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662A - 조 전지 - Google Patents

조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662A
KR20070057662A KR1020060117285A KR20060117285A KR20070057662A KR 20070057662 A KR20070057662 A KR 20070057662A KR 1020060117285 A KR1020060117285 A KR 1020060117285A KR 20060117285 A KR20060117285 A KR 20060117285A KR 20070057662 A KR20070057662 A KR 20070057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battery
piece
flat plate
assembl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모 나가타니
야스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치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치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치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실링 판으로부터 일 측 전극단자가 돌출 설치된 각형 전지를 복수 개 접속할 때에, 각 각형 전지의 각각의 전극단자의 높이에 편차가 존재해도 접합 불량을 초래하지 않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조 전지를 제공한다.
편평한 각형의 전지 케이스(1)의 높이 방향의 일 단면에서 일 측의 전극단자(3)가 돌출 설치되고, 또한, 일 단면 또는 측면이 타 측 전극단자(2)가 되는 각형 전지(Ba2)가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여 복수 개 배열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2) 중 일 측의 각형 전지(Ba2)에서의 타 측 전극단자(2)에 접속 부재(4)의 평판 접합부(7)가 접합 되고, 평판 접합부(7)에서 상승 편부(8)를 통해서 각 각형 전지(Ba2)의 배열방향을 향해 연장한 장착 편부(11)의 통 형상 접합부(12)에 다른 쪽의 각형 전지(Ba2)의 일 측 전극단자(3)가 결합상태로 삽입되어서 서로 접합 되어 있다.
조 전지, 접속 부재, 평판 접합부, 상승 편부, 장착 편부, 통 형상 접합부

Description

조 전지{ASSEMBLED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조 전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세트 전지에 이용하는 접속 부재의 사시도
도 3(a)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b)는 (a)와 동일한 개소의 다른 예의 확대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본 도면 (b), (c)는 비교를 위해 도시한 높이의 차이 또는 일치하지 않는 상대 위치를 갖는 2개의 각형 전지를 중첩한 경우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조 전지에 이용되는 접속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조 전지에 이용되는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한 종래의 조 전지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지 케이스 2 실링 판(타 측 전극단자)
3 음극단자(일 측 전극단자) 4 접속 부재
7 평판 접합부 8 상승 편부
9 연결 편부 10 접속 편부
11 장착 편부 12 통 형상 접합부
Ba2 각형 전지 t 판 두께
h 통 형상 접합부의 높이 R1 타단 개구부의 내경
R2 일단 개구부의 내경 R3 일 측 전극단자의 외경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각형 전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조 전지(組電池, assembled battery)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기 및 전동공구 등의 코드 리스(codeless) 기기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전원으로는,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등에 따라서, 체적효율이 우수한 각형 전지를 복수 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여 원하는 전압을 얻도록 구성한 조 전지(일반적으로,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으로 부른다)가 사용되고 있다. 이 체적효율이 우수한 각형 전지에 의한 조 전지에서는, 원통형 전지와 달리,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친 경우에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 사이에서 상호 접속해야 할 단자가 근접하여 배치되게 되고, 이 양 단자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도 원통형 전지용 접속 부재보다도 작으므로, 상호접속시에 단자와 접속 부재의 위치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이 각형 전지의 상호 접속시에는, 치구(治具) 또는 손가락으로 접속 부재를 파지하여 각형 전지의 캡 형상 단자와의 위치관계를 조절하고 있으나, 접속 부재가 작으므로 그 확실한 위치결정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스폿 용접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나빠져서, 접속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등에 기인한 용접불량이나, 접속 부재가 손가락으로부터 이탈하여 각형 전지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건 출원인은, 복수 개의 각형 전지의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할 때에, 캡 형상의 단자에 접속 부재를 용접하는 경우에도 접속 부재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하여 지지할 수 있어서, 스폿 용접시의 위치의 어긋남에 의한 용접불량을 없앨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조 전지를 앞서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 11-167912호 공보 참조).
