a ~ 34d)의 방해가 되거나 스크롤 출구부(37a ~ 37d)에서의 동압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된다는 것과 같은 문제도 생기는 일도 없고, 나아가, 송풍기실(S1) 내의 공간에 여유가 없는 경우나 유닛 케이싱(2)을 컴팩트하게 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를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이다.
(3) 변형예 1
또한, 벽부(61a ~ 61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에 세레이션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벽부(61b)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부(61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에 삼각파(三角波)형상 등의 세레이션(71)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5에서는 세레이션(71)이 측방 벽부(62)에 설치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벽부(63~65)에 동일한 세레이션(71)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벽부(61a ~ 61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에 세레이션(7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벽부(61a ~ 61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에서의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벽부(61a ~ 61d)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에서의 압력 변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4) 변형예 2
또한, 벽부(61a ~ 61d)의 내면 즉, 스크롤 출구부(37a ~ 37d) 측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벽부(61b)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부(61b)의 내면 즉, 스크롤 출구부(37b) 측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72)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6에서는 복수의 오목부(72)를 측방 벽부(62)에 설치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벽부(63~65)에 동일한 복수의 오목부(72)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벽부(61a ~ 61d)의 내면 즉, 스크롤 출구부(37a ~ 37d) 측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7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61a ~ 61d)의 스크롤 출구부(37a ~ 37d) 측의 면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35a ~ 35d)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벽부(61a ~ 61d)의 내면 즉, 스크롤 출구부(37a ~ 37d) 측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벽부(61a ~ 61d)에 복수의 관통공(73)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벽부(61b)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부(61b)에 복수의 관통공(73)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7에서는 복수의 관통공(73)이 측방 벽부(62)에 설치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벽부(63 ~ 65)에 동일한 복수의 관통공(73)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5) 변형예 3
또한, 변형예 1에 관련되는 세레이션과, 변형예 2에 관련되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관통공을 동시에 벽부(61a ~ 61d)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벽부(61b)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부(61b)의 열교환기(4) 측의 단부에 삼각파형상 등의 세레이션(71)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벽부(61b)의 내면 즉, 스크롤 출구부(37b) 측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72)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8에서는 세레이션(71)이 측방 벽부(62)에 설치되고, 그리고 복수의 오목부(72)가 측방 벽부(62)에 설치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벽부(63 ~ 65)에 동일한 세레이션(71) 및 복수의 오목부(72)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72) 대신에 복수의 관통공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변형예 1 및 변형예 2의 양방(兩方)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변형예 4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변형예 1 ~ 3을 포함한다)의 공기 조화 장치(1)는 날개차(31a ~ 31d)가 칸막이 부재(24)의 평판부(25)를 따르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날개차(31a ~ 31d)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33)가 송풍기실(S1) 내의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회전축(O)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스크롤 취출구(35a ~ 35d)로부터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주로, 열교환기(4) 중 평판부(25)를 사이에 두고 스크롤 케이싱(32a ~ 32d)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하여 버려, 열교환기(4) 중 평판부(25)를 사이에 두고 모터(33)에 대향하는 부분(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케이싱(32b)과 스크롤 케이싱(32c)의 사이의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가 생겨, 열교환기(4)에서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거나 송풍 능력 및 열교환 능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기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변형 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크롤 케이싱(32b, 32c)의 스크롤 출구부(37b, 37c)가 회전축(O) 방향의 크기(L)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모터(33) 측으로 경사하면서 연통 개구(25b, 25c)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S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열교환기(4) 중 평판부(25)를 사이에 두고 모터(33)에 대향하는 부분을 한층 더 통과하기 쉽게 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스크롤 출구부(37b, 37c)의 회전축(O) 방향의 크기(L)를 크게 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롤 출구부(37b, 37c)에서의 동압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되는 등의 결함도 생기기 어려워,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1) 공기 조화 장치의 기본 구조
