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250A -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250A
KR20070057250A KR1020077008961A KR20077008961A KR20070057250A KR 20070057250 A KR20070057250 A KR 20070057250A KR 1020077008961 A KR1020077008961 A KR 1020077008961A KR 20077008961 A KR20077008961 A KR 20077008961A KR 20070057250 A KR20070057250 A KR 2007005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torsion bar
input shaft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세가와
히로시 에다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Abstract

토션바 (5) 의 양단부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 (21, 23) 이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에 형성한 암 스플라인 (22, 24) 에 끼워 맞춤·고정되어 있고, 또, 요철상의 스토퍼 (18, 19) 의 요철의 개수와, 토션바 (5) 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 (21, 23) 의 요철의 개수가 동일하고, 토션바 (5) 의 양단부의 수 스플라인 (21, 23) 은, 동일 위상이기 때문에, 어느 위상으로 토션바 (5) 와 양축 (2, 3) 을 장착해도, 양축 (2, 3) 의 뒤틀림시에 스토퍼 (18, 19) 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가 중립 위치에 대하여 좌우 거의 동일 각도가 된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Description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입력축과, 토션바와, 출력축의 결합 구조를 개량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타계에서는, 외부 동력원을 사용하여 조타 어시스트를 행하게 하는, 이른바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종래,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의 동력원으로는, 베인 방식의 유압 펌프가 사용되었고, 이 유압 펌프를 엔진에 의해 구동시키는 것이 많았다. 그런데, 이 종류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유압 펌프를 상시 구동시킴으로써 엔진의 구동 손실이 크기 (최대 부하시에 있어서, 수 마력 ∼ 10 마력 정도) 때문에, 소배기량의 경자동차 등으로의 채용이 어렵고, 비교적 대배기량의 자동차에서도 주행 연비를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전동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Electric Power Steering, 이하 EPS 라고 기재한다) 가 최근 주목받고 있다. EPS 는 전동 모터의 전원으로 차량의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엔진의 구동 손실이 없고, 전동 모터가 조타 어시스트시에만 기동되기 때문에 주행 연비의 저하도 억제되는 것 외에 전자 제어를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특장이 있다.
EPS 에서는 스티어링 휠에 인가된 조타 토크에 대응하여, 전동 모터로부터 보조 조타 토크를 발생시키고, 동력 전달 기구 (감속기) 에 의해 감속시켜 조타 기구의 출력축으로 전달하게 되어 있다.
도 5 는 종래예에 관련된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 (1)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의 차량 전방측에는 출력축 (3) 이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 (3) 의 차량 전방측에는 자재 이음매 (도시 생략) 등을 통하여 랙·앤드·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 (도시 생략) 등이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의 차량 전방측에는 토션바 (5) 의 기단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토션바 (5) 는 중공에 형성된 출력축 (3) 의 내부를 연장하고, 그 선단이 출력축 (3) 과 토션바 (5) 의 단부의 관통공 (3a, 5a) 에 고정핀 (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 (3) 의 차량 후방측에는 토크 센서부 (TS) 가 설치되어 있다. 즉, 출력축 (3) 의 차량 후방측에는 토크 센서부 (TS) 의 검출용 홈 (7) 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홈 (7) 의 직경 방향 외방에는, 토크 센서부 (TS) 의 슬리브 (8)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리브 (8) 는 그 차량 후방측 단부가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의 차량 전방측 단부에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슬리브 (8) 에는 창이 열려 있다. 조타 토크에 의해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사이에 뒤틀림이 발생하면, 슬리브 (8) 의 창과 출력축 (3) 의 검출용 홈 (7) 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 위치의 변화에 수반하여, 슬리브 (8) 의 외주에 설치한 요크 (9) 에 의해 임피던스가 검출되고, 센서 회로 (10) 에 의해 그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출력축 (3) 에는 전동 모터 (도시 생략) 의 구동축에 연결한 웜 감속 기구의 웜 (도시 생략) 에 맞물린 웜휠 (12) 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웜 (도시 생략) 및 웜휠 (12) 은 후방측 하우징 (13) 과 전방측 하우징 (14 ; 커버) 에 수납되어 있다. 즉, 후방측 하우징 (13) 과 전방측 하우징 (14 ; 커버) 은 볼트 (15) 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 (3) 은 웜휠 (12) 의 차량 후방측의 베어링 (16) 과, 웜휠 (12) 의 차량 전방측의 베어링 (17) 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에는, 각각, 양축 (2, 3) 을 소정의 뒤틀림 각도 이하로 규제하는 요철 형상의 스토퍼 (18, 19)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18, 19) 는 상대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뒤틀리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요철의 개수는, 예를 들어, 8 개씩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도시 생략) 을 조타함으로써 발생한 조타력은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토션바 (5), 출력축 (3), 및 랙·앤드·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를 통하여, 도시 생략의 전타륜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동 모터 (도시 생략) 의 회전력은 그 웜 (도시 생략) 및 웜휠 (12) 을 통하여 출력축 (3) 으로 전달되게 되어 있고, 전동 모터 (도시 생략) 의 회전력 및 회전 방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출력축 (3) 에 적절한 조타 보조 토크를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토크 검출 수단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을 토션바 (5) 로 연결하여, 조타에 의한 뒤틀림 토크에 의해 발생하는 상대 뒤틀림 각도를 검출하고 있다.