상기 조 전지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접속 부재(30)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형 전지(Ba1)를 상호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접속 부재(30)는, 일 측의 각형 전지(Ba1)의 평판형상의 전극단자(32)에 용접에 의해 단부를 접합하기 위한 접속 편(片)(30a)의 타 단에, 타 측 각형 전지(Ba1)의 캡 형상의 전극단자(31)에 대하여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하는 한 쌍의 コ자 형상의 결합 접속부(30b, 30c)가 굴곡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부재(30)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1)를 상호 접속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결합 접속부(30b, 30c)를 캡 형상의 전극단자(31)에 덮어씌우는 상태로 삽입하면, 접속 부재(30)가 그 각형 전지(Ba1)에 대하여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어긋나지 않는 상태에서 위치 결정이 되므로, 접속 부재(30)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스폿 용접시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용접불량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30)는, 캡 형상의 전극단자(31)에 삽입이 되면, 그 상태를 손가락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접시의 위치결정에 요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 전지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1)끼리를 양극 및 음극이 교대로 위치하는 배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서로 포갠 경우에, 양 각형 전지(Ba1)의 높이 방향의 상대 위치를 캡 형상의 전극단자(31)의 높이에 상당하는 위치의 차이 x를 두고 조합할 필요가 있으므로, 각형 전지(Ba1)의 캡 형상의 전극단자(31) 및 평판형상의 전극단자(32)의 높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접속 부재(30)와 단자(31, 32)와의 접촉이 불충분해져서, 진동 등에 의해 접속 부재(30)와 단자(31, 32)가 떨어지는 용접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전지 케이스(1)의 일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실링(sealing) 판(2)으로부터 음극단자(3)가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 각형 전지(Ba2)인 경우에는 상술한 접속 부재(30)를 이용하여 상호 접속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링 판에서 일 측의 전극단자가 돌출 설치된 각형 전지를 복수 개 접속할 때에, 각 각형 전지의 각각의 전극단자의 높이에 편차가 존재하더라도, 접합 불량을 초래하지 않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의 조 전지는, 편평한 각형의 전지 케이스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단면으로부터 일 측 전극단자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일 측 단면 또는 측면이 타 측의 전극단자가 되는 각형 전지가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복수 개 배열되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각형 전지 중 일 측의 각형 전지에서의 상기 타 측 전극단자에 접속 부재의 평판 접속부가 접합 되고, 상기 평판 접합부에서 상승 편부를 개재하여 상기 각 각형 전지의 배열방향을 향해 연장한 장착 편부의 통 형상(筒 形狀) 접합부에 타 측 각형 전지의 상기 일 측 전극단자가 결합하는 상태로 삽입되어서 서로 접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의 조 전지에서, 접속 부재는, 평판 접합부와, 이 평판 접합부의 일 단부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승 편부와, 이 상승 편 부분에서 측방을 향한 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편부와, 이 연결 편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평판 접합부와는 반대쪽의 직교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접속 편부와, 이 접속 편부의 일 단부의 측변(側邊)으로부터 상기 평판 접합부에 대하여 평행한 배치로 상기 연결 편부와는 반대쪽의 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장착 편부와, 이 장착 편부에 형성된 통 형상 접합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조 전지에서, 접속 부재는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소재인 판재(板材)의 판 두께에 대하여 통 형상 접합부의 높이를 1.5배 이상으로 설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발명의 조 전지에서, 접속 부재의 통 형상 접합부는, 일단의 개구부의 내경이 상기 각형 전지의 상기 일 측 전극단자의 외경보다도 크고, 타 단의 개구부의 내경이 상기 일 측 전극단자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의 높이에 차이가 있어도, 일 측의 전극단자가 통 형상 접합부 내를 