도 10 및 도 11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2 실시예로서의 덕트형 공기 조화 장치(101)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10은 공기 조화 장치(101)의 측면도(도 11의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공기 조화 장치(101)의 평면 단면도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101)는 공조실(空調室)의 천장과 지붕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덕트 구조인 것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101)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냉매 연락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1)는 주로, 유닛 케이싱(102)과 원심 송풍기(103)와 열교환기(104)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케이싱>
유닛 케이싱(2)은 전체적으로 측방으로 긴 박형 상자형상의 부재이며, 그 하면(102a) 및 배면(102b, 도 11의 지면(紙面) 상측 면)에 유닛 흡입구(102g, 102h)를 가지고 원심 송풍기(103)가 배치되는 송풍기실(S101)과, 전면(102c, 도 11의 지면 하측의 면)에 유닛 취출구(102i)를 가지고 열교환기(104)가 배치되는 열교환기실(S102)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유닛 흡입구(102g, 102h)는 천장과 지붕의 사이의 공간에서의 설치 조건에 따라 어느 일방(一方)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송풍기실(S101) 및 열교환기실(S102)은 측방으로 길고 세로 방향으로 유닛 케이싱(102) 내에 배치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부재(124)에 의하여 유닛 케이싱(102) 내의 공간을 전후로 칸막이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부재(12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102)의 전면 및 배면에 평행(즉, 유닛 케이싱(102)의 측면에 직교)하는 평판부(1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평판부(125)에는 원심 송풍기(103)를 구성하는 2개의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각 스크롤 취출구(135a, 135b, 후술)에 대응하고 있고, 송풍기실(S101)과 열교환기실(S102)을 연통하는 2개의 연통 개구(125a, 125b)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연통 개구(125a, 125b)는 평판부(125)의 긴쪽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각공이다.
<원심 송풍기>
원심 송풍기(103)는 송풍기실(S101) 내에 배치되어 있고, 유닛 흡입구(102g) 또는 유닛 흡입구(102h)로부터 송풍기실(S101) 내로 공기를 흡입하여 승압하고, 칸막이 부재(124)의 연통 개구(125a, 125b)를 통하여 열교환기실(S102)로 불어내기 위한 기기이다. 그리고 원심 송풍기(103)는 주로, 2개의 날개차(131a, 131b)와, 각 날개차(131a, 131b)를 수용하는 2개의 스크롤 케이싱(132a, 132b)과, 날개차(131a, 131b)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33)를 가지고 있다.
우선, 날개차(131a, 131b)에 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날개차(131a, 131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흡입형 시로코 팬 로터이며, 그 회전축(O)이 유닛 케이싱(102)의 측방을 향하도록(즉,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 부(125)를 따르도록)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날개차(131a)와 날개차(131b)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날개차(131a)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날개차(131b)의 구성에 관해서는 날개차(131a)의 각부를 도시하는 부호 a 대신에 부호 b를 붙여서 각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날개차(131a)는 주로,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판상(狀)의 주판(141a)과, 주판(141a)의 외주부의 양면에 회전축(O)을 중심으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일단이 주판(141a)에 고정된 다수매의 날개(142a)와, 주판(141a)의 회전축(O)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다수매의 날개(142a)의 타단을 연결하는 한쌍의 측판(143a)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에 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스크롤 케이싱(132a)과 스크롤 케이싱(132b)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스크롤 케이싱(132a)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스크롤 케이싱(132b)의 구성에 관해서는 스크롤 케이싱(132a)의 각부를 도시하는 부호 a 대신에 부호 b를 붙여서 각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스크롤 케이싱(132a)은 양흡입형 원심 송풍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형성된 2개의 스크롤 흡입구(134a)와, 스크롤 흡입구(134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도록 형성된 스크롤 취출구(135a)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스크롤 흡입구(134a)는 날개차(131a)의 회전축(O)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닛 흡입구(102g) 및 유닛 흡입구(102h)는 스크롤 흡입구(134a)의 개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게 된다. 또한, 스크롤 취출구(135a)는 칸막이 부재(124)의 연통 개구(125a)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케이싱(132a)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지제의 부재이며, 날개차(131a)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스크롤 하 부재(145a)와 날개차(131a)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스크롤 상 부재(144a)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부재(144a, 145a)를 맞붙이는 것에 의하여 2개의 스크롤 흡입구(134a)를 가지고 날개차(131a)를 수용하는 스크롤 본체부(136a)와, 스크롤 취출구(135a)를 가지고 스크롤 본체부(136a)에 연통하는 스크롤 출구부(137a)가 구성되어 있다. 스크롤 본체부(136a)에는 각 스크롤 흡입구(134a)의 주위를 둘러싸는 2개의 벨 마우스부(138a)가 형성되어 있다. 벨 마우스부(138a)는 그 내주 측의 단부가 날개차(131a) 측을 향하여 벨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스크롤 출구부(137a)는 스크롤 본체부(136a)의 칸막이 부재(124) 측의 부분에 연통하는 각기둥형상의 부분이고, 그 선단부가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에 형성된 연통 개구(125b)에 삽입되어,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보다 열교환기(104)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크롤 출구부(137a)는 유닛 케이싱(102)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평판부(125)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 즉, 회전축(O)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유닛 케이싱(102)의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약간 하방을 향하여 공기를 불어내도록 약간 하방으로 경사하고 있다.