이 토션바 (5) 는, 입력축측의 단부는 입력축 (2) 에 압입 고정되고, 출력축측의 단부는 고정핀 (6) 에 의해 출력축 (3) 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의 위상은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서브 어셈블리 상태까지 조립했을 때에,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을 전기적 중립 상태로 조정하여 결정된다. 이 전기적 중립 상태에서, 출력축 (3) 과 토션바 (5) 의 단부에, 관통공 (3a, 5a) 이 천공되고, 또한, 이 관통공 (3a, 5a) 에 고정핀 (6) 이 삽입되어 주력축 (3) 은 토션바 (5) 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최종적인 칼럼 어셈블리 상태에 있어서는, 전기적 중립 위치의 미세 조정 및 증폭률의 조정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10142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의 위상은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서브 어셈블리 상태까지 조립한 후, 추가로,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을 전기적 중립 상태로 조정하여 정한다. 또한 그 후, 이 중립 상태에 있어서의 양축 (2, 3) 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관통공 (3a, 5a) 을 천공 가공해야 했다. 따라서 그 가공 작업이 번잡하고, 제조 비용이 드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서브 어셈블리 후, 최종적인 칼럼 어셈블리 상태에 있어서, 전기적 중립 위치를 다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공정수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서브 어셈블리 상태에서는 입력축과 출력축의 전기적 중립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최종적인 칼럼 어셈블리 상태에 있어서, 그 전기적 중립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만 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공정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관련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입력축과,
조타 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연결하는 토션바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에 따라 상기 토션바에 발생하는 뒤틀림 토크와 회전 각도의 적어도 일방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조타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있어서 발생된 상기 보조 조타 토크를 감속시켜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에, 각각,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는, 각각,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상기 토션바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일방에 형성된 제 2 위치 결정부와,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 1 위치 결정부의 접속부에, 적어도 백래시 방지 수단과 축방향의 빠짐 방지 수단의 일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관련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수 스플라인이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 스플라인에 끼워 맞춰지는 상기 수 스플라인과 동일 형상의 암 스플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관련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는, 각각, 상기 양축을 규정의 뒤틀림 각도 이하로 규제하는 요철 형상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형상의 스토퍼의 요철의 개수와, 상기 토션바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의 요철의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암 스플라인의 위상은, 상기 양축의 뒤틀림시에 상기 양축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를, 상기 양축의 중립 위치에 대하여 좌우 거의 동일 각도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의 수 스플라인은 서로 동일 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토션바의 양단부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을 입력축과 출력축에 형성한 암 스플라인에 끼워 맞춤·고정시키기 때문에, 관통공의 천공 가공 및 핀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공정수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상의 스토퍼의 요철의 개수와, 토션바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의 요철의 개수가 동일하고, 토션바의 양단부의 수 스플라인은 동일 위상이다. 따라서, 어느 위상으로 토션바와 양축을 장착해도, 양축의 뒤틀림시에 스토퍼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가 중립 위치에 대하여 좌우 거의 동일 각도가 된다.