슬라이드 할 수 있으므로, 높이의 차이를 통 형상 접합부의 일 측의 전극단자에 대한 장착 위치의 가변에 의해 흡수하여, 항상 평판 접합부를 타 측 전극단자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각형 전지의 조립 시에 각형 전지 사이의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도, 통 형상 접합부와 일 측 전극단자 및 평판 접합부와 타 측 전극단자를 각각 확실한 밀착상태로 용접할 수 있으므로, 용접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진동 등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는 강고한 용접상태를 얻을 수 있어서, 조 전지를 높은 수율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접속 부재를, 통 형상 접합부에 일 측 전극단자를 접합시킨 상태에서 평판 접합부를 타 측 전극단자 상에 접촉시켜서 설치하므로, 이때의 접속 부재는,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에 대하여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에 걸쳐서 위치가 규제되므로, 치구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손가락으로 지지할 필요도 없이, 매우 양호한 작업성으로 용접을 행할 수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접속 부재가, 통 형상 접합부와 평판 접합부가 접속 편부에 의해 서로 중첩된 배치의 각형 전지에서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격된 배치로 설치된 형상을 가지므로, 양극 측 전극단자 및 음극 측 전극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각형 전지의 방향을 교대로 역방향을 향하는 배치로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하는 종래의 조 전지와는 달리, 복수 개의 각형 전지를 모두 동일한 상대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각형 전지 각각의 상대 위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더욱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접속 부재를 개재하여 접속한 2개의 각형 전지의 저항값을 양호한 수치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통 형상 접합부의 일단의 개구부의 내경이 일 측 전극단자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일 측 전극단자를 통 형상 접합부 내에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어서, 더욱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통 형상 접합부의 타 단의 개구부의 내경이 일 측의 전극단자의 외경보다도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일 측의 전극단자가 통 형상 접합부의 타 단 개구부를 향해 압입(壓入)상태로 삽입되어서, 상호 확실하게 밀착하는 결합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용접불량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조 전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며, 실링 판(2)에서 음극단자(3)가 돌출 설치된 편평한 각형 전지(Ba2)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개 중첩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각 2개의 각형 전지(Ba2)를 접속 부재(4)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접속 부재(4)를 도면의 사시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접속 부재(4)는, 인접하는 2개 중 일 측의 각형 전지(Ba2)의 전지 케이스(1)와 함께 양극 단자를 겸하는 실링 판(2)에 중첩되어 용접에 의해 접합 되는 평판 접합부(7)와, 이 평판 접합부(7)의 단부를 직교 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상승 편부(8)와, 이 상승 편부(8)의 대략 상반부(上半部)에서 일 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연결 편부(9)와, 이 연결 편부(9)의 단부를 평판 접합부(7)와는 반대 방향을 향한 직교 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접속 편부(10)와, 이 접속 편부(10)의 단부 상부를 연결 편부(9)와는 반대 방향을 향한 직교 방향으로 구부려서 설치된 장착 편부(11)와, 이 장착 편부(11)의 상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통 형상 접합부(12)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이 접속 부재(4)는 알루미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서 전기저항의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도 3(a)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접합부(12)는, 상단 개구부의 내경 R1보다도 하단 개구부의 내경 R2가 크게 설정되어서 하단을 향해서 내경이 확대되는 나팔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내경 R1, R2는 각형 전지(Ba2)의 음극단자(3)의 외경 R3에 대하여 R1 < R3 < R2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단, 상기 대소관계의 차는 매우 작다.