모터(133)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케이싱(102)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스크롤 케이싱(132a)과 스크롤 케이싱(132b)의 사이(즉, 스크롤 케이싱(132a) 및 스크롤 케이싱(132b)의 회전축(O)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지지 부재(133a)를 통하여 칸막이 부재(124)나 유닛 케이싱(102)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크롤 케이싱(132a)과 스크롤 케이싱(132b)의 사이에는 모터(133)의 크기에 따른 간극이 형성된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133)에는 2개의 날개차(131a, 131b)의 양방이 연결되어 있어, 일괄하여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103)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닛 흡입구(102g) 또는 유닛 흡입구(102h)를 통하여 유닛 케이싱(102)의 송풍기실(S10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송풍기실(S101) 내로 흡입된 공기가 스크롤 흡입구(134a, 134b)를 통하여 각 스크롤 케이싱(132a, 132b) 내로 흡입되고, 각 날개차(131a, 131b)의 내주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불어내진다. 이 날개차(131a, 131b)의 외주 측으로 불어내져 승압된 공기는 칸막이 부재(124)의 각 연통 개구(125a, 125b)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각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게 된다.
<열교환기>
열교환기(104)는 열교환기실(S10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송풍기실(S101) 내에서 원심 송풍기(103)에 의하여 승압되어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진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을 행하기 위한 기기이다. 열교환기(10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며,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고, 또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104)는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열교환기(104)는 그 상부가 유닛 취출구(102i) 측으로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104)의 하측에는 드레인 팬(128)이 배치되어 있어, 열교환기(104)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진 공기는 열교환기(104)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 유닛 취출구(102i)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벽부(161a, 161b)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들 벽부(161a, 161b)에 관하여 도 10 ~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며, 날개차(131a) 및 스크롤 케이싱(132a)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이다.
<벽부>
벽부(161a, 161b)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외측에 설치된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다. 덧붙여, 벽부(161a)와 벽부(161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벽부(161a)의 구성을 주로 설명하고, 벽부(161b)의 구성에 관해서는 벽부(161a)의 각부를 도시하는 부호 a 대신에 부호 b를 붙여서 각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벽부(161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의 스크롤 출구부(137a)의 측면 부(146)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부(161a)는 그 송풍기실(S101) 측의 단부가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의 연통 개구(125b)의 외측의 위치에 접촉하고 있고, 그곳으로부터 열교환기(104) 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이와 같은 벽부(161a)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취출구(135a)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보다 압력이 낮은 부분(이하, 부압부(S103)라고 한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벽부(161a)는 스크롤 출구부(137a)의 측면부(146)의 측방의 위치 즉, 스크롤 출구부(137a)의 회전축(O)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열교환기실(S102)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135a)의 회전축(O) 방향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103)가 형성된다. 게다가, 벽부(161a)는 스크롤 출구부(137a)의 외측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인 스크롤 케이싱(132b)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S102)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135a)의 스크롤 케이싱(132b) 측에 부압부(S10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벽부(161a)는 스크롤 출구부(137a)의 외측 중 모터(133)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S102)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135a)의 모터(133) 측에 부압부(S10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롤 출구부(137a)와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161a)와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는, 날개차(131b)의 로터 폭(W)의 0.5배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출구부(137a)의 측면부(146)의 외면(즉, 벽 부(161a) 측의 면)과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벽부(161a)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137a)의 측면부(146) 측의 면)과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는, 날개차(131a)의 로터 폭(W)의 0.5배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거리(c)를 로터 폭(W)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10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덧붙여, 벽부(161a)가 평판부(125)에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벽부(161a)의 평판부(125) 측의 단부를 연장하였을 때에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이, 벽부(161a)와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에 해당 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137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는, 0보다 크고, 날개차(131a)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으로부터 스크롤 출구부(137a)의 측면부(146)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는, 0보다 크고, 날개차(131a)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거리(a)를 0보다 크게 하는 즉, 스크롤 출구부(137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를 열교환기실(S2)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출구부(137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와 벽부(161a)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10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161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는, 거리(a) 이상이고, 날개차(131a)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으로부터 벽부(161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는 거리(a) 이상이며, 날개차(131a)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거리(b)를 거리(a) 이상 즉, 벽부(161a)의 단부를 스크롤 출구부(137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보다도 열교환기(104)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137a)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와 벽부(161a)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103)의 압력과, 스크롤 취출구(135a)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의 압력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부(161a)와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θ)는, 30°보다 크고, 90°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부(161a)의 내면(즉, 스크롤 출구부(137a)의 측면부(146) 측의 면)과,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에 있어서 벽부(161a)의 외측의 부분이 이루는 각도(θ)는, 30°보다 크고, 90° 이하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벽부(161a)와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를 30°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10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벽부(161a)와 평판부(125)의 열교환기(4)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를 9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롤 취출구(135a)의 외측으로 확실하게 확산 되도록 할 수 있다.