따라서, 서브 어셈블리 상태에서는, 입력축과 출력축의 전기적 중립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최종적인 칼럼 어셈블리 상태에 있어서, 그 전기적 중립 위치를 미조정하기만 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공정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 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 는 도 1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 는 도 1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토션바의 사시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것으로, 출력축과 토션바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예에 관련된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스티어링 칼럼
2 스티어링 샤프트 (입력축)
3 출력축
3a 관통공
5 토션바
5a 관통공
6 고정핀
7 검출용 홈
8 슬리브
9 요크
10 센서 회로
TS 토크 센서부
12 웜휠
13 후방측 하우징
14 전방측 하우징 (커버)
15 볼트
16, 17 베어링
18, 19 스토퍼
21 수 스플라인
22 암 스플라인
23 수 스플라인
24 암 스플라인
25 구멍
26 볼
30 베어링
31 스톱링
32 C 링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2b 는 도 1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2c 는 도 1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는 토션바의 사시도이고, 도 3b 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련된 것으로, 출력축과 토션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 (1)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의 차량 전방측에는 출력축 (3) 이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 (3) 의 차량 전방측에는 자재 이음매 (도시 생략) 등을 통하여 랙·앤드·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 (도시 생략) 등이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의 차량 전방측에는 토션바 (5) 의 기단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 토션바 (5) 는 중공에 형성된 출력축 (3) 의 내부를 연장하고 있다. 또한, 토션바 (5) 의 선단은 출력축 (3) 과 토션바 (5) 의 단부의 관통공 (3a, 5a) 에 있어서 고정핀 (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 (3) 의 차량 후방측에는 토크 센서부 (TS) 가 설치되어 있다. 즉, 출력축 (3) 의 차량 후방측에는 토크 센서부 (TS) 의 검출용 홈 (7)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 (7) 의 직경 방향 외방에는 토크 센서부 (TS) 의 슬리브 (8)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리브 (8) 는 그 차량 후방측 단부가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의 차량 전방측 단부에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슬리브 (8) 에는 창이 열려 있다. 조타 토크에 의해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사이에 뒤틀림이 발생하면, 슬리브 (8) 의 창과 출력축 (3) 의 검출용 홈 (7) 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 위치의 변화에 수반하여, 슬리브 (8) 의 외주에 설치한 요크 (9) 에 의해 임피던스가 검출되고, 센서 회로 (10) 에 의해 그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출력축 (3) 에는, 전동 모터 (도시 생략) 의 구동축에 연결한 웜 감속 기구의 윔 (도시 생략) 에 맞물린 웜휠 (12) 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웜 (도시 생략) 및 웜휠 (12) 은 후방측 하우징 (13) 과, 전방측 하우징 (14 ; 커버) 에 수납되어 있다. 즉, 후방측 하우징 (13) 과 전방측 하우징 (14 ; 커버) 은 볼트 (15) 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출력축 (3) 은 웜휠 (12) 의 차량 후방측의 베어링 (16) 과, 웜휠 (12) 의 차량 전방측의 베어링 (17) 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에는, 각각, 양축 (2, 3) 을 규정의 뒤틀림 각도 이하로 규제하는 요철상의 스토퍼 (18, 19)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18, 19) 는 상대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뒤틀리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요철의 개수는, 예를 들어 8 개씩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도시 생략) 을 조타함으로써 발생한 조타력은 스티어링 샤프트 (2 ; 입력축), 토션바 (5), 출력축 (3), 및 랙·앤드·피니언식 스티어링 장치를 통하여, 도시 생략의 전타륜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동 모터 (도시 생략) 의 회전력은 그 웜 (도시 생략) 및 웜휠 (12) 을 통하여 출력축 (3) 으로 전달되게 되어 있다. 전동 모터 (도시 생략) 의 회전력 및 회전 방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출력축 (3) 에 적절한 조타 보조 토크를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션바 (5) 의 양단부에, 각각, 수 스플라인 (21, 23)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에는, 각각, 수 스플라인 (21, 23) 에 각각 끼워 맞춰지는 동일 형상의 암 스플라인 (22, 24) 이 형성되어 있다.
토션바 (5) 의 수 스플라인 (21, 23) 은, 동일 위상이다. 그 요철의 개수는 동일하고, 예를 들어 8 개이다.
상기 기술한 요철상의 스토퍼 (18, 19) 의 요철의 개수와, 이 토션바 (5) 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 (21, 23) 의 요철의 개수는 동일하고, 예를 들어 8 개이다.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의 암 스플라인 (22, 24) 의 위상은 양축 (2, 3) 의 뒤틀림시에 스토퍼 (18, 19) 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가 중립 위치에 대하여 좌우거의 동일 각도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즉,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의 암 스플라인 (22, 24) 의 위상은, 일방이 스토퍼와 동일한 위상으로, 타방이 반각 어긋난 각도로 성형되어 있다. 이로 써, 중립 위치에 대하여 스토퍼 (18, 19) 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는 좌우 전타에서 거의 동일해진다.