이어서, 상기 조 전지의 제작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 개의 각형 전지(Ba2)를 음극단자(3)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동일한 상대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도록 한다. 인접하는 각 2개의 각형 전지(Ba2) 중 일 측의 각형 전지(Ba2)의 음극단자(3)를 접속 부재(4)의 통 형상 접합부(12)에 삽입시키면서 다른 쪽의 각형 전지(Ba2)의 실링 판(2) 상에 접속 부재(4)의 평판 접합부(7)를 접촉시킨다. 이때, 통 형상 접합부(12)의 하단 개구부의 내경 R2가 음극단자(3)의 외경 R3보다 조금 더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음극단자(3)를 통 형상 접합부(12) 내에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는 동시에, 통 형상 접합부(12)의 상단 개구부의 내경이 음극단자(3)의 외경 R3보다 조금 더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음극단자(3)가 통 형상 접합부(12)의 상단 개구부를 향해 압입되어서 상호 확실한 밀착상태로 결합 된다. 이 상태에서 평판 접합부(7)와 실링 판(2) 및 통 형상 접합부(12)와 음극단자가 각각 레이저 용접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2)가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도 4(a)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본 도면 (b), (c)는 비교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또는 불일치되는 상대 위치를 갖는 2개의 각형 전지를 중첩한 경우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 (b), (c)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높이의 차이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 (a) ~ (c) 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2)의 높이에 차이가 있어도, 음극단자(3)가 통 형상 접합부(12) 내를 슬라이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높이의 차이를 통 형상 접합부(12)의 음극단자(3)에 대한 장착 위치의 가변에 의해 흡수하여, 항상 평판 접합부(7)를 실링 판(2)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각형 전지(Ba2)의 조립 시에 각형 전지(Ba2) 사이의 높이 방향에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도, 평판 접합부(7)와 실링 판(2) 및 통 형상 접합부(12)와 음극단자(3)를 각각 확실한 밀착 상태로 레이저 용접할 수 있으므로, 용접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동 등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는 강고한 용접상태를 얻을 수 있어서, 조 전지를 높은 수율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접속 부재(4)는, 통 형상 접합부(12)에 일 측의 각형 전지(Ba2)의 음극단자(3)를 접합시킨 상태에서 평판 접합부(7)를 다른 쪽의 각형 전지(Ba2)의 실링 판(2) 상에 접촉시켜서 설치하므로, 이때의 접속 부재(4)는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2)에 대하여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Ba2)에 걸쳐서 위치가 규제되므로, 치구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손가락으로 지지할 필요도 없이 극히 용이하게 레이저 용접을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통 형상 접합부(12)의 하단 개구부의 내경 R2는 음극단자(3)의 외경 R3보다도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음극단자(3)를 통 형상 접합부(12) 내로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이 점으로부터도 더욱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통 형상 접합부(12)의 상단 개구부의 내경은 음극단자(3)의 외경 R3보다도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음극단자(3)가 통 형상 접합부(12)의 상단 개구부를 향해 압입 상태로 삽입되어서 상호 확실하게 밀착된 결합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용접불량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속 부재(4)는, 통 형상 접합부(12)와 평판 접합부(7)가 접속 편부(10)에 의해서 상호 중첩 배치된 각형 전지(Ba2)에서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설치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양극 측 전극단자 및 음극 측 전극단자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각형 전지의 방향을 교대로 역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 하여,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종래의 조 전지와는 달리, 복수 개의 각형 전지(Ba2)를 모두 동일한 상대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각형 전지(Ba2)를, 음극단자(3)가 돌출된 개소와는 높이 방향에서 반대쪽의 바닥면 부분을 평탄 면에 각각 접촉시켜서 각각의 상대 위치를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점으로부터도 더욱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접속 부재(4)의 도 3(a)에 도시한 판 두께 t와 통 형상 접합부(12)의 높이 h와의 관련에 대하여, 실제로 조 전지를 제작하여 검증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 부재(4)로 0.5㎜의 판 두께 t를 갖는 판재를 이용하여 통 형상 접합부(12)의 높이 h가 0.1㎜, 0.3㎜, 0.5㎜, 0.75㎜ 및 1.0㎜로 각각 상이한 5종의 것을 제작하고, 이들 