(2)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의 동작에 관하여 도 10 ~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모터(133)를 기동하여 원심 송풍기(103)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닛 흡입구(102g) 또는 유닛 흡입구(102h)를 통하여 유닛 케이싱(102)의 송풍기실(S10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송풍기실(S101) 내로 흡입된 공기가 스크롤 흡입구(134a, 134b)를 통하여 각 스크롤 케이싱(132a, 132b) 내로 흡입되고, 날개차(131a, 131b)의 내주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불어내진다. 이 날개차(131a, 131b)의 외주 측으로 불어내져 승압된 공기는 칸막이 부재(124)의 연통 개구(125a, 125b)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진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진 공기는 열교환기(104)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 유닛 취출구(102i)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외측에 평판부(125)의 열교환기(104) 측으로 돌출하는 벽부(161a, 161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보다도 압력이 낮은 부압부(S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도 12의 화살표 F 참조)는 이 부압부(S103)로 인입 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출구부에 벽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크롤 출구부에 벽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화살표 f 참조)에 비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으로 확산된다. 구체적으로는, 벽부(161a, 161b)는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회전축(O) 방향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열교환기실(S102)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회전축(O) 방향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103)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와 같이, 날개차(131a, 131b)가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를 따르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회전축(O)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스크롤 출구부(137a, 137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회전축(O)을 따르는 방향으로는 확산되기 어려운 경향이 강하지만, 부압부(S103)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S103)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회전축(O)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도록 된다.
게다가, 벽부(161a)는 스크롤 출구부(137a)의 외측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인 스크롤 케이싱(132b) 측에 배치되고, 또한, 벽부(161b)는 스크롤 출구부(137b)의 외측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인 스크롤 케이싱(132a)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S102)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135a)의 스크롤 케이싱(132b) 측 및 스크롤 취출구(135b)의 스크롤 케이싱(132a) 측에 부압부(S103)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와 같이, 날개차(131a, 131b)가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를 따르는 회전축(O)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또한, 날개차(131a, 131b) 및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이 회전축(O) 방향으로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132a) 및 스크롤 케이싱(132b)의 회전축(O) 방향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되어, 스크롤 출구부(137a, 137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이 간극에 대응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되지만, 부압부(S103)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S103)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135a)의 스크롤 케이싱(132b) 측 및 스크롤 취출구(135b)의 스크롤 케이싱(132a) 측으로 확산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벽부(161a)는 스크롤 출구부(137a)의 외측 중 모터(133) 측에 배치되고, 또한, 벽부(161b)는 스크롤 출구부(137b)의 외측 중 모터(133)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실(S102) 내에서 스크롤 취출구(135a)의 모터(133) 측 및 스크롤 취출구(135b)의 모터(133) 측에 부압부(S103)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와 같이, 날개차(131a, 131b)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33)가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회전축(O)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주로, 열교환기(104) 중 평판부(124)를 사이에 두고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에 대 향하는 부분을 통과하여 버려, 열교환기(104) 중 평판부(124)를 사이에 두고 모터(133)에 대향하는 부분을 통과하기 어렵게 되지만, 부압부(S103)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는 이 부압부(S103)로 인입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모터(133) 측으로 확산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거리(c)를 날개차(131a, 131b)의 로터 폭(W)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10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거리(a)를 0보다 크게 하는 즉,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를 열교환기실(S102)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가 큰,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 근방에,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와 벽부(161a, 161b)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103)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거리(a)를 