또한, 토션바 (5) 의 단부에는, 구멍 (2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25) 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철제 등의 볼 (26) 이 압입되게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출력축 (3) 과 토션바 (5) 는 그 단부의 스플라인 끼워 맞춤부 (23, 24) 에서, 간극을 가지고 끼워 맞춰진다. 끼워 맞춤 후, 토션바 (5) 의 단면에 설치한 구멍 (25) 에, 볼 (26) 을 박아 넣음 (압입함) 으로써, 토션바 (5) 의 단부 직경을 확대하여, 스플라인의 백래시를 방지한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 (3) 과 토션바 (5) 의 단부의 관통공 (3a, 5a) 에, 고정핀 (6) 을 삽입 통과시켜 출력축 (3) 과 토션바 (5) 를 고정시켜도 되고, 또는, 고정핀을 상기 관통공으로 압입하여 고정시켜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토션바 (5) 의 양단부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 (21, 23) 이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에 형성한 암 스플라인 (22, 24) 에 끼워 맞춤·고정되어 있고, 또한, 요철상의 스토퍼 (18, 19) 의 요철의 개수와, 토션바 (5) 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 (21, 23) 의 요철의 개수가 동일하고, 토션바 (5) 의 양단부의 수 스플라인 (21, 23) 은, 동일 위상이기 때문에, 어느 위상으로 토션바 (5) 와 양축 (2, 3) 을 장착해도, 양축 (2, 3) 의 뒤틀림시에 스토퍼 (18, 19) 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가 중립 위치에 대하여 좌우 거의 동일 각도가 된다. 따라서, 서브 어셈블리 상태에서는,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의 전기적 중립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최종적인 칼럼 어셈블리 상태에 있어서, 그 전기적 중립 위치를 미조정하기만 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공정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칼럼 어시스트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그 기본적 구조가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상이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축 (2) 은 베어링 (30 ; 시일 부착) 에 의해, 후방측 하우징 (13) 에 대하여 축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토션바 (5) 는 회전 방향의 백래시만을 억제하면 되고, 고정핀 (6) 에 의해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부품점수·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부호 31 은 스톱링이고, 부호 32 는 C 링이다.
이상으로부터, 양축 (2, 3) 의 가공에 있어서, 각각의 홈 (암 스플라인 (22, 24)) 을 냉간 단조로 성형함으로써, 공정이 적고, 또한 홈의 위상 오차를 작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기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수 스플라인 (21, 23) 과 암 스플라 인 (22, 24) 의 끼워 맞춤에 의해 토션바 (5) 와 입력축 (2) 과 출력축 (3) 이 서로 위치 결정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기술한 스플라인 끼워 맞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직선의 스플라인 홈이 설치되어 있지만,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홈, 혹은 만곡된 홈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축방향을 따라 등폭의 홈이 설치되어 있으나, 축의 선단부의 홈폭과 축의 중간부측의 홈폭이 상이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스플라인 끼워 맞춤에 의한 위치 결정 대신에, 다각형이나 세레이션을 위치 결정 수단에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토션바의 양단에 동일한 형상의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양단에서 상이한 형상의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4년 10월 21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04-308569호) 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Claims (3)

  1.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입력축과,
    조타 기구에 연결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연결하는 토션바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타력에 따라 상기 토션바에 발생하는 뒤틀림 토크와 회전 각도의 적어도 일방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조타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있어서 발생된 상기 보조 조타 토크를 감속시켜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에, 각각, 제 1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는, 각각,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상기 토션바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제 2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일방에 형성된 제 2 위치 결정부와,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 1 위치 결정부의 접속부에, 적어도 백래시 방지 수단과 축방향의 빠짐 방지 수단의 일방이 설치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는 수 스플라인이고,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 스플라인에 끼워 맞춰지는 상기 수 스플라인과 동일 형상의 암 스플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에는, 각각, 상기 양축을 소정의 뒤틀림 각도 이하로 규제하는 요철상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상의 스토퍼의 요철의 개수와, 상기 토션바에 형성한 수 스플라인의 요철의 개수가 동일하고,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암 스플라인의 위상은, 상기 양축의 뒤틀림시에 상기 양축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규제되는 각도를, 상기 양축의 중립 위치에 대하여 좌우 거의 동일 각도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토션바의 양단부의 수 스플라인은, 서로 동일 위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077008961A 2004-10-22 2005-10-21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070057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8569 2004-10-22
JP2004308569 2004-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250A true KR20070057250A (ko) 2007-06-04

Family

ID=3620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961A KR20070057250A (ko) 2004-10-22 2005-10-21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035413A1 (ko)
EP (1) EP1813505A4 (ko)
KR (1) KR20070057250A (ko)
CN (1) CN101048310A (ko)