5종의 각 접속 부재(4)를 이용하여 각각 각형 전지(Ba2)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한 조 전지를 구성하여, 이들 조 전지에서의 음극단자(3)와 평판 접합부(7) 단부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통 형상 접합부(12)의 높이 h가 0.75㎜ 및 1.0㎜의 조 전지는 레이저 용접 후의 저항값이 안정된 수치가 되었으나, 그 이외의 조 전지에서는 저항값에 편차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통 형상 접합부(12)의 높이 h가 지나치게 낮은 것에 기인한 왜곡이 발생하여, 용접불량의 발생이나 접속 부재(4)의 왜곡에 의한 스트레스에 의해 용접부에 파단(破斷)이 발생함에 따라서, 용접 후의 저항값이 불안정해지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결과로부터, 접속 부재(4)는, 통 형상 접합부(12)의 높이 h를 판 두께 t의 1.5배 이상으로 설정하면, 양호한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또, 접속 부재(4)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접합부(12)에, 상단 개구부에서 높이 h 방향의 대략 중앙부까지 도달하는 절개부(13)를 형성하면, 음극단자(3)를 통 형상 접합부(12)에 삽입할 때에, 통 형상 접합부(12)의 내경 R1이 작은 상단 개구부가 탄성 변형을 함에 따라서, 음극단자(3)를 통 형상 접합부(12)에 용이하게 압입시키면서, 음극단자(3)와 통 형상 접합부(12)를 확실한 밀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2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4)를, 상승 편부(8)에서의 연결 편부(9) 형성 개소에서 평판 접합부(7)에 대하여 반대쪽으로 향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장착 편부(11)를 설치하고, 이 장착 편부(11)에 통 형상 접합부(12)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면, 원통형 전지의 상호 접속에 적합하게 적을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 발명에 관한 조 전지는, 편평한 각형의 전지 케이스의 높이 방향의 일 단면으로부터 일 측 전극단자가 돌출 설치되고, 또한, 일 단면 또는 측면이 타 측 전극단자가 되는 각형 전지를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시켜서 복수 개를 상호 접속할 때, 인접하는 각 2개의 각형 전지 중 일 측의 각형 전지에서의 타 측 전극단자에 접속 부재의 평판 접합부를 접합하고, 평판 접합부에서 상승 편부를 통해서 각 각형 전지의 배열방향을 향해 연장한 장착 편부의 통 형상 접합부에 타 측 각형 전지의 일 측 전극단자를 결합상태로 삽입하여 서로 접합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인접 하는 2개의 각형 전지의 높이에 차이가 있어도, 이 높이의 차이를 통 형상 접합부의 일 측의 전극단자에 대한 장착 위치의 가변에 의해 흡수하여, 항상 평판 접합부를 타 측 전극단자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 등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는 강고한 용접상태를 얻을 수 있어서, 조 전지를 높을 수율로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부재를,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에 대하여 상하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위치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인접하는 2개의 각형 전지에 걸쳐서 위치를 규제할 수 있으므로, 치구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손가락으로 지지하지 않고도 극히 양호한 작업성으로 용접을 행할 수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편평한 각형의 전지 케이스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단면에 일 측의 전극단자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일 측 단면 또는 측면이 타 측의 전극단자가 되는 각형 전지가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복수 개 배열되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각형 전지 중 일 측의 각형 전지에서의 상기 타 측 전극단자에 접속 부재의 평판 접속부가 접합 되고,
    상기 평판 접합부에서 상승 편부를 개재하여 상기 각 각형 전지의 배열방향을 향해 연장한 장착 편부의 통 형상(筒 形狀) 접합부에 타 측 각형 전지의 상기 일 측 전극단자가 결합하는 상태로 삽입되어서 서로 접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 부재는, 평판 접합부와, 이 평판 접합부의 일 단부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승 편부와, 이 상승 편 부분에서 측방을 향한 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편부와, 이 연결 편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평판 접합부와는 반대쪽의 직교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접속 편부와, 이 접속 편부의 일 단부의 측변(側邊)으로부터 상기 평판 접합부에 대하여 평행한 배치로 상기 연결 편부와는 반대쪽의 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장착 편부와, 이 장착 편부에 형성된 통 형상 접합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속 부재는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소재인 판재(板材)의 판 두께에 대하여 통 형상 접합부의 높이를 1.5배 이상으로 설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전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 부재의 통 형상 접합부는, 일단의 개구부의 내경이 상기 각형 전지의 상기 일 측 전극단자의 외경보다도 크고, 타 단의 개구부의 내경이 상기 일 측 전극단자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전지.