날개차(131a, 131b)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와 열교환기(104)의 사이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으로 확산하는데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거리(b)를 거리(a) 이상 즉, 벽부(161a, 161b)의 단부를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보다도 열교환기(104) 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와 벽부(161a, 161b)의 사이에 놓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부압부(S103)의 압력과,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의 압력차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거리(b)를 날개차(131a, 131b)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부압부(S103)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을 향하여 확산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을 벽부(161a, 161b)에 의하여 힘을 다해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161a, 161b)의 외측까지 한층 더 확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각도(θ)를 30°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 근방에 부압부(S103)를 확실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각도(θ)를 9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으로 확실하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서는 열교환기(104)가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의 대략 전면에 대향하고 있는데 대하여 평판부(125)의 연 통 개구(125a, 125b) 즉,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스크롤 취출구(135a, 135b)가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 뿐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벽부(161a, 161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 특히, 회전축(O) 방향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면서 열교환기(104)를 통과시킬 수 있어,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를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벽부(161a, 161b)는 칸막이 부재(124)의 평판부(125)의 열교환기실(S102)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롤 흡입구(134a, 134b)의 방해가 되거나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에서의 동압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된다는 것과 같은 문제도 생기는 일도 없고, 나아가, 송풍기실(S101) 내의 공간에 여유가 없는 경우나 유닛 케이싱(102)을 컴팩트하게 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에 편류를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효과적이다.
(3) 변형예 1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변형예 1과 동일하게 벽부(161a, 161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에 세레이션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도 13 참조). 이것에 의하여 벽부(161a, 161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에서의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벽부(161a, 161b)의 열교환기(104) 측의 단부에서의 압력 변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변형예 2와 동일하게, 벽부(161a, 161b)의 내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하거나(도 14 참조), 복수의 관통공(173)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도 15 참조). 이것에 의하여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벽부(161a, 161b)의 스크롤 출구부(137a, 137b) 측의 면에 따르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스크롤 취출구(135a, 135b)로부터 열교환기실(S102) 내로 불어내지는 공기를 스크롤 취출구(135a, 135b)의 외측으로 확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변형예 3과 동일하게 세레이션(171)과 복수의 오목부(172) 또는 관통공(173)을 동시에 벽부(161a, 161b)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도 16 참조, 예로서 세레이션(171)과 오목부(172)를 설치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세레이션을 설치한 것에 의한 효과와 복수의 오목부 또는 관통공을 설치한 것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4) 변형예 2
또한, 상술한 제2 실시예(변형예 1을 포함한다)의 공기 조화 장치(101)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변형예 4와 동일하게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스크롤 출구부(137a, 137b)를 회전축(O) 방향의 크기(L)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모터(133) 측으로 경사하면서 연통 개구(125a, 125b)를 향하여 연장 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도 17 참조). 이것에 의하여 열교환기실(S102)로부터 불어내진 공기가 열교환기(104) 중 평판부(125)를 사이에 두고 모터(133)에 대향하는 부분을 한층 더 통과하기 쉽게 되어,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회전축(O) 방향의 크기(L)을 크게 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에서의 동압 회수가 되기 어렵게 되는 등의 결함도 생기기 어려워, 송풍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예에는 천장 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고,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덕트형 공기 조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천장 매입형 공기 조화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칸막이 부재에 의하여 송풍기실과 열교환기실로 칸막이 된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개차와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케이싱을 가지는 원심 송풍기가 송풍기실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기가 스크롤 케이싱의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송풍 능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편류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3)