WO (1) WO2006043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263A1 (en) * 2006-09-28 2008-04-03 Pattok Eric 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2012040980A (ja) * 2010-08-20 2012-03-01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2730053B (zh) * 2011-03-29 2016-08-03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具限位功能的全地形车辆电子转向装置
US9518627B2 (en) * 2014-11-26 2016-12-1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Changes enabling the elimination of processes for a torsion bar
JP6396201B2 (ja) * 2014-12-22 2018-09-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354540B1 (en) 2015-11-13 2020-04-22 NSK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106197255B (zh) * 2016-07-07 2019-01-25 安徽沃巴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式扭矩角度传感器
US20180118259A1 (en) * 2016-10-31 2018-05-0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orsion bar for a steering system assembly
CN106826212A (zh) * 2017-01-17 2017-06-13 安徽德孚转向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转向系统的扭杆对中方法
CN107089263A (zh) * 2017-06-20 2017-08-25 徐州徐工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用自卸车用全液压转向器的连接接头
US10844909B2 (en) * 2017-11-02 2020-11-2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GB201806096D0 (en) * 2018-04-13 2018-05-30 Trw Ltd Torsion ba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2998A1 (fr) * 1980-01-04 1981-07-10 Dba Dispositif de direction assistee hydraul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JPH0532231U (ja) * 1991-10-08 1993-04-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65751U (ja) * 1992-02-14 1993-08-31 自動車機器株式会社 動力舵取装置
US5796014A (en) * 1996-09-03 1998-08-18 Nsk Ltd. Torque sensor
US6301975B1 (en) * 1998-02-26 2001-10-16 Nsk Ltd. Torque sensor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gainst thermal expansion and axial displacement of components
JP3942270B2 (ja) 1998-04-28 2007-07-11 株式会社ショーワ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入力軸とトーションバーとの結合構造および結合方法
JP4026247B2 (ja) * 1998-10-01 2007-12-26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JP3646299B2 (ja) * 1999-08-19 2005-05-11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
US6456090B1 (en) * 1999-09-27 2002-09-24 Nsk Ltd. Torque sensor
JP3664055B2 (ja) * 2000-08-04 2005-06-22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センサ制御装置
JP2003065876A (ja) * 2001-08-21 2003-03-05 Showa Corp トルクセンサの異常検知装置
JP3869715B2 (ja) * 2001-12-17 2007-01-17 ユニシア ジェーケーシー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WO2003104065A1 (ja) * 2002-06-06 2005-10-06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1707932B1 (en) * 2003-03-27 2008-04-30 Toyoda Koki Kabushiki Kaisha Torque sensor and electric steer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05055321A (ja) * 2003-08-05 2005-03-03 Toyoda Mach Works Ltd トルクセンサの組立方法、トルクセンサ、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247225A (ja) * 2004-03-08 2005-09-15 Hitachi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389616B2 (ja) * 2004-03-15 2009-12-24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3669A1 (ja) 2006-04-27
EP1813505A1 (en) 2007-08-01
US20080035413A1 (en) 2008-02-14
EP1813505A4 (en) 2008-01-23
CN101048310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250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749069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20090260468A1 (en) Steering device and movement converting device used therefor
US20070295552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2444297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P2168821B1 (en) Steering apparatus
KR20070091224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8500564B2 (en) Shaft-and-yoke coupling structure and vehicle steering system
JP3658683B2 (ja) 電動式舵取装置
JP2006143186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24721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18756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82148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US20070235246A1 (en) Vehicle Steering System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0620600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7037499A9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028153A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JPH10281236A (ja) 動力伝達装置
KR20120029152A (ko)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0215444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29023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230052990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9280138A (ja) コラム式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20220250672A1 (en) Motor assembly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JP200609620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