KR1020060117285A 2005-12-01 2006-11-25 조 전지 KR20070057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47816 2005-12-01
JP2005347816A JP2007157382A (ja) 2005-12-01 2005-12-01 組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662A true KR20070057662A (ko) 2007-06-07

Family

ID=3812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285A KR20070057662A (ko) 2005-12-01 2006-11-25 조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6796B2 (ko)
JP (1) JP2007157382A (ko)
KR (1) KR20070057662A (ko)
CN (1) CN100588005C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35B1 (ko) * 2006-02-20 2010-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과 접속부재의 연결을 위한 부재 및 이를 사용한전지모듈의 제조방법
KR101276608B1 (ko) * 2011-07-28 2013-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진동 감쇠부를 가진 상호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8846240B2 (en) 2012-02-16 2014-09-30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ssembly
US8871376B2 (en) 2011-08-31 2014-10-28 Lg Chem, Ltd. Interconn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interconnection assemblies in a battery module
US8974938B2 (en) 2011-08-30 2015-03-10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o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base member
US9178192B2 (en) 2011-05-13 2015-11-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US9620761B2 (en) 2014-09-09 2017-04-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KR20170042114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9905892B2 (en) 2015-02-09 2018-02-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first and second voltage sense members of an interconnect assembly
US10020483B2 (en) 2015-02-09 2018-07-1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a voltage sense member of an interconnec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3328A2 (en) * 2003-09-30 2005-04-14 Perkinelmer Las, In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genotyp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DE102006050705B4 (de) * 2006-10-24 2009-01-02 Auto-Kabel Management Gmbh Batterieleitung
CN102361066B (zh) 2007-01-12 2014-09-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极
EP2660893B1 (en) 2007-07-16 2015-09-16 LG Chem, Ltd.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DE102007059805A1 (de) * 2007-12-11 2009-06-25 Evonik Degussa Gmbh Batteriepack
US8193770B2 (en) * 2007-12-25 2012-06-05 BYD Co. Ltd Batter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n over-current/over-temperature protective feature
US8865335B2 (en) 2007-12-25 2014-10-21 Byd Co. Ltd. Electrochemical storage cell
JP4539763B2 (ja) * 2008-06-13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
US7762848B2 (en) * 2008-10-23 2010-07-27 Lg Chem, Ltd. Interconnect device for battery cell assemblies
KR101537000B1 (ko) * 2008-12-22 2015-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1015834B1 (ko) 2009-01-06 2011-02-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CN102349176B (zh) 2009-01-23 2016-02-03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具有带整体形成的端子的电化学电池的电池模块
US8574008B2 (en) * 2009-06-08 2013-11-05 Bayerische Motoren Werke Battery cell connector
US20130043826A1 (en) * 2010-02-26 2013-02-21 Goal Zero Llc Modular and portable battery pack power system
WO2012120821A1 (ja) * 2011-03-10 2012-09-13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電池接続方法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JP5868265B2 (ja) * 2012-05-25 2016-0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単電池および組電池
DE102012020799A1 (de) * 2012-10-23 2014-04-24 Li-Tec Battery Gmbh Energiespeichereinrichtung, Batterie mit zwei dieser Energiespeichereinrichtungen, sowie Verfahren zum Verschalten dieser Energiespeichereinrichtungen
JP2014099290A (ja) * 2012-11-13 2014-05-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および組電池
JP5965348B2 (ja) * 2013-04-11 2016-08-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5965350B2 (ja) * 2013-04-18 2016-08-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KR102210878B1 (ko) * 2014-03-03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99244B1 (ko) * 2015-01-14 2021-09-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팩
EP3275048B1 (en) * 2015-05-08 2023-11-22 BYD Company Limited Battery cell connector
KR102397857B1 (ko) * 2015-07-15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10573871B2 (en) * 2015-07-30 2020-02-25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bus bar for battery cell
CN106558667B (zh) * 2015-09-30 2019-06-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的连接器、动力电池模组、动力电池包、汽车
WO2017054187A1 (en) 2015-09-30 2017-04-06 Byd Company Limited Connector for power batteries, power battery module,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EP3323160B1 (en) 2015-09-30 2019-12-25 BYD Company Limited Connector for power batteries, power battery moduel,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CN106558668B (zh) * 2015-09-30 2020-03-3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动力电池的连接器、动力电池模组、动力电池包、汽车