  1. 유닛 흡입구(2a)(102a)와 유닛 취출구(2b)(102i)를 가지는 유닛 케이싱(2)(102)과,
    상기 유닛 흡입구에 연통되는 송풍기실(S1)(S101)과, 상기 유닛 취출구에 연통되는 열교환기실(S2)(S102)로 상기 유닛 케이싱 내의 공간을 칸막이하는 부재이며, 상기 송풍기실과 상기 열교환기실을 연통하는 연통 개구(開口)(25a ~ 25d)(125a, 125b)가 형성된 평판부(25)(125)를 가지는 칸막이 부재(24)(124)와,
    상기 송풍기실에 배치되는 날개차(31a ~ 31d)(131a, 131b)와,
    스크롤 흡입구(34a ~ 34d)(134a, 134b)를 가지고 상기 날개차를 수용하는 스크롤 본체부(36a ~ 36d)(136a, 136b)와, 상기 연통 개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크롤 취출구(35a ~ 35d)(135a, 135b)를 가지는 통상(筒狀)의 스크롤 출구부(37a ~ 37d)(137a, 137b)를 가지는 스크롤 케이싱(32a ~ 32d)(132a, 132b)과,
    상기 스크롤 취출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롤 취출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실 내로 불어내진 공기가 통과한 후에 상기 유닛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도록 상기 열교환기실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4)(104)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롤 출구부의 외측에는 상기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으로 돌출하는 벽부(壁部)(61a ~ 61d)(161a, 161b)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10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출구부(37a ~ 37d)(137a, 137b)와 상기 평판부(25)(125)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과, 상기 벽부(61a ~ 61d)(161a, 161b)와 상기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교차하는 부분의 거리(c)는, 상기 날개차(31a ~ 31d)(131a, 131b)의 로터(rotor) 폭(W)의 0.5배 이하인 공기 조화 장치(1)(10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5)(125)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롤 출구부(37a ~ 37d)(137a, 137b)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는, 0보다 크고, 상기 날개차(31a ~ 31d)(131a, 131b)의 로터 지름(D)의 0.3배 이하인 공기 조화 장치(1)(10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5)(125)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벽부(61a ~ 61d)(161a, 161b)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b)는, 상기 평판부의 열교환기 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롤 출구부(37a ~ 37d)(137a, 137b)의 열교환기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a) 이상이고, 상기 날개차(31a ~ 31d)(131a, 131b)의 로터 지름(D)의 0.5배 이하인 공기 조화 장치(1)(10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61a ~ 61d)(161a, 161b)와 상기 평판부(25)(125)의 열교환기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θ)는 30°보다 크고, 90° 이하인 공기 조화 장치(1)(10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61a ~ 61d)(161a, 161b)의 열교환기실 측의 단부에는 세레이션(serration)(71)(171)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10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61a ~ 61d)(161a, 161b)의 스크롤 출구부 측의 면에는 복수의 오목부(72)(172)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101).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61a ~ 61d)(161a, 161b)에는 복수의 관통공(73)(173)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10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차(31a ~ 31d)는 상기 평판부(25)를 따르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실(S1) 내의 상기 스크롤 케이싱(32a ~ 32d)의 회전축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날개차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3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크롤 출구부(37b, 37c)는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상기 전동기 측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연통 개구(25b, 25c)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차(131a, 131b)는 상기 평판부(125)를 따르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161a, 161b)는 상기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회전축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0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차(131a, 131b) 및 상기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은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161a, 161b)는 상기 각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외측 중 서로 이웃하는 스크롤 케이싱 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0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실(S101) 내의 상기 스크롤 케이싱(132a, 132b)의 회전축 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날개차(131a, 131b)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13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벽부(161a, 161b)는 상기 스크롤 출구부(137a, 137b)의 외측 중 상기 전동기 측에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0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출구부(137a, 137b)는 회전축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상기 전동기 측으로 경사하면서 상기 연통 개구(125a, 125b)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01).