KR101877008B1 (ko) * 2016-08-18 2018-07-10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나트륨계 전지의 전극부와 집전체의 연결 구조체
US20180205059A1 (en) * 2017-01-16 2018-07-19 Gs Yuasa International Ltd.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apparatus,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2337491B1 (ko) * 2017-03-06 2021-1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7054442B2 (ja) * 2018-03-06 2022-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0079A1 (de) * 1983-11-05 1985-05-15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Speicherzellenverbindung
JPH05266875A (ja) * 1992-03-19 1993-10-15 Ngk Insulators Ltd ナトリウム−硫黄電池における電極端子の接続構造
US5472802A (en) * 1993-10-25 1995-12-05 Ovonic Battery Company, Inc. Sealed hydride batteries, including a new lid-terminal seal and electrode tab collecting comb
JPH09306444A (ja) * 1996-05-13 1997-11-28 Seiko Instr Inc 密閉電池
US6265091B1 (en) * 1997-06-06 2001-07-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electric storage battery
JPH11167912A (ja) 1997-12-03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JP2000040500A (ja) * 1998-07-23 2000-02-0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用の端子接続具
JP4146000B2 (ja) * 1998-08-31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US6186831B1 (en) * 1999-06-08 2001-02-13 Real Power Cap Company Link bar for capacitors of audio system
JP2003229115A (ja) * 2002-01-31 2003-08-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蓄電池装置
JP2004031062A (ja) * 2002-06-25 2004-01-29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の製造方法
JP2005183359A (ja) * 2003-11-28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角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360262B2 (ja) * 2004-04-28 2009-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0627306B1 (ko) * 2004-05-04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84763B1 (ko) *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35B1 (ko) * 2006-02-20 2010-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과 접속부재의 연결을 위한 부재 및 이를 사용한전지모듈의 제조방법
US9178192B2 (en) 2011-05-13 2015-11-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KR101276608B1 (ko) * 2011-07-28 2013-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진동 감쇠부를 가진 상호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9496544B2 (en) 2011-07-28 2016-11-15 Lg Chem. Ltd. Battery modules having interconnect members with vibration dampening portions
US8974938B2 (en) 2011-08-30 2015-03-10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o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base member
US8871376B2 (en) 2011-08-31 2014-10-28 Lg Chem, Ltd. Interconn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interconnection assemblies in a battery module
US8846240B2 (en) 2012-02-16 2014-09-30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ssembly
US9620761B2 (en) 2014-09-09 2017-04-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US9905892B2 (en) 2015-02-09 2018-02-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first and second voltage sense members of an interconnect assembly
US10020483B2 (en) 2015-02-09 2018-07-1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a voltage sense member of an interconnect assembly
KR20170042114A (ko) * 2015-10-08 201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6796B2 (en) 2010-06-15
US20070141458A1 (en) 2007-06-21
JP2007157382A (ja) 2007-06-21
CN1976095A (zh) 2007-06-06
CN100588005C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662A (ko) 조 전지
US11462790B2 (en) Power supply device
JP595724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CN100440586C (zh) 无焊接触点型二次电池
US9496544B2 (en) Battery modules having interconnect members with vibration dampening portions
KR20080022129A (ko) 전지 간 접속장치
US9761855B2 (en) Welding structure between electric storage device and bus bar and method for welding electric storage device and bus bar together
CN101841056A (zh) 电池模块
JP2006261083A (ja) 電池間接続装置
US11108115B2 (en) Battery case and battery module
US20120177969A1 (en) Battery module
JP2012138239A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797693B1 (ko) 밀착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US10950839B2 (en) Battery pack, busbar holder used for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US8927132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O2019216218A1 (ja) 蓄電装置
KR101132146B1 (ko) 밀착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JP2006107808A (ja) 電池用接続部材
CN111512467B (zh) 电池组
KR20170068370A (ko) 전지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68253A (ko) 배터리 모듈
CN114388952A (zh) 电池模块
WO2017047278A1 (ja) 二次電池
JP2014026930A (ja) 蓄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24201B (zh) 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