KR1020077008848A 2004-09-28 2005-09-09 공기 조화 장치 KR100854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2115 2004-09-28
JPJP-P-2004-00282115 2004-09-28
JP2005139411A JP3806883B2 (ja) 2004-09-28 2005-05-12 空気調和装置
JPJP-P-2005-00139411 2005-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627A true KR20070058627A (ko) 2007-06-08
KR100854964B1 KR100854964B1 (ko) 2008-08-28

Family

ID=3611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848A KR100854964B1 (ko) 2004-09-28 2005-09-09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4043B2 (ko)
EP (1) EP1806541B8 (ko)
JP (1) JP3806883B2 (ko)
KR (1) KR100854964B1 (ko)
AU (1) AU2005288457B2 (ko)
WO (1) WO2006035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6095B (zh) * 2008-05-05 2010-12-15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带加热器的换气扇
JP4698721B2 (ja) * 2008-10-17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BR112012002819B1 (pt) 2009-08-07 2022-11-22 Kyowa Kirin Co., Ltd Anticorpo humanizado antioligômero de amiloide-b, seus usos, e formulação farmacêutica
CN102597233B (zh) 2009-08-07 2014-10-29 协和发酵麒麟株式会社 人源化抗淀粉样-b寡聚体抗体
US20110287706A1 (en) * 2010-03-15 2011-11-24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Diffuser for aircraft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447569B2 (ja) * 2012-03-26 2014-03-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CN104870827B (zh) * 2012-12-25 2017-07-1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离心风机和使用其的带消音箱的风机
JP6056471B2 (ja) * 2012-12-28 2017-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
JP6248486B2 (ja) * 2013-09-11 2017-12-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ダクト型室内機
GB2551281A (en) * 2015-03-02 2017-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Sirocco fan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ing this sirocco fan
US10865798B2 (en) * 2016-05-30 2020-12-15 Zhongshan Broad-Ocean Motor Co., Ltd. Fan coil unit
US20190107296A1 (en) 2017-10-10 2019-04-11 Trane International Inc. Modular heat pump system
US11592032B2 (en) * 2017-10-31 202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entrifugal fan, air-sending device,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08168334B (zh) * 2017-12-27 2019-10-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组件和换热设备
JP6635275B2 (ja) * 2018-03-30 2020-01-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20220128265A1 (en) * 2019-03-20 2022-04-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22107309A1 (ja) * 2020-11-20 202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US11639810B2 (en) * 2021-09-29 2023-05-02 Mitsubishi Electric Us, Inc. Air handling system and method with angled air diffuser
JP2023104572A (ja) * 2022-01-18 2023-07-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24111021A1 (ja) * 2022-11-21 2024-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0978A (en) * 1936-06-11 1941-07-29 Allin B Crouch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322357A (en) * 1942-02-04 1943-06-22 B F Sturtevant Co Centrifugal fan
US2387348A (en) * 1943-09-03 1945-10-23 Torrington Mfg Co Centrifugal displacement apparatus
US3374831A (en) * 1966-01-25 1968-03-26 Lennox Ind Inc Blower diffuser
US3524328A (en) * 1968-07-30 1970-08-18 American Standard Inc Air conditioner construction
JPS5377321A (en) * 1976-12-20 1978-07-08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Axial-flow fan with supplementary blade
JPS626611U (ko) * 1985-06-27 1987-01-16
JPH01141163A (ja) * 1986-02-11 1989-06-02 Alsthom Atlantique Sa 機関車の流体冷却器用及び/又は加減抵抗器用換気装置
JPH0765760B2 (ja) * 1987-04-27 1995-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318415U (ko) * 1989-06-28 1991-02-22
JP3158543B2 (ja) 1991-10-09 2001-04-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81480B2 (ja) * 1995-01-11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163644A (ja) * 1997-08-20 1999-03-0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791317B2 (ja) 2000-09-29 2006-06-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88457B2 (en) 2008-09-11
KR100854964B1 (ko) 2008-08-28
US20070256816A1 (en) 2007-11-08
US7604043B2 (en) 2009-10-20
WO2006035586A1 (ja) 2006-04-06
JP2006125828A (ja) 2006-05-18
EP1806541B1 (en) 2016-09-07
EP1806541B8 (en) 2016-12-14
JP3806883B2 (ja) 2006-08-09
EP1806541A4 (en) 2010-08-04
AU2005288457A1 (en) 2006-04-06
EP1806541A1 (en)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964B1 (ko) 공기 조화 장치
EP2402669B1 (en) Built-in type air conditioner
KR100790182B1 (ko) 송풍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EP2722609B1 (en) Built-in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WO2006009047A1 (ja) 空気調和機
JP6488886B2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WO2003008870A1 (fr) Climatiseur
JP6508465B2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JPH11148711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03190527U (zh) 空调机
JPH1030827A (ja) 空気調和機
JP2950252B2 (ja) 高所設置用空気調和機
CN111936797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WO200913390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014621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0415687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ユニット
JP4715205B2 (ja) 熱交換機器
KR20230114416A (ko) 양축모터 듀얼팬을 적용한 에너지절감형 스탠드 공기순환기
JPH1096526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10243049A (ja) 空気調和装置
JPH0129463Y2 (ko)
JPS6142015Y2 (ko)
JPH10227505A (ja) 熱交換ユニット
JPH10246483A (ja) 熱交換ユニット
JPH08178335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